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769B1 -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스핑고지질과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스핑고지질과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769B1
KR102503769B1 KR1020200085249A KR20200085249A KR102503769B1 KR 102503769 B1 KR102503769 B1 KR 102503769B1 KR 1020200085249 A KR1020200085249 A KR 1020200085249A KR 20200085249 A KR20200085249 A KR 20200085249A KR 102503769 B1 KR102503769 B1 KR 102503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branched
skin
composition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258A (ko
Inventor
이관형
김아라
김상철
한지혜
김영범
서대방
Original Assignee
솔루스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루스바이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루스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769B1/ko
Priority to US18/015,212 priority patent/US20230265048A1/en
Priority to EP20944503.0A priority patent/EP4180418A1/en
Priority to PCT/KR2020/019239 priority patent/WO2022010054A1/ko
Priority to CN202080105017.7A priority patent/CN116075496A/zh
Publication of KR2022000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1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20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1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18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30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atoms
    • C07C233/3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3Amines having hydroxy groups, e.g. sphing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4Amides, e.g. hydroxamic acids of a carboxylic acid with an aminoalcohol, e.g. cer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쇄 지방산을 갖는 스핑고지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고 피부장벽기능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스핑고지질과 그의 용도{Novel sphingolipid which contains branched fatty acid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측쇄 지방산을 갖는 스핑고지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고 피부장벽기능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최외각층인 각질층(Stratum corneum)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는 각질 사세포와 시멘트처럼 각질 사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간 지질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사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각질층 내에 적절한 수분을 유지함에 있어서 표피 분화 과정의 산물인 천연보습인자, 피지, 각질세포간 지질성분, 각질층의 적절한 탈락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이러한 요소들의 균형이 깨지거나 결핍되면 피부 건조증이 유발될 수 있다. 최근 피부 건조증과 각질세포간 지질성분 중 주요 구성성분인 세라마이드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건조증을 가지고 있는 피부에서 세라마이드 함량 및 지방산 길이가 짧아져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세라마이드는, 지방산과의 아미드 결합으로 염기(스핑고이드 염기)로서 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또는 디히드로스핑고신(스핑가닌(sphinganine))을 포함하는 스핑고지질의 특정 군이다. 세라마이드는 외부 공기와 닿고 있는 최외곽층인 각질층을 구성하는 지질성분 중 50~60%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피부의 수분을 유지시켜 피부를 촉촉하게 해주는 가장 큰 역할을 한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우리 몸의 중요한 기관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대인들의 피부는 산업화와 함께 개발된 각종 화학물질들의 제조 과정 또는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해물질과, 강한 자외선에 끊임없이 노출되면서, 홍반, 부종, 가려움 등의 피부 트러블과 급격한 피부 노화를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병변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피부도포용 제재가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산업적 시도로서 필름 형성을 통한 차단, 정전기적 인력을 활용한 부착방지, 피부장벽능 개선, 항염 활성을 갖는 피부도포용 제재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Niraj Mistry et al. 은 여러 공해물질들이 피부에 일으키는 손상에 대하여 정의하였고, 또한 이를 회피하기 위한 시도를 정리한 바 있으며, 세라마이드를 피부장벽능 개선 소재로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손상 방지 유망소재로 제안한 바 있다.
태지(Vernix Caseosa)는 출산 중 신생아의 전신을 덮고 있는 점성의 백색 크림상의 스킨 크림이다. 태지는 태아표피의 잔유물로써 임신 말기에 형성이 되고, 자궁 속에서 내수성 있는 막을 형성하여서 고온다습한 수성환경 속에서도 태아의 피부를 보호하고 각질층 성숙을 촉진하며 세균의 감염을 방지하고, 출생 후에도 태아의 체온조절과 항균, 세척작용, 수화작용 및 피부의 성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정상적인 분만기간 보다 짧은 32주 이전에 출생한 저체중아의 경우 경피수분손실이 높고 약물의 경피흡수가 빠른 것이 알려지면서 피부 보호 외용제제 개발을 위해 태지의 구조나 생물학적인 특성에 대한 기초연구가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Oku et al.은 '00년 Lipids에 게재한 문헌에서 태지내 세라마이드의 구조가 일반적인 성인 피부의 세라마이드와 구조가 다르다는 것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특히 측쇄 지방산을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음을 발표한 바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458108호에서는 태지 유사지질복합체를 활용하는 신규 화장료용 제재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제는 세라마이드가 성인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3형의 세라마이드로 접근한 단점이 있다.
