KR101207904B1 -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 Google Patents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904B1
KR101207904B1 KR1020120071740A KR20120071740A KR101207904B1 KR 101207904 B1 KR101207904 B1 KR 101207904B1 KR 1020120071740 A KR1020120071740 A KR 1020120071740A KR 20120071740 A KR20120071740 A KR 20120071740A KR 101207904 B1 KR101207904 B1 KR 101207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porous member
holes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관
Original Assignee
유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관 filed Critical 유병관
Priority to KR102012007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베이스판(3)과, 상기 베이스판(3) 상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하측은 상기 베이스판(3)에 고정되고 상측은 저수통(4)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5)와, 상기 수직지지대(5)상측에 지지되되 다공성부재(7)가 끼워지는 관통공(8)이 형성된 저수통(4)과, 상기 저수통(4)저면에 형성한 관통공(8)에 끼워져 상기 저수통(4) 하단으로 수직으로 길게 위치되고 상기 저수통(4)의 물을 흡수하고 흡수한 물을 증발하는 다공성부재(7)와, 상기 다공성부재(7)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저수통(4) 상측에 결합되는 물보충부(9)를 갖는 물통(10)이 위치되되 상기 물통(10)은 상기 물통(10)하단에 상기 저수통(4)으로 흐르는 관통구멍(11)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구멍(11)에 상기 관통구멍(11)을 개폐하는 개폐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Natural humidifier for porosity evaporator}
본 발명은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측에 있는 저수통과 관통시켜 연결된 다공성 부재가 물을 지속적으로 흡수하고 흡수한 물을 지속적으로 증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가정, 병원, 사무실 등 실내에서 적당한 증기요소가 없고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건조해지기 쉬운 때 전기에 의하여 깨끗한 물을 입자화하여 실내에 뿜어지게 함으로써 공기 속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습기의 종류는 흡입한 물을 원심력으로 날려서 부딪치게 하여 입자화하는 원심분무식(遠心噴霧式) 가습기, 전기회로에서 어떤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물속에 놓인 진동자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일어나 가는 안개가 발생하도록 하는 초음파 가습기, 히터나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전열식(電熱式) 가습기, 젖은 필터로 공기가 통하게 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필터기화식 가습기 등이 있다.
상기 나열한 가습기들은 팬을 회전시키거나 물을 진동 및 가열시키기 위해서 모두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음파 가습기는 빠른 가습에 비해 세균의 번식이 용이해 곰팡이 및 유해 세균 등이 쉽게 번식하였고, 전열식 가습기는 다량의 전력이 필요하였으며, 필터기화식 가습기는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자연증발 방식을 이용한 자연증발 가습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467665호와 같이 송풍팬이 구비되어 강제송풍이 가능하며, 수통의 물을 흡수하고, 전면에 다수의 통풍구가 그릴형태로 형성되어 송풍공기가 통과하면서 습공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해면질로 된 보습시트로 구성된 자연증발식 가습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케이스의 전면만으로 습공기를 배출하게 되어 가습량이 적고, 실내에 고르게 확산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류를 이용하여 물을 증발하지 않고 물통의 물을 흡수하여 자연적으로 증발하는 자연 증발용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베이스판(3)과, 상기 베이스판(3) 상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하측은 상기 베이스판(3)에 고정되고 상측은 저수통(4)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5)와, 상기 수직지지대(5)상측에 지지되되 다공성부재(7)가 끼워지는 관통공(8)이 형성된 저수통(4)과; 상기 저수통(4)저면에 형성한 관통공(8)에 끼워져 상기 저수통(4) 하단으로 수직으로 길게 위치되고 상기 저수통(4)의 물을 흡수하고 흡수한 물을 증발하는 다공성부재(7)와, 상기 다공성부재(7)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저수통(4) 상측에 결합되는 물보충부(9)를 갖는 물통(10)이 위치되되 상기 물통(10)은 상기 물통(10)하단에 상기 저수통(4)으로 흐르는 관통구멍(11)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구멍(11)에 상기 관통구멍(11)을 개폐하는 개폐부(12)을 갖는 구성이다.
상기 다공성부재(7)는 저수통(4)의 관통공(8)을 복수개 형성하여 상기 다공성부재(7)를 복수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통(10) 저면판(10')에 상하로 관통한 복수의 관통구멍(11)을 형성하고 상기 저면판(10')에 스프링(13)의 팽창력에 의해 밀착시킨 밀착판(14)을 갖되,
상기 밀착판(14)은 상기 저면판(10')에 밀착되고 상기 저면판(10')의 일측 내지는 중앙에 일측이 힌지축(15)에 지지되고 타측은 레버부(16)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부(16)을 조작하면 상기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타측(레버부 방향)이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11)을 동시에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제1관통구멍(17)이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부호중 30은 코팅층이다. 이 코팅층은 수직지지대가 베이스판(3)을 관통할 경우 물이 관통부를 통해 새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층을 갖도록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에서 물통은, 설명이 편리하도록 물통의 바닥면을 저면판으로 분리하였다. 즉 상기 저면판은 물통 바닥면이다.
