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827B1 -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4827B1 KR102504827B1 KR1020220130894A KR20220130894A KR102504827B1 KR 102504827 B1 KR102504827 B1 KR 102504827B1 KR 1020220130894 A KR1020220130894 A KR 1020220130894A KR 20220130894 A KR20220130894 A KR 20220130894A KR 102504827 B1 KR102504827 B1 KR 102504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 elastic concrete
- elastic member
- concrete
- w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81 Ethylene propyl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00 acrylic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3 anti-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9 isopr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48 polyfunctional cur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6 polymer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형성된 유간에 하측 일부분이 걸림되어 설치된 신축부재; 및 상기 신축부재 양측에 형성된 채움공간 각각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탄성콘크리트의 측면에 밀착된 기둥부; 한 쌍의 기둥부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부; 한 쌍의 기둥부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부; 및 상기 기둥부 측면에 하나 이상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콘크리트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유간과 채움공간이 형성되도록 슬래브 모서리 일부분을 제거하는 작업공간 형성단계; 상기 유간에 하면부 일부분이 걸림되도록 신축부재를 설치하는 신축부재 설치단계; 및 상기 탄성콘크리트 내측 공간에 날개부가 배치되도록 신축부재 양측에 형성된 채움공간에 각각 탄성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탄성콘크리트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유간과 채움공간이 형성되도록 슬래브 모서리 일부분을 제거하는 작업공간 형성단계; 상기 유간에 하면부 일부분이 걸림되도록 신축부재를 설치하는 신축부재 설치단계; 및 상기 탄성콘크리트 내측 공간에 날개부가 배치되도록 신축부재 양측에 형성된 채움공간에 각각 탄성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탄성콘크리트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슬래브 사이에 신축성이 우수한 신축부재가 구비되되, 슬래브 끝단 각각에 탄성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탄성콘크리트 사이에 상기 신축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탄성콘크리트와 신축부재의 우수한 결합력에 의해 신축성을 확보하고, 이에,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 등과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로 이루어진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조인트(틈새)는 차량의 주행통로 역할로 인해 하중을 직접 받는 위치에 해당하고, 그밖에 빗물, 햇빛 등과 같은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온도나 하중 등에 의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뿐만 아니라, 우수나 차량의 하중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부구조에 포함되는 상판(슬래브)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분할된 상판 사이에는 이들 상판을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를 구비하여 시공하여 상판의 계절적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대항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0-1053485호에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종래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은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신축이음장치가 구비되되, 플레이트 사이에 신축고무(R)를 삽입함으로써, 플레이트와 신축고무(R) 사이에 형성되는 유간 부분으로 방수성을 확보하여 누수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은 미리 신축된 신축고무를 삽입하여 신축이음장치가 수축 및 팽창하는 과정에서 신축성에 의해 유간 간격을 방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은 긍정적이나,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플레이트와 신축고무가 서로 맞닿아 면접촉되는 부분에서 탈락이 발생되어 신축고무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하면, 플레이트와 신축고무와의 결합력 저하로 인하여,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누수가 발생되는 등 신축고무의 탈락으로 인한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슬래브 사이에 신축성이 우수한 신축부재가 구비되되, 슬래브 끝단 각각에 탄성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탄성콘크리트 사이에 상기 신축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탄성콘크리트와 신축부재의 우수한 결합력에 의해 신축성을 확보하고, 이에,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형성된 유간에 탄성력을 갖는 신축부재의 하측 일부분이 걸림되도록 끼워넣은 후 상기 신축부재 양측에 탄성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함으로써, 시공 과정이 간소화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을을 절감시킬 수 있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채움공간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 내측 공간에 신축부재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가 배치되어 신축부재와 탄성콘크리트간 결합력을 향상시키되, 상기 날개부는 상측과 하측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됨에 따라, 탄성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관통공을 통과하여 채움공간에 차오르게 됨으로써, 채움공간 내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는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형성된 유간에 하측 일부분이 걸림되어 설치된 신축부재; 및 상기 신축부재 양측에 형성된 채움공간 각각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탄성콘크리트의 측면에 밀착된 기둥부; 한 쌍의 기둥부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부; 한 쌍의 기둥부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부; 