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989B1 -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 Google Patents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989B1
KR102257989B1 KR1020200182976A KR20200182976A KR102257989B1 KR 102257989 B1 KR102257989 B1 KR 102257989B1 KR 1020200182976 A KR1020200182976 A KR 1020200182976A KR 20200182976 A KR20200182976 A KR 20200182976A KR 102257989 B1 KR102257989 B1 KR 102257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ood
humidifying
humidifying member
hea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배해진
문새로미
박귀종
Original Assignee
국립생태원
박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생태원, 박귀종 filed Critical 국립생태원
Priority to KR102020018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의 자연증발 원리를 이용하여 주변으로 습기를 공급하고, 목재의 흡습 팽창과 수축에 따른 물투입부의 높이가 변하여 표시부재의 노출 상태를 통해 사용자가 실내의 건조 여부를 알 수 있는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이며,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NATURAL HUMIDIFIER USING CYPRESS TREE COMBINED WITH NON-EXPANDING COMPONENT}
본 발명은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의 자연증발을 이용하여 주변으로 습기를 공급하고, 목재의 흡습팽창과 수축에 따른 물투입부의 높이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건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자연 증발되는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물을 분무하거나 증발시켜 수증기를 만들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전제품으로, 주로 공기가 건조하여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운 겨울철 가정집, 사무실, 병원 등에서 주로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가습기의 종류는 초음파로 물을 진동시켜 잘게 쪼갠 물방울을 뿜는 초음파 진동식, 전기로 물을 끓여서 수증기를 내보내는 가열식, 물을 적신 매체에 자연바람 또는 팬으로 바람을 쐬어 자연 증발시키는 자연 증발식 또는 좁은 직경의 노즐에서 고압으로 물을 살포하여 미세한 물 입자들이 고속으로 방출되는 노즐식 등이 있다.
다음은 앞서 나열된 가습기 중 초음파식 가습기에 관한 발명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89048호(이하, 문헌 1)는 물을 간편하게 채울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한 본체와, 급수조절부재에 의해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며,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물 입자가 외부로 일정하게 배출되는 ‘초음파 가습기’에 관한 발명이다.
문헌 1 발명과 같은 초음파식 가습기는 분무량이 풍부하고, 전기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나, 물속에 용해되어 있던 석회 성분이 정전기를 띠는 가전제품에 달라붙어 백분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 초음파식 가습기는 주기적으로 세척하지 않게 되면 오염된 물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인체 내에 그대로 흡입되게 되면, 면역력이 약한 사용자에게 호흡기 관련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된 초음파식 가습기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가열식 가습기에 관한 발명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7782호(이하, 문헌 2)는 하부에 히터가 내설되고 중앙으로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배출공과 연통되어 연장된 배출노즐로 이루어진 가습장치가 포함되며, 몸체와 걸림돌턱 사이에 역류방지판이 내설되어 증기화 된 기체의 손실을 최소화되는 ‘가열식 가습기’에 관한 발명이다.
문헌 2 발명과 같은 가열식 가습기는 물을 끓이기 때문에 살균과, 물속에 녹아있는 광물질이 공기로 방출되지 않아 앞서 설명된 초음파식 가습기보다 상대적으로 위생적인 장점이 있으나, 뜨거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증기 입구와 가까이에 위치하게 되면 화상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또, 가열식 가습기는 물을 끓인 후에 증기를 내보내는 방식으로 가습을 위해 상당한 전기가 소비되고, 물이 끓게 되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은 앞서 설명된 초음파식, 가열식 가습기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자연 증발식 가습기에 관한 발명으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6302호(이하, 문헌 3)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378227호(이하, 문헌 4)가 있다.
문헌 3 발명은 물을 담는 화분형 몸체와 종이 재질로 된 벌집형 필터가 포함되고, 화분형 몸체에 담긴 물이 벌집형 필터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자연 증발되는 ‘화분형 가습기’에 관한 발명이다.