그리고 다공성부재(7)는, 예를들어 물을 잘 흡수하고 흡수한 물이 잘 건조되는 숯 및 황토로 성형한 막대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에 있는 저수통과 관통시켜 연결시킨 다공성부재가 물을 지속적으로 흡수하고 흡수한 물을 지속적으로 증발함으로서 증발량의 많다. 그러므로 가습 효과가 우수하다.
만약, 하단에 저수통이 있고 그 저수통에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다공성부재가 물에 접촉되어진다면 역삼투압방법으로 물을 흡수하나 수직으로 길게 세워진 다공성부재 전체면적에 물을 흡수할 수 없다 흡수 한다 하더라도 아주 천천히 흡수하므로 소량 흡수된다. 그러기 때문에 증발효과도 미미하다.
더욱 상세한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자연 가습기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분해사시도,
제 3도는 제 1도 상태에서 물통을 분해한 사시도,
제 4도의 가)는 제 3도의 상태에서 저수통에 물이 체워진 상태를 보인 참고도,
나)는 본원의 베이스판 저면을 보인 설명도,
제 5도는 본원의 저면판에 본원의 밀착판이 스프링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가)는 물통의 물이 저수통으로 배수되도록 관통구멍이 개방된 상태이고,
나)은 밀폐된 상태이다.
제 6도는 본 발명의 자연 가습기의 물통 일부를 절개한 상태로서 관통구멍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자연 가습기의 물통 일부를 절개한 상태로서 관통구멍이 밀폐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자연 가습기의 물통 일부를 절개한 상태로서 물통에 물이 충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3)이 있고, 그 베이스판(3) 상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하측은 상기 베이스판(3)에 고정되고 상측은 저수통(4)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5)가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대(5) 상측에 지지되되 다공성부재(7)가 끼워지는 관통공(8)이 형성된 저수통(4)이 있으며, 상기 관통공(8)에 다공성부재(7)가 끼워지되 상기 다공성부재(7)가 저수통(4) 하단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부재(7)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저수통(4) 상측에 결합되는 물보충부(9)를 같는 물통(10)이 위치되되 상기 물통(10)은 상기 물통(10)하단에 상기 저수통(4)으로 흐르는 관통구멍(11)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구멍(11)에 상기 관통구멍(11)을 개폐하는 개폐부(12)을 갖도록 하였다.
이 상태에서 물통(10) 하단에 관통구멍(11)을 밀폐하고 물충전부(9)를 통해 물을 충전하면 물통(10)에 물이 채워진다.
그 후 관통구멍(11)을 개폐부(12)를 이용해 이용자가 인위적으로 개방하면 물이 저수통(4)으로 배출된다. 그 배출량은 개폐부(12) 개방 여부에 따라 다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통(10)의 물(A)이 저수통(4)에 이르게되면 저수통(4)에 형성되고 관통공(8)에 끼워진 다공성부재(7)가 물을 흡수한다. 그렇게 지속적으로 흡수하게 되면, 저수통(4) 하단으로 향한 다공성부재(7) 하단부 전체면적에 흡수된다.
이렇게 흡수한 수분은 공기와 접촉되어 대기중으로 증발하는 것이다.
즉, 흡수와 증발을 동시에 이루어지는 결과를 갖게 된다.
상기 관통구멍(11)과 개폐부(12)는 도시에서 생략되었지만 보충설명하면, 관통구멍에 별도의 배관을 연결하고 그 배관에 수동식 개폐밸브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개폐밸브를 조작하면 배관의 관로가 밀폐하거나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부재(7)은 저수통(4)의 관통공(8)을 복수게 형성하여 상기 다공성부재(7)를 복수개 설치하였다.
이렇게 다공성부재(7)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다량의 물을 다량으로 증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다공성부재(7)는 서로 간격이 이격되어 있어 개별적으로 통풍이 잘되므로 증발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상기 물통(10) 저면판(10')에 상하로 관통한 복수의 관통구멍(11)을 형성하고 상기 저면판(10')에 스프링(13)의 팽창력에 의해 밀착시킨 밀착판(14)을 갖되,
상기 밀착판(14)은 상기 저면판(10')에 밀착되고 상기 저면판(10')의 일측 내지는 중앙에 일측이 힌지축(15)에 지지되고 타측은 레버부(16)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부(16)을 조작하면 상기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타측(레버부 방향)이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11)을 동시에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제1관통구멍(17)이 복수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복수의 관통구멍(11)을 동시에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수통(4) 전체면적에 동시에 물이 배출된다. 그러므로 복수의 다공성부재(7)가 동시에 물을 흡수하고 증발하는 것이다.
만약, 동시에 흡수하지 못하고 예를 들어 1~2개소가 먼저 흡수할 경우 더 많은 물이 1~2개소에 공급되므로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하지 못한 다공성부재(7)은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받는 오목부(20)로 흘러보내고 그 물은 결국 베이스판 상측으로 넘쳐 외부로 흐르게 된다.
