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123B1 -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 Google Patents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3123B1 KR102503123B1 KR1020220054276A KR20220054276A KR102503123B1 KR 102503123 B1 KR102503123 B1 KR 102503123B1 KR 1020220054276 A KR1020220054276 A KR 1020220054276A KR 20220054276 A KR20220054276 A KR 20220054276A KR 102503123 B1 KR102503123 B1 KR 1025031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cap
- torque bar
- torque
- wet tissu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8—Non-removable lids or covers pivoted for movement in plane of container mou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측면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며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폐쇄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물티슈 캡이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어 물티슈 내에 수분이 증발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개폐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 외력에 의해 측면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며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폐쇄되는 방식의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물티슈는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휴대하기 용이하게 비닐팩에 보관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이러한 비닐팩에 보관된 물티슈는 사용자가 물티슈를 꺼낼 때, 물티슈 캡의 배출구를 통해 맨 위에 있는 물티슈부터 낱장이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물티슈를 사용함에 따라 내장되어 있던 물티슈 비닐팩의 물티슈와 물티슈 비닐팩의 내부 공간이 비게 되면 물티슈들 간의 마찰계수가 줄어들면서 맨 위의 물티슈가 배출될 때 그 다음 접촉되어 있던 물티슈도 함께 인출되는 현상의 빈번히 발생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의도치 않게 추가로 인출되는 물티슈를 비닐팩 내부로 다시 밀어 넣은 후 물티슈 캡을 닫아야 하므로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동시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물티슈 캡이 닫히지 않았음에도 사용자는 이를 인식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물티슈 캡이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어 내부에 내장된 물티슈에 수분이 증발하는 문제도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티슈 캡의 개폐여부를 인식하는 것과 관계없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항시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비닐팩 내부에 내장된 물티슈의 수분 증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물티슈 캡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측면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며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폐쇄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물티슈 캡이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어 물티슈 내에 수분이 증발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측면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며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폐쇄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물티슈 캡이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어 물티슈 내에 수분이 증발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물티슈가 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외각 둘레를 따라 그 바닥면이 연결 설치되고,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110)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나사산(110)에 치합하는 나사산(210)이 하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내측면이 하단에서 상방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수직면(221)과, 바닥면(222)과, 제2수직면(223)으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단차면(220)이 형성되는 바툼(200); 상기 바툼(200)의 바닥면이 형성되는 영역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개구된 토크바 삽입홀(300a)이 형성되는 바툼이너(300); 상기 바툼이너(3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크바 삽입홀(300a)이 삽입 고정되는 토크바(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토크바 삽입공(400a)이 형성되는 탑이너(400); 및 상기 탑이너(400)가 내측 둘레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탑이너(400)의 토크바 삽입공(400a)이 삽입되는 토크바(10)를 매개로 상기 바툼(200)의 상단에 배치되는 탑(5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크바(10)의 토크 회전 각도(Ra)는 90 내지 18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로 기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툼(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직면(223)과 맞닿도록 상기 탑(500)의 내측 둘레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5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520)는, 상기 탑(500)이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토크바(10)에 기설정된 토크 회전 각도(Ra) 만큼 연동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토크바(10)에 기설정된 토크 회전 각도(Ra)의 절반 보다 작은 각도(< Ra/2) 까지만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바툼(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직면(223)과,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스토퍼(520)의 일측면(521)이 맞닿는 위치인 동시에 상기 탑(500)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토크바(1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바툼(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직면(223)과 외측면(522)이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툼(200)의 제2수직면(223) 중 상기 바툼이너(300)와 맞닿은 영역의 상단부에는 제1수직단차면(224)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바툼이너(300) 중 상기 바툼(200)의 제2수직면(223)과 맞닿은 영역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수직단차면(224)에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직단차면(224)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끼움돌출면(31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500)의 내측 둘레면 중 상기 탑이너(400)와 맞닿은 영역의 상단부에는 제2수직단차면(510)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탑이너(400) 중 상기 탑(500)과 맞닿은 영역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수직단차면(510)에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제2수직단차면(510)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끼움돌출면(41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은 사용자 외력에 의해 측면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며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폐쇄되는 구조를 가져 종래 물티슈 캡이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어 물티슈 내에 수분이 증발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은 종래의 일반적인 물티슈의 캡에 대체하여 손쉽게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베이스에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바툼에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토크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바툼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탑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탑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작동상태(폐쇄 상태(a), 개방 상태(b))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베이스에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바툼에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토크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바툼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탑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탑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작동상태(폐쇄 상태(a), 개방 상태(b))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티슈가 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외각 둘레를 따라 그 바닥면이 연결 설치되고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110)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나사산(110)에 치합하는 나사산(210)이 하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내측면이 하단에서 상방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수직면(221)과 바닥면(222)과 제2수직면(223)으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단차면(220)이 형성되는 바툼(200)과, 상기 바툼(200)의 바닥면이 형성되는 영역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개구된 토크바 삽입홀(300a)이 형성되는 바툼이너(300)와, 상기 바툼이너(3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크바 삽입홀(300a)이 삽입 고정되는 토크바(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토크바 삽입공(400a)이 형성되는 탑이너(400)와, 상기 탑이너(400)가 내측 둘레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탑이너(400)의 토크바 삽입공(400a)이 삽입되는 토크바(10)를 매개로 상기 바툼(200)의 상단에 배치되는 탑(50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베이스에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는 본 발명의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가장 아래 위치에 배치된 구성으로서, 중앙이 상하로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110)이 형성된다.
