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044B1 -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044B1
KR102503044B1 KR1020180098219A KR20180098219A KR102503044B1 KR 102503044 B1 KR102503044 B1 KR 102503044B1 KR 1020180098219 A KR1020180098219 A KR 1020180098219A KR 20180098219 A KR20180098219 A KR 20180098219A KR 102503044 B1 KR102503044 B1 KR 10250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vertical blank
luminance
correction valu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557A (ko
Inventor
구자헌
박진호
문종득
우수한
이경훈
최경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044B1/ko
Priority to JP2019056115A priority patent/JP7317538B2/ja
Priority to US16/506,154 priority patent/US10909935B2/en
Priority to EP19192005.7A priority patent/EP3624107B1/en
Priority to CN201910768648.6A priority patent/CN110858473B/zh
Publication of KR20200022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557A/ko
Priority to US17/145,572 priority patent/US1127635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3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amplitud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tim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동기 신호를 카운팅하여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산출하는 수직 블랭크(VB) 감지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여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휘도 보정값 산출부 및 상기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는 노멀 휘도값의 노멀 레벨을 갖고,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에는 상기 휘도 보정값의 보정 레벨을 갖는 광원 구동 신호를 상기 광원부에 제공하는 광원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시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외부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는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프레임 레이트를 실시간으로 가변하고 있다. 스케일러(Scaler)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 레이트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 구동 프레임의 패널 프레임 레이트로 조절하여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제공한다.
이미지 프레임 레이트가 패널 프레임 레이트 보다 느리거나 빠른 경우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이전 프레임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중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가 출력되거나,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중 다음 프레임의 이미지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이 끊기는 현상(tearing)이 발생한다.
이러한 화면 끊김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스케일러는 수직 동기화를 위해 수직 동기화 모드로 구동한다. 상기 수직 동기화 모드는 프레임 레이트가 느린 경우, 스케일러는 이전 프레임의 이미지를 반복하여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이 지연되는 현상(stuttering)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기 이미지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vertical blank) 구간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상기 이미지 프레임 레이트와 일치시키는 적응적 동기(Adaptive Sync)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의 수직 블랭크 구간이 다름에 따라서 프레임 마다 액정 표시 패널의 평균 휘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플리커(flicker)와 같은 표시 불량이 시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가변에 따른 휘도 편차를 개선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동기 신호를 카운팅 하여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산출하는 수직 블랭크(VB) 감지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여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휘도 보정값 산출부 및 상기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는 노멀 휘도값의 노멀 레벨을 갖고,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에는 상기 휘도 보정값의 보정 레벨을 갖는 광원 구동 신호를 상기 광원부에 제공하는 광원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기준 카운터 값 이상이면 휘도 보정값을 단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이 가장 작은 기준 카운터 값 보다 작으면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 설정된 노멀 휘도값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다음 프레임의 시작 신호가 라이징 되면 다음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 설정된 노멀 휘도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은 가변 가능한 복수의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발광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블록들 각각에 제공되는 복수의 광원 구동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여 발광 블록별로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광원 구동부는 액티브 구간에는 발광 블록별로 설정된 노멀 휘도값의 노멀 레벨을 갖고, 수직 블랭크 구간에는 상기 휘도 보정값의 휘도 레벨을 갖는 광원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 블록에 대응하는 표시 블록의 이미지 데이터를 히스토그램 분석하여 표시 블록별로 대표 계조를 산출하는 히스토그램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고, 상기 대표 계조에 기초하여 발광 블록별 휘도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들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 프레임이 수직 블랭크 구간이 가변하는 적응적 동기 모드인지 또는 수직 블랭크 구간이 일정한 일반 동기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동기 신호를 카운팅 하여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여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 노멀 휘도값의 노멀 레벨을 갖고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에 상기 휘도 보정값에 기초한 보정 레벨을 갖는 광원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각 기준 카운터 값 이상이면 휘도 보정값을 단계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이 가장 작은 기준 카운터 값 보다 작으면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 노멀 휘도값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 프레임의 시작 신호가 라이징 되면 다음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 설정된 노멀 휘도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은 가변 가능한 복수의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발광 블록들 각각에 복수의 광원 구동 신호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여 발광 블록별로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액티브 구간에는 발광 블록별로 설정된 노멀 휘도값의 노멀 레벨을 갖고 수직 블랭크 구간에는 상기 휘도 보정값의 휘도 레벨을 갖는 광원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 블록에 대응하는 표시 블록의 이미지 데이터를 히스토그램 분석하여 상기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대표 계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고, 상기 대표 계조에 기초하여 발광 블록별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들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 프레임이 수직 블랭크 구간이 가변하는 적응적 동기 모드인지 또는 수직 블랭크 구간이 일정한 일반 동기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가변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휘도 편차를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에 제공되는 광의 휘도 레벨을 보정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의 휘도 레벨을 이미지의 계조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동기 모드의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액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휘도 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값 산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룩업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기초하여 보정값이 적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따라 보정값이 적용된 발광 구동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 블록들의 발광 구동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값 산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2 룩업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 블록들의 발광 구동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동기 모드의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 표시 장치(1000)는 액정 표시 패널(100), 타이밍 제어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게이트 구동부(400), 광원부(500) 및 광원 구동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및 복수의 화소들(P)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은 열 방향(CD)으로 연장되고, 상기 열 방향(CD)과 교차하는 행 방향(RD)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은 상기 행 방향(RD)으로 연장되고 상기 열 방향(CD)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화소들(P)은 복수의 화소 행들과 복수의 화소 열들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각 화소(P)는 데이터 라인(DL)과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 상기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CLC) 및 상기 액정 커패시터(CLC)와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커패시터(CLC)에는 액정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고,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는 스토리지 공통 전압(VST)이 인가된다. 상기 액정 공통 전압(VCOM)과 상기 스토리지 공통 전압(VST)은 같은 전압일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는 외부 장치인 그래픽 처리 장치(GPU)로부터 이미지 데이터(DATA) 및 동기 신호(SS)를 수신한다. 상기 동기 신호(SS)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에는 프레임 주파수가 가변하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한다.