문헌 4 발명은 나무가 가공된 나무필터피스 2개 이상이 접촉평면이 서로 맞대어 져서 흡입면이 형성된 발산필터모듈이 한 면이 개방된 본체 내부에 침지되어 발산필터모듈에서 자연 증발이 이루어지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나무필터 가습기 및 조립형 나무필터 공기청화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문헌 3 발명과 같은 자연 증발식 가습기는 전력 소모가 없고 조용한 장점이 있으나, 종이 재질의 필터를 사용하여 기화되는 방식으로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문헌 4 발명과 같은 자연 증발식 가습기는 물 안의 세균을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나무필터가 사용되고 있어 나무 종류에 따라 썩거나, 곰팡이가 발생되고, 습기로 인해 나무필터가 뒤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가습기 세정에 관한 독성 물질에 대한 이슈들로 인하여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되고, 그로 인한 친환경적인 가습기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배경기술문헌>
(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789048호
(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7782호
(문헌 3)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6302호
(문헌 4) 등록특허공보 제10-1378227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물이 흡수된 목재에서 자연적으로 증발되어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는 자연 증발식 천연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류를 사용하기 않고, 목재의 흡습팽창과 수축에 따른 물투입부의 높이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실내의 건조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할 수 있고, 조립이 간단하여 쉽게 실내에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는 목재가 포함된 가습부재(10)가 끼워지고 유입된 물이 수납되는 물받이 베이스(110)와, 물받이 베이스(110) 내부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물투입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가 포함되는 물받이부(100); 및 가습부재(10) 상측에 걸쳐지고, 지지부(120)에 끼움 결합되되, 가습부재(10)로 물을 흘려보내는 물투입부(200);가 포함되고, 가습부재(10)의 흡습 또는 증발에 따라 물투입부(200)의 높이가 변화하여 표시부재(20)의 노출 유무에 따른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재는 소나무과, 측백나무과, 낙우송과 또는 오동나무 중 어느 하나의 나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습부재(10)는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유입된 물이 흐르기 위해 물가이드홈(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는 흡습 또는 증발에 따라 가습부재(10)가 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습부재(10) 타측면에 접착제(12)를 이용하여 비팽창부재(13)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받이 베이스(110)는 상부가 개방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물받이 베이스(110) 내측 가장자리에 가습부재(10)가 거치되는 거치홈(112)이 포함된 거치부(11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120) 상부 측면에 물투입부(200)가 하부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가이드부(121)와, 지지부(120) 상단에 표시부재(20)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122)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투입부(200)는 공간부(212)와 제2가이드부(214)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211); 헤드 베이스(210) 상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개방 형성되어 물이 수납되는 공간부(212); 평탄부(211) 가장자리에 하부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물이 하부방향으로 배출되기 위한 물통로부(213);와 헤드 베이스(210) 하부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개방 형성되어 가습부재(1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물투입부(200)의 높이 변화 시에 가습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부(214);가 포함되며, 원기둥 또는 원뿔대로 형성되는 헤드 베이스(210) 및 내부에서 지지부(120)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원형 또는 다각형 관이 헤드 베이스(210) 내측에 관통 형성되는 조절부재(2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통로부(213)는 가습부재(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빨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헤드 베이스(210) 상단에 커버(300)가 결합되기 위한 단턱부(21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헤드 베이스(210)에서 가습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가이드부(214)에 하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거치턱(216)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투입부(200) 상부에 커버(3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재 복합소재는 천연 가습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소나무과, 측백나무과, 낙우송과 또는 오동나무 중 어느 하나의 목재에 접착제(12)가 도포되어 비팽창부재(1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는 물이 흡수된 목재에서 자연적으로 증발되어 실내의 습도 공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 외부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실내의 건조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친환경 가습기로, 경제적인 면에서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가습기 분리와 조립성이 우수하여 세척이 가능하거나, 가습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실내의 건조 유무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배치된 표시부재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형을 배치시켜 실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투입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부재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부재가 흡습된 상태를 나타내는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부재가 흡습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물투입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가습부재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가습부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6은 습기나 수분이 흡수되어 팽창된 상태의 가습부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부재가 결합된 가습부재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물투입부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천연 가습기
