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963B1 - 전기 접속 부품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963B1
KR102503963B1 KR1020210033464A KR20210033464A KR102503963B1 KR 102503963 B1 KR102503963 B1 KR 102503963B1 KR 1020210033464 A KR1020210033464 A KR 1020210033464A KR 20210033464 A KR20210033464 A KR 20210033464A KR 102503963 B1 KR102503963 B1 KR 10250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fitting
conductor
bus bar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963B9 (ko
KR20210117181A (ko
Inventor
야마모토 히로타카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963B1/ko
Publication of KR10250396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96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f conductive member or for holding it in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3Insulating enclosure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4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head of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전기 접속 부품은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가 압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중공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그 내부에 상기 도전체가 압입 방향으로 압입되는 피압입부, 및 상기 피압입부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는 도전체의 피압입부 내로의 압입이 시작될 때의 시점으로부터 압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시점까지, 상기 도전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입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전기 접속 부품{ELECTRICAL CONNECTION COMPONENT}
본 발명은 도전체가 하우징 내에 압입되는 전기 접속 부품에 관한 것이다.
관련 분야에서는, 버스 바아(bus bar)와 같은 도전체가 수지 하우징에 고정되는 전기 접속 부품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전기 접속 부품은, 예를 들어 차량 등에 전력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이른바 단자 블록(terminal block)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 분야의 전기 접속 부품들 중 하나는 수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금속 버스 바아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JP-A-2011-176928호 참조).
버스 바아가 하우징에 고정될 때, 상기 버스 바아의 일부는 하우징에 제공된 관통 구멍 등 내에 압입될 수 있다. 이러한 압입이 수행되었을 때, 버스 바아에 가해지는 압입을 위한 외력의 방향이 적절하지 않다면, 상기 버스 바아의 만곡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예를 들어 압입 후 외부 단자가 버스 바아에 부착되었을 때(예를 들어, 볼트 체결 등이 수행되었을 때), 본래의 부착 위치로부터 버스 바아의 위치 변위로 인한 것이며, 이는 부착 작업의 작업성의 감소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 바아 이외의 도전체가 하우징 내에 압입되었을 때도, 동일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하우징 내에 압입된 도전체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가능한 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전체가 압입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될 때, 도전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접속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가 압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중공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그 내부로 상기 도전체가 압입 방향으로 압입되는 피압입부(press-fitted portion); 및 상기 피압입부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는 규제부(restriction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는 도전체의 피압입부 내로의 압입이 시작될 때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압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시점까지, 상기 도전체의 적어도 일부가 압입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는, 전기 접속 부품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도전체가 압입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될 때, 상기 도전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접속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위에서 간략히 기재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 사항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재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접속 부품, 다수의 전선의 단부에 각각 제공되는 다수의 단자, 및 상대측 커넥터(mating connector)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버스 바아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 부품의 평면도이다(너트를 나타내기 위해, 다수의 버스 바아들 중 하나가 시프트되었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 부품을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그러나 버스 바아가 도시되지는 않았다).
도 6은 거리(a)와 거리(b) 사이의 크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버스 바아의 하우징 내로의 압입이 시작될 때의 시점에서, 버스 바아와 하우징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부품(1)이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 부품(1)은, 단자(6)가 고정되어 소정의 회로에 도통되는 릴레이 커넥터(relay connector)로서 사용되며,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단자 블록으로서 지칭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 접속 부품(1)은 이하에 "단자 블록(1)"으로도 지칭된다. 상기 단자 블록(1)은 전형적으로 차량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 시스템 회로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단자 블록(1)은, 다양한 전기 부품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전선(7)의 단부에 각각 제공되는 다수의 단자(6)와, 상대측 커넥터(8)를 버스 바아(4)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자(6)는 원형의 평판 형상을 갖는 이른바 아이글래스 단자(eyeglass terminal)이며, 상기 단자(6)의 중앙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의 편의 상 "전후 방향", "폭 방향", "상하 방향",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를 정의한다. 상기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상기 전후 방향은 단자 블록(1)과 상대측 커넥터(8)의 연결 방향과 일치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블록(1)은 수지 하우징(2), 상기 하우징(2)에 제공된 다수의 압입 홈(27)(도 3 및 4 참조) 내에 압입된 다수의 금속 너트(3), 상기 하우징(2)에 제공된 다수의 버스 바아 수용부(22)(도 1 내지 3 그리고 도 5 참조)에 수용되는 다수의 버스 바아(4)를 포함한다. 이하에, 단자 블록(1)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순서대로 기재될 것이다.