제n 프레임(n_F)은144 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갖고, 제n+1 프레임((n+1)_F)은 48 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갖고, 제n+2 프레임((n+2)_F)은100 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갖는다.
상기 144 Hz의 제n 프레임(n_F)은 고정 길이(FL)의 제n 액티브 구간(ATn)과 제1 길이(L1)의 제n 수직 블랭크 구간(VBn)을 갖는다. 상기 48 Hz의 제n+1 프레임((n+1)_F)은 고정 길이(FL)의 제n+1 액티브 구간(ATn+1)과 상기 제1 길이(L1) 보다 긴 제2 길이(L2)의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VBn+1)을 갖는다. 상기 100 Hz의 제n+2 프레임((n+2)_F)은 고정 길이(FL)의 제n+1 액티브 구간(ATn+1)과 상기 제1 길이(L1) 보다 길고 상기 제2 길이(L2) 보다 짧은 제3 길이(L3)의 제n+2 수직 블랭크 구간(VBn+2)을 갖는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는 상기 동기 신호(SS)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복수의 제어 신호들은 데이터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 상기 게이트 구동부(400)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GCS) 및 상기 광원 구동부(600)를 제어하는 광원 제어 신호(LC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DATA)를 다양한 보정 알고리즘들을 통해 보정하고 보정된 이미지 데이터(DATA1)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는 상기 데이터 제어 신호(DCS)에 기초하여 수평 주기 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DATA1)를 아날로그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400)는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GCS)에 기초하여 복수의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 신호들을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은 제n 프레임(n_F)의 제n 액티브 구간(ATn) 동안 제n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액정 표시 패널(100)에 충전하고 제1 길이(L1)의 제n 수직 블랭크 구간(VBn) 동안 충전된 상기 제n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유지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은 제n+1 프레임((n+1)_F)의 제n+1 액티브 구간(ATn+1) 동안 제n+1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충전하고 제2 길이(L2)의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VBn+1) 동안 충전된 상기 제n+1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유지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은 제n+2 프레임((n+2)_F)의 제n+2 액티브 구간(ATn+2) 동안 제n+2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충전하고 제3 길이(L3)의 제n+2 수직 블랭크 구간(VBn+2) 동안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에 충전된 상기 제n+2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유지한다.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이 길수록 누설 전류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100)의 충전된 데이터 전압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평균 휘도는 감소한다.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평균 휘도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길이가 가장 짧은 제n 프레임(n_F)이 가장 높고, 수직 블랭크 구간의 길이가 가장 긴 제n+1 프레임((n+1)_F)이 가장 낮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의 길이에 따라서 광원부(5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휘도를 보정함으로써 수직 블랭크 구간의 변화에 따른 휘도 편차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는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길이에 따라 광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해서 수직 블랭크(Vertical Blank : VB) 감지부(210) 및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B 감지부(210)는 동기 신호(SS)를 카운팅하여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VB 감지부(2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카운팅 하여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VB 감지부(21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의 내부에 포함된 오실레이터(oscillator)에서 생성된 내부 동기 신호인 클럭 신호를 카운팅 하여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는 상기 VB 감지부(210)에서 제공된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따라서 상기 광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산출한다.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는 상기 보정값을 상기 광원부(50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광원 구동부(6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500)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에 광을 제공한다. 상기 광원부(500)는 상기 광원 구동부(600)로부터 제공된 광원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가 제어된 광을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에 제공한다.
상기 광원부(500)는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발광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 각각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의 해당하는 표시 블록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부(600)는 상기 광원 제어 신호(LCS)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500)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 구동부(600)는 상기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을 구동하는 복수의 광원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3,..., LS_BN)을 생성한다. 상기 복수의 광원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3,..., LS_BN)은 디지털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또는 아날로그 디밍(dimming)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 구동부(600)는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로부터 제공된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따라 산출된 상기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의 복수의 보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3,..., LS_BN)을 생성한다.
상기 복수의 광원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3,..., LS_BN) 각각은 액티브 구간에서는 각 발광 블록에 대응하여 설정된 노멀 휘도 레벨을 갖고,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따라 산출된 보정값에 대응하는 보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정값은 복수개 일 수 있고,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은 복수의 보정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따라서 복수의 발광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휘도를 보정함으로써 수직 블랭크 구간의 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휘도 편차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발광 블록들의 광을 개별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위치별로 이미지의 휘도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액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휘도 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는 비교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한 평면도이다.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100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액정 표시 패널에 32 계조, 64 계조, 128 계조, 192 계조 및 256 계조 이미지를 각각 표시하고, 각 계조 이미지가 표시된 액정 표시 패널의 샘플 위치, 예를 들면, 중앙 영역(Center), 상기 중앙 영역에 대해 좌측 영역(Left), 우측 영역(Right), 상측 영역(Up) 및 하측 영역(Down)에서 각각 휘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50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액정 표시 패널에32 계조, 64 계조, 128 계조, 192 계조 및 256 계조 이미지를 각각 표시하고, 각 계조 이미지가 표시된 액정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Center), 상기 중앙 영역에 대해 좌측 영역(Left), 우측 영역(Right), 상측 영역(Up) 및 하측 영역(Down)에서 각각 휘도를 측정하였다.