또한, 세라마이드는 용해도 문제로 화장품에 적용하기 어렵고, 제조 후 제형의 안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458108 B1
본 발명은 태지 유사 스핑고지질 성분을 모사하여 본래 태지가 보유하고 있는 피부 보호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의 흡착방지능, 피부 수분함유량 증가, 및 경피수분손실량 감소를 제공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해도 및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갖는 스핑고지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71830825-pat00001
상기식에서,
R1은 -CH2-CH2, -CH=CH 또는 -C(H)OH-CH2이고,
R2는 탄소수 12 내지 20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이며,
R3는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두 개의 메틸기가 결합되고 임의적으로 히드록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2 내지 24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이고,
R4는 H 또는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함유하는 스핑고지질, 콜레스테롤, 지방산, 중쇄중성지질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총 중량 당 0.000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총 중량 당 0.000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1)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스핑고지질, 콜레스테롤, 지방산 및 인지질을 오일에 용해시켜 지질부를 제조하는 단계; (2)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와 유기산 혼합물을 물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지질부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수상부를 가온하면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측쇄 지방산 함유 스핑고지질은 천연 태지의 세라마이드와 유사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측쇄 지방산 함유 스핑고지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고 경피수분손실을 방지하고 피부수분량을 증진할 뿐 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용해도 및 제형 안정도가 우수하여 화장품 및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3의 아세톡시 라놀린 세라마이드와, 대조군인 3형 세라마이드의 실리카 박층 크로마토그래프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3의 아세톡시 라놀린 세라마이드의 고성능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5,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조성물의 터비스캔 시험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6의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크림제형 및 편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6의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크림제형을 사용한 미세먼지 흡착 방지 시험 결과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 6의 측쇄 지방산 함유 세라마이드가 적용된 제형을 사용한 경피수분손실 방지 시험 및 피부수분량 증진 시험 결과이다.
도 7은 실시예 6의 측쇄 지방산 함유 세라마이드가 적용된 제형을 사용한 홍반 개선 시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장벽기능 및 피부 보습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천연 태지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애써 노력하던 중, 건조증을 가지고 있는 피부에서 세라마이드 함량 및 지방산 길이가 짧고, 태지내 세라마이드의 구조가 일반적인 성인 피부의 세라마이드와 구조가 다르다는 것에 착안하여, 장쇄의 측쇄 지방산을 갖는 신규한 스핑고지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발하여 피부에 적용한 결과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과, 경피수분손실 방지 효과 및 피부수분량 증진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용어 "스핑고지질"은 장쇄 염기 스핑고이드(sphingoid)를 갖는 지질의 총칭으로서, 스핑고당지질, 스핑고인지질 또는 세라마이드를 포함한다.
스핑고지질은 공통 구조로서, 장쇄 지방산이 스핑고이드의 아미노기에 산-아미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불균일한 사슬 길이를 갖는 세라마이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세라마이드는, 염기(스핑고이드 염기)로서 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또는 디히드로스핑고신(스핑가닌)과 지방산의 산-아미드 결합 구조이다.
<측쇄 지방산을 갖는 스핑고지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갖는 스핑고지질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71830825-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CH2-CH2, -CH=CH 또는 -C(H)OH-CH2이고,
R2는 탄소수 12 내지 20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이며,
R3는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두 개의 메틸기가 결합되고 임의적으로 히드록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2 내지 24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이고,
R4는 H 또는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핑고지질은 측쇄 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측쇄 지방산"은 지방산의 탄소사슬에 측쇄(메틸기 등)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측쇄 지방산은, 상기 R3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두 개의 메틸기가 결합된 탄소수 12 내지 20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방산의 탄소사슬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두 개의 메틸기가 결합하여 측쇄 지방산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보호막 형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핑고지질은 단일 측쇄 지방산 또는 복합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스핑고지질일 수 있다. 단일 측쇄 지방산은 하나의 탄소원자에 두 개의 메틸기가 결합된 것을 의미하고, 복합 측쇄 지방산은 둘 이상의 찬소원자에 두 개의 메틸기가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3는 탄소수 12 내지 24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5 내지 22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일 수 있다.