먼저, 너트(3)가 기재될 것이다. 상기 너트(3)는, 단자(6)가 단자 블록(1)의 버스 바아(4)에 체결 및 고정되었을 때 사용되는 부품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너트(3)는 주조, 단조 등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 부품이다. 도 2 내지 3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3)는 너트(3)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윤곽 형상을 가지며, 상기 너트(3)의 중앙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 체결 구멍(3a)(암나사)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 체결 구멍(3a)에는, 볼트(5)(도 1 참조)의 축 부분(51)(수나사)이 부착된다.
그 다음에, 버스 바아(4)가 기재될 것이다. 상기 버스 바아(4)는 단자(6)와 상대측 커넥터(8)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기능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바아(4)는 광폭부(11), 암형 단자부(12), 및 상기 광폭부(11)와 암형 단자부(12)를 연결하는 압입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 바아(4)는 금속판 상에 프레스 공정, 벤딩(bending) 공정 등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암형 단자부(12) 및 압입부(13)의 폭 치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광폭부(11)의 폭 치수는 암형 단자부(12) 및 압입부(13)의 폭 치수보다 크다.
상기 광폭부(11)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폭부(11)의 소정의 위치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광폭부(11)는 단자(6)가 위치되어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볼트(5)의 축 부분(51)은 상기 관통 구멍(14) 내에 삽입된다.
상기 암형 단자부(12)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직사각형 관형 형상을 갖는다. 암형 단자부(12)는 상대측 커넥터(8)에 속하는 상대측 단자(수형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압입부(1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형 평판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암형 단자부(12)의 바닥 벽부(하부측 상에 위치되는 직사각형 관형 형상의 평판형 부분)와 광폭부(11)를, 전후 방향으로 단차 없이 연결하고 있다. 상기 압입부(13)의 양 단면 상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15)가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아(4)가 하우징(2)의 후술하는 관통 구멍(26)(도 1 참조)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15)는 관통 구멍(26)의 내벽면과 압접하여, 버스 바아(4)를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이런 예에서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자 블록(1)에 대해 3개의 버스 바아(4)가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3개의 버스 바아(4)는, 광폭부(11)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4)의 위치, 및 상기 버스 바아(4)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압입부(13)가 연결되는 폭 방향의 광폭부(11)의 위치가 상이하다.
그 다음에, 하우징(2)이 기재될 것이다. 하우징(2)은 수지 성형품이며, 그리고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본체부(21)를 포함한다. 상기 3개의 버스 바아(4)를 수용하기 위한 3개의 버스 바아 수용부(22)는, 상기 본체부(21)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나란히 오목하다. 각각의 버스 바아 수용부(22)는, 하방으로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또한 후방 및 상방으로는 개방되어 있는, 직사각형 오목부이다.
폭 방향으로 내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브(23)는, 각각의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2개의 폭 방향 가장자리를 정의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다(도 1 내지 5 참조). 그 결과, 도 2와 그리고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한 쌍의 측벽의 내측면 상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홈(24)이, 상기 한 쌍의 리브(23)와 상기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바닥면(하면) 사이에 정의된다. 상기 버스 바아(4)가 버스 바아 수용부(22A)에 수용될 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스 바아(4)의 광폭부(11)의 한 쌍의 측부 가장자리부가, 한 쌍의 홈(24) 내에 삽입된다.
