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858A -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858A
KR20160073858A KR1020140182698A KR20140182698A KR20160073858A KR 20160073858 A KR20160073858 A KR 20160073858A KR 1020140182698 A KR1020140182698 A KR 1020140182698A KR 20140182698 A KR20140182698 A KR 20140182698A KR 20160073858 A KR20160073858 A KR 20160073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image
molding machine
sensor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이 사보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858A/ko
Publication of KR2016007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29C45/842Detection of insert defects, e.g. inaccurate position,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29C45/844Preventing damage caused by obstructions or foreign matter caught between mould halves during mould closing, e.g. moulded part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 성형기를 촬영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출 성형기에 설치되어 상기 사출 성형기를 촬영하여 깊이 영상 및 색상 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깊이 영상 및 상기 색상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관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깊이 영상 및 상기 색상 영상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 트래킹 기능을 수행하여 특정 모션이 인식될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상기 관제 영상에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출 성형기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기는 용융 수지를 사출장치로부터 사출하여 금형장치의 캐비티에 충전하고 고화시킴으로써 성형품을 성형하는 기기이다. 금형장치는 고정금형 및 이동금형으로 구성되고, 금형장치의 형폐, 형체 및 형개는 형체장치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형체장치는 이동형판과 고정형판 그리고 이동형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구동원과 토글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출 성형기에서는 사출 공정 중에 이상 운전이나 불량 제품이 발생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생산 공정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플라스틱 부품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미성형, 버어(burr) 발생, 표면 불량 등으로 인하여 다량의 불량품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금형 작동 중에 이물질 삽입, 오작동 등으로 금형 손상이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산 공정을 직접 지켜보는 현장 감독자가 있어야 하지만, 대형 공장에서 많은 수의 사출 성형기의 성형 공정을 현장 감독자가 직접 관리 감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사출 성형기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안전 작업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작업 시작 전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 금형, 제춤취출장치 등의 청소 상태를 확인해야 하고, 운전 조작 스위치를 수동으로 놓고 형체, 형개를 작동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실린더의 각 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주의해야 하고, 형체 압력을 적정 수준으로 해야 한다. 이러한 안전 작업 수칙에 따라 사출 성형기는 형체장치의 운동 부분, 사출장치의 운동 부분, 전단점이나 물림점 부분, 감전 위험 부분, 고열 부분이나 고열 재료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안전 설비를 설치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출 성형기의 각 부분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조건이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사출 성형기의 작동을 할 수 없도록 하는 인터로크(interlock)와, 작업자가 사출 성형기에 접근할 때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매트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 설비는 매우 고가이고, 금형장치의 내부 등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22599호(2006.09.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출 성형기를 촬영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출 성형기에 설치되어 상기 사출 성형기를 촬영하여 깊이 영상 및 색상 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깊이 영상 및 상기 색상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관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깊이 영상 및 상기 색상 영상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 트래킹 기능을 수행하여 특정 모션이 인식될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상기 관제 영상에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색상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이에 관한 이벤트를 상기 관제 영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출 성형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깊이 영상 및 상기 색상 영상을 이용하여 3D 관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화면을 상기 사출 성형기의 개수만큼 분할하고 각 분할 화면에 서로 다른 사출 성형기의 관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집된 음성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두 개의 센서로서, 하나의 센서는 상기 사출 성형기의 고정 금형에 설치되고 나머지 센서는 상기 사출 성형기의 이동 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금형과 상기 이동 금형 사이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키넥트 센서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키넥트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키넥트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출 성형기(110), 키넥트 센서(130) 및 모니터링 장치(140)를 포함한다.