도 3b는 액정 표시 패널의 수직 방향에 따른 G-Value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c는 액정 표시 패널의 수평 방향에 따른 G-Valu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3b 및 도 3b에 도시된 G-Value 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G-Value = 100 Hz로 구동할 경우 휘도값/ 50 Hz로 구동할 경우 휘도값
도 3b에 도시된 액정 표시 패널의 수직 방향에 위치한 상측 영역(Up), 중앙 영역(Center) 및 하측 영역(Down)의 G-Value를 참조하면, 0 계조 내지 64 계조의 저계조 범위에서, 상측 영역(Up), 중앙 영역(Center) 및 하측 영역(Down)의 G-Value 은 모두 1 보다 작다. 즉, 저계조 범위에서 50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할 때 휘도가 100 Hz 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할 때 휘도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5 계조에서 하측 영역(Down)의G-Value 이 중앙 영역(Center)의 G-Value 보다 작고, 상측 영역(Up)의G-Value 은 중앙 영역(Center)의 G-Value 보다 크다. 즉, 동일한 액정 표시 패널 내에서 중앙 영역(Center) 대해서 하측 영역(Down)이 프레임 주파수에 따른 휘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고, 상측 영역(Up)이 프레임 주파수에 따른 휘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음을 알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 패널의 수평 방향에 위치한 좌측 영역(Left), 중앙 영역(Center) 및 우측 영역(Right)의 G-Value를 참조하면, 0 계조 내지 64 계조의 저계조 범위에서, 좌측 영역(Left), 중앙 영역(Center) 및 우측 영역(Right)의 G-Value 은 모두 1 보다 작다. 즉, 저계조 범위에서 50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할 때 휘도가 100 Hz 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할 때 휘도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저계조 범위에서, 좌측 영역(Left) 및 중앙 영역(Center)의G-Value 은 대체로 비슷하고, 우측 영역(Right)의G-Value이 상대적으로 크다. 즉, 동일한 액정 표시 패널 내에서 좌측 영역(Left) 및 중앙 영역(Center)은 프레임 주파수에 따른 휘도 차이가 비슷하고, 우측 영역(Right)은 프레임 주파수에 따른 휘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큼을 알 수 있다.
도 3b 및 도 3c에 따르면, 프레임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휘도 편차는 액정 표시 패널의 위치별로 다름을 알 수 있다.
도 3d는 계조 및 위치에 따라 100 Hz 와50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할 때의 휘도 편차를 나타낸 표이다. 도 3d에 도시된 휘도값(nit)은 100 Hz로 구동할 때의 휘도값에서 50 Hz 로 구동할 때의 휘도값을 뺀 값이다.
도 3d에 도시된 15 계조를 참조하면, 좌측 영역(Left)의 휘도값은 -0.27 nit 이고, 우측 영역(Right)의 휘도값은 -0.32 nit 이고, 중앙 영역(Center)의 휘도값은 -0.12 nit 이고, 상측 영역(Up)의 휘도값은 0.10 nit 이고, 하측 영역(Down)의 휘도값은 -0.10 nit 이다.
15 계조의 휘도는 좌측 영역(Left), 상측 영역(Up), 중앙 영역(Center) 및 하측 영역(Down)은50 Hz 로 구동할 때 휘도값이 100 Hz 로 구동할 때의 휘도값 보다 높고, 특히 우측 영역(Right)의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측 영역(Up)에서 32 계조의 휘도값은 100 Hz 로 구동할 때가 50 Hz 로 구동할 때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도 3d에 따르면, 프레임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휘도 편차는 액정 표시 패널의 위치별 및 이미지의 계조별로 다름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주파수의 가변, 즉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가변에 의한 휘도 편차를 액정 표시 패널의 위치별로 보정하여 이미지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주파수의 가변, 즉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가변에 의한 휘도 편차를 액정 표시 패널의 위치별 및 이미지의 계조별로 보정함으로써 이미지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값 산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룩업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는 프레임 주파수, 즉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가변에 의한 휘도 편차를 액정 표시 패널의 위치별로 보정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블록들의 복수의 보정값들을 산출한다.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는 제1 룩업테이블(231) 및 산출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룩업테이블(231)은 수직 블랭크 구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클럭 신호를 카운팅 한 카운트 값(CV)에 따라서 샘플링된 발광 블록들의 보정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트 값(CV)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 이상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8,..., BN)의 보정값들은 (a1, a2,..., a8,..., aN)로 각각 결정된다.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트 값(CV)이 제2 기준 카운터 값(CV2) 이상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8,..., BN)의 보정값들은 (b1, b2,..., b8,..., bN)로 각각 결정된다. 상기 제2 기준 카운터 값(CV2)은 상기 제1 기준 카운터 값(CV1) 보다 클 수 있다.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트 값(CV)이 제3 기준 카운터 값(CV3) 이상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8,..., BN)의 보정값들은 (c1, c2,..., c8,..., cN)로 각각 결정된다. 상기 제3 기준 카운터 값(CV3)는 상기 제2 기준 카운터 값(CV2) 보다 클 수 있다.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트 값(CV)이 제4 기준 카운터 값(CV4) 이상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8,..., BN)의 보정값들은 (d1, d2,..., d8,..., dN)로 각각 결정된다.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트 값(CV)이 제5 기준 카운터 값(CV5) 이상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8,..., BN)의 보정값들은 (e1, e2,..., e8,..., eN)로 각각 결정된다. 상기 제5 기준 카운터 값(CV5)은 상기 제4 기준 카운터 값(CV4) 보다 클 수 있다.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트 값(CV)이 제6 기준 카운터 값(CV6) 이상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8,..., BN)의 보정값들은 (f1, f2,..., f8,..., fN)로 각각 결정된다. 상기 제6 기준 카운터 값(CV6)은 상기 제5 기준 카운터 값(CV5)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산출부(232)는 상기 제1 룩업테이블(231)에 저장된 보정값들에 기초하여 프레임에 대한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트 값에 따른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3,..., BN)의 복수의 보정값들을 실시간으로 산출한다.
상기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3,..., BN)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정값들은 도 1에 도시된 광원 구동부(600)에 제공된다. 상기 광원 구동부(600)는 상기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3,..., BN)을 구동하는 복수의 발광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N)을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기초하여 보정값이 적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기준 프레임 주파수가 144 Hz로 설정된 경우, 144 Hz에 대응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제1 길이(L1)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이 될 수 있다. 상기 144 Hz 의 프레임 주파수에 프레임 레이트가 낮은 복수의 프레임 주파수들에 대응하여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기준 카운터 값(CV2)은 100 Hz의 프레임 주파수에 대응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제2 길이(L2)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이 될 수 있다. 제3 기준 카운터 값(CV3)은 80 Hz의 프레임 주파수에 대응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제3 길이(L3)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이 될 수 있다. 제4 기준 카운터 값(CV4)은 60 Hz의 프레임 주파수에 대응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제4 길이(L4)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이 될 수 있다. 제5 기준 카운터 값(CV5)은 50 Hz의 프레임 주파수에 대응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제5 길이(L5)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이 될 수 있다. 제6 기준 카운터 값(CV6)은 48 Hz의 프레임 주파수에 대응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제6 길이(L6)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이 될 수 있다.