및 상기 기둥부 측면에 하나 이상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콘크리트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유간과 채움공간이 형성되도록 슬래브 모서리 일부분을 제거하는 작업공간 형성단계; 상기 유간에 하면부 일부분이 걸림되도록 신축부재를 설치하는 신축부재 설치단계; 및 상기 탄성콘크리트 내측 공간에 날개부가 배치되도록 신축부재 양측에 형성된 채움공간에 각각 탄성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탄성콘크리트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슬래브 사이에 신축성이 우수한 신축부재가 구비되되, 슬래브 끝단 각각에 탄성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탄성콘크리트 사이에 상기 신축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탄성콘크리트와 신축부재의 우수한 결합력에 의해 신축성을 확보하고, 이에,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형성된 유간에 탄성력을 갖는 신축부재의 하측 일부분이 걸림되도록 끼워넣은 후 상기 신축부재 양측에 탄성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함으로써, 시공 과정이 간소화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을을 절감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움공간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 내측 공간에 신축부재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가 배치되어 신축부재와 탄성콘크리트간 결합력을 향상시키되, 상기 날개부는 상측과 하측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됨에 따라, 탄성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관통공을 통과하여 채움공간에 차오르게 됨으로써, 채움공간 내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에서 탄성콘크리트와 신축부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a)는 설치 전, (b)는 설치 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에서 신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중간 꼭지점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하면부의 하측면에 돌기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중간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리브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보조 날개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볼록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날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날개부가 복수로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에서 신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중간 꼭지점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하면부의 하측면에 돌기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중간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리브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보조 날개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볼록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날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날개부가 복수로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은 다수의 슬래브 사이에 신축성이 우수한 신축부재(200)가 구비되되, 슬래브 끝단 각각에 탄성콘크리트(100)를 타설하고, 탄성콘크리트(100) 사이에 상기 신축부재(200)가 구비됨에 따라, 탄성콘크리트(100)와 신축부재(200)의 우수한 결합력에 의해 신축성을 확보하고, 이에,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에서 탄성콘크리트와 신축부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a)는 설치 전, (b)는 설치 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에서 신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중간 꼭지점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하면부의 하측면에 돌기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는 다수의 슬래브가 서로 마주보는 측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신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탄성콘크리트(100) 및 신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슬래브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은 교량 등에 구비되는 구조물로,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구성에 한정되기 않고, 슬래브가 서로 마주보는 측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유간(10)과 채움공간(20)에 탄성콘크리트(100)와 신축부재(2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콘크리트(100)는 한 쌍의 슬래브 모서리에 형성된 채움공간(20) 각각에 타설되는 것으로, 유간(10)에 끼워지는 신축부재(200) 양측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의 (b)에서와 같이, 신축부재(200)에 구비되는 날개부(240)가 탄성콘크리트(100) 내측에 배치되도록 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탄성콘크리트(100)와 신축부재(200) 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콘크리트(100)는 탄성체로서 구조물의 심한 움직임, 비틀림, 부등침하, 지진과 같이 구조적 역학거동을 흡수하고,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차량 주행에 따른 반복되는 내충격이나 내진동 능력이 우수하여 균열, 갈라짐 등이 거의 발생되지 않고, 또한, 방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탄성콘크리트(100)는 신축성이 우수하여, 후술되는 신축부재(200)와 결합되어 한 쌍의 슬래브 사이를 연결함에 따라, 슬래브 사이의 유간(10) 간격이 변화되더라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함으로써, 탄성콘크리트(100)와 신축부재(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콘크리트(1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신축부재(2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콘크리트(100)는 폴리머 콘크리트(Polymer Concrete)의 일종으로서 Epoxy나 Polyur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주제(혹은 주재+경화제)와 골재(Aggregate)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주로 탄성콘크리트로 사용되는 제품은 Wabocrete II, Silspec 900, Delcrete, Pro-crete 등이 있다.