사출 성형기(110)는 프레임(111)과, 프레임(111) 상에 배치된 사출장치(113) 및 형체장치(115) 등으로 구성된다. 사출장치(113)는 가열 실린더, 호퍼, 상기 가열 실린더 내에서 진퇴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루, 상기 가열 실린더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가열 실린더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계량모터, 상기 스크류를 전진시켜 사출을 하는 사출모터 등의 장비들을 포함한다. 형체장치(115)는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금형 지지장치로서의 고정형판과, 상기 고정형판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고정금형에 대향하는 이동금형이 설치된 이동형판과, 그 이동형판을 이동시키는 토글 기구 및 모터 등의 장비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출 성형기(110)는 모니터링 장치(140)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키넥트 센서(130)는 깊이 카메라(131), 색상 카메라(132), 마이크로폰(133), 통신부(134)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35)를 포함한다. 키넥트 센서(130)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된 행동 분석 센서로서 주로 로봇이나 게임에 이용되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키넥트 센서(130)를 사출 성형기(110)의 모니터링에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넥트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깊이 카메라, 색상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며 통신 기능을 구비한 센서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깊이 카메라(131)는 물체의 깊이를 측정하는 카메라로서 깊이 정보를 측정하여 깊이 영상을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깊이 카메라(131)는 적외선 패턴에 의하여 깊이 정보를 측정하는 카메라이다. 깊이 카메라(131)는 적외선 송출부와 수신부로 구성되어 송출부에서 송출된 적외선이 물체에 맞고 반사되면, 수신부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여 물체의 깊이를 측정한다. 색상 카메라(132)는 통상의 RGB 카메라로서 물체의 색상 영상을 출력한다. 키넥트 센서(130)의 카메라(131, 132)들은 70도의 수평 화각과 60도의 수직 화각을 갖는다. 마이크로폰(133)은 음성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제어부(135)는 키넥트 센서(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카메라(131, 132)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마이크로폰(133)을 통해 수집된 음성의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부(134)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140)로 전송한다. 이러한 키넥트 센서(130)는 최대 6명의 사람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각 사람의 25 개의 관절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키넥트 센서(130)가 사출 성형기(110)의 금형장치 부분에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하나의 키넥트 센서(130)는 금형장치 중 고정 금형의 상단 부분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키넥트 센서(130)는 금형장치 중 이동 금형의 상단 부분에 설치된다. 따라서 두 개의 키넥트 센서(130)를 이용하여 금형장치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즉 사출 성형기(110)에서 원료 사출, 형개(금형 열림), 제품 취출 및 형폐(금형 닫힘) 등의 사출 공정 진행 과정에서의 금형을 촬영하여 금형 및 제품상태의 이상 여부와 금형에서의 제품 불량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넥트 센서(130)들이 금형장치에 설치되어 금형 내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설명하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모니터링이 필요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40)는 상기 키넥트 센서(130)들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가공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제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마이크로폰(133)에 의해 수집된 오디오 데이터, 사출 성형기(11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제 영상은, 상기 키넥트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깊이 영상 및 색상 영상을 기초로 가공되어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으로서 깊이 영상과 색상 영상 중 어느 하나만을 표시할 수 있고 또는 깊이 영상과 색상 영상을 구분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깊이 영상과 색상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3D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제 영상에는 사출 성형기(110)를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모니터링 대상인 사출 성형기(110)를 표시하며 이벤트가 발생한 부분에 알람 등이 표시될 수 있는 종합 화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40)는 상기 색상 카메라(132) 및 상기 깊이 카메라(131)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 트래킹(motion tracking) 기능을 수행하고 모션 트래킹을 통해 특정 모션이 인식될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이벤트(event)를 발생시켜 상기 관제 영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금형장치의 고정 금형과 이동 금형 사이에 사람의 손이 들어가는 경우 이에 관한 알람을 관제 영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40)는 상기 색상 카메라(132)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40)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얼굴 이미지와 상기 색상 카메라(132)의 촬영 영상에서 인식된 얼굴을 비교하여 이에 관한 이벤트(event)를 발생시킨다. 예컨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얼굴이 인식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40)는 알람을 관제 영상에 출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40)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기(110)의 촬영 영상을 3D로 표현하여 상기 관제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깊이 카메라(131)에 의해 촬영된 깊이 영상과 색상 카메라(132)에 의해 촬영된 색상 영상을 이용하여 3D 영상을 상기 관제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출 성형기(110)가 복수 개인 경우, 모니터링 장치(140)는 관제 화면을 사출 성형기(110)의 개수만큼 분할하여 각 분할 영역마다 각 사출 성형기(110)의 관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40)는 이벤트별 안내 문구를 저장하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문구를 관제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40)는 모니터링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40)는 사출 성형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40)는 모션 트래킹 또는 얼굴 인식 등에 의해 이벤트 발생시 해당 이벤트에 따른 표준 작업 프로세스(SOP)에 따라 사출 성형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되지 않은 얼굴이 인식되는 경우 사출 성형기(110)의 안전문을 닫거나, 고정 금형과 이동 금형 사이에 사람의 손이 들어가는 경우 이동 금형의 이동을 정지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40)는 관제 영상에 표시된 사출 성형기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출 성형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140)는 메모리(210), 메모리 제어기(2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222), 