VB 감지부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클럭 신호를 실시간으로 카운팅하고 카운터 값을 휘도 보정값 산출부에 제공한다.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실시간의 카운팅된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과 비교하여 보정값을 결정한다.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CV)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 보다 작으면 액티브 구간에 적용되는 노멀 휘도값(NOR_lev)을 그대로 적용한다.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CV)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 이상이고 제2 기준 카운터 값(CV2) 보다 작으면 제1 보정값(a)으로 결정하고, 제2 기준 카운터 값(CV2) 이상이고 제3 기준 카운터 값(CV3) 보다 작으면 제2 보정값(b)으로 결정하고, 제3 기준 카운터 값(CV3) 이상이고 제4 기준 카운터 값(CV4) 보다 작으면 제3 보정값(c)으로 결정하고, 제4 기준 카운터 값(CV4) 이상이고 제5 기준 카운터 값(CV5) 보다 작으면 제4 보정값(d)으로 결정하고, 제5 기준 카운터 값(CV5) 이상이고 제6 기준 카운터 값(CV6) 보다 작으면 제5 보정값(e)으로 결정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따라 보정값이 적용된 발광 구동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144 Hz의 프레임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클럭 신호를 카운팅한다.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CV)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 보다 작으므로 노멀 휘도값(NOR_lev)을 그대로 적용한다.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이 되는 시점에 다음 프레임의 시작됨에 따라서 액티브 구간에 대응하여 노멀 휘도값(NOR_lev)을 적용한다. 다음 프레임의 시작 시점은 수직 개시 신호(STV)의 라이징 시점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광원 구동부는 144 Hz의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노멀 휘도값(NOR_lev)에 대응하는 노멀 레벨을 갖는 발광 구동 신호(L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100 Hz의 프레임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클럭 신호를 카운팅한다.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부터 제2 기준 카운터 값(CV2)이 되기 전까지 상기 제1 보정값(a)을 적용하고, 제2 기준 카운터 값(CV2)이 되는 시점에 다음 프레임의 수직 개시 신호(STV)가 라이징 됨에 따라서 액티브 구간에 대응하여 노멀 휘도값(NOR_lev)을 적용한다.
따라서, 광원 구동부는 100 Hz의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노멀 휘도값(NOR_lev) 및 제1 보정값(a)에 대응하는 노멀 레벨 및 제1 보정 레벨을 갖는 발광 구동 신호(L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80 Hz의 프레임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클럭 신호를 카운팅한다.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부터 제2 기준 카운터 값(CV2)이 되기 전까지 제1 보정값(a)을 적용하고, 제2 기준 카운터 값(CV2)부터 제3 기준 카운터 값(CV3)이 되기 전까지 제2 보정값(b)을 적용하고, 제3 기준 카운터 값(CV3)이 되는 시점에 다음 프레임의 수직 개시 신호(STV)가 라이징 됨에 따라서 액티브 구간에 대응하여 노멀 휘도값(NOR_lev)을 적용한다.
따라서, 광원 구동부는 80 Hz의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노멀 휘도값(NOR_lev), 제1 보정값(a) 및 제2 보정값(b)에 대응하는 노멀 레벨, 제1 보정 레벨 및 제2 보정 레벨을 갖는 발광 구동 신호(L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60 Hz의 프레임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클럭 신호를 카운팅한다.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부터 제2 기준 카운터 값(CV2)이 되기 전까지 제1 보정값(a)을 적용하고, 제2 기준 카운터 값(CV2)부터 제3 기준 카운터 값(CV3)이 되기 전까지 제2 보정값(b)을 적용하고 제3 기준 카운터 값(CV3)부터 제4 기준 카운터 값(CV4)이 되기 전까지 제3 보정값(c)을 적용하고, 제4 기준 카운터 값(CV4)이 되는 시점에 다음 프레임의 수직 개시 신호(STV)가 라이징 됨에 따라서 액티브 구간에 대응하여 노멀 휘도값(NOR_lev)을 적용한다.
따라서, 광원 구동부는 60 Hz의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노멀 휘도값(NOR_lev), 제1 보정값(a), 제2 보정값(b) 및 제3 보정값(c)에 대응하는 노멀 레벨, 제1 보정 레벨, 제2 보정 레벨 및 제3 보정 레벨을 갖는 발광 구동 신호(L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50 Hz의 프레임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클럭 신호를 카운팅한다.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부터 제2 기준 카운터 값(CV2)이 되기 전까지 제1 보정값(a)을 적용하고, 제2 기준 카운터 값(CV2)부터 제3 기준 카운터 값(CV3)이 되기 전까지 제2 보정값(b)을 적용하고, 제3 기준 카운터 값(CV3)부터 제4 기준 카운터 값(CV4)이 되기 전까지 제3 보정값(c)을 적용하고, 제4 기준 카운터 값(CV4)부터 제5 기준 카운터 값(CV5)이 되기 전까지 제4 보정값(d)을 적용하고, 제5 기준 카운터 값(CV5)이 되는 시점에 다음 프레임의 수직 개시 신호(STV)가 라이징 됨에 따라서 액티브 구간에 대응하여 노멀 휘도값(NOR_lev)을 적용한다.
따라서, 광원 구동부는 50 Hz의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노멀 휘도값(NOR_lev), 제1 보정값(a), 제2 보정값(b), 제3 보정값(c) 및 제4 보정값(d)에 대응하는 노멀 레벨, 제1 보정 레벨, 제2 보정 레벨, 제3 보정 레벨 및 제4 보정 레벨을 갖는 발광 구동 신호(L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f를 참조하면, 48 Hz의 프레임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클럭 신호를 카운팅한다.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부터 제2 기준 카운터 값(CV2)이 되기 전까지 제1 보정값(a)을 적용하고, 제2 기준 카운터 값(CV2)부터 제3 기준 카운터 값(CV3)이 되기 전까지 제2 보정값(b)을 적용하고, 제3 기준 카운터 값(CV3)부터 제4 기준 카운터 값(CV4)이 되기 전까지 제3 보정값(c)을 적용하고, 제4 기준 카운터 값(CV4)부터 제5 기준 카운터 값(CV5)이 되기 전까지 제4 보정값(d)을 적용하고, 제5 기준 카운터 값(CV5)부터 제6 기준 카운터 값(CV6)이 되기 전까지 제5 보정값(e)을 적용하고, 제6 기준 카운터 값(CV6)이 되는 시점에 다음 프레임의 수직 개시 신호(STV)가 라이징 됨에 따라서 액티브 구간에 대응하여 노멀 휘도값(NOR_lev)을 적용한다.
