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996B1 -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996B1
KR102504996B1 KR1020210082396A KR20210082396A KR102504996B1 KR 102504996 B1 KR102504996 B1 KR 102504996B1 KR 1020210082396 A KR1020210082396 A KR 1020210082396A KR 20210082396 A KR20210082396 A KR 20210082396A KR 102504996 B1 KR102504996 B1 KR 102504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ole
base
inj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512A (ko
Inventor
박동식
Original Assignee
(주)코러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러싱 filed Critical (주)코러싱
Priority to KR1020210082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9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74Display units or mountings therefor; Switch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75Connecting parts, e.g. injection screws, ejectors, to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4Heating or cooling of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8Detecting defective moulding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29C2045/1764Guiding means between the movable mould plate and tie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29C2045/1765Machin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작은 사이즈를 가지며, 중소형 크기의 다양한 형태의 사출물을 제작할 수 있는 마이크로 사출기를 제공하며, 이와 함께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는 프레임부(Frame Part), 몰드부(Mold Part)를 지지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사출을 위한 사출 재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Material Supplying Part) 및 몰드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이스 이동부(Base Driv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MICRO INJECTION APPARATUS, INJECTION SERVICE APPRATUS AND METHOD USING THE MICRO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작은 사이즈를 가지며, 중소형 크기의 다양한 형태의 사출물을 제작할 수 있는 마이크로 사출기를 제공하며, 이와 함께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은 합성수지의 재료를 용융하여 금형에 주입한 후, 굳힘으로써 소정의 형태의 객체(Object)를 성형하는 기술이다.
종래의 사출기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0391호[문헌 1](공개일 : 2021.05.07., 발명의 명칭 : 대용량 사출기)는 사출 실린더를 구비하여 몰드금형에 사출원료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몰드금형에 신속하게 사출원료를 공급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에 따라 사출기의 사이즈가 거대해질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0391호
본 발명은 작은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사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바닥부(Bottom Part), 상기 바닥부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측에 위치하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벽(First Wall) 및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단변과 마주보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벽(Second Wall)을 포함하는 프레임부(Frame Part),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몰드부(Mold Part) 중 제 1 몰드부(First Mold Part)를 지지하는 제 1 베이스부(First Base Part) 및 상기 몰드부 중 제 2 몰드부(Second Mold Part)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베이스부(Second Base Part)를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사출을 위한 사출 재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Material Supplying Part)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를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이스 이동부(Base Driv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2 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원료 공급부는 고체 상태의 사출 재료를 공급하는 컨테이너(Container), 상기 컨테이너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출구측은 상기 제 1 베이스부를 향하며, 중앙에 공간이 마련되는 공급 파이프부(Pipe Part), 상기 공급 파이프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크류부(Screw Part),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부(First Motor Part), 상기 제 1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부에 전달하는 제 1 동력 전달부(First Conveying Part) 및 상기 공급 파이프부의 외벽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부(Heat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축 가이드부,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메인 구동축(Main Driving Axis), 상기 메인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부(Second Motor Part) 및 상기 제 2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메인 구동축에 전달하는 제 2 동력 전달부(Second Convey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축 가이드부는 상기 축 가이드부를 상기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제 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구동축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1 나사부에 맞물리는 제 2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구동축을 따라 상기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 및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Part)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Controller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출에 대한 결과물을 관찰하는 카메라부(Camera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저조도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벽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부(Guide Rod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의 일측은 상기 제 1 벽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의 타측은 상기 제 2 벽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는 상기 제 1 베이스부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를 각각 관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벽(Third Wall) 및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2 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벽(Fourth Wall)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는 상기 제 3 벽 및 상기 제 4 벽을 각각 관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는 용융된 사출 재료를 몰드부(Mold Part)에 주입하여 사출물을 제작하고, 제작한 사출물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마이크로 사출기(Micro Injection Apparatus), 상기 마이크로 사출기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Server)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마이크로 사출기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단변 및 상기 제 2 단변에 인접하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장벽(First Long Wall) 및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장변과 마주보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장벽(Second Long Wal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2 벽의 높이보다 더 낮은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벽은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단변 측에서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벽은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2 단변 측에서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단변 측에서 상기 제 1 벽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2 단변 측에서 상기 제 2 벽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 3 벽 및 상기 제 4 벽은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벽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 4 벽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위치(First Position)에서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Second Position)에서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높이보다 더 높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벽 또는 상기 제 2 벽에 대응되는 위치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대응되는 위치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3 벽 및 상기 제 4 벽의 벽두께는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2 벽의 두께보다 더 얇은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베이스부의 이동폭을 가이드하는 베이스 가이드부(Base Guid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부의 일측에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이드 홀(First Guide Hole)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부의 타측은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연결되고, 상기 제 3 벽의 측면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홀에 대응하는 제 1 돌출부(First Protruding Part)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홀을 따라 상기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3 벽은 공급 파이프부가 관통하는 제 1 홀(First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벽에 배치되며 제 2 홀(Second Hole)을 포함하는 파이프 가이드부(Pipe Guid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홀의 직경은 상기 제 1 홀의 직경보다 더 작고, 상기 공급 파이프부는 상기 제 1 홀과 상기 제 2 홀을 함께 관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모터부 및 상기 제 2 모터부는 상기 제 1 장벽과 상기 제 2 장벽의 사이에서 상기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모터부 및 상기 제 2 모터부가 상기 바닥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모터부 및 상기 제 2 모터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높이보다 더 낮은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는 상기 스크류부에 대응되는 제 1 기어부(First Gear Part), 상기 제 1 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2 기어부(Second Gear Part) 및 상기 제 1 기어부와 상기 제 2 기어부에 걸리는 제 1 벨트부(First Belt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벨트부는 상기 제 2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기어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는 제 1 벨트 가이드부(First Belt Guid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벨트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모터부의 구동축이 관통하는 제 1 축홀(First Axis Hole) 및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이드 홀(Second Guide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터부의 구동축이 상기 제 1 축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벨트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기어부와 상기 제 1 모터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출부(Second Protruding Part)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벨트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가이드 홀을 따라 상기 수직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벽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홈(First Guide 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제 2 가이드 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벨트 가이드부의 일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는 상기 메인 구동축에 대응되는 제 3 기어부(Third Gear Part), 상기 제 2 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4 기어부(Fourth Gear Part) 및 상기 제 3 기어부와 상기 제 4 기어부에 걸리는 제 2 벨트부(Second Belt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벨트부는 상기 제 4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3 기어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는 제 2 벨트 가이드부(Second Belt Guid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벨트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모터부의 구동축이 관통하는 제 2 축홀(Second Axis Hole) 및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가이드 홀(Third Guide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모터부의 구동축이 상기 제 2 축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벨트 가이드부는 상기 제 4 기어부와 상기 제 2 모터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벽에는 상기 제 3 가이드 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돌출부(Third Protruding Part)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벨트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3 돌출부는 상기 제 3 가이드 홀을 따라 상기 수직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벽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홈(Second Guide 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돌출부는 상기 제 2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2 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돌출부가 상기 제 3 가이드 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벨트 가이드부의 일부는 상기 제 2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3 벽과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로드부에 배치되는 제 1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완충부는 상기 제 3 벽에 배치되는 제 1 스프링 지지부(First Spring Supporting Part),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부와 마주보는 제 2 스프링 지지부(Second Spring Supporting Part) 및 일측은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부에 대응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부에 대응되는 스프링부(Spr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제 3 벽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및 상기 제 1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 1 베이스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 파이프부(First Protruding Pipe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돌출 파이프부는 각각 상기 가이드 로드부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 및 상기 제 2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 3 벽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돌출 파이프부(Second Protruding Pipe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돌출 파이프부는 각각 상기 가이드 로드부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는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부, 상기 스프링부 및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부를 차례로 관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4 벽은 상기 메인 구동축이 지나는 제 3 홀(Third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2 몰드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타측면에는 축 지지부(Axis Supporting Part)가 배치되고, 상기 축 지지부는 일측이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타면에 연결되는 제 1 지지 플레이트(First Supporting Plate),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마주보며 일측이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타면에 