상기 R3는 팜, 해바라기, 유채, 카놀라, 올리브, 코코넛, 대두, 말, 소, 양, 벌, 어류, 갑각류 및 인간으로부터 유래된 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지로부터 유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R3는 임의적으로 히드록실기로 치환될 수 있다.
R4는 H 또는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스핑고지질은 스핑고이드와 지방산의 산-아미드 결합을 특이적으로 가수분해시키는 효소, 효소의 생산능을 가진 미생물 또는 합성적 방법을 통해 합성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갖는 스핑고지질은 10~100℃에서 녹는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쇄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는 측쇄를 포함하지 않는 세라마이드 보다 녹는점이 훨씬 낮음을 확인하였다(표 1 참조). 녹는점이 낮을 경우, 에너지를 그만큼 적게 필요로 하므로 제형 적용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갖는 스핑고지질은 용해도가 높아 가온 후 실온에서 냉각하여도 재결정되지 않았다(표 2 참조). 용해도가 높을 경우, 제형 내 안정성이 높아지므로 석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피부도포용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함유하는 스핑고지질, 콜레스테롤, 지방산, 중쇄중성지질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스핑고지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6 중량%, 바람직하게는 0.1~4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핑고지질의 사용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미세먼지 흡착 방지능, 경피수분손실 방지, 피부수분량 증진, 항염증 효과가 미흡할 수 있고, 6 중량% 초과이면 제형 내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콜레스테롤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물질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합성 및 천연에서 유래되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 콜레스테릴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콜레스테릴알킬레이트, 및 콜레스테롤에 아미노산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 콜레스테릴글루타메이트 등이 있다. 상기 콜레스테롤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산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성분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탄소수 1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8 내지 26의 직쇄 포화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방산은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트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에루크산, 측쇄라우린산, 측쇄미리스틴산, 측쇄팔미틴산, 측쇄스테아린산, 측쇄올레인산, 측쇄아라키드산, 측쇄베헨산 및 측쇄리그노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8 중량%, 바람직하게는 0.5~6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지질(레시틴)은 세포구성성분으로서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주성분이다. 인지질은 각종 효소들의 작용환경을 제공해 줌으로써 효소반응의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각종 자극에 의한 세포 내 2차 전달물질로서도 작용하는 등 생체 항상성 유지에 매우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인지질으로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성분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포리피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레시틴, 하이드로옥실레이티드 레시틴 및 불포화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4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쇄중성지질은 연화제(emollient) 및 수분이 피부에 결합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중쇄중성지질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쇄중성지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 유기산 및 전체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의 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는 세라마이드의 생합성 경로의 중간체로서, 이를 피부에 적용함으로서 결핍된 세라마이드 성분을 보충해주거나 피부세포가 직접 세라마이드를 합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및 스핑가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토스핑고신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3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기산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성분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카르복시산, 술폰산, 인산, 푸마르산, 젖산, 구연산, 부티르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5~0.3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지질부와 수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질부는 상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함유하는 스핑고지질 0.1 내지 6 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5 중량%, 지방산 0.1 내지 8 중량%, 중쇄중성지질 0.1 내지 5 중량% 및 인지질 0.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수상부는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 0.1 내지 3 중량%, 유기산 0.05 내지 0.3 중량% 및 전체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도포용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1, 2, 3, 4, 5, 6, 7, 8 및 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세라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피부도포용 조성물은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와 세라마이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친수성부가 다른 헤드 그룹을 갖는 두 가지 형태의 세라마이드로 구성되어 베리어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도포용 조성물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 보습 개선; 피부장벽 개선; 항염증; 상처치료; 인체주름 개선; 또는 피부개질의 용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도포용 조성물은 피부 각질층의 충진을 통하여 0.1 ㎛ 내지 100 ㎛의 크기를 갖는 미세먼지, 바람직하게는 질산염 및 황산염, 탄소류 및 기타 광물류의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도포용 조성물은 천연 태지의 세라마이드와 유사한 구조의 측쇄 지방산 함유 스핑고지질을 포함함으로써 태지가 보유하고 있는 피부 보호능을 구현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세라마이드는 용해도 문제로 화장품에 적용하기 어렵고, 제조 후 제형의 안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정하고 최종 제형 적용시 말테크로스 액정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말테크로스 액정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중층일 수 있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측쇄 지방산 세라미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크림 제형의 경우 상분리 및 결정이 석출되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을 나타냈고, 멀티라멜라(Multi lamellar) 형인 말테크로스 액정상이 확인되었으며, 액정상의 균일성 측면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표 3 내지 표 4, 및 도 3 참조).