따라서, 광원 구동부는 48 Hz의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노멀 휘도값(NOR_lev), 제1 보정값(a), 제2 보정값(b), 제3 보정값(c), 제4 보정값(d) 및 제5 보정값(e)에 대응하는 노멀 레벨, 제1 보정 레벨, 제2 보정 레벨, 제3 보정 레벨, 제4 보정 레벨 및 제5 보정 레벨을 갖는 발광 구동 신호(L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 블록들의 발광 구동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n 프레임(n_F)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제n 수직 블랭크 구간(VBn)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클럭 신호를 카운팅 한다.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제n 수직 블랭크 구간(VBn)의 카운터 값(CV)을 제1 기준 카운터 값(CV1)과 비교한다. 카운터 값(CV)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 보다 작고 제1 기준 카운터 값(CV1)이 되는 시점에 제n+1 프레임((n+1)_F)이 시작됨에 따라서 상기 제n 수직 블랭크 구간(VBn) 동안 노멀 휘도값(NOR_lev)을 적용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제n 프레임(n_F)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N)을 생성한다.
상기 복수의 발광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N)은 상기 제n 프레임(n_F)의 제n 수직 블랭크 구간(VBn) 동안 노멀 휘도값(NOR_lev)에 대응하는 노멀 레벨을 갖는다.
이어, 제n+1 프레임((n+1)_F)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VBn+1)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클럭 신호를 카운팅 한다.
도 5에 도시된 제1 룩업테이블(231)을 참조하면,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카운터 값을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CV1, CV2, CV3, CV4, CV5)과 비교하여 제1 발광 블록(B1)에 대해서 제1 보정값(a1), 제2 보정값(b1), 제3 보정값(c1) 및 제4 보정값(d1)을 산출하고, 제2 발광 블록(B2)에 대해서 제1 보정값(a2), 제2 보정값(b2), 제3 보정값(c2) 및 제4 보정값(d2)을 산출하고, 제N 발광 블록(BN)에 대해서 제1 보정값(aN), 제2 보정값(bN), 제3 보정값(cN) 및 제4 보정값(dN)을 산출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제n+1 프레임((n+1)_F)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N)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제1 발광 구동 신호(LS_B1)는 제n+1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VBn+1)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1), 제2 보정 레벨(b1), 제3 보정 레벨(c1) 및 제4 보정 레벨(d1)을 갖는다. 제2 발광 구동 신호(LS_B2)는 제n+1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VBn+1)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2), 제2 보정 레벨(b2), 제3 보정 레벨(c2) 및 제4 보정 레벨(d2)을 갖는다. 제N 발광 구동 신호(LS_BN)는 제n+1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VBn+1)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N), 제2 보정 레벨(bN), 제3 보정 레벨(cN) 및 제4 보정 레벨(dN)을 갖는다.
이어, 제n+2 프레임((n+2)_F)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제n+2 수직 블랭크 구간(VBn+2)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클럭 신호를 카운팅한다.
도 5에 도시된 제1 룩업테이블(231)을 참조하면,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카운터 값을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CV1, CV2, CV3)과 비교하여 제1 발광 블록(B1)에 대해서 제1 보정값(a1), 제2 보정값(b1) 및 제3 보정값(c1)을 산출하고, 제2 발광 블록(B2)에 대해서 제1 보정값(a2), 제2 보정값(b2) 및 제3 보정값(c2)을 산출하고, 제N 발광 블록(BN)에 대해서 제1 보정값(aN), 제2 보정값(bN) 및 제3 보정값(cN)을 산출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제n+2 프레임((n+2)_F)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N)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제1 발광 구동 신호(LS_B1)는 제n+2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2 수직 블랭크 구간(VBn+2)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1), 제2 보정 레벨(b1) 및 제3 보정 레벨(c1)을 갖는다. 제2 발광 구동 신호(LS_B2)는 제n+2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2 수직 블랭크 구간(VBn+2)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2), 제2 보정 레벨(b2) 및 제3 보정 레벨(c2)을 갖는다. 제N 발광 구동 신호(LS_BN)는 제n+2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2 수직 블랭크 구간(VBn+2)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N), 제2 보정 레벨(bN) 및 제3 보정 레벨(cN)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따라서 복수의 발광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휘도를 보정함으로써 수직 블랭크 구간의 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휘도 편차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발광 블록들의 광을 개별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위치별로 이미지의 휘도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값 산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2 룩업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A)는 히스토그램 분석부(233), 제2 룩업테이블(234) 및 산출부(235)를 포함한다.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233)는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광원부의 복수의 발광 블록들 각각에 대응하는 표시 블록별로 히스토그램 분석하여 표시 블록별로 대표 계조를 산출한다.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233)는 각 표시 블록에 포함된 계조 중 가장 많은 계조를 대표 계조로 산출하거나, 평균 계조를 대표 계조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룩업테이블(234)은 수직 블랭크 구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클럭 신호를 카운팅 한 카운트 값 및 샘플링된 계조들에 따라서 샘플링된 발광 블록들의 보정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트 값(CV)이 제1 기준 카운터 값(CV1) 이상인 조건에서, 32 계조 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의 보정값들은 (a11, a12,..., a1N)로 각각 결정되고, 64 계조 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의 보정값들은 (a21, a22,..., a2N)로 각각 결정되고, 128 계조 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의 보정값들은 (a31, a32,..., a3N)로 각각 결정되고, 192 계조 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의 보정값들은 (a41, a42,..., a4N)로 각각 결정된다.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트 값(CV)이 제2 기준 카운터 값(CV2) 이상안 조건에서, 32 계조 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의 보정값들은 (b11, b12,..., b1N)로 각각 결정되고, 64 계조 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의 보정값들은 (b21, b22,..., b2N)로 각각 결정되고, 128 계조 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의 보정값들은 (b31, b32,..., b3N)로 각각 결정되고, 192 계조 이면 샘플링된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N)의 보정값들은 (b41, b42,..., 4N)로 각각 결정된다. 상기 제2 기준 카운터 값(CV2)은 상기 제1 기준 카운터 값(CV1) 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 룩업테이블(234)에는 샘플링된 발광 블록들의 보정값들이 저장된다.
