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999B1 - 치과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999B1
KR102502999B1 KR1020217022448A KR20217022448A KR102502999B1 KR 102502999 B1 KR102502999 B1 KR 102502999B1 KR 1020217022448 A KR1020217022448 A KR 1020217022448A KR 20217022448 A KR20217022448 A KR 20217022448A KR 102502999 B1 KR102502999 B1 KR 10250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base body
dental implant
thread
shaf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122A (ko
Inventor
조지아 트림포우
Original Assignee
조지아 트림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아 트림포우 filed Critical 조지아 트림포우
Priority to KR102023700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978A/ko
Publication of KR2021009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환자의 턱뼈 안으로의 삽입을 위한, 그리고 베이스 몸체(2)의 외측 측부 상에 정점에서 배열된 나사 영역(4)에 원주방향 수나사(6)를 구비하는 베이스 몸체를 갖는 치과 임플란트(1, 1')는, 한편으로는, 특히 높은 제1 차 및 제2 차 안정성을 허용하고, 따라서 특히 치유 과정을 조력하는 것이 의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주변 뼈 조직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염증의 억제 또는 치료를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촉진하는 것이 의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몸체(2)는 나사 영역(4)에 부가하여 제공된 근위 샤프트 영역(10)에서 나사산이 없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
본 발명은 환자의 턱뼈 안에 삽입을 위한 치과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이 임플란트는 정점(apical)에 배열된 나사 영역에서 외측 측부 상에 원주방향 수나사를 구비하는 베이스 몸체를 구비한다.
지난 40년 동안 구강 이식학은 치아 상실 후 특별한 치료로부터 일상적 치료로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치과 임플란트는 많은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있다. 치과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3 내지 4개월의 치유 기간 후에 보철 어버트먼트 또는 크라운을 유지하기 위해 발치되거나 상실된 치아 대신 환자의 턱뼈 안으로 나사조임됨으로써 삽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러한 치과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형상의 금속 몸체로서 구성되고 핀 형태로 형상화되고, 정점 단부에 대부분 셀프 태핑(self-tapping) 나사 나사산을 가지며, 이로써 핀이 턱뼈에서 대응되게 준비된 임플란트 베도 안으로 삽입된다. 사용 가능한 뼈가 충분한 경우, 임플란트의 소위 골유착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저작력에 의해 기능적으로 로드를 받는 치과 보철물을 지속 가능하게 앵커링할 수 있다. 현재 구강 임플란트의 가장 빈번한 적응(indication) 및 따라서 적용(60-80%)은, 단일 치아 크라운이 부착되는 임플란트에 의한 단일 치아 상실의 수복이다.
한편으로는, 소위 제1 차 안정성과 다른 한편으로는 제2 차 안정성이 턱뼈에 있는 임플란트의 치유를 위해서, 그리고 치료의 전반적인 성공을 위해서 필수적이다. 임플란트가 삽입될 때, 일반적으로 의도한 부위의 턱뼈에 둥근 골강 또는 중공이, 바람직하게는 드릴링(절골술)에 의해서 생성된다. 그런 다음 임플란트 나사가 이 캐비티 안으로 나사조임된다. 나사산 플랭크는 순전히 기계적으로 임플란트 주변 뼈에 자신을 앵커링하는 반면, 뼈와 임플란트 표면 사이의 단단하고 강성적인 연결(골유착이라고도 함)은 임플란트 식립 직후에 아직은 없다. 따라서 제1 차 안정성이라고도 하는 초기 기계적 고정은 무엇보다도 나사산의 구성에 의존된다.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 주위 뼈의 리모델링 과정이 시작된다. 적용된 트라우마 및 삽입 과정에 따라, 골수혈증(osteotemia)은 트라우마에서 살아남지 못한 뼈의 임플란트 주변 층("사멸 구역")의 형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층은 초기에 파골 세포에 의해 분해되고, 광범위한 사멸 구역의 경우, 치유 2 내지 4주 후에 임플란트의 기계적 고정(제2 차 안정성)의 감소로 이어진다. 후자는, 즉시 로드되거나 보철적으로 수복된 임플란트, 특히 단일 치아 임플란트 및 즉시 치조골에 식립되고 발치 또는 외상성 치아 손실 후 단일 크라운으로 즉시 수복되는 임플란트의 임상적 성공 또는 골유착을 위태롭게 한다.