주변 인터페이스(223), 입출력(I/O) 서브시스템(230), 디스플레이 장치(241), 입력 장치(242) 및 통신 회로(25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1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키넥트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사출 성형기의 식별정보, 이벤트별 안내 문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22)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 장치, 예를 들어 통신 회로(252)와,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SAN(Storage Area Network) 등,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 및 주변 인터페이스(223)와 같은 모니터링 장치(140)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210)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22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주변 인터페이스(223)는 모니터링 장치(140)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222) 및 메모리(210)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22)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모니터링 장치(14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인터페이스(223), 프로세서(222) 및 메모리 제어기(221)는 칩(220)과 같은 단일 칩 상에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O 서브시스템(230)은 디스플레이 장치(241) 및 입력 장치(242)와 같은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2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4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241)는 용량형, 저항형, 적외선형 등의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모니터링 장치(14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한다.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터치 감지면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41)는 키넥트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성된 관제 영상을 3D로 표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41)는 사출 성형기(110)가 복수 개인 경우, 화면을 사출 성형기(110)의 개수만큼 분할하여 각 분할 영역마다 각 사출 성형기(110)의 관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모니터링 장치(140)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21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140)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211), 그래픽 모듈(명령어 세트)(212) 및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관리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명령어 세트)(213)이 메모리(210)에 탑재(설치)된다.
운영 체제(211)는, 예를 들어, 다윈(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 안드로이드 등과 같은 내장 운영체제일 수 있고,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task)(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래픽 모듈(212)은 디스플레이 장치(241)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주지의 여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예컨대,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 디지털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함한다.
통신 회로(252)는 외부 장치, 즉 키넥트 센서(130) 및 사출 성형기(11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 회로(252)는 무선으로 신호 송수신시 전기 신호를 전자파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전자파를 통하여 키넥트 센서(130)와 통신한다. 통신 회로(252)는 유선으로 통신 신호의 송수신시 패킷 형태로 또는 광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을 통해 광 신호로 키넥트 센서(130) 및 사출 성형기(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252)는 예를 들어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시버,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오실레이터, 디지털 신호 처리기, CODEC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252)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으로 불리는 인터넷, 인트라넷과 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하여 키넥트 센서(130) 및 사출 성형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 프로그램(213)은 상기 통신 회로(252)를 통해 키넥트 센서(130)들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가공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3D 또는 2D 관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4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는 카메라(131, 132)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마이크로폰(133)에 의해 수집된 오디오 데이터, 사출 성형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프로그램(213)은 색상 카메라(132) 및 깊이 카메라(131)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 트래킹(motion tracking) 기능을 수행하고 모션 트래킹을 통해 특정 모션이 인식될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이벤트(event)를 발생시켜 디스플레이 장치(241)의 관제 영상에 출력한다. 예컨대 금형장치의 고정 금형과 이동 금형 사이에 사람의 손이 들어가는 경우 이에 관한 경고를 관제 영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프로그램(213)은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모니터링 프로그램(213)은 사출 성형기(110)가 복수 개인 경우, 관제 화면을 사출 성형기의 개수만큼 분할하여 각 분할 영역마다 각 사출 성형기(110)의 관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모니터링 프로그램(213)은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문구를 관제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프로그램(213)은 상기 색상 카메라(132) 및 상기 깊이 카메라(131)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40)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얼굴 이미지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인식된 얼굴을 비교하여 이에 관한 이벤트(event)를 발생시킨다. 예컨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얼굴이 인식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40)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프로그램(213)은 모션 트래킹 또는 얼굴 인식 등에 의해 이벤트 발생시 해당 이벤트에 따른 표준 작업 프로세스(SOP)에 따라 사출 성형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프로그램(213)은 관제 영상에 표시된 사출 성형기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출 성형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의 구성요소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 및 동작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비교하여 도 4에 도시된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동통신망(410) 및 관리자 단말(420)을 더 포함한다.