신축부재(200)는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형성된 유간(10)에 하측 일부분이 걸림되어 설치되며, 양측에 탄성콘크리트(100)가 타설되는 것으로, 기둥부(210), 상면부(220), 하면부(230) 및 날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신축부재(200)는 신축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아크릴니트릴부타젠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부타젠 고무, 스티렌 부타젠 고무, 아크릴 고무 등의 합성고무의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접착성, 내후성, 신축성, 가공성, 내유성 및 변형추종성이 우수한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축부재(2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면측과 배면측이 연통되도록 내측에 중공부를 가지며, 상,하측으로 긴 형태의 기둥부(210)와 상기 기둥부(210)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부(220) 및 상기 기둥부(210)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부(230)로 이루어지고, 날개부(240)는 상기 기둥부(210)의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둥부(210), 상면부(220), 하면부(230) 및 날개부(240)로 구성된 신축부재(20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조과정에서 일체형으로 압출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장축 길이를 갖도록 제조되어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기둥부(210)는 도 1의 (b)에서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신축부재(200) 양측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의 측면에 밀착된다.
상면부(220)는 한 쌍의 기둥부(210) 상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꺾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면부(220)는 상측과 하측으로 볼록하고 오목한 형상이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되, 기둥부(210)와 상면부(220)가 접하는 상측으로 볼록한 부분은 상단 꼭지점(221)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볼록한 부분은 하단 꼭지점(2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그재그 형태의 상면부(220)는 한 쌍의 슬래브가 좌,우로 신축하는 과정에서 탄성콘크리트(100)와 함께 신축되어 유연하게 대응함으로써, 한 쌍의 슬래브를 연결하는 탄성콘크리트(100) 및 신축부재(200)가 유연한 움직임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면부(22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측과 하측으로 볼록하고 오목한 형상이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측으로 볼록한 부분에 중간 꼭지점(223)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210)와 상면부(220)를 연결하는 상단 부분은 상단 꼭지점(221)이 형성되고, 상,하측으로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에 의해 상단 꼭지점(221)과 하단 꼭지점(222)을 제외한 나머지 상측으로 볼록한 부분에 중간 꼭지점(2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신축부재(200)를 제조함에 있어, 상면부(220)가 다수회 반복된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슬래브 사이의 간격, 즉, 유간(10)의 좌,우폭이 넓은 경우 사용되거나 또는 보다 강한 신축력을 요하는 구조물에 시공되는 경우,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간 꼭지점(223)은 상단 꼭지점(221)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꼭지점(221)과 중간 꼭지점(223)은 약 h의 높이차가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높이 h는 특정한 수치로 한정되지 않으나, 상단 꼭지점(221)과 하단 꼭지점(222)의 높이차 보다 작은 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차량 등이 신축부재(200)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슬래브 노면보다 중간 꼭지점(223)의 높이가 낮게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바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간 꼭지점(223)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우수한 신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면부(230)는 한 쌍의 기둥부(210) 하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꺾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면부(230)는 하측으로 꺾여진 형태에 의해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형성된 유간(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하면부(230) 일부분이 모서리에 걸림되어 유간(10) 하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걸쳐진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하면부(2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굴곡점(231)이 구비되어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굴곡점(231)은 하면부(230)가 하측으로 볼록 한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면부(230) 일부분이 유간(10)에 걸림되면, 상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하나 이상의 굴곡점(231)은 하면부(230)가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특징에 의해 하면부(230)가 휘어지더라도 하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유도하여 유간(10)에 하면부(230) 일부분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유간(10) 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하면부(23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면부(230) 하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기(232)가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 개의 돌기(232)는 유간(10)에 하면부(230) 일부분이 삽입되면, 유간(10)과 채움공간(20)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21)에 걸림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신축부재(200)가 유간(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신축부재(200)의 좌,우측면을 가압한 후 유간(10)에 삽입하되, 다수 개의 돌기(232) 중 양측에 대칭되도록 위치한 한 쌍의 돌기(232)는 각각 슬래브 모서리에 걸림됨으로써, 신축부재(200)가 유간(10) 하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좌,우측으로 대칭된 형태의 돌기(232)가 각각 슬래브 모서리에 걸림됨으로써, 신축부재(200)의 편심이 발생되지 않고, 지면과 수직인 형태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날개부(240)는 기둥부(210) 측면에 하나 이상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콘크리트(100)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날개부(240)는 채움공간(20)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와 신축부재(200) 간 결합력을 향상시켜 별도의 철근이나 결합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탄성콘크리트(100)와 더불어 신축부재(200)가 함께 우수한 신축성을 갖도록 한다.