10: 가습부재, 11: 물가이드홈,
12: 접착제, 13: 비팽창부재,
14: 공기정화부재
20: 표시부재
100: 물받이부, 110: 물받이 베이스,
111: 거치부, 112: 거치홈,
120: 지지부, 121: 제1가이드부,
122: 끼움홈, 123: 고정부
200, 200a, 200b: 물투입부, 210, 210a, 210b: 헤드 베이스,
211: 평탄부, 212: 공간부,
213, 213a: 물통로부, 214: 제2가이드부,
215: 단턱부, 216, 216a: 거치턱,
220: 조절부재, 221: 걸림턱
300: 커버, 310: 커버 베이스,
311: 결합홈, 312: 분리홈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1)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재(10), 표시부재(20), 물받이부(100), 물투입부(200) 및 커버(30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천연 가습기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데 쓰이는 자연물로 만든 기구를 의미하며, 물에 젖은 자연물이 자연바람을 쐬어 자연 증발되는 원리를 이용함에 따라 친환경 자연 증발식 가습기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천연 가습기(1)에 사용되는 가습부재(10)는 자연물로 목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목재는 소나무과, 측백나무과, 낙우송과 또는 오동나무 중 어느 하나의 나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천연 가습기(1)는 가습부재(10)가 외부 습기나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팽창하여 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함에 따라 후단에 설명할 물투입부(200)의 높이 조절이 균일하기 위해 하나의 종류의 나무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소나무과 나무는 구과식물 소나무목의 한 과로, 소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구상나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소나무는 소프트 우드(soft wood)로 수축과 팽창이 적고 휨 강도가 높아서 무게를 잘 견디며, 내후성이 뛰어나 잘 썩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가문비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침엽수 중 가장 가벼우나, 강도와 탄성계수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전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 교목으로 가볍고 연하며 재질이 우수하고, 피톤치드(phytoncide)가 발산되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구상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 교목으로 가공성이 우수하고,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측백나무과 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의 한 과로, 편백나무, 측백나무, 향나무, 화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편백나무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피톤치드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과 방부제 기능이 높으며, 내구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측백나무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향나무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고유한 향을 지니고 있어 살균, 살충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화백은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고목으로 압축강도가 보통이며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낙우송과 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의 한 과로, 삼나무, 낙우송, 메타세쿼이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삼나무는 낙우송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흡수성이 크고 건조성이 빨라 습기에 강하고,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낙우송은 낙우송과에 속하는 낙엽침엽 교목으로 습기에 강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메타세쿼이아는 낙우송과에 속하는 낙엽침엽 교목으로 가볍고 결이 고와 심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오동나무는 속씨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낙엽교목으로 습기와 벌레에 강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가습부재(10)로 사용되는 목재는 후단에 설명할 천연 가습기(1)에 적용하기 위해 흐르는 물이나 고여 있는 물로 인해 썩지 않거나, 내수성을 갖는 나무인 소나무, 편백나무, 삼나무 또는 오동나무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습부재(10)는 내수성과 나쁜 냄새를 제거하는 소취, 벌레와 병원균을 죽이는 항균과 방충 효과를 모두 만족하는 편백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가습부재(10)로 편백나무가 사용될 경우에는 피톤치드를 발산함에 따라 방향 및 공기 정화로 인한 사용자의 호흡기 질환 예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편백나무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습부재(10)를 교체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된 나무 종류 이외의 나무가 사용될 수 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습부재(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유입된 물이 흐르기 위해 물가이드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가습부재(10)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에 물가이드홈(11)이 오목하게 파여 있으며, 물가이드홈(11)이 형성된 면의 양측에 둥근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습부재(10)에 형성된 상기 둥근 모서리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투입부(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214)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가습부재(10)가 외부 습기나 수분을 흡수하게 되어 팽창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재(10) 상단이 지지부(120) 방향 즉, 안쪽으로 휘게 된다.
이때, 가습부재(10)에 형성된 둥근 모서리가 걸림 없이 제2가이드부(214)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가습부재(10)가 휘게 되고, 후단에 설명할 물투입부(200)는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면서 높이가 변하게 된다. 또, 가습부재(10) 상단 타측면이 물투입부(200) 중심 하부에 돌출된 걸림턱(221)에 걸리게 되어 표시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컨대, 가습부재(10)가 외부로 습기를 공급하여 수축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재(10) 상단이 지지부(120)의 반대 방향 즉, 바깥쪽으로 휘게 된다.