점진적인 치유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삽입 후 약 8 내지 12주의 시간 범위에서 실제 골유착이 발생된다. 임플란트 표면과 뼈 조직 사이에 강하고 강성인 접합이 형성된다. 이 접합은, 예를 들어, 적용된 저작력에 대항하는 식립된 임플란트의 로드 지지 능력에 궁극적으로 필수적이다.
치과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치료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한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임플란트 주위염이라고도 하는 주변 뼈 조직의 감염 또는 염증의 가능성이다. 실제로, 성공적인 골유착 후 임플란트 손실의 위험은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의 상태와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 연조직은 세균에 감염된 구강과 치조골 사이의 장벽 역할을 한다. 임플란트 표면에 대한 구강 연조직의 접착 및 구강에 대한 결과적인 밀봉 기능은 여러 요인에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임상적으로는 감염의 경우 연조직의 염증이 먼저 발생한다. 점막염으로 알려진 이 상태는 치은염과 유사하며, 둘 다 완전히 치유될 수 있다. 그러나 점막염이 지속되거나 퍼질 경우, 염증 과정이 임플란트 주위 뼈까지 확장되어 비가역적인 치조골 손실로 귀결된다. 질병의 이러한 단계는 임플란트 주위염이라고 한다. 따라서 점막염은 임플란트 주위염의 초기 단계로 간주되어야 한다.
다양한 치료 개념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골유착을 촉진하기 위해 거칠게 구성된 임플란트 표면은 생물막의 형성 및 부착을 촉진하여 세균 집락을 형성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 주위염의 진행을 거의 예방할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70356호(공개일 2016년 06월 20일)는 치조골에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축 결합되는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특히 높은 1차 및 2차 안정성을 가능하게 하여 치유 과정에 특히 유리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주변 뼈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염증의 억제 또는 치료를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촉진하는 상기 언급된 유형의 치과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치과 임플란트의 베이스 몸체가 나사 영역에 부가하여 제공된 근위 샤프트 영역에서 나사산이 없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나사는 본질적으로 2개의 영역, 즉 한편으로, 정점 말단에 제공되고 수나사를 구비하며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하측" 부분 영역에 독점적으로 제한되는 앵커링 영역, 및 다른 한편으로,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이 앵커링 영역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고 나사산이 없고 따라서 거시적 구조체의 관점에서 비교적 평활한 "상측" 샤프트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치료의 성공에 필수적인 삽입된 치과 임플란트의 제1 차 및 제2 차 안정성이 기본적으로 베이스 몸체의 하측 단부 영역에 제공된 나사산 및 이의 뼈 조직에서의 앵커링에 의해 결정되고, 대조적으로, 상측 샤프트 영역에 위치된 나사산에 의한 안정성에 대한 기여는 대체로 미미하다는 고려에 기반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상측 샤프트 영역의 나사산은, 이들이 생물막의 접착을 촉진하고 뼈 조직과 임플란트 표면 사이의 연결 영역에 대한 치료적 접근을 더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특히 기존 또는 초기 염증에 대항하는 조치에 방해가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베이스 몸체는 "상측" 골내 샤프트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나사산이 없어야 한다.