연결되는 제 2 지지 플레이트(Second Supporting Plate) 및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 및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3 지지 플레이트(Third Supporting Plat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구동축이 관통하는 제 4 홀(Fourth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축 가이드부는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 2 벽을 향하는 면에 연결되고, 상기 축 가이드부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 4 홀과 대응되고, 상기 제 1 몰드부와 상기 제 2 몰드부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경우, 상기 축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 1 몰드부와 상기 제 2 몰드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경우,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제 3 홀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에는 각각 개구부(Opening)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몰드부와 상기 제 2 몰드부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경우, 상기 메인 구동축은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 1 몰드부와 상기 제 2 몰드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경우, 상기 메인 구동축은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공급 파이프부의 측벽에는 상기 컨테이너와의 연결을 위한 공급홀(Supplying Hole)이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3 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출구는 상기 공급홀에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입구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3 벽과 중첩하지 않고 더 돌출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출구와 인접한 제 1 부분(First Part), 상기 입구와 상기 제 1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평균 직경이 상기 제 1 부분의 평균 직경보다 더 큰 제 2 부분(Second Part)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제 2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평균 직경이 상기 제 2 부분의 평균 직경보다 더 큰 제 3 부분(Third Part)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은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직경의 감소율이 상기 제 3 부분의 직경의 감소율보다 더 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1 벽 또는 상기 제 3 벽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Overlap)하고, 상기 제 3 부분의 일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1 벽 또는 상기 제 3 벽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3 부분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1 벽 또는 상기 제 3 벽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하는 영역을 중첩 영역(Overlapping Area)이라 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3 벽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을 비중첩 영역(Non-Overlapping Area)이라 할 때,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중첩 영역의 높이는 상기 비중첩 영역의 높이보다 더 큰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 1 벽에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제 3 벽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 1 벽에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제 3 벽에 연결되는 부분을 축으로 하여 피봇(Pivot)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제 4 벽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은 상기 제 1 몰드부 또는 상기 제 2 몰드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은 상기 제 2 베이스부와 상기 제 4 벽의 사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부에는 제 5 홀(Fifth Hole)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몰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부(Eject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배출홀(First Eject Hole)이 형성된 배출 플레이트부(Eject Plate Part) 및 상기 제 1 배출홀에 삽입되는 배출 로드부(Eject Rod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로드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 2 몰드부에 형성된 제 2 배출홀(Second Eject Hole)이 대응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상기 제 5 홀에 대응되고, 상기 제 5 홀의 직경은 상기 제 1 배출홀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제 1 몰드부와 상기 제 2 몰드부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 로드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 2 배출홀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구현할 수 있어서 작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조 단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고객 단말기)에게 사출 과정에서 사출물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어서, 고객으로 하여금 사출물을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를 계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프레임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가이드 로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베이스부와 몰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제 3 벽과 제 4 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제 1 완충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베이스 가이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6은 원료 공급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33은 베이스 이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9는 축 지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 내지 도 41은 장벽과 그에 대응하는 사출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 내지 도 43은 컨테이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 내지 도 46은 배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 내지 도 48은 제어 유닛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 내지 도 50은 카메라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1 내지 도 53은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4 내지 도 56은 사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제 1 방향(DR1)을 수평방향 중 가로 방향이라 하고, 제 2 방향(DR2)을 수평방향 중 세로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제 3 방향(DR3)을 높이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를 계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10)(이하에서는 '사출기'라고 칭할 수 있다)는 프레임부(Frame Part, 100), 베이스부(200, Base Part), 원료 공급부(300, Material Supplying Part) 및 베이스 이동부(500, Base Driv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사출기(10)는 가이드 로드부(500, Guide Rod Part) 및 몰드부(MDP, Mild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출기(10)는 액상의 재질, 예컨대 액상의 수지 재질을 몰드부(MDP)에 주입하고 경화시켜 소정 형태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사출기(1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 내지 도 3은 프레임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의 (A)를 살펴보면, 프레임부(100)는 바닥부(110, Bottom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바닥부(110)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혹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110)는 제 1 단변(SS1, First Short Side), 제 1 단변(SS1)과 마주보는 제 2 단변(SS2, Second Short Side),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인접한 제 1 장변(LS1, First Long Side) 및 제 1 장변(LS1)과 마주보는 제 2 장변(LS2, Second Long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살펴보면, 프레임부(100)는 제 1 장벽(120, First Long Wall) 및 제 2 장벽(121, Second Long Wal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장벽(120)은 바닥부(11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인접하는 제 1 장변(LS1) 측에 위치하며 수직방향(DR3)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장변(120)은 바닥부(110)의 제 1 장변(LS1)을 따라 형성된 벽이라고 할 수 있다.
제 2 장벽(121)은 바닥부(110)의 제 1 장변(LS1)과 마주보는 제 2 장변(LS2) 측에 위치하며 수직방향(DR3)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2 장변(121)은 바닥부(110)의 제 2 장변(LS2)을 따라 형성된 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은 수직방향(DR3)으로 T1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프레임부(100)는 제 1 벽(130, First Wall) 및 제 2 벽(131, Second Wal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벽(130)은 바닥부(110)의 제 1 단변(SS1) 측에 위치하며 수직방향(DR3)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벽(130)은 바닥부(110)의 제 1 단변(SS1) 측에서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부(110)의 제 1 단변(SS1) 측에서 제 1 벽(130)과 바닥부(110)는 수직방향(DR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 2 벽(131)은 바닥부(110)의 제 2 단변(SS2) 측에 위치하며 수직방향(DR3)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벽(131)은 바닥부(110)의 제 2 단변(SS2) 측에서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부(110)의 제 2 단변(SS2) 측에서 제 2 벽(131)과 바닥부(110)는 수직방향(DR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벽(130)과 제 2 벽(131)은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바닥부(110)의 양쪽 끝단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벽(130)과 제 2 벽(131)의 사이 공간에 몰드부(미도시) 등의 다양한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벽(13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로드홀(RH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로드홀(RH1)은 이후에 설명할 막대 형태의 가이드 로드부(미도시)가 연결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벽(130)의 4개의 코너 부분에 각각 제 1 로드홀(RH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벽(130)은 제 7 홀(H7, Seventh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7 홀(H7)은 스크류부(미도시)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스크류부(미도시)는 제 7 홀(H7)을 통해 제 1 모터부(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 2 벽(131)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로드홀(R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로드홀(RH2)은 가이드 로드부(미도시)가 연결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벽(131)의 4개의 코너 부분에 각각 제 2 로드홀(RH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벽(131)은 제 8 홀(H8, Eighth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8 홀(H8)은 메인 구동축(미도시)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메인 구동축(미도시)은 제 8 홀(H8)을 통해 제 2 모터부(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충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수직방향(DR3)으로 제 1 벽(130) 및 제 2 벽(131)의 높이(T2)는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의 높이(T1)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도 4는 가이드 로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가이드 로드부(500, Guide Rod Part)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벽(130)과 제 2 벽(131)을 연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부(500)가 제 1 벽(130)과 제 2 벽(131)을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부(500)의 일측은 제 1 벽(130)에 연결되고, 가이드 로드부(500)의 타측은 제 2 벽(131)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 로드부(500)의 일측은 제 1 벽(130)의 제 1 로드홀(RH1)에 대응(연결, 삽입)되고, 가이드 로드부(500)의 타측은 제 2 벽(131)의 제 2 로드홀(RH2)에 대응(연결,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로드부(500)는 제 1, 2, 3, 4 가이드 로드부(510, 520, 53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로드부(500)는 제 1 벽(130) 또는 제 2 벽(131)의 코너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부(500)는 타이 바(Tie Bar)라고도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베이스부와 몰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프레임부(100)의 제 1 벽(130)과 제 2 벽(131)의 사이에는 베이스부(200, Base Part)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200)는 제 1 베이스부(210, First Base Part) 및 제 2 베이스부(220, Second Base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베이스부(210)는 제 1 벽(130)과 제 2 베이스부(2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베이스부(220)는 제 1 베이스부(210)와 제 2 벽(13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베이스부(210)는 몰드부(MDP, Mold Part) 중 제 1 몰드부(MDP1, First Mold Part)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베이스부(220)는 몰드부(MDP) 중 제 2 몰드부(MDP2, Second Mold Part)를 지지하며 제 1 베이스부(210)에 대응하여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베이스부(210)와 제 2 베이스부(220)의 사이 공간에 몰드부(MDP)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살펴보면, 제 1 베이스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로드홀(RH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로드홀(RH3)은 가이드 로드부(500)가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제 1 베이스부(210)는 제 6 홀(H6, Sixth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6 홀(H6)은 제 1 베이스부(210)에 배치되는 제 1 몰드부(MDP1)에 액상의 재질을 공급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 파이프부(미도시)의 노즐부(미도시)가 제 6 홀(H6)에 대응될 수 있다.
제 6 홀(H6)은,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상의 재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 1 몰드부(MDP1)로 공급하기 위해 입구측의 직경이 출구측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6 홀(H6)은 직경(W1)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6 홀(H6)의 입구측은 제 1 벽(130)을 향하고, 제 6 홀(H6)의 출구측은 제 2 벽(131)을 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베이스부(210)는 제 1 통로(First Path, PT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로(PT1)는 제 1 베이스부(210)에서 제 1 몰드부(MDP1)가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베이스부(210)의 일면에는 제 1 통로(PT1)가 형성되고, 제 1 베이스부(210)의 타면에는 제 1 몰드부(MDP1)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통로(PT1)는 제 6 홀(H6)로부터 제 1 베이스부(210)의 측면까지 이어지는 홈(Groov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공급 파이프부(미도시)의 노즐부(미도시)로부터 누출되는 액상의 재질이 제 1 통로(PT1)를 통해 바닥부(110)를 향해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과다 공급된 액상의 재질에 의해 소정의 제품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살펴보면, 제 2 베이스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로드홀(RH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로드홀(RH4)은 가이드 로드부(500)가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아울러, 제 2 베이스부(220)는 제 5 홀(H5, Fifth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5 홀(H5)은 몰드부(MDP) 내에 형성된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미도시)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수 있다.