이때, 가습부재(10)에 형성된 둥근 모서리는 걸림 없이 제2가이드부(214)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가습부재(10)가 펴지게 되고, 후단에 설명할 물투입부(200)는 위 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면서 높이가 변하게 된다. 또, 표시부재(20)가 물투입부(200) 내부로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물투입부(200)의 높이 변화는 수mm 내지 수백mm가 될 수 있다. 또, 물투입부(200)의 높이는 천연 가습기(1)의 크기에 따라 변동될 수 있기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가습부재(10)에 사용되는 목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부(100)와 물투입부(200) 사이에 세워 배치됨에 따라, 습기나 수분 흡수 시에 팽창하여 휘기 위해서 목재의 결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습기나 수분이 흡수된 목재는 추재와 추재 사이에 위치한 춘재에서 팽창되어 휨에 따라, 추재와 추재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표시부재(20)는 사용자에게 친환경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 새싹 모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변경할 수 있기에 도면에 도시된 모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표시부재(2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 상단에 형성된 끼움홈(122)에 끼워 고정되어 물투입부(200)의 조절부재(220) 내부에 배치되어 앞서 설명된 가습부재(10)의 흡습팽창 또는 건조수축에 따른 천연 가습기(1)의 상태를 표시부재(20)의 노출여부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후단에 설명할 물투입부(20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조절부재(220) 내부에 배치된 표시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어 가습부재(10)가 흡습팽창 되어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물투입부(200)가 위로 올라가게 되면, 조절부재(220) 내부에 배치된 표시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가습부재(10)가 건조수축 되어 실내에 습기가 공급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가 포함된 가습부재(10)가 끼워지고 유입된 물이 수납되는 물받이 베이스(110)와, 물받이 베이스(110) 내부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물투입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물받이 베이스(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어 내부가 빈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물받이 베이스(110)는 바닥이나 탁자, 책상 등에 거치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어 내부가 빈 원형 또는 사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물받이 베이스(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어 내부가 빈 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은 물론 부드럽고 포근한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 베이스(110) 내측 가장자리에 가습부재(10)가 거치되는 거치홈(112)이 포함된 거치부(1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거치홈(112)은 복수개가 거치부(111)에 형성될 수 있으나, 천연 가습기(1)의 크기에 따라 거치홈(112)의 개수가 변동될 수 있기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가습부재(10)가 끼워지는 거치홈(112)은 외부의 습기나 수분에 의해 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휘게 되는 가습부재(1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 베이스(110) 바닥면을 기준으로 거치부(111)에 경사지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11)의 높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에 설명할 물투입부(200)를 통해 유입된 물이 물받이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받이 베이스(1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투입부(200)를 지지하기 위해, 물받이 베이스(110) 내부 바닥면 중심에 상측 방향으로 원형 기둥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지지부(120)는 물투입부(200)가 하부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120)의 상부 측면에 제1가이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시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이탈되는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120) 상단에는 끼움홈(122)이 형성되어 표시부재(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 하단 측면에는 고정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3)는 지지부(120) 하단 측면과 물받이 베이스(110) 바닥면에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해 지지부(12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물투입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재(10) 상측에 걸쳐지고, 지지부(120)에 끼움 결합되되, 가습부재(10)로 물을 흘려보낼 수 있기 위해 헤드 베이스(210)와 조절부재(22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헤드 베이스(210)는 원기둥 또는 원뿔대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습부재(10)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원뿔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도 6에서와 같이 헤드 베이스(210)는 상부에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개방 형성되는 공간부(212), 공간부(212)와 제2가이드부(214)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211)와, 하부에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214)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헤드 베이스(210) 상단에 커버(300)가 결합되기 위한 단턱부(21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212)는 가습부재(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이 수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탄부(211)에는 공간부(212)에 수납된 물이 하부방향 즉, 가습부재(10)로 배출되기 위해 평탄부(211) 가장자리에 하부방향으로 복수개의 물통로부(21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와 같이 헤드 베이스(210)를 위에서 바라보면 평탄부(211) 윗면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물유입공이 보이고, 헤드 베이스(210)를 아래에서 바라보면 제2가이드부(214)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물배출공이 보인다.
상기 물통로부(213)는 천연 가습기(1)에 결합되는 가습부재(10)의 개수와 맞춰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가이드부(214)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재(1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물투입부(200)의 높이 변화 시에 가습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재(10)의 물가이드홈(11) 형성된 면이 제2가이드부(214)에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습부재(10)의 물가이드홈(11) 형성된 면이 바깥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2가이드부(214)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물배출공에 물가이드홈(11)이 배치되어 유입된 물이 가습부재(10)에 흐르게 되면, 가습부재(10)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여 목재의 자연 증발을 이용하여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실내에 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조절부재(220)는 원형 또는 다각형 관이 헤드 베이스(210) 중심 내측에 관통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지지부(120)에 결합되되 물투입부(200)가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이기 위해 원형 관이 헤드 베이스(210) 중심 내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부재(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214) 중심에 돌출되어 걸림턱(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2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흡수되어 팽창된 가습부재(10)가 지지부(120) 방향으로 휘게 되면, 