특히, 비교적 깊은 나사산 프랭크(즉, 비교적 "공격적인" 셀프 태핑 나사산으로서 수나사 형성)가 특히 경골에서 삽입에 대해서 불리하다는 점이 유리하게 고려된다. 이는 임플란트 나사를 과도한 삽입 토크(< 100 - 150 Ncm) 없이 임플란트 나사가 나사조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응되는, 일반적으로 복잡한 절골술 프로토콜(어떤 경우에는 경골에 나사산 시스(sheath)가 있음)을 요구한다. 따라서 깊은 나사산 플랭크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나사는 주로 상악(maxilla)에서 발생되는 연골에 임상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또 다른 임상적 적용은 치아 상실 직후 임플란트 식립, 즉 임플란트를 치아 소켓 안으로 나사조임하는 것이다. 원뿔 모양의 소켓과 둥근 임플란트 나사의 부적합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나사의 처음 4 내지 5 mm만 어쨌든 뼈 안으로 나사조임될 수 있으며, 나사의 나머지 부분은 더 이상 뼈 치조(aveolar) 벽과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치아 상실 직후에도 임플란트의 높은 기계적 제1 차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기 위해서, 특히 임플란트 나사의 선단부에 깊은 나사산 플랭크가 배치된다. 후자는 임플란트에 앵커링된 크라운으로 치과 소켓의 즉각적이고 이상적인 상처 봉합을 가능하게 하고, 치아 상실 직후 환자를 위한 기능적으로나 심미적으로 고품질 보철 수복물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골유착이 완료될 때, 즉 일반적으로 약 8 내지 12주의 치유 시간 후에, 뼈 조직과 임플란트 표면 사이에 단단하고 강성인 접합이 생성된다는 점이 유리하게 고려된다. 임플란트 주변 뼈와 임플란트 표면 사이의 이러한 강력한 접합은 특히 임플란트 베이스 몸체의 상부 샤프트 영역에서 나사 디자인과 무관한 임플란트의 기계적 앵커링 품질을 가능하게 한다. 즉, 나사산 플랭크가 작거나 나사산이 완전히 누락된 임플란트는 완전한 골유착 후 보철 수복 개념에 의한 기계적 부하 용량에 대한 어떠한 적응 제한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것은 또한 기존의 임플란트 직경을 가진 짧은 임플란트 나사의 관찰된 장기간 임상 거동에 의해 확인된다. 상당히 감소된 임플란트 표면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임플란트의 기계적 부하 용량은 완전한 골유착 후 더 긴 임플란트와 동일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나사산 영역은 임플란트의 로드 지지력의 과도한 손상을 감수하지 않고도 임플란트 베이스 몸체의 정점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것은, 염증이 발생할 경우 필요할 수 있는 치료 조치를 조력하도록 "상측" 샤프트 영역에 치과 임플란트를 일관되게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의 염증(점막염)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촉발되고/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점막염의 병인은 다인자적이다. 단일 요인이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점막염의 발달과 진행은 또한 많은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지지되며, 이들 모두는 아마도 현재까지 식별되지 않았을 것이다. 점막염(64.5%)의 비교적 높은 유병률과 그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염(12.9%)으로 인해, 조기 임플란트 및/또는 골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서 예방 요법 또는 조치도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예방적 접근법은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의 자극이나 염증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이를 유발하는 점막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 요인 및 인디케이터를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 이식학에서, 점막염의 발병 위험 요소는 최적의 생체 적합성이 아닌 물질, 거친 표면, 독소 또는 금속 입자로 오염된 액체, 제거하기 어려운 생물막 등을 포함한다. 임플란트에 앵커링된 보철물의 제작 중 외상을 입거나 잘못 수행된 치료 단계도 점막염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염증이 발생한 경우에 매우 자주 사용되는 치료 방법은 상측 샤프트 영역에 있는 임플란트 표면의 평활화이며, 이는 기존 나사산 플랭크의 제거(소위 임플란트성형)를 포함한다. 이것의 단점은 연마 중 생성된 Ti 칩에 의한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 및 뼈 조직의 오염, 및 기계적 강도가 감소이다. 또한, 임플란트의 외식 또는 제거는 종종 추가 골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선택되는 방법이다. 후자는 또한 시간 지연으로 임플란트 손실로 이어질 것이다.
임플란트 제거에 대한 적응은 기술적 그리고/또는 생물학적 실패 또는 환자의 대부분 심인성 임플란트 공포증 때문이다. 기술적 실패는 종종 재료 피로의 결과인 후기 합병증으로서 발생한다. 임플란트가 임플란트와 보철 어버트먼트 사이의 접합부에서 균열되거나 크랙을 나타낸다. 둘 다 더 이상 임플란트의 기능적 로딩을 허용하지 않는다. 반면에, 임플란트의 생물학적 실패는 종종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의 진행성 염증(점막염/임플란트 주위염)의 결과이다. 더욱이, 임플란트 표면의 마스킹 해제로 인해, 때때로 심미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며, 이는 조직 재생을 위한 외과적 개입에 의해서 또는 외식(explantation)에 의해서 저지된다. 또한, 조기 외식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임플란트 주위 조직 손실을 방지한다. 드문 경우지만, 환자는 임플란트 식립 후 불안과 공포증이 생긴다. 이들은 성공적인 골유착에도 불구하고 턱뼈에 "금속이 없는" 것을 원하거나 이러한 임플란트에 질병의 원인을 돌린다. 둘 다 임플란트의 기술적 그리고/또는 생물학적 실패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임플란트를 조기에 제거에 대한 욕구로 이어진다.