3개의 커넥터부(25)는 3개의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전방 가장자리를 형성하기 위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벽(22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3개의 버스 바아 수용부(22)에 대응하는 폭 방향으로 나란히 된다. 상기 단자 블록(1)과 상대측 커넥터(8)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3개의 커넥터부(25)는 상대측 커넥터(8)의 후단면에 형성된 3개의 커넥터 수용 구멍(도시되지 않음) 내에 삽입된다.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6)은, 각각의 커넥터부(25)의 내부에 형성된다(도 1 내지 5 참조). 각각의 커넥터부(25)의 관통 구멍(26)은 대응의 버스 바아 수용부(22)와 전후 방향으로 연통하며, 상기 관통 구멍(26)의 바닥면(하면)은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바닥면과 단차 없이 연속된다. 버스 바아(4)가 상기 버스 바아 수용부(22)에 수용되었을 때, 버스 바아(4)의 암형 단자부(12) 및 압입부(13)가 관통 구멍(26) 내에 삽입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바닥면에는, 너트(3)를 압입하기 위한 압입 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입 홈(27) 내에 압입된 너트(3)의 볼트 체결 구멍(3a) 및 상기 버스 바아 수용부(22)에 위치된 버스 바아(4)의 관통 구멍(14)이 동축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각각의 압입 홈(27)은 대응의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바닥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각각의 압입 홈(27)은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너트(3)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윤곽 형상을 가지며(도 2 내지 3 그리고 도 5 참조), 4개의 내부 측면 및 내부 바닥면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고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이다. 상기 볼트(5)의 축 부분(51)의 선단부의 진입을 허용하기 위한 간극 홈(28)은,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부 바닥면의 중앙 위치에 하방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된다(도 4 참조). 너트(3)가 압입 홈(27) 내에 압입될 때, 상기 너트(3)는 압입 홈(27)에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을 부착 대상(예를 들어, 차량)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한 쌍의 부착부(29)는, 폭 방향으로 양 측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본체부(21)의 양 단면에 폭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부착부(29)에는, 원통형의 금속 칼라(30)가 부착된다. 한 쌍의 칼라(30) 내에 삽입된 한 쌍의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부착 대상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이에 의해 단자 블록(1)이 부착 대상에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전방 벽(22a)으로부터 상기 리브(23)의 후단부(23a)까지의 전후 방향의 거리(b)는, 버스 바아(4)에 있어서 상기 돌기(15)로부터 광폭부(11)의 전단부(11a)까지의 전후 방향으로의 거리(a)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 보다 크다(b ≥ a). 상기 거리(a)와 거리(b) 사이의 크기 관계(b ≥ a)로 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상기 단자 블록(1)을 구성하는 부품이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 다음에, 상기 단자 블록(1)을 조립하기 위한 공정이 기재될 것이다. 먼저, 너트(3)가 하우징(2)의 각각의 압입 홈(27) 내에 압입된다. 이런 압입은, 너트(3)의 바닥면이 상기 압입 홈(27)의 내부 바닥면과 접촉할 때까지, 계속 실시된다(도 4 참조).
상기 너트(3)의 각각의 압입 홈(27) 내로의 압입이 완료된 후, 대응의 버스 바아(4)가 하우징(2)의 각각의 버스 바아 수용부(22)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버스 바아(4)의 광폭부(11)가 본체부(2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그리고 상기 버스 바아(4)의 암형 단자부(12) 및 압입부(13)가 상기 압입 홈(27) 내에 압입된 너트(3)를 덮도록, 상기 버스 바아(4)는 버스 바아(4)가 상기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바닥면에 위치된 상태로부터 본체부(21) 내로 전방으로 가압된다.
상기 버스 바아(4)가 전방으로 가압되었을 때, 버스 바아(4)는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바닥면을 문지르면서 전방으로 미끄러지며, 상기 암형 단자부(12) 및 압입부(13)가 이 순서대로 커넥터부(25)의 관통 구멍(26) 내에 삽입되며, 상기 광폭부(11)의 한 쌍의 측부 가장자리부가 상기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한 쌍의 홈(24) 내에 삽입된다.
상기 압입부(13)의 관통 구멍(26) 내로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부(13)의 한 쌍의 돌기(15)가 상기 관통 구멍(26)의 후단부(26a)에 도달한 후에는, 상기 한 쌍의 돌기(15)가 관통 구멍(26)의 내벽면과 압접하면서 문지른다. 즉, 한 쌍의 돌기(15)가 관통 구멍(26)의 후단부(26a)에 위치될 때의 시점은, 버스 바아(4)의 관통 구멍(26)[커넥터부(25)] 내로의 압입이 시작될 때의 시점이다.