가습부재(10) 상단 타측면이 걸림으로써 가습부재(1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걸림턱(221)은 가습부재(10) 교체 또는 천연 가습기(1) 조립 시에 제1가이드부(121)에 걸림으로써, 물받이부(100)와 물투입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가습부재(10)를 쉽게 교체하거나,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커버(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투입부(200) 상부에 결합되어 물투입부(200)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커버(300)는 헤드 베이스(210)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215)에 결합되기 위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 베이스(310)와, 상기 조절부재(220) 상단과 결합되어 조절부재(220) 내부에 배치되는 표시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커버 베이스(310) 중심에 결합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1)은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220) 상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헤드 베이스(210) 상단에 결합된 커버(300)를 빼기 위해 커버 베이스(310) 측면에 분리홈(31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분리홈(312)에 손가락을 넣어 헤드 베이스(210)에서 커버(300)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습부재(10)를 제외한 표시부재(20), 물받이부(100), 물투입부(200) 및 커버(3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재(20), 물받이부(100), 물투입부(200) 및 커버(300)는 가습부재(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위해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상기 플라스틱은 순수 폴리스티렌 수지(GPPS, general purpose polystyrene),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HIPS, high impact polystyrene),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카프로락톤 수지(PCL, polycaprolactone), 폴리젖산 수지(PLA, poly lactic acid),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폴리프로필렌 수지(PP, polypropylene)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순수 폴리스티렌 수지(GPPS)는 성형가공이 좋고 투명성, 내수성, 무독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HIPS)는 폴리스티렌과 폴리부타디엔이 혼합된 물질로, 순수 폴리스티렌 수지(GPPS)보다 충격과 마모가 상대적으로 강하여 내충격성을 갖고, 내수성, 무독성, 성형가공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ABS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및 스티렌이 혼합된 공중합체로, 사출과 압출, 중공성형 등 다양한 가공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내충격성이 크고 내열성이 우수하고, 환경호르몬 용출이 없으며 물로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폴리카프로락톤 수지(PCL)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녹는점이 60℃ 전후로 낮은 고분자이나, 환경호르몬이 용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폴리젖산 수지(PLA)는 옥수수와 사탕수수 등의 식물로 만든 생분해성 수지로, 생체에 무해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는 무색이며 투명성이 매우 뛰어난 무독성 플라스틱으로, 가공이 쉽고 저렴하며 충격 강도가 강화유리보다 6~17배 강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수지(PP)는 투명성, 인장강도, 내열성, 내약품성이 좋고, 인체에 무해하며 탄성계수가 우수하여 휘어도 부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는 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수성을 갖으며 인체에 무해한 천연 가습기(1)를 제공하기 위해 순수 폴리스티렌 수지(GPPS),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HIPS), ABS 수지, 폴리젖산 수지(PLA),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P)를 사용하여 표시부재(20), 물받이부(100), 물투입부(200) 및 커버(300)가 제조되는 것이 좋다.
다음은 천연 가습기(1)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실내의 건조 유무를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먼저, 물받이부(100)와 물투입부(200) 사이에 배치된 가습부재(10)가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지 않고 곧은 상태가 유지되게 되면 표시부재(20)가 조절부재(220) 내부에 배치되어 비노출 상태가 될 수 있다.즉, 표시부재(20)가 노출되지 않음은 실내가 건조하지 않거나, 물투입부(200)에 물이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물받이부(100)와 물투입부(200) 사이에 배치된 가습부재(10)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 헤드 베이스(2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 표시부재(20)가 조절부재(220) 외부에 배치되어 노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표시부재(20)가 노출되어 있음은 실내가 건조하거나, 물투입부(200)에 물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가습부재(10)에 사용된 목재의 자연증발로 인한 수축과 팽창 원리를 천연 가습기(1)에 적용함에 따라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실내 건조 유무 또는 물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는 친환경적인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천연 가습기(1)에 또 다른 형태의 물투입부(200a)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물투입부(200a)를 제외한 천연 가습기(1)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형태의 물투입부(200a)는 헤드 베이스(210a)의 형상과 거치턱(216)을 제외한 구성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 1과 동일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물투입부(200a)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물투입부(200a)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물투입부(200)와 마찬가지로, 가습부재(10) 상측에 걸쳐지고, 지지부(120)에 끼움 결합되되, 가습부재(10)로 물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헤드 베이스(210a)와 조절부재(22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헤드 베이스(210a)는 원기둥 또는 원뿔대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습부재(10)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키고, 가습부재(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기둥 하단에 원뿔대가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도 13에서와 같이 헤드 베이스(210a)는 상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개방 형성되는 공간부(212), 공간부(212)와 제2가이드부(214)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211)와, 하부에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214)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헤드 베이스(210a) 상단에는 커버(300)가 결합되기 위한 단턱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만일, 헤드 베이스(210a) 상단에 커버(300)가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턱부(215)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베이스(210a) 하부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214)에 하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거치턱(2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턱(21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2가이드부(214)에 배치되는 가습부재(10)가 헤드 베이스(210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가이드부(214)에 배치된 가습부재(10)가 도 10에서와 같이 수축되어 펴지게 되면, 가습부재(10) 상단 일측면이 걸림으로써 가습부재(10)가 헤드 베이스(210a)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거치턱(216)이 연장 형성된 헤드 베이스(210a) 하단 외곽형상이 도 13에서와 같이 우산모양과 같이 형성되어 가습부재(10)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함과, 동시에 장식 효과를 더할 수 있다.