이때, 날개부(24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관통공(241)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241)은 유간(10)에 신축부재(200)가 삽입된 후, 채움공간(20)에 탄성콘크리트(100)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상기 채움공간(20)의 바다면부터 차오르는 탄성콘크리트(100)는 상기 관통공(241)을 통과하여 날개부(240) 상측으로 채워지게 된다.
즉 날개부(240) 하측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가 충만되도록 하여 공극을 최소화하고, 채움공간(20) 내에 탄성콘크리트(100)가 완전하게 메워질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중간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기둥부(210)와 하면부(230)가 접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부(250)는 기둥부(210)와 하면부(230)가 접하는 부분을 연결하여 기둥부(210)와 하면부(230)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고,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돠 같이, 상면부(220)와 대칭인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져 신축성을 향상시킨다.
상세하게는, 도 6의 (a)에서와 같이, 상단 꼭지점(221)과 하단 꼭지점(222)으로 구성된 신축부재(200)의 기둥부(210)와 하면부(230)가 접하는 부분을 연결하되, 하나의 중간부 꼭지점(25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상단 꼭지점(221), 하단 꼭지점(222) 및 중간 꼭지점(223)으로 구성된 신축부재(200)의 기둥부(210)와 하면부(230)가 접하는 부분을 연결하되, 다수 개 형성되는 하단 꼭지점(222)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중간부 꼭지점(251)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상단 꼭지점(221), 하단 꼭지점(222), 중간 꼭지점(223) 및 중간부 꼭지점(251)이 각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신축부재(2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각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모서리 부분의 두께 증가로 인하여 상기 모서리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신축부재(200)의 신축은 모서리부분에서가 아닌 지그재그 형태의 상면부(220) 및 중간부(250) 자체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구성과 신축성이 우수한 신축부재(2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리브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때, 상면부(220)와 중간부(250)를 연결하는 리브(2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252)는 상면부(220)의 하단 꼭지점(222)과 상기 상면부(220)와 대칭으로 구성된 중간부(250)의 중간부 꼭지점(251)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7의 (a)에서와 같이, 상단 꼭지점(221)과 하단 꼭지점(222)으로 구성된 신축부재(200)의 하단 꼭지점(222)과 중간부(250)의 중간부 꼭지점(251)을 연결하도록 하나의 리브(252)가 구성되거나 또는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단 꼭지점(221), 하단 꼭지점(222) 및 중간 꼭지점(223)으로 구성된 신축부재(200)의 하단 꼭지점 다수 개와 중간부(250)의 중간부 꼭지점(251) 다수개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브(252)는 상면부(220)와 중간부(25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여 신축부재(200)의 신축력을 향상시키고, 신축부재(200) 자체의 우수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브(252)는 신축부재(200) 내측 공간에 형성된 중공부를 구획하는 격벽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신축부재(200)의 정면측과 배면측을 마감하게되면, 상기 중공부는 밀폐된 상태가 되고, 리브(252)에 의해 다수 개로 구획된 중공부 각각은 팽창된 상태가 유지되어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졌을 때 이를 유연하게 흡수하고, 우수한 복원력을 확보하여 외부 압력에 의해 찌그러진 신축부재(200)를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보조 날개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날개부(24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둥부(210)와 날개부(240)의 상측 및 기둥부(210)와 날개부(240)의 하측을 연결하는 보조 날개부(2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날개부(242)는 기둥부(210)의 측면과 날개부(24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 사이가 각진 형태로 이루어져 채움공간(20)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가 채워지지 못하고, 공극이 형성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210) 측면과 날개부(240)의 상측면 및 하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경사진 면을 형성함으로써, 타설되는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보조 날개부(242)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보조 날개부(242)가 날개부(24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날개부(240)의 하측에만 구성될 수 있다.