제 2 베이스부(220)에서 제 1 베이스부(210)를 향하는 면에는 제 2 몰드부(MDP2)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몰드홀(HWM)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몰드부(MDP2)에도 몰드홀(HWM)에 대응하는 대응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살펴보면, 몰드부(MDP) 중 제 1 몰드부(MDP1)는 제 1 베이스부(210)에 배치되고, 제 2 몰드부(MDP2)는 제 2 베이스부(220)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 1 몰드부(MDP1) 및 제 2 몰드부(MDP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액상의 재질, 예컨대 액상의 수질 재질이 주입되기 위한 주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를 밀착시킨 이후에,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의 사이 공간에 액상의 재질을 주입할 수 있다.
이후, 주입된 액상의 재질을 굳히면 소정 형태의 제품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제품을 제 1 몰드부(MDP1) 및 제 2 몰드부(MDP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시켜 사출 과정을 완성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제 3 벽과 제 4 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살펴보면, 프레임부(100)는 제 3 벽(140, Third Wall) 및 제 4 벽(141, Fourth Wal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벽(140)은 수직방향(DR3)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벽(130)과 제 1 베이스부(2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3 벽(140)은 적어도 하나의 제 5 로드홀(RH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5 로드홀(RH5)은 가이드 로드부(500)가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로드부(500)는 제 3 벽(140)을 관통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벽(140)은 제 1 홀(H1, First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홀(H1)은 공급 파이프부(미도시)가 지나는 홀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수 있다.
제 4 벽(141)은 수직방향(DR3)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2 베이스부(220)와 제 2 벽(13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4 벽(141)은 적어도 하나의 제 6 로드홀(RH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6 로드홀(RH6)은 가이드 로드부(500)가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로드부(500)는 제 4 벽(141)을 관통할 수 있다.
아울러, 제 4 벽(141)은 제 3 홀(H3, Third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홀(H3)은 메인 구동축(미도시)이 지나는 홀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을 살펴보면, 제 3 벽(140)에는 공급 파이프부(310)를 가이드하는 파이프 가이드부(142, Pipe Guide Part)가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 가이드부(142)는 제 2 홀(H2, Second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파이프 가이드부(142)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 3 벽(140)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3 벽(140)에서 제 1 베이스부(210)를 향하는 면에 파이프 가이드부(142)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홀(H1)과 제 2 홀(H2)은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서로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홀(H2)의 직경은 제 1 홀(H1)의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몰드부(MDP)로 액상의 재질을 공급하는 공급 파이프부(310)는 제 1 홀(H1)과 제 2 홀(H2)을 함께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급 파이프부(310)가 막히는 등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공급 파이프부(31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제 1 완충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제 3 벽(140)과 제 1 베이스부(210)의 사이에 제 1 완충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완충부(600)는 제 3 벽(140)과 제 1 베이스부(210)의 사이에서 가이드 로드부(5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완충부(600)는 제 3 벽(140)과 제 1 베이스부(210)의 충돌을 방지하고, 공급 파이프부(310)의 노즐부(미도시)의 손상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15의 (A)를 살펴보면, 제 1 스프링 지지부(610, First Spring Supporting Part), 제 2 스프링 지지부(620, Second Spring Supporting Part) 및 스프링부(630, Spr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프링 지지부(610)는 제 3 벽(1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스프링 지지부(610)는 제 3 벽(140)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부(613, First Connecting Part) 및 제 1 연결부(613)로부터 제 1 베이스부(210)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 파이프부(611, First Protruding Pipe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연결부(613) 및 제 1 돌출 파이프부(611)는 각각 가이드 로드부(500)가 관통하는 홀(6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프링 지지부(620)는 제 1 베이스부(210)에 배치되며 제 1 스프링 지지부(610)와 마주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스프링 지지부(620)는 제 1 베이스부(210)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부(623, Second Connecting Part) 및 제 2 연결부(623)로부터 제 3 벽(140)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돌출 파이프부(621, Second Protruding Pipe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연결부(623) 및 제 2 돌출 파이프부(621)는 각각 가이드 로드부(500)가 관통하는 홀(62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630)는 일측이 제 1 스프링 지지부(610)에 대응되고, 타측은 제 2 스프링 지지부(62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5의 (B)를 살펴보면, 가이드 로드부(500)는 제 1 스프링 지지부(610)의 홀(612), 스프링부(630) 및 제 2 스프링 지지부(620)의 홀(622)을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베이스 가이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제 3 벽(140)과 제 1 베이스부(210)의 사이에 베이스 가이드부(700, Base Guide Part)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가이드부(700)는 제 1 베이스부(210)의 이동폭을 가이드(혹은 단속, 혹은 제한)할 수 있다.
도 17의 (A)를 살펴보면, 베이스 가이드부(700)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가이드부(700)는 제 1 가이드 홀(GH1, First Guide Hole)과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FH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 홀(GH1)은 베이스 가이드부(7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의 (B)를 살펴보면, 베이스 가이드부(700)의 타측은 제 1 베이스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베이스부(210)의 측면에는 제 2 연결홈(CG2)이 형성되고, 제 2 연결홈(CG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 1 베이스부(21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체결홈(FG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홈(FG1)은 베이스 가이드부(700)에 형성된 체결홀(FH1)에 대응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크류 등의 소정의 체결수단이 제 1 체결홀(FH1)과 제 1 체결홈(FG1)을 관통하여 베이스 가이드부(700)를 제 1 베이스부(210)에 연결할 수 있다.
제 3 벽(140)의 측면에는 제 1 연결홈(CG1)이 형성되고, 제 1 연결홈(CG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 3 벽(14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a 체결홈(FG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a 체결홈(FG1a)은 제 1 가이드 홀(GH1)에 대응될 수 있다.
제 3 벽(140)의 측면에는 제 1 가이드 홀(GH1)에 대응하는 제 1 돌출부(710, First Protruding Part)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돌출부(710)는 핀(Pin) 형태를 갖고, 제 1 가이드 홀(GH1)을 지나 제 3 벽(140)의 제 1a 체결홀(FG1a)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을 살펴보면, 베이스 가이드부(700)를 기준으로 제 1 돌출부(710)는 제 1 가이드 홀(GH1)을 따라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제 1 완충부(600)가 압축되는 경우 베이스 가이드부(700) 상에서 제 1 돌출부(710)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 1 완충부(600)의 압축이 풀리는 경우 베이스 가이드부(700) 상에서 제 1 돌출부(710)가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 홀(GH1)은 제 1 돌출부(710)의 제 1 방향(DR1)으로의 이동폭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가이드 홀(GH1)과 제 1 돌출부(710)는 제 1 완충부(600)의 압축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6은 원료 공급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사출을 위한 사출 재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300)는 제 1 벽(130)과 제 1 베이스부(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원료 공급부(300)는 주로 제 1 베이스부(21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원료 공급부(300)는,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CT, Container), 공급 파이프부(310, Pipe Part), 스크류부(320, Screw Part), 히팅부(350, Heating Part), 노즐부(330, Nozzle Part) 및 회전력 전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CT)는 고체 상태의 사출 재료를 담고, 이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CT)는 사출 재료의 고체 알갱이를 담을 수 있고, 이를 공급 파이프부(3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CT)의 출구(301)는 공급 파이프부(310)를 향할 수 있다. 도 20에서 부호 302는 컨테이너(CT)의 입구를 나타낼 수 있다.