위의 이유들 중 하나로 완전히 또는 여전히 부분적으로 골유착된 임플란트의 제거가 요구되는 경우, 이것은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임상적 경험은 골유착된 임플란트의 길이와 직경, 나사산 플랭크의 길이 및/또는 형상에 따라 어려움과 관련 골 손실이 증가되는 점을 보인다. 언급된 모든 매개변수는 부착된 뼈 조직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임플란트 나사를 풀기 위해 극복되어야 할 토크를 증가시킨다. 트레파인(Trephine) 드릴은 또한 임플란트 길이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뼈 조직을 더 많이 파괴한다. 반면에, 짧고 좁은 임플란트뿐만 아니라 나사산이 없는 임플란트 또는 매우 짧은 나사산 플랭크는 제거될 임플란트 나사의 나사 풀기를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최소한의 임플란트 주변 뼈 손실이 가정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연구결과는 임플란트 나사가 처음부터 "상측" 또는 골내강 샤프트 영역에서 나사산이 없도록 구성되었다는 사실에 의해 본 경우에서 고려된다. 언급된 이유들 중 하나로 인한 치료적 개입의 경우, 처음부터 나사산을 제거할 필요가 없고, 금속 칩 등으로 인한 주변 조직의 오염 또는 스트레스의 위험이 회피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상측 골내 샤프트 영역이 나사산 없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되어야 하는 점을 보장도록 임플란트의 안정성 및 기계적 로드 지지 능력에 대한 주요한 기여가 나사산의 정점 단부 영역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점의 인식을 이용한다. 이것은 치료 조치가 필요해진 경우 임플란트 표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필요한 경우 삽입된 임플란트를 제거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고, 금속 칩이 주변 조직에 스트레스를 주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나사산을 지지하는 단부 영역 및 따라서 나사산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4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3 mm의 길이로 한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몸체의 샤프트 영역은 원하는 특성에 대해 적절하게 선택된 외측 표면, 바람직하게는 기계가공되거나 연마된 외측 표면으로 구성된다.
거시적 관점에서, 베이스 몸체는 섕크 영역에서 나사산이 없고 따라서 평활하다. 그러나 미시적 관점에서, 샤프트 영역에서 베이스 몸체의 표면 구조체는 유리하게는 원하는 골유착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샤프트 영역의 베이스 몸체는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의 거칠기 값 Ra를 갖는 거칠기를 갖는 외측 표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거칠기 값 Ra는 3.5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외측 표면에 대해 1.5㎛ 내지 3.5㎛의 거칠기 값(Ra)이 제공된다. 그러나,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유리한 추가 개량물에서, 베이스 몸체는 또한 구조체의 관점에서 골유착에 특히 유리한 샤프트 영역의 표면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골내 임플란트 몸체의 무나사산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확률론적 또는 결정론적 패턴을 갖는 표면을 갖는다.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베이스 몸체는 골내 임플란트 몸체의 무나사산 부분 또는 샤프트 영역이 코팅되거나 물리적, 화학적 및/또는 광학적으로 처리된, 바람직하게는 생체적 합성 표면을 갖는다는 점에서 훨씬 더 개선된 골유착을 위해 구성된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영역의 표면은 또한 전술된 표면 변형의 개별적 또는 전부의 조합 또는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치과 임플란트의 베이스 몸체는 나사 영역과 나사산이 없는 유지 스템 영역 모두를 제공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나사 영역은 유리하게는 베이스 몸체의 전체 길이의 최대 40%, 바람직하게는 최대 1/3, 바람직하게는 최대 1/4의 길이를 갖는다. 