이동통신망(410)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MAX,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기타 다른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410)은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회선 교환망과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패킷 교환망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및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420)은 상기 이동통신망(410)에 접속하여 패킷 통신,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및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모니터링 장치(140)로부터 전송되는 알람 메시지 또는 관제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망(41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관리자 단말(420)은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 클라이언트와, 관제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40)는 키넥트 센서(130)들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분석 결과 이벤트 발생시 그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410)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420)로 전송한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40)는 상기 관리자 단말(420)이 상기 이동통신망(410)의 패킷 교환망을 통해 접속해 오면 상기 관리자 단말(420)로 관제 영상을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제실에 있지 않는 경우에도 휴대용 관리자 단말(420)을 통해 사출 성형기(110)의 사출 공정에 관한 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사출 성형기
130 : 키넥트 센서
140 : 모니터링 장치
131 : 깊이 카메라
132 : 색상 카메라
133 : 마이크로 폰
134 : 통신부

Claims (8)

  1. 사출 성형기에 설치되어 상기 사출 성형기를 촬영하여 깊이 영상 및 색상 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깊이 영상 및 상기 색상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관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깊이 영상 및 상기 색상 영상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 트래킹 기능을 수행하여 특정 모션이 인식될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상기 관제 영상에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색상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이에 관한 이벤트를 상기 관제 영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출 성형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깊이 영상 및 상기 색상 영상을 이용하여 3D 관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화면을 상기 사출 성형기의 개수만큼 분할하고 각 분할 화면에 서로 다른 사출 성형기의 관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집된 음성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두 개의 센서로서,
    하나의 센서는 상기 사출 성형기의 고정 금형에 설치되고 나머지 센서는 상기 사출 성형기의 이동 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금형과 상기 이동 금형 사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키넥트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40182698A 2014-12-17 2014-12-17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73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98A KR20160073858A (ko) 2014-12-17 2014-12-17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98A KR20160073858A (ko) 2014-12-17 2014-12-17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58A true KR20160073858A (ko) 2016-06-27

Family

ID=5634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698A KR20160073858A (ko) 2014-12-17 2014-12-17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8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311A1 (ko) * 2016-12-23 2018-06-28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원격관제시스템
EP3730276A1 (en) * 2019-02-26 2020-10-28 Covestro Deutschland AG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KR20230000512A (ko) * 2021-06-24 2023-01-03 (주)코러싱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99B1 (ko) 2004-12-09 2006-09-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기계식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99B1 (ko) 2004-12-09 2006-09-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기계식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311A1 (ko) * 2016-12-23 2018-06-28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원격관제시스템
EP3730276A1 (en) * 2019-02-26 2020-10-28 Covestro Deutschland AG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KR20230000512A (ko) * 2021-06-24 2023-01-03 (주)코러싱 마이크로 사출기, 마이크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214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inding with device
KR101794842B1 (ko) 이미지들을 캡처하는 것을 돕기 위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31424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EP3315268A1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KR20160073858A (ko) 사출 성형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US201700060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verifying permission
CN104244528A (zh) 智能灯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139576A (zh) 路况提示方法及装置
CN103763469A (zh) 模拟摄像机及其参数配置方法
CN105094009A (zh) 电源切断方法及装置
CN110689570A (zh) 虚拟形象直播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131802A (zh) 数据广播方法、数据广播装置和电子设备
EP3316582A1 (en) Multimedia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standardized server and live broadcast terminal
CN112005282A (zh) 混合现实设备的警报
US20170292650A1 (en) Configurable user detection system
CN104332037A (zh) 告警检测的方法及装置
US9465250B2 (en) Shutter glasses,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CN104952228B (zh) 防盗保护开启方法、装置及系统
KR101932791B1 (ko) 사출 성형기의 안전 시스템
WO2018047542A3 (en) Multi-camera system, camera, camera processing method, confirmation device, and confirmation device processing method
JP2017122948A (ja) 充電部接近監視システム、及び充電部接近監視方法
KR20150035335A (ko) 비상호출 및 다기능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모니터링 디브이알(dvr) 시스템
TWI652619B (zh) 應用於智慧型機器人的開機系統及其開機方法
JP2009182640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101972476B1 (ko) 사출 성형기의 안전 장치 및 사출 성형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