컨테이너(CT)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벽(130)과 제 3 벽(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컨테이너(CT)의 출구(301)는 공급 파이트부(310)의 공급홀(311)에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CT)의 입구(302)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벽(130) 및 제 3 벽(140)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공급 파이프부(310)는 컨테이너(CT)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공급 파이프부(310)의 출구측은 제 1 베이스부(210)를 향하며, 중앙에 사출 재료가 지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 파이프부(310)는 측벽에 형성되는 공급홀(311), 내부에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공급 파이프부(310)를 관통하는 제 2 통로(PT2) 및 파이프 연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CT)의 출구(301)는 공급 파이프부(310)의 공급홀(311)에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312)는 공급 파이프부(310)를 제 1 벽(13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연결부(312)에도 제 2 통로(PT2)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부(320)는 공급 파이프부(3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스크류부(320)는 회전에 대응하여 사출 재료를 제 1 베이스부(210) 쪽으로 밀어내는 스크류 영역(321, Screw Area) 및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연결 영역(322, Connecting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영역(322)은 회전력 전달부(34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력 전달부(340)는 제 1 모터부(360)가 공급하는 회전력을 스크류부(320)에 전달하여 스크류부(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력 전달부(340)는 제 1 회전축(RA1)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330)는 공급 파이프부(310)의 출구측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즐부(330)에는 사출 재료를 방출하기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원료 공급부(300)는 공급 파이프부(310) 내에서 이송되는 사출 재료를 녹이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부(350, Heat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히팅부(350)는 공급 파이프부(310)의 외벽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CT), 공급 파이프부(310), 스크류부(320), 노즐부(330), 회전력 전달부(340) 및 히팅부(350)가 결합된 상태의 일례가 도 21에 나타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살펴보면, 파이프 연결부(312)가 제 1 벽(130)에 밀착되고, 회전력 전달부(340)의 일부가 제 1 벽(130)과 중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력 전달부(340)는 스크류부(320)의 연결 영역(32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회전력 전달부(340)의 제 1 회전축(RA1)은 제 1 벽(130)으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3 내지 도 24를 살펴보면, 원료 공급부(300)는 제 1 모터부(360, First Motor Part) 및 제 1 동력 전달부(370, First Convey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터부(360)는 스크류부(3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모터부(360)는 프레임부(100)의 바닥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3에서 부호 MA1은 제 1 모터부(360)는 구동축을 나타낼 수 있다.
제 1 동력 전달부(370)는 제 1 모터부(360)의 회전력을 스크류부(3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동력 전달부(370)는 제 1 기어부(372, First Gear Part), 제 2 기어부(373, Second Gear Part) 및 제 1 벨트부(375, First Belt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어부(372)는 스크류부(320)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기어부(372)는 회전력 전달부(340)의 제 1 회전축(RA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 1 기어부(372)가 직접 스크류부(320)의 연결 영역(322)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2 기어부(373)는 제 1 모터부(360)의 구동축(MA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벨트부(375)는 제 1 기어부(372)와 제 2 기어부(373)에 걸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 1 벨트부(375)는 제 2 기어부(373)의 회전에 따라 제 1 기어부(372)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벨트부(375)는 제 2 기어부(373)의 회전력을 제 1 기어부(372)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모터부(360)가 동작하게 되면, 제 1 모터부(360)의 구동축(MA1)이 회전하고, 제 1 모터부(360)의 구동축(MA1)의 회전에 따라 제 2 기어부(373)가 회전하고, 제 2 기어부(373)의 회전에 따라 제 1 벨트부(375)가 제 1 기어부(372)를 회전시키고, 제 1 기어부(372)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부(320)가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부(320)가 공급 파이프부(310) 내에서 회전하면, 컨테이너(CT)가 공급하는 사출 재료가 스크류부(320)의 스크류 영역(321)에서 제 1 베이스부(21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히팅부(350)가 공급 파이프부(310)를 가열하게 되면, 사출 재료가 녹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녹은 액상의 사출 재료가 몰드부(MDP)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 1 동력 전달부(370)는 제 1 벨트 가이드부(371, First Belt Guide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벨트 가이드부(371)는 제 1 벨트부(375)의 설치 및/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 벨트 가이드부(371)는 수직방향(DR3)으로 길게 연장된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벨트 가이드부(371)는 제 1 축홀(AH1, First Axis Hole)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이드 홀(GH2, Second Guide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터부(360)의 구동축(MA1)이 제 1 축홀(AH1)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모터부(360)의 구동축(MA1)이 제 1 축홀(AH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 1 벨트 가이드부(371)는 제 2 기어부(373)와 제 1 모터부(36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 홀(GH2)은 수직방향(DR3)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벨트 가이드부(371)는 제 2 돌출부(374, Second Protruding Part)에 의해 제 1 벽(13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돌출부(374)는 제 2 가이드 홀(GH2)을 관통하여 제 1 벽(130)에 연결(체결)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벽(130)에는 제 2 가이드 홀(GH2)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출부(374)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벨트 가이드부(371)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 1 벽(130)에 연결하기 위해, 제 1 벽(130)에 제 1 가이드 홈(GG1, First Guide Groove)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가이드 홈(GG1)은 제 1 벽(130)의 외측면에 수직방향(DR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홈(GG1)은 제 1 벽(130)에서 제 7 홀(H7)과 제 1 벽(130)의 하측면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돌출부(374)는 제 1 가이드 홈(GG1)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1 벽(1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제 1 벨트 가이드부(371)의 일부는 제 1 가이드 홈(GG1)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2 돌출부(374)가 제 2 가이드 홀(GH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 1 벨트 가이드부(371)의 일부는 제 1 가이드 홈(GG1)에 대응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동력 전달부(370)가 장착된 상태의 일례가 도 25에 나타나 있다.
도 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벨트 가이드부(371)를 화살표 방향(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 돌출부(374)는 제 1 벨트 가이드부(371) 상에서 제 2 가이드 홀(GH2)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벨트부(375)의 장력이 약해지고, 이에 따라 제 1 벨트부(375)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이후, 새로운 제 1 벨트부(375)를 제 1 기어부(372) 및 제 2 기어부(373)에 걸고, 도 26의 경우와는 반대로 제 1 벨트 가이드부(371)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새로운 제 1 벨트부(375)가 제 1 기어부(372) 및 제 2 기어부(373)에 충분히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다.
이처럼, 제 1 벨트 가이드부(371)를 기준으로 제 2 돌출부(374)는 제 2 가이드 홀(GH2)을 따라 수직방향(DR3)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7 내지 도 33은 베이스 이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8을 살펴보면, 제 2 베이스부(220)를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베이스 이동부(400)는 축 가이드부(410) 및 메인 구동축(420, Main Driving Axis)을 포함할 수 있다.
축 가이드부(410)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 2 베이스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축 가이드부(410)에는 제 2 베이스부(220)를 향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3 체결홈(FG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크류 등의 소정의 체결수단이 제 2 베이스부(220)와 축 가이드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메인 구동축(420)은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축 가이드부(4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축 가이드부(410)는 축 가이드부(410)를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관통하는 관통홀(PH)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축 가이드부(410)의 관통홀(PH)의 내측면에는 제 1 나사부(HX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메인 구동축(420)의 외측면에는 제 1 나사부(HX1)에 맞물리는 제 2 나사부(HX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축 가이드부(410)는 메인 구동축(420)의 회전에 대응하여 메인 구동축(420)을 따라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9의 (A)와 같이, 메인 구동축(420)의 왼쪽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축 가이드부(410)는 메인 구동축(420)을 따라 전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베이스부(220)가 제 1 베이스부(210)를 향해 이동하고, 이로 인해 몰드부(MDP)의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 사이의 거리가 좁혀질 수 있다.
또는, 도 29의 (B)와 같이, 메인 구동축(420)의 오른쪽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축 가이드부(410)는 메인 구동축(420)을 따라 후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베이스부(220)가 제 1 베이스부(210)로 멀어지고, 이로 인해 몰드부(MDP)의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도 30을 살펴보면, 메인 구동축(420)의 타측 끝단은 제 2 벽(131)에 형성된 제 8 홀(H8)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2를 살펴보면, 베이스 이동부(400)는 제 2 모터부(460, Second Motor Part) 및 제 2 동력 전달부(470, Second Convey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모터부(460)는 메인 구동축(4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모터부(460)는 프레임부(100)의 바닥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1에서 부호 MA2은 제 2 모터부(460)는 구동축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동력 전달부(470)는 제 2 모터부(460)의 회전력을 메인 구동축(4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동력 전달부(470)는 제 3 기어부(472, Third Gear Part), 제 4 기어부(473, Fourth Gear Part) 및 제 2 벨트부(475, Second Belt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기어부(472)는 메인 구동축(420)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3 기어부(472)는 메인 구동축(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 3 기어부(472)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다른 부품에 의해 간접적으로 메인 구동축(42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4 기어부(473)는 제 2 모터부(460)의 구동축(MA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벨트부(475)는 제 3 기어부(472)와 제 4 기어부(473)에 걸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 2 벨트부(475)는 제 4 기어부(473)의 회전에 따라 제 3 기어부(472)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벨트부(475)는 제 4 기어부(473)의 회전력을 제 3 기어부(472)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모터부(460)가 동작하게 되면, 제 2 모터부(460)의 구동축(MA2)이 회전하고, 제 2 모터부(460)의 구동축(MA2)의 회전에 따라 제 4 기어부(473)가 회전하고, 제 4 기어부(473)의 회전에 따라 제 2 벨트부(475)가 제 3 기어부(472)를 회전시키고, 제 3 기어부(472)의 회전에 따라 메인 구동축(420)이 회전할 수 있다.