대응하여 그리고 대응되게, 무나사산(threadless) 섕크 영역은 유리하게는 베이스 몸체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4의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무나사산 샤프트 영역과 공간적으로 제한된 나사 영역의 조합은 비교적 큰 전체 길이의 임플란트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몸체는 적어도 6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mm의 전체 길이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나사 영역은 일반적으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전체로서 베이스 몸체에 대한 전술된 길이 값과 조합하여 최대 4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3 mm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그리고 독립적으로 독창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대안적 또는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수나사는 최대 4개,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놀랍게도 달성 가능한 제1 차 안정성의 관점에서 독립적으로 독창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최대 3개의 나사 회전을 갖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나사산의 "나사산 회전"은 나사산의 임의의 지점에서 시작하여 나사산 코어 주위의 완전한 단일 회전 동안 횡단되는 나사산의 부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한 추가 실시형태에서, 임플란트는 단일 치아 크라운을 갖는 환자의 즉각적인 수복에 특히 적합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보철 구조물(브리지, 바 등)로 연결된 여러 임플란트에 걸친 로드 분산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나사 영역의 나사산은 특히 임플란트 팁(첨단부)에서 비교적 깊은 나사산 측면을 갖는 소위 "공격적인" 나사산으로 유리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나사 영역의 나사산은 특히 임플란트 팁(첨단부)에서 비교적 깊은 나사산 플랭크를 갖는 소위 "공격적인(agressive)" 나사산으로 유리하게 구성된다. 이것은 연골에서도 임플란트의 양호한 제1 차 안정성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몸체는 샤프트 영역에서 원형 또는 오벌 단면을 갖는다. 또한, 베이스 몸체는 베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테이퍼진, 즉 특히 원추형인 단면을 갖는 샤프트 영역에서 유리하게 구성된다.
치과 임플란트는, 베이스 몸체의 턱뼈 안으로의 삽입 후 환자를 위한 보철 수복물이 베이스 몸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원피스(one-piece) 임플란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는 또한, 소위 어버트먼트 또는 어버트먼트 부품이 먼저, 삽입된 베이스 몸체에 배치되고 차례로 환자를 위한 실제 보철 수복물을 지지하는, 2부분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의 샤프트 영역의 자유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어버트먼트에 대한 연결을 위해 구성되도록, 즉 제공된 연결 시스템에 맞게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베이스 몸체는 골유착에 적합한 적절하게 선택된 생체적 합성 재료, 특히 바람직하게는 티타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 이점은, 특히 베이스 몸체의 정점 단부 영역으로 제한되는 수나사를 갖는 나사 영역의 내골 영역의 나사 영역과의 조합으로 인해, 한편으로, 삽입 중 우수한 제1 차 및 제2 차 안정성, 및 골유착 후, 또한 높은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임플란트의 로드 지지 능력이 달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필요하다면 특히 염증이 있는 경우 치료적 접근이 특히 촉진된다는 사실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치과 임플란트는 특히 단순하게 유지되는 수단을 통해 다음 5가지 구성 기준을 특히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다.
1. 단일 치아 임플란트의 즉각적인 수복: 단일 치아 임플란트 식립 직후, 단일 치아 크라운은 비기능적 교합에서 접합될 수 있다. 임플란트의 완전한 골유착 후, 기능적 교합이 실현된다. 특히, 나사 영역의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4 mm이고, 나사 영역이 비교적 깊은 나사산 플랭크를 구비하는 경우, 단일 치아 크라운은 단일 치아 임플란트의 삽입한 후 비기능 교합에서 고정될 수 있다. 임플란트 상의 나사산 부분이 요구되지 않는다. 달성된 제1 차 안정성은 단일 치아 임플란트의 즉각적인 수복을 위해 충분하다.
2. 점막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의 경우 최소 침습 요법: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초기 질환(점막염/임플란트 주위염)의 경우, 연조직에 인접한 골내 임플란트 몸체 부분이 나사산을 갖지 않기 때문에 치료적 임플란트 성형술(임플란트 표면의 평탄화 및 평활화)이 필요하지 않다. 진행성 임플란트 주위염의 경우에도, 임플란트 주위 골흡수가 수 mm이면, 이 매크로 디자인으로 임플란트 성형이 요구되지 않다.
3. 최소 침습적 임플란트 제거: 골유착된 임플란트의 제거는 길이와 직경에 상대적으로 독립적으로, 단지 최소 임플란트 주변 뼈 손실을 유발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몸체의 제거는, 임플란트 몸체의 대부분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길이 및 직경에 상대적으로 독립적으로 뼈 베드로부터 이를 나사풀림함으로써 가능하다.