<실시예 3>
앞서 설명된 실시예의 가습부재(10)에 접착제(12)와 비팽창부재(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12)와 비팽창부재(13)를 제외한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재(10)는 물가이드홈(11)이 형성된 목재 일측면과 반대되는 타측면에 비팽창부재(13)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목재와 비팽창부재(13) 사이에 접착제(12)가 도포되어, 목재와 비팽창부재(13)가 결합된 가습부재(1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12)에 의해 목재와 비팽창부재(13)가 결합된 가습부재(10)는 목재 복합소재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목재에 편백나무가 사용될 경우에는 편백나무 복합소재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재와 비팽창부재(13)가 결합된 가습부재(10)인 목재 복합소재는 천연 가습기(1)에 사용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천연 가습기(1)의 가습부재(10) 외에 건축자재, 화재경보기, 그늘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12)는 페놀수지(phenol resin) 접착제, 요소수지(urea resin) 접착제,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 접착제, 에폭시수지(epoxy resin) 접착제,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isocyanate resin) 접착제 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수지(cyanoacrylate resin) 접착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페놀수지 접착제는 페놀과 포르말린을 반응시킨 접착제로, 접착력, 내열, 내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요소수지 접착제는 가격이 저렴하고 상온에서 경화되나, 다른 합성수지 접착제와 비교하면 내수성이 부족할 수 있다.
예컨대, 멜라민수지 접착제는 내수성이 크고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투명, 흰색의 액상접착제로 착색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에폭시 화합물을 주제로 만들어진 접착제로, 내열성, 접착성, 방수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경화 시에 수축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접착제는 포름알데히드가 방출되지 않고, 목재의 오염이 없으며 높은 내구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접착제는 수분과 중합반응을 일으켜 접착되는 접착제로, 초기 접착 발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목재와 비팽창부재(13)가 결합된 가습부재(10)가 물에 노출되어도, 물에 의해 목재와 비팽창부재(13)가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12)로 내수성을 갖는 페놀수지 접착제, 멜라민수지 접착제 또는 에폭시수지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특히, 접착제(12)는 내수성을 만족함과 동시에 경화 시에 수축이 거의 없는 에폭시수지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비팽창부재(13)는 가습부재(10)에 사용되는 목재가 자연물이기에 나무의 종류나 추재들간의 간격에 따라 목재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탄성계수가 다른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비팽창부재(13)가 목재 타측면에 부착됨에 따라, 가습부재(10)가 습기 또는 수분이 흡수됨에 따라 휘는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평준화시킬 수 있다.
이때, 비팽창부재(13)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비팽창부재(13)로 금속이 사용될 경우에는 알루미늄, 철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소재가 얇은 판과 같은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비팽창부재(13)로 플라스틱이 사용될 경우에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순수 폴리스티렌 수지(GPPS),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HIPS), ABS 수지, 폴리카프로락톤 수지(PCL), 폴리젖산 수지(PLA), 아크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PP)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비팽창부재(13)로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이 사용될 경우에는 판과 같은 형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은 내수성을 갖고, 금속보다 가벼우면서도 금속에 비해 인장강도와 탄성계수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내수성을 갖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목재가 습기나 수분 흡수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탄성을 갖는 ABS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PP) 또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을 사용하여 비팽창부재(13)가 제조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접착제(12)에 의해 목재와 비팽창부재(13)가 결합된 가습부재(10)는 물받이부(100)와 물투입부(200) 사이에 배치될 경우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물가이드홈(11)이 형성된 목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비팽창부재(13)가 지지부(120)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착제(12)로 목재와 비팽창부재(13)가 결합된 가습부재(10)가 실시예 1의 천연 가습기(1)에 사용될 경우에 목재의 휘는 정도가 평준화되어 습기나 수분 흡입 또는 배출에 따른 목재의 팽창 또는 수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4>
앞서 설명된 실시예의 가습부재(10)에 공기정화부재(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재(14)를 제외한 가습부재(10) 구성은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정화부재(14)는 가습 효과를 더하고, 공기 정화, 탈취 및 내화성을 갖는 순록이끼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순록이끼는 습기를 머금고 있다가 건조한 곳에서 습기를 배출하여 가습 효과를 줄 수 있다.
