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907B1 - 안전 하니스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하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907B1
KR102503907B1 KR1020207001086A KR20207001086A KR102503907B1 KR 102503907 B1 KR102503907 B1 KR 102503907B1 KR 1020207001086 A KR1020207001086 A KR 1020207001086A KR 20207001086 A KR20207001086 A KR 20207001086A KR 102503907 B1 KR102503907 B1 KR 102503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element
shoulder strap
safety harness
latch
harn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393A (ko
Inventor
한스-줄리안 드주간
Original Assignee
한스-줄리안 드주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줄리안 드주간 filed Critical 한스-줄리안 드주간
Publication of KR20200028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2Sit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8Full body harnesses covering at least shoulders and thigh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건물 건설 활동 시에 사람이 추락 시에 사람을 포착하기 위한 안전 하니스 장치(1)에 관한 것으로, 가슴 부분(2a), 어깨 부분(2b) 및 후방 부분(2c)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어깨 스트랩(2), 안전 로프(7)를 분리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잠금 요소(6)를 포함하고, 잠금 요소(6)는 잠금 요소(6)가 어깨 스트랩(2)의 후방 부분(2c) 측면 상에 배열되는 작업 위치와 잠금 요소(6)가 어깨 스트랩(2)의 가슴 부분(2a)의 측면에 배열되는 포착 위치 사이에서 배열된다.

Description

안전 하니스 장치
본 발명은 특히 건물 건설 활동 시에 사람이 추락 시에 사람을 포착하기 위한 안전 하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전 하니스 장치는 가슴 부분, 어깨 부분 및 후방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어깨 스트랩, 및 안전 로프를 분리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클로저 장치 및 보유 장치를 포함하는 이러한 안전 하니스는 예를 들어 DE 200 22 993 U1호에 공지되었다. 안전 하니스는 어깨 스트랩 라인 및 벨트 스트랩 라인을 갖는다. 어깨 스트랩 라인은 착용자의 등에서 십자가 형태로 배열된 2개의 부분을 갖는다. 이 십자가 지점은 안전 코드가 고정되는 안전 아일릿을 지지한다.
건물 건설 작업의 경우 표준 안전 하니스가 사용되며 여기서 안전 로프(추락 방지 로프)는 착용자의 등 영역에 있는 안전 아일릿에 고정된다. 그 결과 안전 하니스의 착용자는 작업 활동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착용자가 넘어지는 경우 가능한 빨리 안전 로프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등에 매달리는 경우 짧은 시간 내에 생명을 위협하는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는 매달린 경우에 20 분만에 사망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자신의 체중으로 등으로부터 매달려 있으면 흉곽, 다리 동맥 및 다리 정맥에 높은 압력이 가해져 호흡과 순환이 상당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안전 하니스는 다른 용도, 특히 클라이밍 하니스로 알려져 있으며, 이 경우 보유 로프가 착용자의 앞면 또는 가슴면에 부착되어 추락 후에 사람이 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이 60분 이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건설 현장에서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보유 로프를 가슴에 부착하는 것이 착용자의 팔의 움직임의 자유를 제한하여 사람이 작업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락 시 착용자에 대한 스트레스(부하)를 개선하는 건물 건축 활동을 위한 안전 하니스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안전 하니스 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선호되는 실시예는 종속항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잠금 요소는 잠금 요소가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 측면 상에 배열되는 작업 위치와 잠금 요소가 어깨 스트랩의 가슴 부분 측면 상에 배열되는 포착 위치 사이에서 변환가능하다.
작업 활동이 자유롭게 그리고 방해받지 않게 수행될 수 있도록, 잠금 요소는 안전 하니스 장치의 착용자의 후방 측면에서 작업 위치에 배열된다. 따라서 잠금 요소에 연결된 안전 로프의 단부 부분은 예를 들어 금속 프레임워크 구조물 상에서 건축 활동을 수행할 때 착용자의 등 영역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안전 로프의 등의 부착은 작업 위치에 제공된다(즉, 지지 로프는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에 배열됨. 따라서 작업 활동을 자유롭고 방해받지 않게 수행할 수 있고, 동시에 추락에 대한 필요한 보호가 달성된다.