4. 비외상성 임플란트 삽입: 임플란트의 삽입은 길이, 직경 및 재료에 상대적으로 독립적으로 낮은 마찰을 일으켜 임플란트 주변 뼈의 피질 치밀부의 낮은 가열을 유발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몸체의 삽입은 나사산이 제공된 짧은 부분으로 인해 임플란트 주위 뼈의 피질 치밀부의 낮은 마찰 및 따라서 낮은 가열만을 생성한다. 따라서 비외상성 임플란트 삽입은 임플란트 길이, 임플란트 직경 및 임플란트 재료에 상대적으로 독립적이다.
5. 기계적 뼈 특성과 무관한 절골술 프로토콜: 나사 임플란트를 수용하기 위해 골강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수술 단계와 도구는 뼈 준비(= 절골술)를 단순화하기 위해 뼈의 생체역학적 특성(경골 대 연골 특징)과 독립적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정점 부분에만 배타적으로 발생되는 나사산은 대부분 해면성 골수에 결합되고, 따라서 대부분 연골에 국한된다. 경질 피질골로 둘러싸인 나머지 임플란트 부분은 나사산을 갖지 않고, 따라서 경골에서 마찰이 높기 때문에 절골술 프로토콜은 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으로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 임플란트를 수용하는 골강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수술 단계 및 도구는 뼈의 생체역학적 특성(경골 대 연골 특징)에 상대적으로 독립적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환자의 턱뼈 안으로 삽입을 위해 의도된 치과 임플란트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동일한 부분은 두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1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1)는 환자의 턱뼈 안으로의 삽입을 위해 의도되고, 통상적인 구성에서, 외측 측부 상에 정점에서 배열된 나사 영역(4)에 원주방향 수나사(6)를 구비하는 베이스 몸체(2)를 포함한다. 치과 임플란트(1)는, 한편으로는, 특히 높은 제1 차 및 제2 차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그리고 따라서 치유 과정을 특히 조력하도록 구성되나, 다른 한편으로는, 주변 뼈 조직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염증의 억제 또는 치료가 이미 삽입된 치과 임플란트(1)와 함께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촉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치과 임플란트(1)의 구성은, 임플란트의 안정성 및 기계적 로드 지지 능력에 대한 본질적인 기여가 수나사(6)의 정점 단부 영역(8)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인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측 골내 샤프트 영역(10)은, 골유착이 발생된 후, 삽입된 치과 임플란트(1)의 제1 차 또는 제2 차 안정성 또는 로드 지지 능력의 어떠한 심각한 손상을 수용할 필요 없이 나사산이 없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몸체(2)는 나사 영역(4)에 부가하여 나사 영역(4)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제공되는 근위 샤프트 영역(10)에 나사산이 없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치료 조치가 필요해진 경우 임플란트 표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필요한 경우 삽입된 임플란트를 제거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고, 임플란트성형(implantoplasty)(임플란트 표면의 평탄화 및 평활화)의 경우 금속 칩이 주변 조직을 오염시킬 위험을 감소시킨다.
샤프트 영역(10)의 외측 표면(12)은 치유 및/또는 골유착을 촉진하는 원하는 특성을 갖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것은 기계가공되거나 연마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의 예에서, 샤프트 영역(10)의 외측 표면(12)은 나사산이 없도록 그리고 따라서 거시적 관점에서 평활하도록 구성되나, 미시적 관점에서, 이것은 또한 골유착에 특히 유리한 표면 구조체를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베이스 몸체(2)는 대략 2 ㎛의 거칠기 값(Ra)을 갖는 거칠기를 갖는 샤프트 영역(10)에 있는 외측 표면(12)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베이스 몸체(2)는 또한, 구조체, 코팅물 및/또는 전처리의 관점에서 골유착에 특히 유리한 샤프트 영역(10)에 있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몸체(2)는 나사 영역(4)과 나사산이 없는 샤프트 영역(10)을 모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2)는 대략 11 mm의 전체 길이(L)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나사 영역(4)은 약 3.2 mm의 길이(LS)로 한정되는 반면, 나사산이 없는 섕크 영역(10)은 약 7.8 mm의 길이를 차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나사 영역(4)은 베이스 몸체(2)의 전체 길이(L)의 29%를 차지하고, 섕크 영역은 베이스 몸체(2)의 전체 길이(L)의 71%를 차지한다. 따라서, 나사 영역(4)에 대해 최대 40% 및/또는 무나사산(unthreaded) 섕크 영역(10)에 대해 적어도 60%의 목표 한계값이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준수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예시로부터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수나사(6)는 단지 3개의 완전한 나사산 회전을 갖는다.