즉 보조 날개부(242)는 기둥부(210)의 측면과 날개부(240) 하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채움공간(20)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가 상기 채움공간(20)의 바닥면부터 차오르는 과정에서 보조 날개부(242)에 의해 기둥부(210)의 측면과 날개부(240) 하측면 사이에 채워지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볼록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날개부(240)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부(243)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볼록부(243)는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채움공간(20)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날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날개부(2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210)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채움공간(20)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의 타설량이나 채움공간(20)이 형성되는 높이, 좌,우 폭 등 다양한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날개부(240)가 탄성콘크리트(100)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0에는 날개부(240)가 기둥부(210) 측면에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날개부가 복수로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날개부(2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210)의 측면에 다수 개가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와 같이, 기둥부(210) 측면에는 한 쌍의 날개부(240)가 상,하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으로 구성되는 날개부(240)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구비되는 날개부(240)의 좌,우측 길이는 짧고, 하측에 구비되는 날개부(240)의 좌,우측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측에 구비되는 날개부(240)의 길이가 길고, 하측에 구비되는 날개부(240)의 길이가 짧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기둥부(210) 측면에 날개부(24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날개부(240)는 상기 기둥부(210)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측과 하측 각각에 구비된 날개부(240)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 즉 한 쌍의 날개부(240)가 모두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측과 하측 각각에 구비된 날개부(24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하면, 상측에 구비된 날개부(240)는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하측에 구비된 날개부(240)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측에 구비된 날개부(240)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하측에 구비된 날개부(240)는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신축부재(200)의 상단에 지지면을 보강하기 위한 지지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60)는 도 12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둥부(210)와 상면부(220) 상측면 사이에 구비되되, 신축부재(200)의 상단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신축부재(200)의 상단면 면적을 증가시켜 차량 등이 신축부재(200)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지지부(260)에 의해 넓어진 신축부재(200)의 상단면을 지지함으로써, 신축부재(200)가 보다 견고하게 차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 6의 (a)에서와 같이, 신축부재(200)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된 지지부(260)에 의해 사이 간격(좌,우 폭)이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60)는 도 12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둥부(210)와 상면부(220) 상측면 사이에 구비되고, 중간 꼭지점(223)이 형성되는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기둥부(210)와 상면부(220) 상측면 사이에 구비된 지지부(260)와 중간 꼭지점(223) 측면에 형성된 지지부(260) 사이의 간격(좌,우 폭)이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지지력과 신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2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은 작업공간 형성단계(S10), 신축부재 설치단계(S20) 및 탄성콘크리트 형성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업공간 형성단계(S10)는 교체를 위한 기존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거하거나 또는 신설되는 건축물에서 탄성콘크리트(100)와 신축부재(20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로, 첨부된 도 1의 (a)에서와 같이, 한 쌍의 슬래브 사이의 모서리 부분을 각각 제거하여 유간(10) 및 채움공간(20)이 노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작업공간 형성단계(S10)는 아스팔트 컷터(CUTTER)기, 파괴함마나 함마드릴 또는 굴삭기(상표명 : 포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유간(10)과 채움공간(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공간 형성단계(S10)는 유간(10) 및 채움공간(20)이 형성되면, 노출된 노면을 정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슬래브 노면에 존재하는 흙, 부스러기, 먼지 및 레이턴스 등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리함으로써, 노면이 충분이 청소되지 않을 경우, 상기 노면과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와의 효과적인 접착력을 기대하기 어려워 작은 충격에도 균열 및 탈락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노면을 깨끗하게 정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신축부재 설치단계(S20)는 유간(10)에 신축부재(200)의 하면부(230) 일부분이 걸림되도록 끼워넣어 상기 신축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신축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하면부(230) 측면이 유간(1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걸림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굴곡점(231)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하면부(230)는 상측으로 꺾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간(10)에 신축부재(200)가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신축부재(200)의 탄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축부재(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날개부(240)는 탄성콘크리트(100)가 타설되기 위한 채움공간(20)에 위치하도록 한다.