특히, 물티슈 비닐팩으로부터 물티슈가 인출되는 영역의 외각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100)의 바닥면이 연결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바툼에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툼(2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단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하단 외주면 둘레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단부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산(110)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210)이 형성되고, 상기 바툼(200)은 내측면이 하단에서 상방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수직면(221)과, 상기 수직면(221)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222)과, 상기 바닥면(222)의 외주면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수직면(223)으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단차면(220)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바닥면(222)에는 토크바(10)의 하단이 설치될 수 있도록 토크바 고정홈(222a)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토크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바툼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툼이너(300)는 상기 바툼(200)의 계단식 단차면(220) 중 바닥면(222)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방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되, 윗변과 아래변은 상기 바툼(200)의 제2수직면(223)과 제1수직면(221)에 대응하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단식 단차면(220)의 바닥면(222)에 형성된 고정홈(222)이 위치한 영역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바툼이너(330)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토크바 삽입홀(300a)이 형성되는데, 상기 토크바 삽입홀(300a)은 상기 고정홈(222)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고정홈(222)에 고정 설치된 토크바(10)의 상단부가 상기 토크바 삽입홀(300a)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 된다.
한편, 상기 토크바(10)는 상기 토크바 삽입홀(300a)의 외주면 둘레에 대응하는 외주면 둘레를 갖는 내관과, 기설정된 토크 회전 각도(Ra)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내관에 결합된 외관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토크바(10)의 기설정된 토크 회전 각도가 90 °보다 작은 각도인 경우, 상기 토크바(1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탑(500)이 물티슈가 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외각 둘레를 따라 그 바닥면이 연결 설치된 링 형상의 베이스(100)의 개구된 영역을 충분히 개방하지 못해 물티슈를 인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상기 토크바(10)의 기설정된 토크 회전 각도가 180 °보다 큰 각도인 경우, 외력에 의해 상기 토크바(10)가 최대로 토크 회전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외력 제거하여 상기 탑(500)이 토크바(10)에 작용하는 반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토크바(10)의 토크 회전 각도(Ra)는 90 내지 18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로 기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탑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이너(400)는 상기 바툼이너(300)와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바툼이너(3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툼이너(300)의 토크바 삽입홀(300a)에 관통하여 돌출된 토크바(10)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바툼이너(300)의 토크바 삽입홀(300a)과 대면하는 영역에 상기 토크바 삽입공(400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토크바(10)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탑이너(40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탑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500)은 상기 탑이너(400)가 내측 둘레부 일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탑이너(400)의 토크바 삽입공(400a)에 연결된 토크바(10)로부터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토크바(10)가 고정 설치된 위치인 토크바 고정홈(222a)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바툼(200)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 둘레부 일면에 구비된 탑이너(400)가 상기 바툼이너(300)와 대면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의 작동상태(폐쇄 상태(a), 개방 상태(b))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상기 탑(500)의 내측 둘레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5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520)는 상기 바툼(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직면(223)과 맞닿아 상기 토크바(1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탑(5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스토퍼(520)는 상기 토크바(10)가 토크 회전 각도(Ra)를 가지도록 기설정됨에 따라 상기 토크바(10)의 회전에 연동하는 상기 탑(500)은 상기 바툼(200)과 겹쳐진 