상기 산출부(235)는 상기 제2 룩업테이블(234)에 저장된 보정값들에 기초하여 프레임에 대한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트 값에 따른 복수의 발광 블록들(B1, B2, B3,..., BN)의 복수의 보정값들을 실시간으로 산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 블록들의 발광 구동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n 프레임(n_F)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제n 수직 블랭크 구간(VBn)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클럭 신호를 카운팅 한다.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233)는 제1 발광 블록(B1)에 대응하는 제1 대표 계조(32G)를 산출하고, 제2 발광 블록(B2)에 대응하는 제2 대표 계조(128G)를 산출하고, 제N 발광 블록(BN)에 대응하는 제N 대표 계조(64G)를 산출한다.
도 10에 도시된 제2 룩업테이블(234)을 참조하면, 산출부(235)는 카운터 값(CV)을 제1 기준 카운터 값(CV1)과 비교하여 노멀 휘도값(NOR_lev)을 적용한다. 예를 들면, 상기 산출부(235)는 제1 발광 블록(B1)에 대해서 제1 대표 계조(32G)에 대응하는 노멀 휘도값(NOR_lev)을 산출하고, 제2 발광 블록(B1)에 대해서 제2 대표 계조(128G)에 대응하는 노멀 휘도값(NOR_lev)을 산출하고, 제N 발광 블록(BN)에 대해서 제N 대표 계조(64G)에 대응하는 노멀 휘도값(NOR_lev)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제n 프레임(n_F)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N)을 생성한다.
상기 복수의 발광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N)은 상기 제n 프레임(n_F)의 제n 수직 블랭크 구간(VBn) 동안 노멀 휘도값(NOR_lev)에 대응하는 노멀 레벨을 갖는다.
이어, 제n+1 프레임((n+1)_F)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VBn+1)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클럭 신호를 카운팅 한다.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233)는 제1 발광 블록(B1)에 대응하는 제1 대표 계조(32G)을 산출하고, 제2 발광 블록(B2)에 대응하는 제2 대표 계조(128G)를 산출하고, 제N 발광 블록(BN)에 대응하는 제N 대표 계조(64G)를 산출한다.
도 10에 도시된 제2 룩업테이블(234)을 참조하면, 산출부(235)는 제1발광 블록(B1)에 대해서 상기 카운터 값(CV)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CV1, CV2, CV3, CV4, CV5)의 비교한 결과에 따른 보정값들 중 상기 제1 대표 계조(32G)에 대응하는 제1 보정값(a11), 제2 보정값(b11), 제3 보정값(c11) 및 제4 보정값(d11)을 산출하고, 제2 발광 블록(B2)에 대해서 상기 카운터 값(CV)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CV1, CV2, CV3, CV4, CV5)의 비교한 결과에 따른 보정값들 중 상기 제2 대표 계조(64G)에 대응하는 제1 보정값(a22), 제2 보정값(b22), 제3 보정값(c22) 및 제4 보정값(d22)을 산출하고, 제N 발광 블록(B2)에 대해서 상기 카운터 값(CV)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CV1, CV2, CV3, CV4, CV5)의 비교한 결과에 따른 보정값들 중 상기 제N 대표 계조(64G)에 대응하는 제1 보정값(a2N), 제2 보정값(b2N), 제3 보정값(c2N) 및 제4 보정값(d2N)을 산출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제n+1 프레임((n+1)_F)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N)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제1 발광 구동 신호(LS_B1)은 제n+1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VBn+1)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11), 제2 보정 레벨(b11), 제3 보정 레벨(c11) 및 제4 보정 레벨(d11)을 갖는다. 제2 발광 구동 신호(LS_B2)는 제n+1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VBn+1)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22), 제2 보정 레벨(b22), 제3 보정 레벨(c22) 및 제4 보정 레벨(d22)을 갖는다. 제N 발광 구동 신호(LS_BN)는 제n+1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1 수직 블랭크 구간(VBn+1)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2N), 제2 보정 레벨(b2N), 제3 보정 레벨(c2N) 및 제4 보정 레벨(d2N)을 갖는다.
이어, 제n+2 프레임((n+2)_F)이 수신되면 VB 감지부는 제n+2 수직 블랭크 구간(VBn+1)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클럭 신호를 카운팅 한다.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233)는 제1 발광 블록(B1)에 대응하는 제1 대표 계조(192G)를 산출하고, 제2 발광 블록(B2)에 대응하는 제2 대표 계조(192G)를 산출하고, 제N 발광 블록(BN)에 대응하는 제N 대표 계조(64G)를 산출한다.