물론 복수의 다공성부재(7)에 의해 오목부(20)충전된 물이 흡수 되는데 본원은 동시에 다공성부재(7)가 흡수하여 동시에 증발하도록 하여 가습효과를 더 높이고자 한 것이다.
3 : 베이스판, 4 : 저수통
4 : 수직지지대, 7 : 다공성부재
8 : 관통공, 9 : 물보충부
10 : 물통, 10' : 저면판
11 : 관통구멍, 12 : 개폐부
13 : 스프링, 14 : 밀착판
15 : 힌지축, 16 : 레버부
17 : 제1관통구멍, 20 : 오목부
30 : 코팅층, A : 물

Claims (2)

  1. 베이스판(3)과; 상기 베이스판(3) 상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하측은 상기 베이스판(3)에 고정되고 상측은 저수통(4)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5)와;
    상기 수직지지대(5)상측에 지지되되 다공성부재(7)가 끼워지는 관통공(8)이 형성된 저수통(4)과;
    상기 저수통(4)저면에 형성한 관통공(8)에 끼워져 상기 저수통(4) 하단으로 수직으로 길게 위치되고 상기 저수통(4)의 물을 흡수하고 흡수한 물을 증발하는 다공성부재(7)와;
    상기 다공성부재(7)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저수통(4) 상측에 결합되는 물보충부(9)를 갖는 물통(10)이 위치되되 상기 물통(10)의 저면판(10')을 상하로 관통시켜 물통의 물이 상기 저수통(4)으로 흐르도록 복수의 관통구멍(11)을 형성하고 상기 저면판(10')에 스프링(13)의 팽창력에 의해 밀착시킨 밀착판(14)을 갖되,
    상기 밀착판(14)은 상기 저면판(10')에 밀착되고, 상기 저면판(10')의 일측 내지는 중앙에 일측이 힌지축(15)에 지지되고 타측은 레버부(16)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부(16)을 조작하면 상기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타측(레버부 방향)이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11)을 동시에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제1관통구멍(17)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부재(7)는 저수통(4)의 관통공(8)을 복수개 형성하여 상기 다공성부재(7)를 복수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KR1020120071740A 2012-07-02 2012-07-02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KR101207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740A KR101207904B1 (ko) 2012-07-02 2012-07-02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740A KR101207904B1 (ko) 2012-07-02 2012-07-02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904B1 true KR101207904B1 (ko) 2012-12-04

Family

ID=4790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740A KR101207904B1 (ko) 2012-07-02 2012-07-02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9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682B1 (ko) 2014-02-04 2014-04-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분 함량 무게를 이용하여 가습량 조절이 가능한 자연증발 가습기
WO2015008997A1 (en) * 2013-07-15 2015-01-22 Dong Jin Seo Floating type humidifier
KR102257993B1 (ko) * 2020-12-24 2021-05-28 국립생태원 목재를 이용한 복합소재
KR102257989B1 (ko) * 2020-12-24 2021-05-28 국립생태원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8997A1 (en) * 2013-07-15 2015-01-22 Dong Jin Seo Floating type humidifier
US9377208B2 (en) 2013-07-15 2016-06-28 Dong Jin Seo Floating type humidifier
KR101384682B1 (ko) 2014-02-04 2014-04-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분 함량 무게를 이용하여 가습량 조절이 가능한 자연증발 가습기
KR102257993B1 (ko) * 2020-12-24 2021-05-28 국립생태원 목재를 이용한 복합소재
KR102257989B1 (ko) * 2020-12-24 2021-05-28 국립생태원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904B1 (ko)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KR100990679B1 (ko) 천장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CN110749015A (zh) 一种加湿器及其关机控制方法
CN103822311A (zh) 一种加湿型空调柜机
US20080028775A1 (en) Method and Device Enabling Defined Temperature and Hygrometric Conditions to be Established and Maintained Inside Premises
KR100483968B1 (ko) 자연증발 가습기
KR101144909B1 (ko) 가습기의 가습유도장치
KR100970006B1 (ko) 고정형 기화식 가습기
KR101065783B1 (ko) 천정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KR101421095B1 (ko) 자연 기화식 가습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22355A (ja) 冷蔵庫
KR101423831B1 (ko) 자연 증발식 가습기
KR20160077261A (ko) 자연증발식 피톤치드 공급 및 전열구조의 스탠드형 환기장치
JP3591462B2 (ja) 加湿器
KR100755831B1 (ko) 환기장치
KR20170028242A (ko)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
KR100462643B1 (ko) 자연증발 가습기
KR200468188Y1 (ko) 자연 가습장치
KR101630255B1 (ko) 선인장 형상의 부직포가습기
KR100698518B1 (ko) 기화식 가습장치
JP2961647B2 (ja) 通風気化式加湿器の通風部構造
CN211177186U (zh) 一种用于低温环境的除湿机
JP2019152556A (ja) 環境試験装置及び環境試験装置の低湿度環境創出方法
JPH01260233A (ja) 空気調和機
KR0130943Y1 (ko) 제습겸용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