추락의 경우, 작업 위치에서 포착 위치로의 잠금 요소의 독립적인 변위가 트리거링된다. 작업 위치로부터 포착 위치로의 이송 동안에, 잠금 요소 및 따라서 안전 로프는 착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착용자의 흉부 측면 또는 전방 측면으로 안내된다. 이 위치에서 안전 로프는 착용자의 전방 측면 또는 가슴 측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안전 로프의 잠금 요소 또는 단부 영역은 착용자의 등에서, 바람직하게는 어깨를 통해 가슴 영역으로의 이동 경로를 따른다. 착용자의 흉곽은 바람직하게는 가슴 영역에서의 부착으로 인해 포착 위치에서 최소 하중(또는 응력)에 노출된다. 안전 로프가 추락하는 동안 또는 추락 후 몇 초 내에 등의 위치로부터 가슴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착용자는 압축력의 발생으로 인해 건강을 위협하는 하중을 받기 전에 안전 로프에 훨씬 더 오래 머무를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하게 작업 활동을 수행할 때 이동의 자유는 추락 시보다 높은 수준의 안전성과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위치 및 방향 사양은 의도된대로 사용될 때 안전 하니스의 상태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전방", "전방 측면" 등은 착용자의 가슴 영역과 관련되고, "후방", "후방 측면" 등은 착용자의 후면 영역과 관련된다.
잠금 요소가 사람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전방 측면으로 변위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 포착 요소는 바람직하게 어깨 스트랩의 가슴 부분의 측면에 제공되고, 연결 요소,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를 포착 요소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코드가 제공된다. 포착 요소는 전방 측면, 즉 어깨 스트랩의 가슴 부분 측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특히 어깨 스트랩의 가슴 부분에 연결되는 안전 아일릿이 포착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연결 요소는 한편으로는 착용자의 전방 측면의 포착 요소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업 위치에서 착용자의 후방 측면에 위치된 잠금 요소에 연결된다. 연결 코드는 연결 요소로서 바람직하게 제공되며, 여기서 본 개시의 목적 상 이는 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벨트, 스트랩 또는 또 다른 종방향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추락의 경우, 잠금 요소는 안전 로프를 통한 종방향 힘에 의해 착용자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전방 측면으로 변위되어 착용자의 체중이 전방의 포착 요소를 통해 흡수된다.
이를 위해, 연결 요소의 일 단부는 잠금 요소에 연결되고 연결 요소의 다른 단부는 포착 요소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위치에서, 연결 요소는 안전 하니스의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언로드된 상태에 있고, 착용자의 체중은 후방 측면의 잠금 요소에 의해 흡수된다. 안전 위치에서, 연결 요소는 로딩된 상태에 있으며, 착용자의 체중은 전방 측면 또는 가슴 측면 상의 포착 요소를 통해 수용된다.
착용자에게 최대한의 이동 자유를 제공하고, 높은 안전 기준을 달성하고, 어깨 스트랩을 어깨에 착용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작업 위치의 연결 요소가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어깨 스트랩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의 전체 종방향 범위에 걸쳐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이유로, 연결 요소가 작업 위치에서 어깨 스트랩과 커버 부분, 특히 커버 직물 사이에 수용되는 것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부분은 조인트, 특히 심(seam)를 통해 어깨 스트랩에 연결된다. 추락 시 서스펜션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전방 측면으로의 변위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추락 시에 착용자의 체중은 유리하게는 등으로부터의 서스펜션으로부터 가슴으로부터 서스펜션으로 비교적 매끄럽게 이동된다. 추락이 종료 시에, 착용자는 안전 로프로부터 호흡 또는 혈액 순환에 실질적으로 해를 끼치지 않는 안정된 위치에 매달린다.