나사 영역(4)에 있는 수나사(6)는 소위 "공격적인(aggressive)" 나사산으로서 구성되며, 이는 특히 정점 단부 영역(8)에서 비교적 깊은 나사산 플랭크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섕크 영역(10)과 나사 영역(4) 모두에서, 베이스 몸체(2)는 베이스 몸체(2)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정점 단부 영역(8)을 향해 테이퍼진 단면으로, 즉 특히 원추형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2)는 샤프트 영역(10)에서 원형 단면으로 구성된다. 대조적으로, 도 2에 따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치과 임플란트(1')는 베이스 몸체(2)의 샤프트 영역(10)에서 오벌 단면을 갖는다.
도시된 두 변형예에서, 치과 임플란트(1, 1')는 베이스 몸체(2)의 턱뼈 안으로의 삽입 후 환자를 위한 보철 수복물이 베이스 몸체(2)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원피스(one-piece) 임플란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베이스 몸체(2)가 2-파트 또는 다중-파트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해 의도된 변형예가 각각의 경우에 도시되며, 여기서, 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어버트먼트가 삽입된 베이스 몸체(2)에 초기에 배치되며, 이는 다음으로 환자를 위한 실제 보철 수복물을 지지한다. 베이스 몸체(2)의 샤프트 영역(10)의 자유 단부(14)는 어버트먼트에 대한 연결을 위해 구성되며, 즉, 이것은 제공되는 각각의 연결 시스템에 맞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2)는 골유착에 적합한 적절하게 선택된 생체적 합성 재료로 형성되고, 실시예에서는 티타늄으로 형성된다.

1 치과 임플란트
2 베이스 몸체
4 나사 범위
6 수나사
8 정점 단부 영역
10 샤프트 영역
12 외측 표면
14 자유 단부
L 전체 길이
LS 샤프트 영역의 길이

Claims (11)

  1. 환자의 턱뼈 안으로의 삽입을 위한 치과 임플란트(1, 1')에 있어서,
    정점(apical)에 배치된 나사 영역(4)에서 원주방향 수나사(6)를 외부에 구비하고, 상기 나사 영역(4)에 인접하여 부가하여 골유착을 위해서 제공되는 근위 샤프트 영역(10)에서 나사산이 없도록 구성된 베이스 몸체(2)를 포함하되,
    상기 나사 영역(4)은 최대 4 mm의 길이(L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1, 1').
  2. 제1항에 있어서,
    비교적 깊은 나사산 플랭크(flank)를 구비하는 셀프 태핑(self-tapping) 나사산을 갖는 나사 영역(4)으로 구성되는 치과 임플란트(1, 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영역(10)은 연마된 외측 표면(12)으로 구성된, 치과 임플란트(1, 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2)는 적어도 1 ㎛의 거칠기 값 Ra의 거칠기를 갖는 상기 샤프트 영역(10)에 있는 외측 표면(12)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1, 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2)는 상기 샤프트 영역(10)에서 생체 적합성 표면 구조체 또는 코팅물을 구비하는, 치과 임플란트(1, 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영역(4)은 상기 베이스 몸체(2)의 전체 길이(L)의 최대 1/3의 길이(LS)를 갖는, 치과 임플란트(1, 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사산이 없는(threadless) 샤프트 영역(10)은 상기 베이스 몸체(2)의 전체 길이(L)의 적어도 2/3의 길이를 갖는, 치과 임플란트(1, 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6)는 최대 4개의 나사산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1, 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2)는 상기 샤프트 영역(10)에서 원형 단면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1, 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2)는 상기 샤프트 영역(10)에서 오벌(oval) 단면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1, 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2)는 상기 베이스 몸체(2)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샤프트 영역(10)에서 테이퍼지는 단면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1, 1').