탄성콘크리트 형성단계(S30)는 상기 신축부재 설치단계(S20)에서 설치된 신축부재(200) 양측에 형성된 채움공간(20)에 각각 탄성콘크리트(100)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신축부재의 시공이 완료되도록 마감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탄성콘크리트(100)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신축부재(200) 양측에 각각 구비된 날개부(240)는 탄성콘크리트(100) 내측 공간에 배치되도록 타설이 이루어지고, 이때, 신축부재(200)와 날개부(240)가 연결되는 하측 공간에 탄성콘크리트(100)가 완전하게 메워질 수 있도록 날개부(240) 하측으로는 탄성콘크리트(100)의 타설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날개부(240) 상측으로 상대적으로 탄성콘크리트(100)의 타설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신축부재(200)와 날개부(240) 하측 공간 사이에 탄성콘크리트(100)가 완전하게 메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수분 침투를 방지하고, 견고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탄성콘크리트 형성단계(S30)는 채움공간(20)에 탄성콘크리트(100)를 타설하기 전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채움공간(20)이 형성되는 슬래브 노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접착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와 슬래브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접착층은 수지계 프라미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접착층은 상기 신축부재 설치단계(S20)에서 설치된 신축부재(200)의 외측면에서 도포되어 탄성콘크리트(100)와의 접착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축 길이를 갖는 신축부재(20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신축부재(200)의 내측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는 정면측과 배면측을 마감하는 마감재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재 설치단계는 신축부재(200)의 기둥부(210), 상면부(220) 및 하면부(230)에 대응되는 외곽선을 갖되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신축부재(200)의 정면측과 배면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신축부재(200)의 내측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또는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은 다수의 슬래브 사이에 신축성이 우수한 신축부재(200)가 구비되되, 슬래브 끝단 각각에 탄성콘크리트(100)를 타설하고, 탄성콘크리트(100) 사이에 상기 신축부재(200)가 구비됨에 따라, 탄성콘크리트(100)와 신축부재(200)의 우수한 결합력에 의해 신축성을 확보하고, 이에,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형성된 유간(10)에 탄성력을 갖는 신축부재(200)의 하측 일부분이 걸림되도록 끼워넣은 후 상기 신축부재(200) 양측에 탄성콘크리트(100)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함으로써, 시공 과정이 간소화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을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채움공간(20)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 내측 공간에 신축부재(200)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240)가 배치되어 신축부재(200)와 탄성콘크리트(100)간 결합력을 향상시키되, 상기 날개부(240)는 상측과 하측으로 관통된 관통공(241)이 하나 이상 형성됨에 따라, 탄성콘크리트(100)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관통공(241)을 통과하여 채움공간(20)에 차오르게 됨으로써, 채움공간(20) 내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유간 20 : 채움공간
21 : 모서리
100 : 탄성콘크리트
200 : 신축부재 210 : 기둥부
220 : 상면부 221 : 상단 꼭지점
222 : 하단 꼭지점 223 : 중간 꼭지점
230 : 하면부 231 : 굴곡점
232 : 돌기 240 : 날개부
241 : 관통공 242 : 보조 날개부
243 : 볼록부 250 : 중간부
251 : 중간부 꼭지점 252 : 리브
260 : 지지부
21 : 모서리
100 : 탄성콘크리트
200 : 신축부재 210 : 기둥부
220 : 상면부 221 : 상단 꼭지점
222 : 하단 꼭지점 223 : 중간 꼭지점
230 : 하면부 231 : 굴곡점
232 : 돌기 240 : 날개부
241 : 관통공 242 : 보조 날개부
243 : 볼록부 250 : 중간부
251 : 중간부 꼭지점 252 : 리브
260 : 지지부
Claims (12)
-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형성된 유간(10)에 하측 일부분이 걸림되어 설치된 신축부재(200); 및
상기 신축부재(200) 양측에 형성된 채움공간(20) 각각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신축부재(200)는
상기 탄성콘크리트(100)의 측면에 밀착된 기둥부(210);
한 쌍의 기둥부(210)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부(220);
한 쌍의 기둥부(210)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부(230);
상기 기둥부(210) 측면에 하나 이상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콘크리트(100)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날개부(240); 및
상기 기둥부(210)와 하면부(230)가 접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면부(220)는
상측과 하측으로 볼록하고 오목한 형상이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부(210)와 상면부(220)가 접하는 상측으로 볼록한 부분에 형성되는 상단 꼭지점(221); 및
하측으로 볼록한 부분에 형성되는 하단 꼭지점(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간부(250)는
상기 상면부(220)와 대칭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측으로 볼록한 부분에 형성되는 중간부 꼭지점(2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230)는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꺾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나 이상의 굴곡점(231)이 구비되어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230) 하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기(232)가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된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돌기(232)는