압입 개시 시점[즉, 상기 한 쌍의 돌기(15)가 관통 구멍(26)의 후단부(26a)에 위치되었을 때의 시점]에서, 버스 바아(4)의 광폭부(11)의 한 쌍의 측부 가장자리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거리(a)와 거리(b) 사이의 크기 관계(b ≥ a, 도 6 참조)로 인해, 이미 상기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한 쌍의 리브(23)에 의해 유지되고 덮여 있다.
이에 따라, 버스 바아(4)를 압입하기 위해 버스 바아(4)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이 적절하지 않을 때라도(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이 전방 방향에 대해 미세하게 경사졌을 때라도), 버스 바아(4)의 자세는 본래의 압입 자세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적다. 이에 따라, 이러한 경우라도, 버스 바아(4)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버스 바아(4)의 전형적인 변형 패턴인,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바닥면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의 버스 바아(4)의 변형이, 한 쌍의 리브(23)에 의해 방지된다.
버스 바아(4)의 관통 구멍(26) 내로의 압입이 진행됨에 따라, 버스 바아(4)가 본체부(2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버스 바아(4)의 버스 바아 수용 수용부(22) 내로의 수용이 완료된다. 상기 버스 바아(4)의 버스 바아 수용부(22) 내로의 수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버스 바아(4)의 광폭부(11)가 너트(3)를 덮고, 상기 광폭부(11)의 관통 구멍(14) 및 상기 너트(3)의 볼트 체결 구멍(3a)이 동축으로 위치되며, 상기 버스 바아(4)의 암형 단자부(12)는 커넥터부(25)의 관통 구멍(26)에 제공된 관통 구멍(26)의 전방 단부 개구의 근방에 위치된다(도 1 및 3 참조).
상기 한 쌍의 돌기(15)가 관통 구멍(26)의 내벽면에 압접하고 있기 때문에, 버스 바아(4)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폭부(11)의 한 쌍의 측부 가장자리부가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한 쌍의 홈(24)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버스 바아(4)가 상방으로 부상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버스 바아(4)는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소정의 위치에 단단히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블록(1)의 조립이 완료된다. 3개의 전선(7)의 단부에 제공된 3개의 단자(6)(도 1 참조)는, 조립된 단자 블록(1)의 3개의 버스 바아(4)의 광폭부(11)에 각각 접속된다. 단자(6)를 광폭부(11)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단자(6)가 광폭부(11)에 위치되고, 그리고 볼트(5)의 헤드부(52)로부터 연장되는 볼트(5)의 축 부분(51)이 단자(6)의 관통 구멍(6a) 및 상기 버스 바아(4)의 관통 구멍(14) 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순서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5)의 축 부분(51)이 너트(3)의 볼트 체결 구멍(3a)에 소정의 토크로 체결된다. 이에 의해, 볼트(5)가 너트(3)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단자(6)는 너트(3)와 상기 볼트(5)의 헤드부(52)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그 결과, 단자(6)가 광폭부(11)에 고정되어, 단자(6)는 광폭부(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대측 커넥터(8)(도 1 참조)는 조립된 단자 블록(1)의 3개의 커넥터부(25)에 접속된다. 상기 상대측 커넥터(8)를 커넥터부(25)에 접속하기 위해, 커넥터부(25)는 결합될 상대측 커넥터(8)에 형성된 3개의 커넥터 수용 구멍(도시되지 않음) 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 수용 구멍의 내부에 위치된 상대측 단자(수형 단자, 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커넥터부(25)의 관통 구멍(26)에 위치된 버스 바아(4)의 암형 단자부(12) 내에 삽입된다. 그 결과, 상대측 단자가 상기 암형 단자부(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블록(1)은 다수의 전선(7)에 각각 제공된 다수의 단자(6)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8)를, 버스 바아(4)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릴레이 커넥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 작용 및 효과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전기 접속 부품(1)]에 따라, 버스 바아(4)가 하우징(2)의 관통 구멍(26)에 압입될 때, 상기 버스 바아(4)의 적어도 일부[광폭부(11)]는, 압입 개시 시점으로부터 압입 완료 시점까지의 기간 중, 하우징(2)의 한 쌍의 리브(23)에 의해 압입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상기 버스 바아(4)에 가해지는 압입을 위한 외력의 방향이 적절하지 않을 때라도(예를 들어, 상기 방향이 본래의 압입 방향에 대해 미세하게 경사졌을 때라도), 버스 바아(4)의 자세 및 위치는 상기 한 쌍의 리브(23)의 작용으로 인해 압입 시의 본래 자세 및 위치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적다. 