추가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요소를 어깨 스트랩에 연결하기 위한 유지 요소 및 유지 요소로부터 잠금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장치가 제공된다. 유지 요소는 착용자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어깨 스트랩, 특히 이의 후방 부분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분리 장치는 추락 시 포착 력에 의해 잠금 요소가 유지 요소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체중은 전방 측면 상에서 포착 요소에 전달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분리 장치는 래치 및 래치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작업 위치에서 래치는 래치 리셉터클에 연결되고, 래치는 잠금 요소에 미리정해진 종방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래치 리셉터클로부터 분리된 분리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정상적인 경우에, 안전 로프는 착용자가 작업 활동을 수행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착용자의 후방 측면의 잠금 요소에 배치된다. 추락하는 경우에만 분리 장치가 활성화될 것이며, 이에 의해 이 잠금 요소는 잠금 요소가 전방 측면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유지 요소로부터 분리된다.
구조적 관점에서, 래치는 특히 유지 요소 상에 장착되고 잠금 요소는 래치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그러나, 래치는 잠금 요소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래치 요소는 유지 요소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특정 분리력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 장치가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면, 이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 힘에 반해 잠금 요소가 유지 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 유지 요소에 대한 잠금 요소의 분리 이동을 저해하기 위한 댐핑 요소를 포함한다. 댐핑 요소는 분리 공정 중에 시간 지연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선호되는 실시예를 기초로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지만 제한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다.
도 1은 작업 위치에 어깨 스트랩 및 레그 루프가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하니스 장치의 착용자의 후방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안전 로프는 건설 활동이 방해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작업 위치에서 안전 하니스 장치의 착용자의 전방 측면을 도시하며,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서 포착 요소는 연결 코드를 통하여 잠금 요소에 연결된다.
도 3a는 작업 위치에서 등으로부터 안전 로프의 서스펜션의 상세도이며, 잠금 요소는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에서 보유 요소에 래치고정된다.
도 3b는 안전 하니스로 추락 시에 분리 공정 중에 잠금 요소의 상세도.
도 1은 건물 건설 활동을 수행하고 추락 시 작업자를 포착하기 위한(catch) 안전 하니스 장치(1)에 의해 보호되는 작업자의 후방 측면을 도시하고 도 2는 전방 측면을 도시한다. 안전 하니스 장치(1)는 각각 가슴 부분(2a), 어깨 부분(2b) 및 후방 부분(2c)을 갖는 2개의 어깨 스트랩(2)을 포함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슴 부분(2a), 어깨 부분(2b) 및 후방 부분(2c)은 단일 부분으로 형성된다. 어깨 스트랩(2)의 후방 부분(2c) 및 가슴 부분(2a)은 각각 십자형으로 배열된다. 개선된 안정화를 위해, 후방 부분(2c)은 가로 부분(3)을 통해 연결된다. 안전 하니스 장치(1)는 2개의 레그 스트랩(4)을 추가로 포함하며, 레그 스트랩(4)은 좌우 다리용 루프 또는 올가미로 형성된다. 레그 스트랩(4)은 연결 지점(5)에서 어깨 스트랩(2)에 고정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레그 스트랩(4) 및 어깨 스트랩(2)이 또한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전 하니스 장치(1)는 안전 로프(7)(추락 방지 로프(7))를 분리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잠금 요소(6)를 포함한다. 잠금 요소(6)는 안전 로프(7)의 일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스캐폴드 바(8)에 고정된다. 