본 발명의 스핑고지질 함유 조성물은 태지와 유사한 구조 및 조성을 가지면서, 제형에 적용했을 경우 액정(liquid crystal)을 형성하여 피부 흡수를 높이고 피부 침투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liquid crystal)은 화장품에 많이 도입되어 쓰이고 있으며, 유상에 녹인 후 오일의 확산에 의해 계면에서 형성되고, 피부 보습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액정은 피부 지질(skin lipid)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액정 성분은 다른 성분들에 비해 피부 표면에 잘 펴 발려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피부를 매끄럽고 부드럽게 해준다. 또한, 액정은 일정량의 결정수(bounded water)를 포집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분은 구속받지 않는 물(free water)과는 달리 증발이 잘 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즉, 이렇게 포집된 결정수들은 피부 위에서 액정과 같이 머물게 되며, 결과적으로 피부 보유 수분량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쇄 지방산을 갖는 스핑고지질을 이용하여 태지 스핑고지질과 유사한 조성을 갖는 말테크로스형 액정막을 만들고, 제조된 액정막으로 인하여 롱라스팅(Long-lasting) 효과로 인한 높은 보습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를 더 건강하고 윤택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총 중량 당 0.000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개선, 또는 인체주름 개선 및 피부개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쇄 지방산 함유 스핑고지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고 경피수분손실을 방지하고 피부수분량을 증진할 뿐 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하기 표 5~7 및 도 5~7 참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태지의 세라마이드와 유사한 구조의 측쇄 지방산 함유 스핑고지질을 포함함에 따라, 본래 태지가 보유하고 있는 피부 보호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보호용 또는 피부 보습 증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pH 조절제, 착색제, 착향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스킨), 수렴화장수, 영양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총 중량 당 0.000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의약 조성물은 염증예방 또는 치료,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 개선, 또는 인체주름 개선 및 피부개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쇄 지방산 함유 스핑고지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경피수분손실을 방지하고 피부수분량을 증진할 뿐 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하기 표 5~7 및 도 6~7 참조).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상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스핑고지질, 콜레스테롤, 지방산 및 인지질을 오일에 용해시켜 지질부를 제조하는 단계; (2)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와 유기산 혼합물을 물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지질부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수상부를 가온하면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1)에서 상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스핑고지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6 중량%, 바람직하게는 0.1~4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1)에서 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글루타메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1)에서 지방산은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측쇄라우린산, 측쇄미리스틴산, 측쇄팔미틴산, 측쇄스테아린산 및 측쇄올레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8 중량%, 바람직하게는 0.5~6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1)에서 인지질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포리피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레시틴, 하이드로옥실레이티드 레시틴 및 불포화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4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1)에서 중쇄중성지질을 추가로 오일에 용해시킬 수 있다. 중쇄중성지질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쇄중성지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2)에서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는 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및 스핑가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토스핑고신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3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2)에서 유기산은 카르복시산, 술폰산, 인산, 푸마르산, 젖산, 구연산, 부티르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5~0.3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3)에서 가온은 60 내지 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3)에서 혼합시 교반을 수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지방산의 제조
양털로부터 얻어진 라놀린 지방에 에탄올과 가성소다를 처리하여, 라놀린 알코올부과 글리세롤부를 분리한 후 염산 처리하고 헥산으로 분획하여 알코올부를 지방산으로 얻어냈다.