도 10에 도시된 제2 룩업테이블(234)을 참조하면, 산출부(235)는 제1발광 블록(B1)에 대해서 상기 카운터 값(CV)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CV1, CV2, CV3, CV4, CV5)의 비교한 결과에 따른 보정값들 중 상기 제1 대표 계조(192G)에 대응하는 제1 보정값(a41), 제2 보정값(b41) 및 제3 보정값(c41)을 산출하고, 제2 발광 블록(B2)에 대해서 상기 카운터 값(CV)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CV1, CV2, CV3, CV4, CV5)의 비교한 결과에 따른 보정값들 중 상기 제2 대표 계조(192G)에 대응하는 제1 보정값(a42), 제2 보정값(b42) 및 제3 보정값(c42) 을 산출하고, 제N 발광 블록(B2)에 대해서 상기 카운터 값(CV)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CV1, CV2, CV3, CV4, CV5)의 비교한 결과에 따른 보정값들 중 상기 제N 대표 계조(64G)에 대응하는 제1 보정값(a2N), 제2 보정값(b2N) 및 제3 보정값(c2N)을 산출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제n+2 프레임((n+2)_F)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 구동 신호들(LS_B1, LS_B2,..., LS_BN)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제1 발광 구동 신호(LS_B1)는 제n+2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2 수직 블랭크 구간(VBn+2)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41), 제2 보정 레벨(b41) 및 제3 보정 레벨(c41)을 갖는다. 제2 발광 구동 신호(LS_B2)는 제n+2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2 수직 블랭크 구간(VBn+2)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42), 제2 보정 레벨(b42) 및 제3 보정 레벨(c42)을 갖는다. 제N 발광 구동 신호(LS_BN)는 제n+2 액티브 구간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을 갖고, 제n+2 수직 블랭크 구간(VBn+2)에서는 노멀 레벨(NOR_lev), 제1 보정 레벨(a2N), 제2 보정 레벨(b2N) 및 제3 보정 레벨(c2N)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따라서 복수의 발광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휘도를 보정함으로써 수직 블랭크 구간의 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휘도 편차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발광 블록들의 휘도를 개별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위치별로 휘도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블록들의 휘도를 계조별로 보정함으로써 계조별 휘도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A)는 VB 감지부(210), 모드 결정부(220) 및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VB 감지부(210)는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클럭 신호를카운팅하여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산출한다.
상기 모드 결정부(220)는 M개(M은 자연수)의 프레임들에 대해서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모드 기준값과 비교하여 수직 블랭크 구간이 가변하는 적응적 동기 모드인지 또는 수직 블랭크 구간이 일정한 일반 동기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모드 판단 결과, 상기 적응적 동기 모드이면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의 동작을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일반 동기 모드이면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의 동작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는 상기 VB 감지부(210)에서 제공된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따라서 상기 광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산출한다.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는 도 4,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동 방법으로 휘도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고, 또는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동 방법으로 휘도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VB 감지부(230)는 M개(M은 자연수)프레임들에 대응하는 M개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을 산출한다(단계 S110).
상기 모드 결정부(220)는 상기 M개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을 모드 기준값과 비교한다. 상기 모드 결정부(220)는 M개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이 모두 같은지를 판단한다(단계 S120).
상기 단계 S120의 판단 결과, M개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이 같지 않으면, 상기 모드 결정부(220)는 현재 프레임이 적응적 동기 모드로 결정한다(단계 S130). 즉, 적응적 동기 모드는 이전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레임 주파수 및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이 가변하는 구동 모드이다.
상기 모드 결정부(220)는 상기 적응적 동기 모드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가변에 의한 휘도 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를 인에이블 시킨다.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는 도 4,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동 방법으로 휘도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고, 또는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동 방법으로 휘도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단계 S140).
한편, 상기 단계 S120의 판단 결과, M개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이 같으면, 상기 M개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이 모드 기준값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단계 S150).
상기 단계 150의 판단 결과, 상기 M개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이 동일하고 상기 모드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모드 결정부(220)는 현재 프레임을 적응적 동기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휘도 보정값을 산출한다(단계 S130 및 S140).
한편, 상기 단계 150의 판단 결과, 상기 M개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이 동일하나 상기 모드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모드 결정부(220)는 현재 프레임을 일반 동기 모드로 판단한다(단계 S160). 상기 일반 동기 모드는 프레임 주파수 및 수직 블랭크 구간이 일정한 구동 모드이다.
상기 모드 결정부(220)는 상기 일반 동기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230)를 디스에이블 시킨다(단계 S17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가변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휘도 편차를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에 제공되는 광의 휘도 레벨을 보정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의 휘도 레벨을 이미지의 계조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 PDA, PMP,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PC, 서버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노트북, 디지털 TV, 셋-탑 박스, 음악 재생기, 휴대용 게임 콘솔, 네비게이션 시스템, 스마트 카드, 프린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0 : 액정 표시 장치
100 : 액정 표시 패널 200, 200A : 타이밍 제어부
210 : VB 감지부 220 : 모드 결정부
230 : 휘도 보정값 산출부 300 : 데이터 구동부
400 : 게이트 구동부 500 : 광원부
600 : 광원 구동부

Claims (20)

  1. 액정 표시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동기 신호를 카운팅 하여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산출하는 수직 블랭크(VB) 감지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여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휘도 보정값 산출부; 및
    상기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는 노멀 휘도값의 노멀 레벨을 갖고,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에는 상기 휘도 보정값의 보정 레벨을 갖는 광원 구동 신호를 상기 광원부에 제공하는 광원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기준 카운터 값 이상이면 휘도 보정값을 단계적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이 가장 작은 기준 카운터 값 보다 작으면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 설정된 노멀 휘도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다음 프레임의 시작 신호가 라이징 되면 다음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 설정된 노멀 휘도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은 가변 가능한 복수의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발광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블록들 각각에 제공되는 복수의 광원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여 발광 블록별로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광원 구동부는 액티브 구간에는 발광 블록별로 설정된 노멀 휘도값의 노멀 레벨을 갖고, 수직 블랭크 구간에는 상기 휘도 보정값의 휘도 레벨을 갖는 광원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발광 블록에 대응하는 표시 블록의 이미지 데이터를히스토그램 분석하여 표시 블록별로 대표 계조를 산출하는 히스토그램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보정값 산출부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고, 상기 대표 계조에 기초하여 발광 블록별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들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 프레임이 수직 블랭크 구간이 가변하는 적응적 동기 모드인지 또는 수직 블랭크 구간이 일정한 일반 동기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동기 신호를 카운팅 하여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여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 노멀 휘도값의 노멀 레벨을 갖고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에 상기 휘도 보정값에 기초한 보정 레벨을 갖는 광원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을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각 기준 카운터 값 이상이면 휘도 보정값을 단계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이 가장 작은 기준 카운터 값 보다 작으면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 노멀 휘도값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다음 프레임의 시작 신호가 라이징 되면 다음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에 설정된 노멀 휘도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은 가변 가능한 복수의 수직 블랭크 구간들의 카운터 값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 블록들 