스캐폴드 바(8)로의 체결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캐폴드 바(8)의 종방향 범위를 따라 변위가능한 체결 링(9)을 통해 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안전 하니스 장치(1)는 원칙적으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와 관련하여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안전 하니스 장치(1)의 공지된 요소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안전 하니스 장치(1)의 제시된 실시 예에서 안전 로프(7)를 위한 잠금 요소(6)는 잠금 요소(6)가 어깨 스트랩(2)의 후방 부분(2c) 측면 상에 배열되는 작업 위치와 잠금 요소(6)가 어깨 스트랩(2)의 가슴 부분(2a)의 측면에 배열되는 포착 위치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깨 스트랩(2)은 가슴 부분(2a)의 측면에 포착 요소(22)를 포함한다. 포착 요소(22)는 예를 들어 표준 DIN EN361:2002에 따라 안전 아일릿(safety eyelet)으로 형성된다. 포착 요소(22)는 연결 요소(11)를 통해 잠금 요소(6)에 연결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11)는 연결 코드(11a)이며, 이는 작업 위치에서 어깨 스트랩(2)을 따라 안내된다. 연결 코드(11a)는 어깨 스트랩(2)과 커버 부분(12) 사이에 수용되며, 이 경우 커버 직물이다. 커버 부분(12)은 조인트, 특히 심(13)을 통해 어깨 스트랩(2)에 연결된다. 커버 부분(12)은 조인트, 특히 심(13)을 통해 어깨 스트랩(2)에 연결된다. 추락의 결과로서 안전 하니스 장치(1)가 작업 위치로부터 포착 위치로 전이되는 경우, 잠금 요소(6)는 어깨 스트랩(2)을 따라 후방 부분(2c)로부터 가슴 부분(2a)으로 안내된다. 이 전이 동안, 심(13)은 후방 부분(2c)에서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파열지고, 이에 의해 연결 코드(11a)가 분리되고 잠금 요소(6)와 함께 가슴 부분(2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포착 위치에서, 연결 코드(11a)는 완전히 분리되고 더 이상 어깨 스트랩(2)과 커버 부분(12) 사이에 수용되지 않는다. 포착 위치에서 안전 로프(7)는 잠금 요소(6) 및 연결 코드(11a)를 통해 어깨 스트랩(2)의 가슴 부분(2a)에서 포착 요소(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안전 로프(7)는 포착 위치에서 착용자의 가슴 측면에 배치된다. 캐리어는 등이 아래쪽을 향하고 가슴이 위쪽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로프에 매달린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요소(10)는 잠금 요소(6)를 어깨 스트랩(2)에 연결한다. 유지 요소(10)는 유지 개구(10a)를 통해 어깨 스트랩(2)의 후방 부분(2c)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유지 요소(10)로부터 잠금 요소(6)를 분리하기 위해, 분리 장치(14)가 제공된다. 분리 장치(14)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래치(15)를 포함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대응하는 래치(15)가 제공된다. 잠금 요소(6)는 매칭 래치 리셉터클(16)(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래치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작업 위치에서의 각각의 래치(15)는 연관된 래치 리셉터클(16)에 수용된다(도 3a 참조). 래치(15)는 미리정해진 종방향 힘을 잠금 요소(6)에 인가함으로써 래치 리셉터클(16)로부터 분리된 분리 위치로 떨어지는 경우에 이송될 수 있다(도 3b의 화살표(20) 참조).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치(15)는 유지 요소(10) 상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잠금 요소(6)에 대한 화살표 방향(20)으로의 종방향 힘의 영향으로 인해, 래치(15)는 피봇회전한다. 분리 장치(14)는 또한 스프링 요소(21)를 포함하고,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 힘에 반해 잠금 요소(6)가 유지 요소(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프링 힘은 유지 요소(10)로부터 잠금 요소(6)를 분리하기 위해 적용되어야 하는 힘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 요소(10)는 유지 요소(10a)와 함께 스트랩 요소(2)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제1 부분(19a) 및 제1 부분(19a)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장착된 제2 부분(19b)을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21)는 래치(15)가 래치 리셉터클(16)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충격의 결과로 잠금 요소(6)에 가해지는 인장력 하에서 스프링 요소(6)가 압축되는 방식으로 제1 부분(19a)과 제2 부분(19b) 사이에 배치된다. 유지 부재(10)로부터 잠금 요소(6)를 제거한 후, 스프링 요소(21)는 이완된 시작 위치로 복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리 공정을 제동하기 위한 댐핑 요소(17)가 추가로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21) 및 댐퍼 요소(17)를 형성하기 위해 유압 스프링 댐퍼(18)가 제공된다.