실시예 2 : 아세톡시 라놀린 지방산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라놀린 지방산을 초산에틸에 용해한 후 트리에틸아민과 무수초산 처리하였다. 반응 종료 후 3N HCl로 1회, 식염수 3회로 상분리한 다음, 잔류하는 초산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상층부를 황산나트륨 처리한 후 농축 후 건조하였다.
실시예 3 : 아세톡시 라놀린 세라마이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아세톡시 라놀린 지방산을 초산에틸에 용해한 후 소디움메톡사이드와 피토스핑고신을 투입하였다. 5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해당 반응액을 5℃로 냉각한 후 필터링하여 백색의 여과물을 얻었다. 백색의 여과물을 건조시킨 후, 실리카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전개조건: 클로로포름+메탄올+ 포름산=190:15:1, 10% 황산발색) 분석을 수행하여 아세톡시 라놀린 세라마이드를 확인하였다(도 1). 이때 대조군으로 3형 세라마이드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아세톡시 라놀린 세라마이드를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KOH 처리하였다. KOH 반응액을 5℃로 냉각한 후 필터링하여 백색의 여과물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의 여과물에 대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 클로로포름+메탄올=96:4, 순상 고정상, 광산란 검출기) 분석을 수행하여 면적값 기준 96%의 세라마이드 피크를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4 : 측쇄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의 제조
측쇄 스테아린산 3.5g을 초산에틸 20ml에 용해시킨 후 토실클로라이드 3g과 DMAP(4-Dimethylaminopyridine) 1g을 투입하여 0.5시간 반응시킨 후 피토스핑고신(R1=(CH2-CH2), R2=(C13H27), R4=(H)) 4g을 투입하였다. 피토스핑고신을 투입한 후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액을 10도로 냉각한 후 여과하여 백색의 여과물 4g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의 여과물을 건조 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하여 98% 면적값의 세라마이드 피크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 :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의 제조
측쇄를 포함하지 않은 스테아린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라마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올레오일 세라마이드의 제조
측쇄를 포함하지 않고 이중결합을 포함한 올레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라마이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 녹는점 평가
실시예 4,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세라마이드에 대해 모세관 튜브를 이용하여 녹는점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측쇄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실시예 4)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비교예 1) 올레오일 세라마이드(비교예 2)
녹는점(℃) 94.7 115.4 105.4
상기 표 1에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측쇄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세라마이드보다 녹는점이 훨씬 낮았다.
실험예 3 : 용해도 평가
실시예 4,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세라마이드를 오일 및 폴리올류에서 용매성 물질의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를 혼합한 후 80℃ 교반하며 가온한 후 실온 냉각하여 용해정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용매 측쇄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실시예 4)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비교예 1) 올레오일 세라마이드(비교예 2)
INCI Name 0.1% 0.5% 1.0% 0.1% 0.5% 1.0% 0.1% 0.5%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 ++ ++ + - - + -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 ++ ++ - - - - -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 ++ ++ + + - + +
글리세린(Glycerin) - - - - - - - -
카프릴/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 - - - - - - -
세틸 에틸 헥사노에이트(Cetyl ethyl hexanoate) ++ + - - - - - -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사 시드 오일(Macadamia ternifolisa seed oil) + - - - - - - -
(-) : 불용해성
(+) : 용해성 (실온으로 냉각 후 재결정 일어남)
(++) : 매우 용해성 (실온으로 냉각후 재결정이 일어나지 않음)
상기 표 2에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측쇄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세라마이드보다 용해도가 현저하게 높았다.