각각에 복수의 광원 구동 신호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여 발광 블록별로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액티브 구간에는 발광 블록별로 설정된 노멀 휘도값의 노멀 레벨을 갖고 수직 블랭크 구간에는 상기 휘도 보정값의 휘도 레벨을 갖는 광원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발광 블록에 대응하는 표시 블록의 이미지 데이터를 히스토그램 분석하여 상기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대표 계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과 상기 복수의 기준 카운터 값들을 비교하고, 상기 대표 계조에 기초하여 발광 블록별 휘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카운터 값들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 프레임이 수직 블랭크 구간이 가변하는 적응적 동기 모드인지 또는 수직 블랭크 구간이 일정한 일반 동기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80098219A 2018-08-22 2018-08-22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0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219A KR102503044B1 (ko) 2018-08-22 2018-08-22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9056115A JP7317538B2 (ja) 2018-08-22 2019-03-25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6/506,154 US10909935B2 (en) 2018-08-22 2019-07-0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19192005.7A EP3624107B1 (en) 2018-08-22 2019-08-16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1910768648.6A CN110858473B (zh) 2018-08-22 2019-08-20 液晶显示设备及驱动其的方法
US17/145,572 US11276357B2 (en) 2018-08-22 2021-01-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219A KR102503044B1 (ko) 2018-08-22 2018-08-22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557A KR20200022557A (ko) 2020-03-04
KR102503044B1 true KR102503044B1 (ko) 2023-02-24

Family

ID=6765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219A KR102503044B1 (ko) 2018-08-22 2018-08-22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909935B2 (ko)
EP (1) EP3624107B1 (ko)
JP (1) JP7317538B2 (ko)
KR (1) KR102503044B1 (ko)
CN (1) CN1108584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0671A (zh) * 2017-11-07 2018-01-19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控制时序的方法和装置、驱动电路、显示面板、电子设备
KR102503044B1 (ko) 2018-08-22 2023-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561335B2 (en) 2019-12-05 2023-01-24 Lumus Ltd. Light-guide optical element employing complementary coated partial reflectors, and light-guide optical element having reduced light scattering
US11176859B2 (en) * 2020-03-24 2021-11-16 Synaptics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 module calibration
CN113450713B (zh) * 2020-03-25 2022-08-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显示方法及装置、灰阶映射信息生成方法及装置
CN111816109B (zh) * 2020-07-03 2021-11-2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及显示设备
US20240013700A1 (en) * 2020-08-11 2024-01-11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220038198A (ko) 2020-09-18 2022-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20220068537A (ko) * 2020-11-19 2022-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CN112967670B (zh) * 2021-03-03 2022-11-18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方法、装置和芯片、显示设备以及存储介质
KR20220131414A (ko) * 2021-03-18 2022-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5527500A (zh) * 2021-06-25 2022-12-27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与背光控制装置
KR20230021896A (ko) 2021-08-06 202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프레임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9133A (ko) * 2021-09-13 2023-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5782A (ja) * 1988-01-29 1989-08-07 Victor Co Of Japan Ltd 液晶表示装置
US7227519B1 (en) * 1999-10-04 2007-06-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luminance correction device for display panel, and driving device for display panel
JP4527958B2 (ja) * 2003-10-20 2010-08-18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405481B2 (ja) * 2006-06-30 2010-01-27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5276404B2 (ja) 2008-10-03 2013-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729982B1 (ko) * 2010-12-30 2017-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852349B1 (ko) * 2011-06-23 2018-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9165518B2 (en) * 2011-08-08 2015-10-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4153531A (ja) * 2013-02-08 2014-08-25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表示装置
US9620064B2 (en) 2013-03-13 2017-04-11 Apple Inc. Compensation methods for display brightness change associated with reduced refresh rate
JP2015088998A (ja) * 2013-10-31 2015-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84281A1 (en) 2013-11-01 2016-09-2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KR102104360B1 (ko) * 2013-11-20 2020-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이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2081132B1 (ko) * 2013-12-30 2020-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JP6347627B2 (ja) * 2014-03-03 2018-06-27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デューティ比制御回路およびバックライト調整回路
WO2015136571A1 (ja) * 2014-03-11 2015-09-17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2193918B1 (ko) * 2014-10-24 2020-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93840B1 (ko) * 2015-01-05 2021-08-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8028559A (ja) * 2015-01-07 2018-0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出力装置、画像データ出力方法、画像表示装置、および集積回路
KR102280939B1 (ko) * 2015-01-29 2021-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휘도 제어 방법
KR102446880B1 (ko) * 2015-08-17 2022-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90273B1 (ko) 2015-09-03 2022-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70049735A (ko) 2015-10-28 2017-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602695B2 (ja) * 2016-03-01 2019-11-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52287B1 (ko) 2016-09-06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56084B1 (ko) 2016-10-07 202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503044B1 (ko) 2018-08-22 2023-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09935B2 (en) 2021-02-02
US20200066215A1 (en) 2020-02-27
CN110858473B (zh) 2022-10-25
JP7317538B2 (ja) 2023-07-31
KR20200022557A (ko) 2020-03-04
JP2020030398A (ja) 2020-02-27
CN110858473A (zh) 2020-03-03
US20210134235A1 (en) 2021-05-06
EP3624107A2 (en) 2020-03-18
US11276357B2 (en) 2022-03-15
EP3624107B1 (en) 2023-08-09
EP3624107A3 (en)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04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6665228B2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1954934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552984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258382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04310113A (ja) 表示装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KR101254030B1 (ko)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US99783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1006673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80044104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57759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1569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70035388A (ko) 표시 패널 구동 장치, 이를 이용하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85470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9916810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pparatus
KR102644896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30079094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이미지처리장치 및 이미지처리방법
US93906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ght emitting device
KR102050451B1 (ko)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319311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349503B1 (ko)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70064387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40076053A (ko) 표시장치와 그의 영상데이터 처리방법
KR20070099291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