메인 구동축(420)이 회전하면 앞선 도 2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몰드부(MDP)의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증가할 수 있다.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가 밀착된 상태에서는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의 사이 공간에 액상의 재질이 공급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가 멀어지는 경우에는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의 사이 공간에서 굳어진 소정 형태의 제품이 몰드부(MDP)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한편, 제 2 동력 전달부(470)는 제 2 벨트 가이드부(471, Second Belt Guide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벨트 가이드부(471)는 제 2 벨트부(475)의 설치 및/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2 벨트 가이드부(471)는 수직방향(DR3)으로 길게 연장된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벨트 가이드부(471)는 제 2 축홀(AH2, Second Axis Hole) 및 적어도 하나의 제 3 가이드 홀(GH3, Third Guide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모터부(460)의 구동축(MA2)이 제 2 축홀(AH2)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모터부(460)의 구동축(MA2)이 제 2 축홀(AH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 2 벨트 가이드부(471)는 제 4 기어부(473)와 제 2 모터부(46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가이드 홀(GH3)은 수직방향(DR3)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벨트 가이드부(471)는 제 3 돌출부(474, Third Protruding Part)에 의해 제 2 벽(131)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3 돌출부(474)는 제 3 가이드 홀(GH3)을 관통하여 제 2 벽(131)에 연결(체결)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벽(131)에는 제 3 가이드 홀(GH3)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돌출부(474)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벨트 가이드부(471)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 2 벽(131)에 연결하기 위해, 제 2 벽(131)에 제 2 가이드 홈(GG2, Second Guide Groove)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가이드 홈(GG2)은 제 2 벽(131)의 외측면에 수직방향(DR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홈(GG2)은 제 2 벽(131)에서 제 8 홀(H8)과 제 2 벽(131)의 하측면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3 돌출부(474)는 제 2 가이드 홈(GG2)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2 벽(13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제 2 벨트 가이드부(471)의 일부는 제 2 가이드 홈(GG2)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3 돌출부(474)가 제 3 가이드 홀(GH3)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 2 벨트 가이드부(471)의 일부는 제 2 가이드 홈(GG2)에 대응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동력 전달부(470)가 장착된 상태의 일례가 도 33에 나타나 있다.
제 2 벨트 가이드부(471)를 기준으로 제 3 돌출부(474)는 제 3 가이드 홀(GH3)을 따라 수직방향(DR3)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앞선 도 26의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4 내지 도 39는 축 지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10)는 축 지지부(800, Axis Support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 지지부(800)는 메인 구동축(420)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축 지지부(800)는 제 4 벽(141)에 형성되며 메인 구동축(420)이 지나는 제 3 홀(H3)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축 지지부(800)는 제 2 베이스부(220)의 타면(F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베이스부(220)의 일면(F1)에는 제 2 몰드부(MDP2)가 배치될 수 있다.
측 지지부(800)는 제 1 지지 플레이트(810, First Supporting Plate), 제 2 지지 플레이트(820, Second Supporting Plate) 및 제 3 지지 플레이트(830, Third Supporting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 플레이트(810)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판 형태를 갖고, 일측 측면이 제 2 베이스부(220)의 타면(F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지지 플레이트(810)의 일측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체결홀(FG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 플레이트(820)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판 형태를 갖고, 제 1 지지 플레이트(810)와 마주보며, 일측 측면이 제 2 베이스부(220)의 타면(F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지지 플레이트(820)의 일측 측면에도 적어도 하나의 제 4 체결홀(FG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지지 플레이트(830)는 수평방향 중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판 형태를 갖고, 제 1 지지 플레이트(810)의 타측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82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지지 플레이트(830)는 제 2 베이스부(220)와 평행하게(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3 지지 플레이트(830)는 메인 구동축(420)이 관통하는 제 4 홀(H4, Fourth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 홀(H4)의 직경(사이즈)은 제 5 홀(H5)의 직경(사이즈)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 4 홀(H4)의 직경(사이즈)은 제 4 벽(141)에 형성되는 제 3 홀(H3)의 직경(사이즈)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35를 살펴보면, 축 가이드부(410)는 제 3 지지 플레이트(830)에 연결될 T 있다. 자세하게는, 축 가이드부(410)는 제 3 지지 플레이트(830)에서 제 2 벽(131)을 향하는 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축 가이드부(410)의 관통홀(PH)은 제 3 지지 플레이트(830)의 제 4 홀(H4)과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 가이드부(410)를 관통하는 메인 구동축(420)은 제 1 지지 플레이트(810)와 제 2 지지 플레이트(820)의 사이 영역을 지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6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워지는 경우, 예컨대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경우에는 축 지지부(800)는 제 3 홀(H3)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도 36의 (B) 및 도 3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 사이의 거리(D2)가 충분히 멀어지는 경우, 예컨대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경우, 축 지지부(800)의 적어도 일부는 제 4 벽(141)의 제 3 홀(H3)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메인 구동축(420)의 일부가 제 1 지지 플레이트(810)와 제 2 지지 플레이트(820)의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8을 살펴보면, 제 1 지지 플레이트(810)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820)에는 각각 개구부(OP, Opening)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A)와 같은 원 형태, (B)와 같은 사각형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지지 플레이트(810)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820)에 개구부(OP)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출기(10)의 전체 무게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개구부(OP)를 통해 메인 구동축(420)의 이동 혹은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9의 (A)와 같이,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가 밀착하여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경우에는 메인 구동축(420)은 개구부(OP)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도 39의 (B)와 같이,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가 멀어져서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경우에는 메인 구동축(420)은 개구부(OP)와 중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메인 구동축(420)의 일부는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개구부(OP)를 통해 메인 구동축(420)이 관찰되었다가 개구부(OP)에서 메인 구동축(420)이 사라지는 것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사출 과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1은 장벽과 그에 대응하는 사출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0의 (A), (B)를 살펴보면, 사출기(10)의 단변 측의 측면에는 제 1 벨트 가이드부(371) 또는 제 2 벨트 가이드부(471)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장벽(120)과 제 2 장벽(121)의 사이 영역에서 바닥부(110)에 제 1 모터부(360) 및 제 2 모터부(46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모터부(360) 및 제 2 모터부(460)가 바닥부(110)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모터부(360) 및 제 2 모터부(460)는 수직방향(DR3)으로 제 1 벽(130) 또는 제 2 벽(131)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모터부(360) 및 제 2 모터부(460)의 높이(T3)는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의 높이(T1)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아울러, 제 1 모터부(360) 및 제 2 모터부(460)의 설치 공간 및 사출 제품의 원활한 배출 및 수거를 위해 제 3 벽(140) 및 제 4 벽(141)은 각각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방향(DR3)으로 제 3 벽(140)과 바닥부(110)는 서로 이격되고, 수직방향(DR3)으로 제 4 벽(141)과 바닥부(11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41의 (A) 및 (B)를 살펴보면,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은 높이서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의 제 1 위치(First Position)에서의 높이(T1a)는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Second Position)에서의 높이(T1b)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의 제 1 위치는 수직방향(DR3)으로 제 1 벽(130), 제 2 벽(131), 제 3 벽(140) 또는 제 4 벽(141)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의 제 2 위치는 수직방향(DR3)으로 제 1 베이스부(210) 및 제 2 베이스부(220)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장벽(120) 및 제 2 장벽(121) 상에서 제 1 베이스부(210) 및 제 2 베이스부(220)가 보다 효과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도 41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벽(140)의 벽두께(S3) 및 제 4 벽(141)의 벽두께(S4)는 제 1 벽(130)의 벽두께(S1) 및 제 2 벽(131)의 벽두께(S2)보다 더 얇을 수 있다.
아울러, 제 3 벽(140)의 벽두께(S3) 및 제 4 벽(141)의 벽두께(S4)는 제 1 베이스부(210)의 벽두께(S5) 및 제 2 베이스부(220)의 벽두께(S6)보다 더 얇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 로드부(500)를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출기(10)의 전체 무게를 줄이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2 내지 도 43은 컨테이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2 내지 도 43을 살펴보면, 컨테이너(CT)는 제 1 부분(303, First Part), 제 2 부분(304, Second Part) 및 제 3 부분(305, Third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303)은 컨테이너(CT)의 출구(301)와 인접할 수 있다.
제 2 부분(304)은 제 1 부분(303)과 컨테이너(CT)의 입구(30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부분(304)의 평균 직경은 제 1 부분(303)의 평균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제 3 부분(305)은 제 2 부분(304)과 컨테이너(CT)의 입구(30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부분(305)의 평균 직경은 제 2 부분(304)의 평균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제 2 부분(304) 및 제 3 부분(305)은 입구(302)에 근접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부분(304)은 직경의 감소율이 제 3 부분(305)의 직경의 감소율보다 더 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테이너(CT)에 담긴 사출 재료를 공급 파이프부(310)로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컨테이너(CT)에서 제 1 부분(303) 및 제 2 부분(304)은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벽(130) 또는 제 3 벽(140)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할 수 있다.