상태(폐쇄 상태)에서 상기 바툼(222)의 토크바 고정홈(222a) 위치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기설정된 회전 토크 각도(Ra)만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스토퍼(520)는 상기 탑(500)의 내측 둘레면 중 상기 탑(500)이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토크바(10)에 기설정된 토크 회전 각도(Ra) 만큼 연동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토크바(10)에 기설정된 토크 회전 각도(Ra)의 절반 보다 작은 각도(< Ra/2) 까지만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바툼(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직면(223)과,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스토퍼(520)의 일측면(521)이 맞닿는 위치인 동시에 상기 탑(500)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토크바(1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바툼(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직면(223)과 외측면(522)이 맞닿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스토퍼(520)는 기설정된 토크바(10)의 토크 회전 각도가 180 °설정되어 있다면, 토크바(10)가 회전되기 이전에 바툼(200)의 제2수직면(223)에 외측면에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동시에 토크바(10)의 토크 회전 각도(180°)의 절반 보다 작은 각도(<90°)까지만 탑(500)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토크바(10)의 회전 반발력에 의해 폐쇄 상태가 되는 위치로 회전되게 상기 탑(500)의 회전 반경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툼(200)과 상기 바툼이너(300)의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상호 맞닿는 면적을 넓도록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툼(200)의 제2수직면(223) 중 상기 바툼이너(300)와 맞닿은 영역의 상단부에는 제1수직단차면(224)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바툼이너(300) 중 상기 바툼(200)의 제2수직면(223)과 맞닿은 영역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수직단차면(224)에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직단차면(224)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끼움돌출면(31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이너(400)과 상기 탑(400)의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상호 맞닿는 면적을 넓도록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탑(500)의 내측 둘레면 중 상기 탑이너(400)와 맞닿은 영역의 상단부에는 제2수직단차면(510)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탑이너(400) 중 상기 탑(500)과 맞닿은 영역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수직단차면(510)에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제2수직단차면(510)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끼움돌출면(41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토크바 100: 베이스
110: 나사산
200: 바툼 210: 나사산
220: 계단식 단차면 221: 제1수직면
222: 바닥면 222a: 토크바 고정홈
223: 제2수직면 224: 제1수직단차면
300: 바툼이너 300a: 토크바 삽입홀
310: 제1끼움돌출면
400: 탑이너 400a: 토크바 삽입공
410: 제2끼움돌출면
500: 탑 510: 제2수직단차면
520: 스토퍼 521: 스토퍼의 일측면
522: 스토퍼의 외측면
110: 나사산
200: 바툼 210: 나사산
220: 계단식 단차면 221: 제1수직면
222: 바닥면 222a: 토크바 고정홈
223: 제2수직면 224: 제1수직단차면
300: 바툼이너 300a: 토크바 삽입홀
310: 제1끼움돌출면
400: 탑이너 400a: 토크바 삽입공
410: 제2끼움돌출면
500: 탑 510: 제2수직단차면
520: 스토퍼 521: 스토퍼의 일측면
522: 스토퍼의 외측면
Claims (6)
- 물티슈가 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외각 둘레를 따라 그 바닥면이 연결 설치되고,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110)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나사산(110)에 치합하는 나사산(210)이 하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내측면이 하단에서 상방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수직면(221)과, 바닥면(222)과, 제2수직면(223)으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단차면(220)이 형성되는 바툼(200);
상기 바툼(200)의 바닥면이 형성되는 영역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개구된 토크바 삽입홀(300a)이 형성되는 바툼이너(300);
상기 바툼이너(3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크바 삽입홀(300a)이 삽입 고정되는 토크바(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토크바 삽입공(400a)이 형성되는 탑이너(400); 및
상기 탑이너(400)가 내측 둘레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탑이너(400)의 토크바 삽입공(400a)이 삽입되는 토크바(10)를 매개로 상기 바툼(200)의 상단에 배치되는 탑(500);을 포함하는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크바(10)의 토크 회전 각도(Ra)는 90 내지 18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로 기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툼(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직면(223)과 맞닿도록 상기 탑(500)의 내측 둘레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5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20)는,