KR1020217022448A 2018-12-22 2019-12-16 치과 임플란트 KR10250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5867A KR20230031978A (ko) 2018-12-22 2019-12-16 치과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22901.5 2018-12-22
DE102018222901.5A DE102018222901A1 (de) 2018-12-22 2018-12-22 Dentalimplantat
PCT/EP2019/085432 WO2020127106A1 (de) 2018-12-22 2019-12-16 Dentalimplanta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867A Division KR20230031978A (ko) 2018-12-22 2019-12-16 치과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122A KR20210094122A (ko) 2021-07-28
KR102502999B1 true KR102502999B1 (ko) 2023-02-23

Family

ID=691476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448A KR102502999B1 (ko) 2018-12-22 2019-12-16 치과 임플란트
KR1020237005867A KR20230031978A (ko) 2018-12-22 2019-12-16 치과 임플란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867A KR20230031978A (ko) 2018-12-22 2019-12-16 치과 임플란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20039923A1 (ko)
EP (1) EP3897448A1 (ko)
KR (2) KR102502999B1 (ko)
CN (1) CN113473941B (ko)
DE (1) DE102018222901A1 (ko)
WO (1) WO20201271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632B1 (ko) * 2021-09-15 2024-05-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상체와 생체학적 유합 또는 접합이 가능한 의료용 삽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9659A (en) 1990-09-05 1993-05-11 Impla-Med Incorporated Method for installing a dental implant
KR101536227B1 (ko) * 2008-07-09 2015-07-14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의료용 임플란트 및 식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1743B4 (de) * 2002-07-13 2005-03-10 Robert Boettcher Einschraubbares enossales Dentalimplantat
DE10236125B4 (de) * 2002-08-07 2006-07-13 Böttcher, Robert, Dr.med. Einschraubbares selbstschneidendes Dentalimplantat
US20070083269A1 (en) * 2003-11-13 2007-04-12 Onate Dela Presa Jose I Method of producing endosseous implants or medical prostheses by means of ion implantation and endosseous implant or medical prosthesis thus obtained
DE102009005573A1 (de) * 2009-01-21 2010-09-23 Neumeyer, Stefan, Dr. Zahnmedizinisches Implantat
KR101046560B1 (ko) * 2009-11-18 2011-07-05 주식회사 코텍 블라스팅 공정을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표면 처리 방법
KR101373420B1 (ko) * 2011-11-05 2014-03-13 이도상 임프란트 픽스쳐
KR101652968B1 (ko) * 2012-06-12 2016-09-01 주식회사 디오 하이브리드 타입으로 표면처리된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DE202013006276U1 (de) * 2013-07-12 2014-01-15 Biomed Est. Schraubenimplantat mit Ersatzkopf zur Höhenanpassung und zur vereinfachten Lagerhaltung
EP3034033A1 (en) * 2014-12-16 2016-06-22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9659A (en) 1990-09-05 1993-05-11 Impla-Med Incorporated Method for installing a dental implant
KR101536227B1 (ko) * 2008-07-09 2015-07-14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의료용 임플란트 및 식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122A (ko) 2021-07-28
US20230157793A1 (en) 2023-05-25
WO2020127106A1 (de) 2020-06-25
CN113473941B (zh) 2024-02-02
KR20230031978A (ko) 2023-03-07
US20220039923A1 (en) 2022-02-10
EP3897448A1 (de) 2021-10-27
CN113473941A (zh) 2021-10-01
DE102018222901A1 (de)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945B2 (en) Dental implant for a jaw with reduced bone volume and improved osseointegration features
EP1849431B1 (en)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ieces
US8128402B2 (en) Tubular bone anchoring element
JP5275460B2 (ja) 医療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植設方法
JP3064032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
EP1098605B1 (en) Dental implant
EP2145600A1 (en) Improved fixture of two-piece dental implants
US20110081626A1 (en) Dental implant
JP2014513596A (ja) 円錐形の第1のねじ部及び円筒形の第2のねじ部を有する歯科インプラント
Warreth et al. Dental implants and single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WO2007058125A1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20230157793A1 (en) Dental implant
EP2482753A1 (en) Dental implant having improved osseointegration characteristics
US20210228321A1 (en) Dental Implant
Tushar et al. Scientific Rationale of Implant Design: A Review Article
WO2019155343A1 (en) Endosseous dental implant system with accompanying prosthetics
RU2314059C1 (ru) Винтовой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WO2018139950A1 (ru)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EP3506852B1 (en) Dental implant cover
JP2010063852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2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706

Effective date: 20221024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