아울러, 컨테이너(CT)의 제 3 부분(305)의 일부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벽(130) 또는 제 3 벽(140)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벽(130)과 제 3 벽(140)의 사이의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충분한 큰 용량의 컨테이너(CT)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컨테이너(CT)의 제 3 부분(305)에서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벽(130) 또는 제 3 벽(140)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하는 영역을 중첩 영역(OA, Overlapping Area)이라 하고,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벽(130) 및 제 3 벽(140)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을 비중첩 영역(NOA, Non-Overlapping Area)이라 하자.
이러한 경우, 수직방향(DR3)으로 중첩 영역(OA)의 높이(Z1)는 비중첩 영역(NOA)의 높이(Z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테이너(CT)가 제 1 벽(130) 또는 제 3 벽(140)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의 크기를 줄여서 컴팩트한 사이즈의 사출기(1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4 내지 도 46은 배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10)는 배출부(900, Eject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900)는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의 사이 공간에 굳혀진 사출 제품을 몰드부(MDP)로부터 이탈(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900)는 축 지지부(800)의 제 3 지지 플레이트(820)와 제 2 몰드부(MDP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배출부(900)는 제 2 베이스부(220)에 형성되는 제 5 홀(H5, Fifth Hole)에 대응될 수 있다.
배출부(900)는 배출 플레이트부(910, Eject Plate Part) 및 배출 로드부(930, Eject Rod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플레이트부(910)는 판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 플레이트부(91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배출홀(920, First Eject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로드부(930)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배출홀(9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로드부(93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 장치가 대응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의 사이에서 굳혀서 형성된 사출 제품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사출 제품의 손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45를 살펴보면, 제 2 몰드부(MDP2)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배출홀(EH, Second Eject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몰드부(MDP2)의 후면은 제 2 몰드부(MDP2)에서 제 2 베이스부(220)를 향하는 면이라고 할 수 있다.
배출 로드부(930)의 일측 끝단은 제 2 몰드부(MDP2)의 후면에 형성된 제 2 배출홀(EH)에 대응(삽입)될 수 있다.
도 46의 (A)를 살펴보면, 배출부(900)는 제 2 베이스부(220)에 형성된 제 5 홀(H5)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배출부(900)는 제 5 홀(H5)에 삽입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배출부(900)는 제 5 홀(H5)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베이스부(220)의 제 5 홀(H5)의 직경은 제 1 배출홀(920)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부(220)에 제 2 몰드부(MDP2)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 2 몰드부(MDP2)의 제 2 배출홀(EH)과 배출부(900)의 배출 로드부(930)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앞선 도 36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2 베이스부(220)가 제 2 벽(131)을 향해 후퇴하는 경우에, 메인 구동축(420)이 배출부(900)의 후면을 압박할 수 있다.
그러면, 배출부(900)의 배출 로드부(930)가 제 2 몰드부(MDP2)를 향해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 2 몰드부(MDP2)에 들러붙어 있는 사출 제품을 제 2 몰드부(MDP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는 과정에서 배출 로드부(930)의 일측 끝단은 제 2 배출홀(EH)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7 내지 도 48은 제어 유닛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10)는 제어 유닛(1000, Controller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00)은 사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10, Display Part) 및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1020, User Input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10)는 사출 재료의 잔량, 사출 온도, 사출 속도, 사출 제품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20)는 사출의 시작, 사출의 종료, 사출 속도의 조절, 사출 온도의 조절 등을 위한 버튼 등의 다양한 명령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8을 살펴보면, 제어 유닛(1000)은 제 1 벽(130)과 제 3 벽(14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제어 유닛(1000)은 제 1 벽(130)에 연결되는 부분 및 제 3 벽(140)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 유닛(1000)은 제 1 벽(130)에 연결되는 부분 및 제 3 벽(140)에 연결되는 부분을 축으로 도 48의 (A) 및 (B)의 경우와 같이 하여 피봇(Pivot)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출기(10)의 사이즈를 더욱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9 내지 도 50은 카메라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10)는 카메라부(1100, Camera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0)는 사출에 대한 결과물, 즉 사출 제품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카메라부(1100)는 사출 제품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1100)는 저조도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조도 카메라부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광으로 충분히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Case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카메라부(1100)가 저조도 카메라부를 포함하게 되면 케이스부 내부에 별도로 광원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사출 제품에 대한 충분히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로 광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10)의 사이즈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카메라부(1100)가 촬영하는 영상은 사진 등의 정지 영상 혹은 동영상인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카메라부(1100)는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부(1100)는 프레임부(100)의 제 4 벽(141)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4 벽(141)의 측면에 카메라 돌출부(141P)가 형성되고, 이러한 카메라 돌출부(141P)에 카메라부(11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부(1100)가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 영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0)는 사출 제품을 촬영하기 위해 제 1 몰드부(MDP1) 또는 제 2 몰드부(MDP2)와 바닥부(110)의 사이 영역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도 5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부(1100)의 촬영 영역은 제 1 몰드부(MDP1) 또는 제 2 몰드부(MDP2)와 바닥부(110)의 사이 영역(제 1 촬영 영역(FA1))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부(1100)의 촬영 영역은 제 2 베이스부(220)와 제 4 벽(141)의 사이 영역(제 2 촬영 영역(F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부(1100)는 사출기(10)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앞선 도 3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사출기(10)의 동작 과정에서는 제 1 지지 플레이트(810) 또는 제 2 지지 플레이트(820)에 형성된 개구부(OP)를 통해 메인 구동축(420)이 보였다 사라졌다는 반복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0)가 제 2 베이스부(220)와 제 4 벽(141)의 사이 영역(FA2)을 촬영하게 되면, 카메라부(1100)가 촬영하는 영상에 개구부(OP)가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1100)가 일정 주기로 개구부(OP)를 포함하는 정지 영상(캡처 영상)을 촬영하게 되면, 개구부(OP)를 통해 메인 구동축(420)이 보이는 영상과 메인 구동축(420)이 보이지 않는 영상이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출기(10)의 동작, 예컨대 사출기(10)의 메인 구동축(420)의 동작이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1100)는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의 사이 간격이 최소인 타이밍에서 개구부(OP)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아울러 카메라부(1100)는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의 사이 간격이 최대인 타이밍에서 개구부(OP)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부(1100)는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의 사이 간격이 최소인 타이밍과 제 1 몰드부(MDP1)와 제 2 몰드부(MDP2)의 사이 간격이 최대인 타이밍 사이의 시간 차이가 Δt인 경우에, 카메라부(1100)는 Δt의 주기로 개구부(OP)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개구부(OP)를 통해 메인 구동축(420)이 보이는 영상과 개구부(OP)를 통해 메인 구동축(420)이 보이지 않는 영상을 반복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사출기(10)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출기(10)를 덮는 소정의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출기(10)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 1 촬영 영역(FA1) 및 제 2 촬영 영역(FA2)은 유입되는 광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상대적으로 어두운 환경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10)에서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 1 촬영 영역(FA1) 및 제 2 촬영 영역(FA2)의 충분히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부(1100)가 저조도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촬영 영역(FA1) 및 제 2 촬영 영역(FA2)이 충분히 어두운 환경이기 때문에 카메라부(1100)가 촬영한 그 선명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개구부(OP)를 통해 메인 구동축(420)이 보이는 영상과 개구부(OP)를 통해 메인 구동축(420)이 보이지 않는 영상을 반복적으로 획득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부(1100)가 저조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 2 촬영 영역(FA2)을 하는 경우에도 메인 구동축(420)의 동작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10)는 컴팩트한 사이즈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10)는 충분히 가벼운 무게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10)는 대형 사출기의 불편함과 3D 프린터의 비양산성을 동시에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도 51 내지 도 53은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1A)(이하, '사출 서비스 장치'라고 칭할 수 있다)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사출기(10, Micro Injection Apparatus), 서버(20, Server)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30, User Terminal)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에 대응하는 사출기(1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출 제품의 컬러를 기준으로 사출기(10)들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사출 재료의 종류를 기준으로 사출기(10)들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출 제품의 컬러가 제 1 컬러이고, 사출 재료가 제 1 재료인 경우에 제 1 사출기(10A)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사출 제품의 컬러가 제 1 컬러이고, 사출 재료가 제 2 재료인 경우에 제 2 사출기(10B)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사출 제품의 컬러가 제 2 컬러이고, 사출 재료가 제 1 재료인 경우에 제 3 사출기(10C)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사출 제품의 컬러가 제 2 컬러이고, 사출 재료가 제 2 재료인 경우에 제 4 사출기(10D)를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사출 제품의 컬러가 2가지이고 사출 재료의 종류가 2가지인 경우에 서버(20)에 대응되는 사출기(10)의 개수는 4개인 것이 가능하다. 물론, 사출기(10)의 개수가 4개보다 더 많은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서버(20)에 대응하는 단말기(30)의 개수는 사용자(고객)의 수에 비례할 수 있다.