실시예 5 : 조성물의 제조 및 안정도 평가
실시예 4,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세라마이드를 사용하여 하기 표 3와 같은 실시예 5,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조성물을 제조하고 수분산시킨 후 45℃ 터비스캔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원료 함량(%)
측쇄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실시예 4) 스테아로일 세라마이드(비교예 1) 올레오일 세라마이드(비교예 2)
수상부 To 100 To 100 To 100
피토스핑고신 1.5 1.5 1.5
유기산 0.2 0.2 0.2
유상부 중쇄중성지질 3 3 3
콜레스테롤 2 2 2
스테아린산 2.5 2.5 2.5
레시틴 3.5 3.5 3.5
세라마이드 3.5 3.5 3.5
올레산 2.5 2.5 2.5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0.2 0.2 0.2
그 결과, 도 3과 같이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측쇄스테아린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조성물이 적용된 크림 제형의 제조, 안정성 및 액정 형성 능력 평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를 사용하여 하기 표 4와 같은 실시예 6의 크림 제형을 제조한 후 편광 현미경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번호 상표명 INCI 명칭 세라마이드
액정크림 성분 함량(중량%)
1 Lanette-O 세토스테아릴 알코올(Cetostearyl Alcohol) 3.00
3 GMS 20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2.00
4 Oliwax LC 팔미테이트, 소르비탄(Palmitate, Sorbitan)팔미테이트, 소르비탄 O(Palmitate, Sorbitan O) 2.00
5 Olivem 1000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0.50
6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1.50
7 Squalane 스쿠알렌(Squalane) 5.00
8 Silicone 200f/100s 디메치콘(Dimethicone) 0.30
9 D.I Water Water 77.08
10 EDTA-2Na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02
11 KMO-6 1,2-헥산디올(1,2-Hexanediol) 2.00
12 1,3BG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3.00
13 Glyserine 글리세린(Glycerin) 5.00
14 Keltrol F 잔탄 검(Xanthan Gum) 0.10
총합 100.00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크림 제형은 4 주 동안 상분리 및 결정이 석출되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크림 제형의 경우 멀티라멜라(Multi lamellar) 형인 말테크로스 액정상이 확인되었으며, 액정상의 균일성 측면에서도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 미세먼지 흡착 방지능 시험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크림제형을 사용하여 미세먼지 흡착 방지능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크림 제형을 사용한 결과 플라시보 크림(placebo cream)에 비해 미세먼지 흡착도가 76%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 경피수분손실 방지효과 및 피부수분량 증진효과 시험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제형에 대하여 경피수분손실량 분석을 수행하여 경피수분손실 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6a).
구체적으로, 22℃, 상대습도 45%의 항온항습실에서 팔의 상박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Tape stripping)을 실시하여 피부의 방어막을 약화시킨 후,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를 적용한 크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세라마이드를 적용한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조성물을 각각 20 명의 피시험자에게 일정량(0.03g/16㎠)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나서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다. TEWL은 C-K(Courage + Khazaka, Cologne, 독일)사의 수분증발량기(evaporatimeter)인 Tewameter TM 210으로 측정하였다. 도포 후 12시간 마다 1분 간격으로 5회씩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6a에 나타내었다.
구분(수분 증발량) 실시예 6 비교예 3 비교예 4
0시간 후 11.37±4.53 11.34±2.32 11.99±1.70
12시간 후 9.54±1.85 9.18±2.17 9.81±1.30
24시간 후 8.18±2.76 8.02±1.95 8.24±2.85
36시간 후 7.67±1.83 7.19±2.27 6.97±1.54
48시간 후 6.04±2.01 6.21±1.15 5.89±1.24
상기 표 5 및 도 6a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제형은 경피수분손실 방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제형을 이용하여 피부수분량 분석을 수행하여 피부수분량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6b).
구체적으로, 피부 수분량 측정을 위해 총 20명의 피시험자에게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제형을 1일 2회 도포하고, 3일차, 5일차, 8일차, 10일차에 총 3번 수분 보유량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여 수분 보유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조성물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수분 보유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 보유량은 C-K(Courage + Khazaka, Cologne, 독일)사의 피부 수분 측정기(Corneometer, CM82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22℃, 상대습도 45%의 항온항습실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6b에 나타내었다.