또, 순록이끼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어 심미성이 향상되어 실내 장식 효과를 더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정화부재(14)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재(10)의 물가이드홈(11)이 형성된 목재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정화부재(14)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팽창부재(13)가 결합된 가습부재(10)의 물가이드홈(11)이 형성된 목재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정화부재(14)는 가습부재(10) 목재에 형성된 물가이드홈(11)에 인입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공기정화부재(14)로 사용되는 순록이끼에 물이 닿게 되면 딱딱하게 굳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록이끼에 물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공기정화부재(14)가 결합된 가습부재(10)는 물받이부(100)와 물투입부(200) 사이에 배치될 경우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물가이드홈(11)이 형성된 목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공기정화부재(14)가 외부에 노출되어 장식 효과를 더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천연 가습기(1)에 또 다른 형태의 물투입부(200b)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물투입부(200b)를 제외한 천연 가습기(1)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형태의 물투입부(200b)는 헤드 베이스(210b)의 형상과 물통로부(213a)를 제외한 구성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 1과 동일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물투입부(200b)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물투입부(200b)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물투입부(200)와 마찬가지로, 가습부재(10) 상측에 걸쳐지고, 지지부(120)에 끼움 결합되되, 가습부재(10)로 물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헤드 베이스(210b)와 조절부재(22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헤드 베이스(210b)는 원기둥 또는 원뿔대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습부재(10)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키고, 가습부재(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뿔대 상단과 하단에 원기둥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도 20에서와 같이 헤드 베이스(210b)는 상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개방 형성되는 공간부(212), 공간부(212)와 제2가이드부(214)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211)와, 하부에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214)와 제2가이드부(214) 하단에 길이가 연장되어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하부가 개방 형성되는 거치턱(216a)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헤드 베이스(210b) 상단에는 커버(300)가 결합되기 위한 단턱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만일, 헤드 베이스(210b) 상단에 커버(300)가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턱부(215)가 생략될 수 있다.
헤드 베이스(210b) 내측에 배치되는 가습부재(10) 각 개별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물통로부(213a)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통로부(213a)가 빨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평탄부(211) 윗면에 형성된 물유입공의 경계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공간부(212)에 수납되는 물이 상기 물통로부(213a)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또, 물유입공의 경계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평탄부(211)에 물이 고이지 않아 물때, 곰팡이 등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물통로부(213a)가 빨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헤드 베이스(210b) 하단에 물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배출공은 가습부재(10)의 물가이드홈(11)에 배치되어 빨대 형상으로 형성된 물통로부(213a)에 의해 물이 각각의 가습부재(10)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거치턱(216a)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2가이드부(214)에 배치되는 가습부재(10)가 헤드 베이스(210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로, 목재의 자연증발을 이용하여 주변으로 습기를 공급하고, 목재의 수분이나 습기에 따라 팽창과 수축에 따른 물투입부의 높이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실내의 건조 유무를 알려주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12)

  1. 가습부재(10)가 끼워지고 유입된 물이 수납되는 물받이 베이스(110)와, 물받이 베이스(110) 내부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물투입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가 포함되는 물받이부(100); 및
    가습부재(10) 상측에 걸쳐지고, 지지부(120)에 끼움 결합되되, 헤드 베이스(210) 및 조절부재(220)가 포함되어 가습부재(10)로 물을 흘려보내는 물투입부(200);가 포함되고,
    가습부재(10)는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 목재 일측면에 유입된 물이 흐르기 위해 물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목재 타측면에 접착제(12)를 이용하여 비팽창부재(13)가 부착되어 흡습 또는 증발에 따라 가습부재(10)가 휘는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평준화되며,
    목재는 가습부재(10)가 물받이부(100)와 물투입부(200) 사이에 세워 배치되어 습기나 수분 흡수 시에 팽창하여 휘기 위해 목재의 결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편백나무가 사용되고,
    비팽창부재(13)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헤드 베이스(210)는 원기둥 또는 원뿔대로 형성되되, 공간부(212)와 제2가이드부(214)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211); 헤드 베이스(210) 상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개방 형성되어 물이 수납되는 공간부(212); 평탄부(211) 가장자리에 하부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물이 하부방향으로 배출되기 위한 물통로부(213); 헤드 베이스(210) 하부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개방 형성되어 가습부재(1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물투입부(200)의 높이 변화 시에 가습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부(214);가 포함되고,