이에 따라, 이러한 경우라도, 버스 바아(4)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구성을 갖는 단자 블록(1)에 있어서, 버스 바아(4)가 압입에 의해 하우징(2)에 부착될 때 버스 바아(4)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26)의 압입 방향으로의 근측 단부(26a)로부터 한 쌍의 리브(23)의 압입 방향으로의 근측 단부(23a)까지의 거리(b)는, 상기 돌기(15)로부터 광폭부(11)의 압입 방향으로의 원측 단부(11a)까지의 거리(a)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 보다 더 크다(b ≥ a). 이에 의해, 버스 바아(4)의 압입부(13)가 관통 구멍(26)[즉, 관통 구멍(26)] 내에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압입부(13)로부터 돌출하는 돌기(15)가 상기 관통 구멍(26)의 내주면과 접촉하기 시작할 때의 시점(즉, 압입 개시 시점)에서, 상기 버스 바아(4)의 광폭부(11)는 하우징(2)의 한 쌍의 리브형 리브(23)와 접촉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한 쌍의 리브(23)는 적어도 압입 개시 시점에서 광폭부(11)가 상기 압입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한다. 그 결과, 압입 시의 버스 바아(4)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리브형 리브(23)는 하우징(2)의 수용부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리브(23)는 폭 방향으로 버스 바아(4)의 광폭부(11)의 양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바닥면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버스 바아(4)의 변형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비틀리는 버스 바아(4)의 변형도 방지된다.
또한, 버스 바아(4)의 광폭부(11)는 상기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바닥면과 한 쌍의 리브(23) 사이의 틈새[홈(24)] 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버스 바아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버스 바아(4)는 관통 구멍(26)을 향해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 기타 실시예 >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리고 적절히 변형되거나 개선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재질, 형상, 크기, 개수, 배치 위치 등은 선택적이며, 본 발명이 달성될 수 있는 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리브(23)가 버스 바아 수용부(22)에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한 쌍의 리브(23) 중 하나의 리브(23)만 버스 바아 수용부(2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버스 바아(4)가 버스 바아 수용부(22)에 수용될 때, 상기 버스 바아(4)의 광폭부(11)의 한 쌍의 측부 가장자리부 중 오직 하나의 측부 가장자리부만 상기 하나의 리브(23)와 버스 바아 수용부(22)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홈(24) 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리브(23)는 버스 바아(4)의 압입이 완료된 후에도, 버스 바아(4)의 광폭부(11)의 양 단부를 덮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리브(23)가 버스 바아(4)의 압입 개시 시점으로부터 압입 완료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광폭부(11)의 의도하지 않은 변위를 규제하는 한, 압입 완료 시점 후에 상기 리브(23)가 광폭부(11)를 반드시 덮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압입의 완료와 동시에 광폭부(11)가 리브(23)와 바닥면 사이의 홈(24)에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상기 리브(23) 및 광폭부(11)는 압입 방향으로 길이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블록(1)의 특징이 간략히 요약되어, 이하의 [1] 내지 [4]에 열거될 것이다.
전기 접속 부품(1)은 도전체(4); 및 상기 도전체(4)가 압입되는 하우징(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은 중공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그 내부에 도전체(4)가 압입 방향으로 압입되는 피압입부(25), 및 상기 피압입부(25)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는 규제부(23)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23)는 도전체(4)의 피압입부(25) 내로의 압입이 시작될 때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압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시점까지, 상기 도전체(4)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입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한다.