구분(피부수분량) 실시예 6 비교예 3 비교예 4
0시간 후 35.91±6.73 35.14±6.99 34.35±6.65
12시간 후 38.38±6.58 37.97±8.75 37.39±9.86
24시간 후 40.33±9.58 40.94±7.33 40.84±9.11
36시간 후 41.36±10.27 41.54±10.78 42.13±8.68
48시간 후 43.24±8.71 43.94±7.33 43.39±7.21
상기 표 6 및 도 6b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제형은 피부수분량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 홍반 개선 효과 시험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제형을 이용하여 홍반 개선 효과를 임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홍반 측정을 위해 총 10명의 피시험자에게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측쇄 지방산 세라마이드 함유 제형을 1일 2회 도포하고, 사용전(0주), 사용 후 1주, 사용 후 2주에 기기 측정을 진행하였다. C-K(Courage + Khazaka, Cologne, 독일)사의 Mexameter MX 18을 이용하여 뺨 부위의 피부 홍반 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구분(홍반)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0주차 289.93±6.149 294.2±20.316 261.53±10.82
1주차 256.4±8.500 270.87±20.529 236.2±11.578
2주차 222.8±8.051 238.8±18.413 213.47±11.518
상기 표 7 및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 함유 제형은 홍반 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25)

  1.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가지며, 녹는점이 10~100℃인 것인 스핑고지질:
    [화학식 1]
    Figure 112022099815505-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CH2-CH2, -CH=CH 또는 -C(H)OH-CH2이고,
    R2는 탄소수 12 내지 20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이며,
    R3는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두 개의 메틸기가 결합되고 임의적으로 히드록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2 내지 24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이고,
    R4는 H 또는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지질은 녹는점이 70~100℃인 것인 스핑고지질.
  4.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함유하는 스핑고지질, 콜레스테롤, 지방산, 중쇄중성지질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보습 개선; 또는 홍반 개선 용도의 피부도포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 유기산 및 전체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의 물을 더 포함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지질 0.01 내지 6 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5 중량%, 지방산 0.1 내지 8 중량%, 중쇄중성지질 0.1 내지 5 중량% 및 인지질 0.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 0.1 내지 3 중량%, 유기산 0.05 내지 0.3 중량% 및 전체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트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에루크산, 측쇄라우린산, 측쇄미리스틴산, 측쇄팔미틴산, 측쇄스테아린산, 측쇄올레인산, 측쇄아라키드산, 측쇄베헨산 및 측쇄리그노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인 피부도포용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포리피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레시틴, 하이드로옥실레이티드 레시틴 및 불포화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인 피부도포용 조성물.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는 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및 스핑가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인 피부도포용 조성물.
  11. 제4항에 있어서,
    세라마이드 1, 2, 3, 4, 5, 6, 7, 8 및 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세라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피부도포용 조성물.
  12. 제4항에 있어서,
    피부 각질층의 충진을 통하여 0.1 ㎛ 내지 100 ㎛의 크기를 갖는 질산염 및 황산염, 탄소류 및 기타 광물류의 흡착을 방지하는 것인 피부도포용 조성물.
  13. 제4항에 따른 조성물을 총 중량 당 0.000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에 사용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개선에 사용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주름 개선 및 피부개질에 사용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7. 제4항에 따른 조성물을 총 중량 당 0.000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은 염증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인 의약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은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 개선에 사용되는 것인 의약 조성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은 인체주름 개선 및 피부개질에 사용되는 것인 의약 조성물.