마이크로 사출기(10)(사출기(10))는 용융된 사출 재료를 몰드부(MDP)에 주입하여 사출물을 제작하고, 제작한 사출물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사출기(10)에 대해서는 앞선 도 1 내지 도 50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버(20)는 사출기(1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2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는 사출기(10)와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기(30)와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서버(20)로부터 마이크로 사출기(1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는 고객의 단말기라고도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로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이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데스크탑(Desk Top) 등의 PC도 가능할 수 있다.
도 52를 살펴보면, 서버(20)는 사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부(21), 사출기 정보부(22), 제품 정보부(23), 작업 정보부(24), 영상 정보부(25), 주문 정보부(26), 통계부(27), 동작 판단부(28) 및 센싱 정보 분석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서버(2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정보부(21)는 사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고객)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부(21)는 사용자의 이름, 고유 번호, 아이디(ID), 주소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출기 정보부(22)는 사출기(1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출기 정보부(22)는 사출기(10)의 일련번호, 아이디(ID), 처리 용량, 처리 속도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품 정보부(23)는 사출로 제조하는 제품(사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품 정보부(23)는 사출 제품의 도면 등의 설계 정보, 재질 정보, 가격 정보 등 사출 제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작업 정보부(24)는 사출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 정보부(24)는 사출 작업에서 제조할 사출 제품의 수, 사출 작업의 총 시간, 사출 작업을 진행하는 기간, 사출 작업의 고객(의뢰인 혹은 사용자), 사출 재료를 녹이는 온도 등 사출 작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영상 정보부(25)는 사출기(10)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정보부(25)는 사출기(10)의 카메라부(1100)가 촬영한 영상 및 그에 대한 정보를 사출기(1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출기(10)의 카메라부(1100)가 촬영한 영상은 사진 등의 정지 영상 혹은 동영상일 수 있다.
사출기(10)의 카메라부(1100)가 촬영한 영상은 사출기(10)가 사출하여 제작한 사출 제품에 대한 영상 혹은 사출기(10)의 동작을 판단할 수 있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사출기(10)의 카메라부(1100)가 촬영한 영상에 대한 정보는 해당 영상에 대응하는 고객(사용자)에 대한 정보, 해당 영상에 대응하는 사출 제품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정보부(26)는 사용자가 입력(요청)한 주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문 정보부(26)는 주문한 사출 제품에 대한 수량, 단가, 기한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통계부(27)는 사출 서비스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계부(27)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제작한 사출 제품의 종류, 수량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동작 판단부(28)는 사출기(1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근거로 하여 사출기(1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동작 판단부(28)는 사출기(10)의 카메라부(1100)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사출기(10)의 메인 구동축(42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싱 정보부 분석부(29)는 사출기(1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Sensor)가 센싱한 정보, 즉 센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출기(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출기(10)의 컨테이너(CT)에는 사출 재료의 잔존량을 검출하기 위한 제 1 센서부(First Sensor Part)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사출기(10)의 히팅부(350) 및/또는 공급 파이프부(310)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 2 센서부(Second Sensor Part)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사출기(10)는 사출되는 제품, 즉 사출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를 포함하는 제 3 센서부(Third Sensor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3을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30, 이하에서는 '단말기'라 칭할 있다)는 제어부(Controller, 31), 통신부(Communicating Part, 32),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Part, 34), 메모리부(Memory Part, 33), 인터페이스부(Interface Part, 35), 디스플레이부(36) 및 주문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3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1)는 단말기(30)의 전반적인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1)는 데이터 송수신, 콜의 착발신, 사출 서비스의 신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1)의 기능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히 될 수 있다.
통신부(32)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32)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유선 및/또는 유선 방식으로 인터넷을 통해 다른 단말기(Terminal), 서버(2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6)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가능하도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6)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영상은 사출기(10)가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4)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34)는 터치 패널 등의 터치 입력 수단, 키패드 등의 키 입력 수단 및 마이크 등의 음성 입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33)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3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33)는 서버(20)로 전송하는 사출 서비스의 신청 정보를 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메모리부(33)는 사출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5)는 다른 기기와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메모리, 통신 케이블, 충전 케이블 등이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단말기(30)에 접속할 수 있다.
주문부(37)는 서버(20)로 전송할 주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문부(37)는 사출 제품의 형태, 사이즈, 재질, 컬러 등에 대한 정보, 주문 수량, 주문 단가 등의 주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출 서비스 장치(1A)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4 내지 도 56은 사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4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단말기(30)에서 원하는 사출 제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00).
예를 들면, 사용자는 단말기(30)에서 원하는 사출 제품에 대한 2D 혹은 3D 도면, 사이즈 정보, 재질 정보, 컬러 정보, 사출 제품의 수량, 단가 등의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주문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에서는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주문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출기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Matching)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출기(10)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서버(20)는 검색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출기(10)를 주문 정보에 대응하여 할당할 수 있다(S110).
예를 들면, 서버(20)는 주문 정보에 포함된 사출기의 컬러 정보, 사출 재료의 정보 등을 근거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출기(10)를 할당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20)는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주문 정보에 대응하여 샘플 정보를 생성 혹은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서버(20)는 생성 혹은 선택한 샘플 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S200).
여기서, 샘플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주문한 내용에 대응이 되는지 혹은 사용자가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인지를 문의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후, 단말기(30)에서는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샘플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샘플 정보를 승인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0).
다르게 표현하면, 단말기(30)에서는 수신한 샘플 정보에 대응하여 사출 작업을 진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S300 단계에서 판단결과, 단말기(30)에서는 샘플 정보를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30)에서는 주문 정보를 수정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0).
제 S400 단계에서 판단결과, 주문 정보를 수정하는 경우에는 단말기(30)에서는 주문 정보를 수정한 수정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S410).
그러면, 서버(20)에서는 수신한 수정 정보에 대응하여 제 S200 단계와 제 S300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 S400 단계에서 판단결과, 주문 정보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능(Default 1)을 수행할 수 있다(S500).
제 1 기능은 서버(20)가 단말기(30)로 제공한 샘플 정보가 마음에 들지 않다는 것을 알리는 기능, 주문 정보 입력을 취소하는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제 S300 단계에서 판단결과, 단말기(30)에서는 샘플 정보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서버(20)는 이를 확인하고, 확인한 내용에 따라 할당된 사출기(10)에 사출 작업을 개시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할당된 사출기(10)에서는 사출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S600).
사출기(10)에서 사출 작업을 시작한 이후에, 사출기(10)에서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혹은 사출 작업의 상황에 대응하여 사출 작업에 대응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S700).
자세하게는, 사출기(10)에서는 카메라부(1100)가 사출한 사출 제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1100)는 사출기(10)의 제 1 촬영 영역(FA1)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사출기(10)의 제 1 촬영 영역(FA1)은, 도 5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몰드부(MDP1) 또는 제 2 몰드부(MDP2)와 바닥부(110)의 사이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도 50에서도 설명한 바 있다.
카메라부(1100)가 사출기(10)의 제 1 촬영 영역(FA1)을 촬영하면 사출되어 나온 사출 제품이 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사출기(10)에서는 카메라부(1100)가 사출기(1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제 2 촬영 영역(FA2)을 촬영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혹은 제 2 모터부(460)의 구동 타이밍에 대응하여 사출기(10)의 카메라부(1100)가 제 2 촬영 영역(FA2)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56의 (A)와 같이 개구부(OP)를 통해 메인 구동축(420)이 보이는 제 1 타입 영상과, 도 56의 (B)와 같이 개구부(OP)를 통해 메인 구동축(420)이 보이지 않는 제 2 타입 영상이 반복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이후, 사출기(10)는 제 1 촬영 영역(FA1)을 촬영한 영상과 제 2 촬영 영역(FA2)을 촬영한 영상을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S800).
아울러, 서버(20)는 제 1 촬영 영역(FA1)을 촬영한 영상을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S900).