Claims (10)

  1. 사람이 추락 시에 사람을 포착하기 위한 안전 하니스 장치(1)로서,
    상기 하니스 장치(1)는 가슴 부분(2a), 어깨 부분(2b) 및 후방 부분(2c)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어깨 스트랩(2), 및 안전 로프(7)를 분리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잠금 요소(6)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요소(6)는 잠금 요소(6)가 어깨 스트랩(2)의 후방 부분(2c) 측면 상에 배열되는 작업 위치와 잠금 요소(6)가 어깨 스트랩(2)의 가슴 부분(2a) 측면 상에 배열되는 포착 위치 사이에서 배열되며,
    잠금 요소(6)를 어깨 스트랩(2)에 연결하기 위한 유지 요소(10)와 상기 유지 요소(10)로부터 잠금 요소(6)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장치(14)가 제공되고,
    상기 분리 장치(14)는 래치(15) 및 래치 리셉터클(16)을 포함하며, 작업 위치에서 래치(15)는 래치 리셉터클(16)에 연결되고, 래치(15)는 잠금 요소(6)에 미리정해진 종방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래치 리셉터클(16)로부터 분리된 분리 위치로 이송될 수 있는, 안전 하니스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포착 요소(22)가 어깨 스트랩(2)의 가슴 부분(2a) 측면 상에 제공되고, 잠금 요소(6)를 포착 요소(22)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 요소(11)가 제공되는 안전 하니스 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작업 위치에서 연결 요소(11)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어깨 스트랩(2)을 따라 안내되는 안전 하니스 장치(1).
  4. 제3항에 있어서, 작업 위치에서 연결 요소(11)는 커버 부분(12)과 어깨 스트랩(2) 사이에 수용되는 안전 하니스 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커버 부분(12)은 조인트에 의해 어깨 스트랩(2)에 연결되는 안전 하니스 장치(1).
  6. 제1항에 있어서, 래치(15)는 유지 요소(10) 상에 장착되고, 잠금 요소(6)는 래치 리셉터클(16)을 포함하는 안전 하니스 장치(1).
  7. 제1항에 있어서, 분리 장치(14)는 스프링 요소(21)를 포함하고, 스프링 요소(21)의 스프링 힘에 반해(against) 잠금 요소(6)가 유지 요소(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안전 하니스 장치(1).
  8. 제1항에 있어서, 분리 장치(14)는 유지 요소(10)에 대해 잠금 요소(6)의 분리 이동을 저해(braking)하기 위한 댐핑 요소(17)를 포함하는 안전 하니스 장치(1).
  9. 삭제
  10. 삭제
KR1020207001086A 2017-06-14 2018-06-14 안전 하니스 장치 KR102503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498/2017 2017-06-14
ATA50498/2017A AT520047B1 (de) 2017-06-14 2017-06-14 Auffanggurtvorrichtung
PCT/AT2018/060124 WO2018227226A1 (de) 2017-06-14 2018-06-14 Auffanggurt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393A KR20200028393A (ko) 2020-03-16
KR102503907B1 true KR102503907B1 (ko) 2023-02-24

Family

ID=6281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086A KR102503907B1 (ko) 2017-06-14 2018-06-14 안전 하니스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206551A1 (ko)
EP (1) EP3638379B1 (ko)
JP (1) JP6869381B2 (ko)
KR (1) KR102503907B1 (ko)
CN (1) CN110740789B (ko)
AT (1) AT520047B1 (ko)
CA (1) CA3064944C (ko)
WO (1) WO2018227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6297B (zh) * 2020-10-12 2022-03-01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自锁式高处定位装置
CN114618094A (zh) * 2020-12-11 2022-06-14 妙思工程有限公司 用于保障高空作业安全的系统和方法
CN114703752B (zh) * 2022-03-15 2024-01-26 聊城市交通发展有限公司 一种公路桥梁施工吊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6815A (ja) * 2011-02-17 2014-03-20 エスエーエス セーフティー システムズ ホールディングス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落下阻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7099B1 (fr) * 1989-05-19 1991-07-19 Petzl Ets Dispositif d'assurance autobloquant pour corde
US5878833A (en) * 1992-07-17 1999-03-09 Bell; Michael Fall prevention and lowering system, methods of use and body engagement means utilizable therewith
FR2796297B1 (fr) * 1999-07-16 2001-10-26 Zedel Harnais d'encordement a longe d'accrochage deportee
US6367582B1 (en) * 2000-07-24 2002-04-09 Ronald C. Derby Adaptable rescue harness and method of use