  21. (1)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스핑고지질, 콜레스테롤, 지방산 및 인지질을 오일에 용해시켜 지질부를 제조하는 단계;
    (2)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와 유기산 혼합물을 물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지질부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수상부를 가온하면서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지방산은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트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에루크산, 측쇄라우린산, 측쇄미리스틴산, 측쇄팔미틴산, 측쇄스테아린산, 측쇄올레인산, 측쇄아라키드산, 측쇄베헨산 및 측쇄리그노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인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인지질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포리피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레시틴, 하이드로옥실레이티드 레시틴 및 불포화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인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중쇄중성지질을 추가로 오일에 용해시키는 것인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는 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및 스핑가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인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85249A 2020-07-10 2020-07-10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스핑고지질과 그의 용도 KR102503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49A KR102503769B1 (ko) 2020-07-10 2020-07-10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스핑고지질과 그의 용도
US18/015,212 US20230265048A1 (en) 2020-07-10 2020-12-28 Novel sphingolipid containing branched-chain fatty acid and use thereof
EP20944503.0A EP4180418A1 (en) 2020-07-10 2020-12-28 Novel sphingolipid containing branched-chain fatty acid and use thereof
PCT/KR2020/019239 WO2022010054A1 (ko) 2020-07-10 2020-12-28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스핑고지질과 그의 용도
CN202080105017.7A CN116075496A (zh) 2020-07-10 2020-12-28 具有支链脂肪酸的新型鞘脂及其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49A KR102503769B1 (ko) 2020-07-10 2020-07-10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스핑고지질과 그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258A KR20220007258A (ko) 2022-01-18
KR102503769B1 true KR102503769B1 (ko) 2023-02-27

Family

ID=7955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249A KR102503769B1 (ko) 2020-07-10 2020-07-10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스핑고지질과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65048A1 (ko)
EP (1) EP4180418A1 (ko)
KR (1) KR102503769B1 (ko)
CN (1) CN116075496A (ko)
WO (1) WO20220100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71432B (it) * 1981-08-03 1987-06-10 Fidia Farmaceutici Amidi organiche derivate da lipidi azotati utilizzabili come farmaci
ES2207023T3 (es) * 1997-12-05 2004-05-16 Cosmoferm B.V.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una combinacion de una base esfingoide libre y una ceramida y utilizacion de las mismas.
FR2855049B1 (fr) * 2003-05-19 2006-07-21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precurseur de ceramide a base 6-hydroxy-sphingenine et un activeur de la voie des 6-hydroxylases, utilisation pour renforcer la fonction barriere de la peau
KR101153576B1 (ko) * 2003-06-10 2012-06-11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KR101458108B1 (ko) 2012-12-28 2014-11-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피부 장벽 기능 증진용 유사지질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473198B1 (ko) * 2013-04-12 2014-12-16 코스맥스 주식회사 투명 세라마이드 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959204B2 (ja) * 2018-09-18 2021-11-02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新規セラミドそれを含む皮膚保湿剤およびセラミド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258A (ko) 2022-01-18
WO2022010054A1 (ko) 2022-01-13
EP4180418A1 (en) 2023-05-17
US20230265048A1 (en) 2023-08-24
CN116075496A (zh) 2023-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1944C1 (ru) Церамиды,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гидратирующе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ли волос
KR100371491B1 (ko) 피부 보호용 크림조성물
ES2558784T3 (es) Composición médica de protección cutánea con una combinación de principios activos que mejoran la barrera cutánea
ITMI991884A1 (it) Composizioni per la cura della pelle e loro impiego nel curare una pelle danneggiata
CN114177109B (zh) 一种复合神经酰胺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3343208B2 (ja) 液晶構造を有する脂質組成物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0915081B1 (fr) Composé de type céramide,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utilisation
KR102558185B1 (ko) 식물성오일 유래의 유사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26778A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3769B1 (ko) 측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스핑고지질과 그의 용도
KR101461625B1 (ko) 16-히드록시헥사데카노익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손상의 개선 또는 치료, 또는 피부장벽 기능의 개선 또는 강화용 조성물
KR102036141B1 (ko) 이중캡슐공정을 이용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16252B1 (ko) 해양생물-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조성물
KR101175193B1 (ko) 세라미드 함유 히알루론산 복합체를 포함하는 피부질환용 조성물
KR100867679B1 (ko) 천연 액정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246150B2 (ja) 皮膚化粧料組成物
KR102502487B1 (ko) 신규한 스핑고지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EP4282399A1 (en) Cosmetic composition
EP4180419A1 (en) Novel sphingolipid containing salicylic acid derivativ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160118641A (ko) 태지유사지질복합체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40087443A (ko) 감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2111410A (ja) 化粧料組成物
KR20150025253A (ko) 피부지질 복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