    조절부재(220)는 내부에서 지지부(120)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원형 또는 다각형 관이 헤드 베이스(210) 내측에 관통 형성되며,
    가습부재(10)가 팽창되면 제2가이드부(214)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휘게 되어 물투입부(200)가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면서, 표시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어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고 있음을 표시하고,
    가습부재(10)가 수축되면 제2가이드부(214)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펴지게 되어 물투입부(200)가 위 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면서, 표시부재(20)가 물투입부(200) 내부로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실내에 습기가 공급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습부재(10)는 교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물받이 베이스(110)는 상부가 개방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물받이 베이스(110) 내측 가장자리에 가습부재(10)가 거치되는 거치홈(112)이 포함된 거치부(11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120) 상부 측면에 물투입부(200)가 하부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가이드부(121)와, 지지부(120) 상단에 표시부재(20)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122)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물통로부(213)는 가습부재(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빨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 베이스(210) 상단에 커버(300)가 결합되기 위한 단턱부(21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 베이스(210)에서 가습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가이드부(214)에 하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거치턱(216)이 연장 형성되면 헤드 베이스(210)의 하단 외곽형상이 우산모양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투입부(200) 상부에 커버(3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가이드부(214)에 배치되는 가습부재(10)가 헤드 베이스(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가이드부(214) 하단에 길이가 연장되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거치턱(21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KR1020200182976A 2020-12-24 2020-12-24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KR102257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976A KR102257989B1 (ko) 2020-12-24 2020-12-24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976A KR102257989B1 (ko) 2020-12-24 2020-12-24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989B1 true KR102257989B1 (ko) 2021-05-28

Family

ID=7614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976A KR102257989B1 (ko) 2020-12-24 2020-12-24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9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992A (ja) * 2002-10-31 2004-05-27 Masao Kobayashi 造花
KR101140564B1 (ko) * 2011-04-19 2012-05-02 장석환 영상디스플레이어가 구비된 물흐름 유도형 낙하분수조형물
KR101207904B1 (ko) * 2012-07-02 2012-12-04 유병관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KR101378227B1 (ko) * 2013-06-03 2014-03-27 인 우 이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나무필터 가습기 및 조립형 나무필터 공기정화장치
KR20160008757A (ko) * 2014-07-15 2016-01-25 주식회사 트루윈 토양의 급수시기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992A (ja) * 2002-10-31 2004-05-27 Masao Kobayashi 造花
KR101140564B1 (ko) * 2011-04-19 2012-05-02 장석환 영상디스플레이어가 구비된 물흐름 유도형 낙하분수조형물
KR101207904B1 (ko) * 2012-07-02 2012-12-04 유병관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KR101378227B1 (ko) * 2013-06-03 2014-03-27 인 우 이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나무필터 가습기 및 조립형 나무필터 공기정화장치
KR20160008757A (ko) * 2014-07-15 2016-01-25 주식회사 트루윈 토양의 급수시기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2189A1 (en) Storage and Drying Unit for Storing and Drying Outerwear, Sports Clothing and Equipment
KR101944212B1 (ko)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5811166B2 (ja) 不織布の表面積の変化により加湿量が調節される自然加湿器(ahumidifier)
KR102098487B1 (ko)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종이화분 조립체
KR102257989B1 (ko)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KR102159286B1 (ko) 붙박이 가구용 환기장치
KR20130130200A (ko) 공기 청정 분수 화분
TWI461228B (zh) Heating evaporator
CN210767574U (zh) 一种防霉变防撞的墙布
KR200347848Y1 (ko) 화분형 가습기
JP2002121830A (ja) 木造住宅
CN209723510U (zh) 一种环保净醛抗菌木地板
KR102257993B1 (ko) 목재를 이용한 복합소재
CN109654613B (zh) 一种环境响应的除湿器
KR20170116997A (ko) 벽걸이형 가열식 겸용 자연 기화 가습기
KR100757316B1 (ko)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 중화에 사용하는 판넬
JP2510014Y2 (ja) 繊維板
KR200402943Y1 (ko) 천연콜크를 이용한 붙박이장
CN214048045U (zh) 一种除臭除湿除虫鞋柜
CN219384836U (zh) 加湿机空气和水体消毒杀菌系统
KR102382530B1 (ko) 환기구에 설치 가능한 디퓨저
KR100604373B1 (ko) 통기구가 구비된 가구
KR101095212B1 (ko) 친환경 이중구조 화분
KR102332250B1 (ko) 가구용 청정 관리장치
JP2001103899A (ja) 薬剤拡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