[2] 상기 [1]에 따른 전기 접속 부품(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압입 방향으로 근측이 개방되는 수용부(22)를 포함하고;
상기 피압입부(25)는 상기 압입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22)와 연통하고 그리고 상기 압입 방향으로 원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관통 구멍(26)을 형성하며, 상기 원측은 상기 근측과는 대향하며;
상기 규제부(23)는, 상기 압입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22)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며 그리고 상기 압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전체(4)는 상기 압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입부(13), 상기 압입부(13)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15), 및 폭 방향으로 상기 압입부(13)의 치수보다 더 큰 치수를 갖는 광폭부(11)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체(4)는 상기 관통 구멍(26)의 내주면과 압접하는 돌기(15)에 의해 상기 피압입부(25) 내에 압입되고; 및
상기 관통 구멍(26)의 압입 방향으로의 근측 단부(26a)로부터 상기 규제부(23)의 압입 방향으로의 근측 단부(23a)까지의 상기 압입 방향의 거리(b)는, 상기 돌기(15)로부터 상기 광폭부(11)의 압입 방향으로의 원측 단부(11a)까지의 압입 방향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더 크다.
[3] 상기 [2]에 따른 전기 접속 부품(1)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23)는, 상기 도전체(4)의 상기 광폭부(11)가 한 쌍의 리브형 형상에 의해 샌드위치되도록 서로 대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22)의 한 쌍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리브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쌍의 측벽은 서로 대면하고 있다.
[4] 상기 [2] 또는 상기 [3]에 따른 전기 접속 부품(1)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23)는, 상기 광폭부(11)가 상기 압입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규제부(23)와 상기 수용부(22)의 바닥면 사이의 틈새(24)에 상기 도전체(4)의 상기 광폭부(11)를 수용한다.
상기 [1]의 구성을 갖는 전기 접속 부품에 따라, 도전체가 하우징의 피압입부 내에 압입될 때, 상기 도전체의 적어도 일부는 압입 개시 시점으로부터 압입 완료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하우징의 규제부에 의한 압입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도전체에 가해지는 압입을 위한 외력의 방향이 적절하지 않을 때라도(예를 들어, 본래의 압입 방향에 대해 방향이 미세하게 경사졌을 때라도), 상기 도전체의 자세 및 위치는 규제부의 동작으로 인해 압입 시 본래의 자세 및 위치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적다. 이에 따라, 이러한 경우라도, 도전체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구성을 갖는 전기 접속 부품에 있어서, 도전체가 압입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될 때, 상기 도전체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2]의 구성을 갖는 전기 접속 부품에 따라, 상기 관통 구멍의 압입 방향으로의 근측 단부로부터 상기 규제부의 압입 방향으로의 근측 단부까지의 상기 압입 방향의 거리[예를 들어, 도 6의 거리(b)]는,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광폭부의 압입 방향으로의 원측 단부까지의 압입 방향의 거리[예를 들어, 도 6의 거리(a)]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더 크다. 이에 의해, 도전체의 압입부가 관통 구멍(즉 피압입부) 내에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압입부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접촉하기 시작할 때의 시점에서(즉, 압입 개시 시점에서), 상기 도전체의 광폭부는 하우징의 리브형 규제부와 접촉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규제부는 적어도 압입 개시 시점에서 상기 광폭부가 압입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한다. 그 결과, 압입 중 도전체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3]의 구성을 갖는 전기 접속 부품에 따라, 한 쌍의 리브형 규제부가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규제부는 폭 방향으로 도전체의 광폭부의 양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도전체의 변형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비틀리는 도전체의 변형도 방지된다.