상기 유간(10)에 하면부(230) 일부분이 삽입되면, 유간(10)과 채움공간(20)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21)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 꼭지점(222)과 중간부 꼭지점(251)을 연결하는 리브(2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220)는
상측으로 볼록한 부분에 형성되는 중간 꼭지점(22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중간 꼭지점(223)은
상기 상단 꼭지점(221)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40)는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관통공(241);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40)는
상기 기둥부(210)와 날개부(240)의 상측 및 기둥부(210)와 날개부(240)의 하측을 연결하는 보조 날개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 날개부(242)의 외주면은 경사지 형태 또는 라운드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40)는
상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볼록부(243);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40)는
상기 기둥부(210) 측면에 직각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 청구항 1, 2, 3, 6, 7, 8, 9, 10, 11 중 선택된 한 항에 기재된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유간(10)과 채움공간(20)이 형성되도록 슬래브 모서리 일부분을 제거하는 작업공간 형성단계(S10);
상기 유간(10)에 하면부(230) 일부분이 걸림되도록 신축부재(200)를 설치하는 신축부재 설치단계(S20); 및
상기 탄성콘크리트(100) 내측 공간에 날개부(240)가 배치되도록 신축부재(200) 양측에 형성된 채움공간(20)에 각각 탄성콘크리트(100)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탄성콘크리트 형성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0894A KR102504827B1 (ko) | 2022-10-12 | 2022-10-12 |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0894A KR102504827B1 (ko) | 2022-10-12 | 2022-10-12 |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4827B1 true KR102504827B1 (ko) | 2023-02-28 |
Family
ID=8532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0894A KR102504827B1 (ko) | 2022-10-12 | 2022-10-12 |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482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50133A (ja) * | 2002-10-30 | 2004-05-27 | Tokai Rubber Ind Ltd | コンクリート舗装用の伸縮目地材 |
KR200403801Y1 (ko) * | 2005-09-22 | 2005-12-14 | 데구사건설화학코리아 주식회사 | 혼성 신축이음장치 |
KR101053485B1 (ko) | 2011-04-05 | 2011-08-03 | 이경진 |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
KR20170082318A (ko) * | 2016-01-06 | 2017-07-14 | 이원숙 |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2022
- 2022-10-12 KR KR1020220130894A patent/KR102504827B1/ko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50133A (ja) * | 2002-10-30 | 2004-05-27 | Tokai Rubber Ind Ltd | コンクリート舗装用の伸縮目地材 |
KR200403801Y1 (ko) * | 2005-09-22 | 2005-12-14 | 데구사건설화학코리아 주식회사 | 혼성 신축이음장치 |
KR101053485B1 (ko) | 2011-04-05 | 2011-08-03 | 이경진 |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
KR20170082318A (ko) * | 2016-01-06 | 2017-07-14 | 이원숙 |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8773B1 (ko) | 탄성폼프리캐스트 조인트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신축이음 급속 시공방법 | |
KR20170082318A (ko) |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52963B1 (ko) | 탄성 보강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보수 공법 | |
KR101256494B1 (ko) | 천정부 및 종방향 결합부 접합성능이 증진된 프리캐스트 터널구조물 시공방법 | |
KR200403801Y1 (ko) | 혼성 신축이음장치 | |
KR102504827B1 (ko) | 탄성콘크리트 일체형 신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시공방법 | |
KR101641050B1 (ko) | 바닥용 배수판 | |
KR20190112451A (ko) | 탄성보강재를 이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신축이음 시공방법 | |
KR100427908B1 (ko) |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 |
US4131382A (en) | Expansion joints | |
KR100736858B1 (ko) |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 |
KR100622008B1 (ko) |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 |
JP2920104B2 (ja) | 継手補修工法 | |
KR101385991B1 (ko) | 신축이음장치용 신축성 마감부재 유닛, 그 마감부재 유닛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그 신축이음장치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 |
JP3328802B2 (ja) |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 |
KR101883035B1 (ko) | 바닥용 배수판 | |
KR101560189B1 (ko) |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 |
JP4222447B2 (ja) | 伸縮継手の構造及び該伸縮継手工法 | |
KR102180151B1 (ko) | 성형 줄눈재 시공세트 및 이를 이용한 줄눈 시공방법 | |
CN210766372U (zh) | 一种填埋式桥梁伸缩装置 | |
JP3789412B2 (ja) | 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用の埋設継手及び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 | |
KR200280748Y1 (ko) |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장치 | |
KR100600500B1 (ko) | 암거 가설용 튜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암거 시공방법 | |
KR200202336Y1 (ko) | 신축이음용 배수커플링 | |
KR100995060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