그러면 단말기(30)는 서버(2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6)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부(36)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출 작업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사출 제품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사출 작업의 중지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에서는 사출기(10)로부터 전송받은 제 2 촬영 영역(FA2)에 대한 제 1 타입 영상과 제 2 타입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사출기(10)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사출기(10)에서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한 센싱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0)는 사출기(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사출 작업의 진행 상황 혹은 사출기(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사출기(1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서버(20)는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바닥부(Bottom Part), 상기 바닥부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측에 위치하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벽(First Wall) 및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단변과 마주보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벽(Second Wall)을 포함하는 프레임부(Frame Part);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몰드부(Mold Part) 중 제 1 몰드부(First Mold Part)를 지지하는 제 1 베이스부(First Base Part) 및 상기 몰드부 중 제 2 몰드부(Second Mold Part)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베이스부(Second Base Part)를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사출을 위한 사출 재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Material Supplying Part);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를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이스 이동부(Base Driv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2 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원료 공급부는
    고체 상태의 사출 재료를 공급하는 컨테이너(Container);
    상기 컨테이너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출구측은 상기 제 1 베이스부를 향하며, 중앙에 공간이 마련되는 공급 파이프부(Pipe Part);
    상기 공급 파이프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크류부(Screw Part);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부(First Motor Part);
    상기 제 1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부에 전달하는 제 1 동력 전달부(First Conveying Part); 및
    상기 공급 파이프부의 외벽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부(Heat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축 가이드부;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메인 구동축(Main Driving Axis);
    상기 메인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부(Second Motor Part); 및
    상기 제 2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메인 구동축에 전달하는 제 2 동력 전달부(Second Convey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축 가이드부는
    상기 축 가이드부를 상기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제 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구동축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1 나사부에 맞물리는 제 2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구동축을 따라 상기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벽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부(Guide Rod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의 일측은 상기 제 1 벽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의 타측은 상기 제 2 벽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는 상기 제 1 베이스부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를 각각 관통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벽(Third Wall); 및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2 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벽(Fourth Wall);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는 상기 제 3 벽 및 상기 제 4 벽을 각각 관통하고,
    상기 제 3 벽은 상기 공급 파이프부가 관통하는 제 1 홀(First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벽에 배치되며 제 2 홀(Second Hole)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파이프부가 관통하는 파이프 가이드부(Pipe Guid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홀의 직경은 상기 제 1 홀의 직경보다 더 작고,
    상기 제 4 벽은 상기 메인 구동축이 지나는 제 3 홀(Third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몰드부는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타면에 배치되는 축 지지부(Axis Supporting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 지지부는
    일측이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타면에 연결되는 제 1 지지 플레이트(First Supporting Plate);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마주보며 일측이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타면에 연결되는 제 2 지지 플레이트(Second Supporting Plate); 및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 및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3 지지 플레이트(Third Supporting Plate);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구동축이 관통하는 제 4 홀(Fourth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축 가이드부는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 2 벽을 향하는 면에 연결되고,
    상기 축 가이드부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 4 홀과 대응되고,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는 각각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몰드부와 상기 제 2 몰드부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경우, 상기 축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홀을 관통하고 상기 메인 구동축과 상기 개구부는 중첩하고,
    상기 제 1 몰드부와 상기 제 2 몰드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경우,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제 3 홀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메인 구동축과 상기 개구부는 중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사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 및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Part)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Controller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사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출에 대한 결과물을 관찰하는 카메라부(Camera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저조도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사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단변 및 상기 제 2 단변에 인접하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장벽(First Long Wall); 및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장변과 마주보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장벽(Second Long Wall);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2 벽의 높이보다 더 낮고,
    상기 제 1 벽은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단변 측에서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단변 측에서 상기 제 1 벽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 2 벽은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2 단변 측에서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2 단변 측에서 상기 제 2 벽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 3 벽 및 상기 제 4 벽은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벽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 4 벽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사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First Position)에서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Second Position)에서 상기 제 1 장벽 및 상기 제 2 장벽의 높이보다 더 높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벽 또는 상기 제 2 벽에 대응되는 위치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대응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사출기.
  6. 용융된 사출 재료를 몰드부(Mold Part)에 주입하여 사출물을 제작하고, 제작한 사출물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마이크로 사출기(Micro Injection Apparatus);
    상기 마이크로 사출기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Server);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마이크로 사출기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사출기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바닥부(Bottom Part), 상기 바닥부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측에 위치하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벽(First Wall) 및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 1 단변과 마주보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벽(Second Wall)을 포함하는 프레임부(Frame Part);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몰드부 중 제 1 몰드부(First Mold Part)를 지지하는 제 1 베이스부(First Base Part) 및 상기 몰드부 중 제 2 몰드부(Second Mold Part)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베이스부(Second Base Part)를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사출을 위한 사출 재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Material Supplying Part);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를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이스 이동부(Base Driv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2 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원료 공급부는
    고체 상태의 사출 재료를 공급하는 컨테이너(Container);
    상기 컨테이너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출구측은 상기 제 1 베이스부를 향하며, 중앙에 공간이 마련되는 공급 파이프부(Pipe Part);
    상기 공급 파이프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크류부(Screw Part);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부(First Motor Part);
    상기 제 1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부에 전달하는 제 1 동력 전달부(First Conveying Part); 및
    상기 공급 파이프부의 외벽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부(Heat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축 가이드부;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메인 구동축(Main Driving Axis);
    상기 메인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부(Second Motor Part); 및
    상기 제 2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메인 구동축에 전달하는 제 2 동력 전달부(Second Convey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축 가이드부는
    상기 축 가이드부를 상기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제 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구동축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1 나사부에 맞물리는 제 2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구동축을 따라 상기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벽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부(Guide Rod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의 일측은 상기 제 1 벽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의 타측은 상기 제 2 벽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는 상기 제 1 베이스부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를 각각 관통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벽(Third Wall); 및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2 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벽(Fourth Wall);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는 상기 제 3 벽 및 상기 제 4 벽을 각각 관통하고,
    상기 제 3 벽은 상기 공급 파이프부가 관통하는 제 1 홀(First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벽에 배치되며 제 2 홀(Second Hole)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파이프부가 관통하는 파이프 가이드부(Pipe Guid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홀의 직경은 상기 제 1 홀의 직경보다 더 작고,
    상기 제 4 벽은 상기 메인 구동축이 지나는 제 3 홀(Third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몰드부는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타면에 배치되는 축 지지부(Axis Supporting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 지지부는
    일측이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타면에 연결되는 제 1 지지 플레이트(First Supporting Plate);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마주보며 일측이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타면에 연결되는 제 2 지지 플레이트(Second Supporting Plate); 및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 및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3 지지 플레이트(Third Supporting Plate);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구동축이 관통하는 제 4 홀(Fourth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축 가이드부는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 2 벽을 향하는 면에 연결되고,
    상기 축 가이드부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 4 홀과 대응되고,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는 각각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몰드부와 상기 제 2 몰드부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경우, 상기 축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홀을 관통하고 상기 메인 구동축과 상기 개구부는 중첩하고,
    상기 제 1 몰드부와 상기 제 2 몰드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경우,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제 3 홀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메인 구동축과 상기 개구부는 중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KR1020210082396A 2021-06-24 2021-06-24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504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96A KR102504996B1 (ko) 2021-06-24 2021-06-24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96A KR102504996B1 (ko) 2021-06-24 2021-06-24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12A KR20230000512A (ko) 2023-01-03
KR102504996B1 true KR102504996B1 (ko) 2023-03-03

Family

ID=8492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396A KR102504996B1 (ko) 2021-06-24 2021-06-24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9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488A (ja) * 1998-09-22 2000-04-04 Daiwa Kasei Ind Co Ltd 電動射出成形装置
JP2000117792A (ja) 1998-10-20 2000-04-25 Nissei Plastics Ind Co 電動式射出成形機
JP2005131914A (ja) 2003-10-30 2005-05-26 Sumitomo Heavy Ind Ltd 金型監視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858A (ko) * 2014-12-17 2016-06-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68843B1 (ko) 2019-10-28 2021-06-25 홍충기 대용량 사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488A (ja) * 1998-09-22 2000-04-04 Daiwa Kasei Ind Co Ltd 電動射出成形装置
JP2000117792A (ja) 1998-10-20 2000-04-25 Nissei Plastics Ind Co 電動式射出成形機
JP2005131914A (ja) 2003-10-30 2005-05-26 Sumitomo Heavy Ind Ltd 金型監視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12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9596B (zh) 电子器件双轨检测设备及方法
EP3199322B1 (en) Injection molding system
KR102504996B1 (ko)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103547372A (zh) 用于粉碎可流动物料中的颗粒的装置和方法
CN108136640A (zh) 具有用于存储文本信息和/或图像信息的数据存储器的注塑机
JP2016124259A (ja) 産業機械
JP6519684B2 (ja) 錠剤供給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127940B (zh) 注射成型机
JP2010076431A (ja) 成形条件設定装置、成形条件設定方法及び成形条件設定画面
JP4160326B2 (ja) 成形機の異物監視装置及び異物監視方法
US20220155760A1 (en) Mold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 program
JP7445029B2 (ja) 射出成形システム
JP2012086562A (ja) 挿入アクセス用の引き出し式ドロアを備えた固体インクローダ
JP2008126527A (ja) 成形機管理システム及び成形機管理方法
JP6716185B1 (ja) 射出成形機の画像記録装置
EP3546171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4681652B2 (ja) タイヤ製造方法
JP2022138437A (ja) 3dプリンタ
JP7032206B2 (ja) 射出成形用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
JPH10113966A (ja) 射出成形機ユニット
JP3505440B2 (ja) 金属射出成形機の材料供給監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883834B2 (ja) タイミング調整可能な包装機
EP3888876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industrial machine
CN109311551B (zh) 称重包装机
JP7491197B2 (ja) 三次元造形装置および三次元造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