상기 [4]의 구성을 갖는 전기 접속 부품에 따라, 상기 도전체의 광폭부는 수용부의 바닥면과 규제부 사이의 틈새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도전체의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전체가 피압입부를 향해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Claims (4)

  1. 전기 접속 부품으로서: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가 압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중공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도전체가 압입 방향으로 압입되는 피압입부; 및
    상기 피압입부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는 규제부로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피압입부 내로의 압입이 상기 압입이 시작될 때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압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시점까지, 상기 도전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입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압입 방향으로 근측이 개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압입부는, 상기 압입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고 그리고 상기 압입 방향으로 원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원측은 상기 근측과는 대향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압입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며 그리고 상기 압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전체는 상기 압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입부, 상기 압입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압입부의 치수보다 더 큰 치수를 갖는 광폭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체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압접하는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피압입부 내에 압입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압입 방향으로의 근측 단부로부터 상기 규제부의 상기 압입 방향으로의 근측 단부까지의 상기 압입 방향의 거리는,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광폭부의 상기 압입 방향으로의 원측 단부까지의 압입 방향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더 큰, 전기 접속 부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광폭부가 상기 한 쌍의 리브형 형상에 의해 샌드위치되도록 서로 대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의 한 쌍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리브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서로 대면하는, 전기 접속 부품.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광폭부가 상기 압입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규제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의 틈새에 상기 도전체의 상기 광폭부를 수용하는, 전기 접속 부품.
KR1020210033464A 2020-03-18 2021-03-15 전기 접속 부품 KR102503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48292 2020-03-18
JP2020048292A JP7221904B2 (ja) 2020-03-18 2020-03-18 電気接続部品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181A KR20210117181A (ko) 2021-09-28
KR102503963B1 true KR102503963B1 (ko) 2023-02-28
KR102503963B9 KR102503963B9 (ko) 2023-03-13

Family

ID=7774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464A KR102503963B1 (ko) 2020-03-18 2021-03-15 전기 접속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16318B2 (ko)
JP (1) JP7221904B2 (ko)
KR (1) KR102503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9098B2 (ja) * 2021-12-22 2023-11-29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6806U (ko) * 1978-08-09 1980-02-21
JPH0632769Y2 (ja) * 1988-06-24 1994-08-24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のターミナル
JP5046043B2 (ja) * 2008-07-10 2012-10-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59927B2 (ja) 2010-02-24 2013-12-04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スバーの締結構造および電力変換装置
JP5638932B2 (ja) * 2010-12-21 2014-12-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JP5616466B2 (ja) * 2011-02-04 2014-10-29 株式会社フジクラ 端子台
JP5751874B2 (ja) * 2011-03-22 2015-07-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仮係止構造
JP6056720B2 (ja) * 2013-09-18 2017-01-11 住友電装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JP6061148B2 (ja) * 2013-11-28 2017-01-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92929B2 (ja) * 2015-04-23 2019-04-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7073319A1 (ja) * 2015-10-28 2017-05-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モジュールと電気機器の接続構造
JP6603264B2 (ja) * 2017-05-16 2019-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台
JP7124799B2 (ja) * 2019-07-09 2022-08-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005119B2 (ja) * 2019-07-29 2022-01-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963B9 (ko) 2023-03-13
KR20210117181A (ko) 2021-09-28
US11616318B2 (en) 2023-03-28
JP7221904B2 (ja) 2023-02-14
US20210296809A1 (en) 2021-09-23
JP2021150149A (ja)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708B1 (ko) 전류 센서 결합형 배터리 단자
US20090250237A1 (en) Bus bar mounting assembly
EP1947740B1 (en) Electrical socket terminal having contact stabilizers
KR100610466B1 (ko) 전기 커넥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EP3487009B1 (en) Movable connector
CN112217017B (zh) 连接器
JP4285318B2 (ja) コネクタ
US6500028B1 (en) Connector with ground pin for boards
KR102503963B1 (ko) 전기 접속 부품
KR102520419B1 (ko) 전기 접속 부품
CN111224256B (zh) 连接器
JP4193723B2 (ja) コネクタ
EP4117123B1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KR101014947B1 (ko) 케이블 커넥터
JP3681576B2 (ja) コネクタ用カバーの装着構造
JP2001110466A (ja) 圧接コネクタ
JP7283946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付き電線
JP4612478B2 (ja) コネクタ
US11888261B2 (en) Board-to-cable connector
US20240128663A1 (en) Housing unit
JP7248732B2 (ja) 電気接続箱、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211995B2 (ja) コネクタの固定構造
WO2024038745A1 (ja) コネクタ
JP2024057375A (ja) コネクタ
JP4414845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