US7225511B2 (en) * 2003-06-17 2007-06-05 Benedict Charles E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system
GB0525386D0 (en) * 2005-12-13 2006-01-18 Dawson Brian Safety harness
US20070209868A1 (en) * 2006-03-07 2007-09-13 D B Industries, Inc. Safety harness with an integrated lanyard
ES2629200T3 (es) * 2006-12-11 2017-08-07 Checkmate Limited Arnés de protección contra caídas
GB0903534D0 (en) * 2009-03-03 2009-04-08 Leicester Gordon C Safety harness
AU2010223865B2 (en) * 2009-03-13 2015-12-24 Thf Innovation Pty Ltd Quick release garment
US8056196B2 (en) * 2009-03-16 2011-11-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Quick release fitting
US8196273B2 (en) * 2009-11-03 2012-06-12 National Molding Llc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AU2011285850B2 (en) * 2010-08-02 2015-04-30 Cobham Mission Systems Davenport Lss Inc. Restraint and extraction harness with associated release mechanism
US8584799B1 (en) * 2011-06-28 2013-11-19 Mark Dennington Fall-arresting safety harness assembly
GB201121896D0 (en) * 2011-12-20 2012-02-01 Magmatic Ltd Backpack
JP5860001B2 (ja) * 2013-04-18 2016-02-16 藤井電工株式会社 ランヤードとそのランヤードを備えた安全帯
DE102015000078A1 (de) * 2015-01-12 2016-07-14 Engin Tasci Vorrichtung zur Absturzsicherung und Verfahren zur Vermeidung eines Hängetraumas
US9737736B2 (en) * 2015-01-15 2017-08-22 Cmc Rescue, Inc. Fall arrest harness
CN205268858U (zh) * 2015-12-18 2016-06-01 周北明 一种用于输配电线路检修的高处作业缓冲器
US11065482B2 (en) * 2017-04-27 2021-07-20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Tip resistant system with quick disconne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6815A (ja) * 2011-02-17 2014-03-20 エスエーエス セーフティー システムズ ホールディングス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落下阻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20047A1 (de) 2018-12-15
CA3064944C (en) 2022-05-31
CA3064944A1 (en) 2018-12-20
CN110740789A (zh) 2020-01-31
EP3638379A1 (de) 2020-04-22
BR112019025642A2 (pt) 2020-09-15
US20200206551A1 (en) 2020-07-02
JP2020523066A (ja) 2020-08-06
CN110740789B (zh) 2021-07-06
JP6869381B2 (ja) 2021-05-12
WO2018227226A1 (de) 2018-12-20
KR20200028393A (ko) 2020-03-16
AT520047B1 (de) 2019-10-15
EP3638379B1 (de) 202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907B1 (ko) 안전 하니스 장치
AU2016276446B2 (en) Breakaway keeper
US8584799B1 (en) Fall-arresting safety harness assembly
KR101288774B1 (ko)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EP3093047A1 (fr) Harnais d'encordement perfectionné
JP2008148803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JP2009066259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AU686708B2 (en) Personal safety device
US20170326389A1 (en) Fall Arrest System
AU2006207863A1 (en) Fall notifying apparatus
EP3001047A1 (en) Carabiner
US6158548A (en) Personal safety device
US9073642B2 (en) Link-less parachute canopy release
KR200480530Y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장치
CN211158258U (zh) 一种复合加强型安全带
EP2589414B1 (de) Überlebensanzug
BR112019025642B1 (pt) Dispositivo de cinto de segurança
GB2590609A (en) Remote clipping device
CA2966873A1 (en) Fall arrest system
GB2591984A (en) Safety Harness
JP3103721U (ja) 耐熱性安全帯の緩衝体付き命綱
JP2015053890A (ja) 樹上作業の墜落防止方法
KR20130003998U (ko) 고소 작업용 안전그네
JP2008069477A (ja) 安全ベスト
KR20100003955U (ko) 비상탈출용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