상기 탑(500)이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토크바(10)에 기설정된 토크 회전 각도(Ra) 만큼 연동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토크바(10)에 기설정된 토크 회전 각도(Ra)의 절반 보다 작은 각도(< Ra/2) 까지만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바툼(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직면(223)과,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스토퍼(520)의 일측면(521)이 맞닿는 위치인 동시에 상기 탑(500)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토크바(1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바툼(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직면(223)과 외측면(522)이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툼(200)의 제2수직면(223) 중 상기 바툼이너(300)와 맞닿은 영역의 상단부에는 제1수직단차면(224)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바툼이너(300) 중 상기 바툼(200)의 제2수직면(223)과 맞닿은 영역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수직단차면(224)에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직단차면(224)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끼움돌출면(31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500)의 내측 둘레면 중 상기 탑이너(400)와 맞닿은 영역의 상단부에는 제2수직단차면(510)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탑이너(400) 중 상기 탑(500)과 맞닿은 영역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수직단차면(510)에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제2수직단차면(510)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끼움돌출면(41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276A KR102503123B1 (ko) | 2022-05-02 | 2022-05-02 |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276A KR102503123B1 (ko) | 2022-05-02 | 2022-05-02 |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3123B1 true KR102503123B1 (ko) | 2023-02-23 |
Family
ID=8532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4276A KR102503123B1 (ko) | 2022-05-02 | 2022-05-02 |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312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89682A (ko) * | 2009-10-05 | 2012-08-13 | 아만다 블레이크만 | 특정 테마 형상의 친환경적 1회용 습식 와이프 용기, 및 그 구성 및 활용 방법 |
KR200477982Y1 (ko) | 2013-12-03 | 2015-08-12 | 장준호 | 물티슈 캡 |
KR20200000270A (ko) * | 2018-06-22 | 2020-01-02 | 주식회사 하이맥 | 수평회전 개방형 화장품 용기 |
KR102333488B1 (ko) | 2020-06-30 | 2021-12-01 | 신무선 | 낱장 인출이 가능한 인출차단부재를 갖는 물티슈 캡 |
-
2022
- 2022-05-02 KR KR1020220054276A patent/KR1025031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89682A (ko) * | 2009-10-05 | 2012-08-13 | 아만다 블레이크만 | 특정 테마 형상의 친환경적 1회용 습식 와이프 용기, 및 그 구성 및 활용 방법 |
KR200477982Y1 (ko) | 2013-12-03 | 2015-08-12 | 장준호 | 물티슈 캡 |
KR20200000270A (ko) * | 2018-06-22 | 2020-01-02 | 주식회사 하이맥 | 수평회전 개방형 화장품 용기 |
KR102333488B1 (ko) | 2020-06-30 | 2021-12-01 | 신무선 | 낱장 인출이 가능한 인출차단부재를 갖는 물티슈 캡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0078Y1 (ko)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
JP4482944B2 (ja) | 蓋付き飲料用容器 | |
KR102503123B1 (ko) | 반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캡 | |
KR200367726Y1 (ko) | 파우더 분말용 화장품 케이스 | |
KR200444902Y1 (ko) |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 |
KR101367326B1 (ko) |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 |
ES2268346T3 (es) | Tapon dosificador para contenedor de liquidos. | |
KR101373638B1 (ko) | 원터치 방식의 기능성 컵 마개 | |
KR200335636Y1 (ko) | 립스틱 용기 | |
KR200145564Y1 (ko) | 액체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 |
KR200354814Y1 (ko) | 두 종류의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는 이중용기 | |
JP2532935Y2 (ja) | 注出キャップ | |
JP3996373B2 (ja) | 棒状化粧料繰出し容器 | |
CN220375239U (zh) | 开启盖 | |
KR100933665B1 (ko) |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 |
JP3001850U (ja) | 飲料用容器の蓋 | |
KR101839611B1 (ko) | 원터치캡 | |
KR200480691Y1 (ko) | 빨대 지지부가 구비된 텀블러 | |
JPH09309555A (ja) | キャップ | |
CN218921983U (zh) | 清洁刷的收纳装置及清洁刷组件 | |
KR970001000Y1 (ko) | 립스틱 케이스 | |
CN212939275U (zh) | 一种便于开启的杯盖及具有该杯盖的保温杯 | |
JP3251807B2 (ja) | キャップ | |
CN217118083U (zh) | 一种旋动式开合的杯盖 | |
KR101373637B1 (ko) | 원터치 방식의 기능성 컵 마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