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190B1 - 이중의 이차적인 록을 구비하는 연결부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중의 이차적인 록을 구비하는 연결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190B1
KR102501190B1 KR1020150097083A KR20150097083A KR102501190B1 KR 102501190 B1 KR102501190 B1 KR 102501190B1 KR 1020150097083 A KR1020150097083 A KR 1020150097083A KR 20150097083 A KR20150097083 A KR 20150097083A KR 102501190 B1 KR102501190 B1 KR 102501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using
arms
members
lock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401A (ko
Inventor
빈센트 레그니어
르네 레만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위한 연결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연결부 조립체는 연결부 하우징(10) 및 연결부 하우징(10)에 할당된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을 포함한다.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이 연결부 하우징(10)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고, 개방 위치로부터 록킹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은 2개의 분리된 록킹 부재(30a, 30b)를 포함하고, 2개의 분리된 록킹 부재(30a, 30b)의 각각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중의 이차적인 록을 구비하는 연결부 조립체{CONNECTOR ASSEMBLY WITH DUAL SECONDARY LOCK}
본 발명은 연결부 조립체, 특히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위한 연결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연결부 조립체는 연결부 하우징 및 이차적인 록킹 수단을 포함한다.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개방 위치로부터 록킹된 위치로 연결부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도록,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연결부 하우징으로 할당된다.
많은 적용예에서, 연결부의 안전 커플링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승용차 내의 에어백 시스템과 같은, 차량 안전 시스템의 경우에, 에어백을 그 점화 베이스로 연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연결부가 신뢰가능한 안전 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한다. 연결부가 의도하지 않게 느슨해질 수 없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일차적인 록킹 수단에 더하여, 이차적인 록킹 수단을 이용하여 안전한 기계적 커플링을 보장한다.
이차적인 록킹 수단을 가지는 연결부의 예가 WO 97/41623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헌은, 에어백 점화 메커니즘의 일부인 상응하는 대응(counter) 연결부와 접합될(mated) 수 있는 연결부를 개시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즉, 연결부가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 접합된다), 연결부가 가요성 걸림 아암(flexible latching arms)에 의해서 대응 연결부에 고정된다. 연결부들이 접합되는 동안에, 이러한 아암이 굴절되고(deflected), 완전히 접합되었을 때, 대응 연결부의 상응하는 걸림 간극 내로 역으로 스냅된다(snap back). 연결부의 기계적 커플링을 보장하기 위해서, WO'623은, 접합되는 연결부 조립체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록킹 아암을 포함하는 이차적인 록킹 수단을 제시한다. 록킹 아암이 일단 삽입되면, 그러한 록킹 아암은 걸림 아암이 상응하는 걸림 간극의 외부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에 따라, 연결부의 기계적 커플링이 확보된다.
이차적인 록킹 수단의 추가적인 개발이 특허출원 DE 100 05 858 A1에서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헌은,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연결부와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의 접합 또는 접합-분리를 방해하지 않도록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연결부 하우징에 장착되는 위치에서, 이차적인 록킹 수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이차적인 록킹 장치 및 안전 스프링 요소를 구비한 연결부를 개시한다.
본원에 앞서서 출원되었으나 공개되지는 않은, 출원번호가 PCT/EP2013/055480인 선행 특허 출원에서, 이차적인 록킹 수단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연결부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차적인 록킹 수단 및 스프링은 연결부 하우징으로 할당된다. 이에 의해서,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차적인 록킹 수단의 제2위치에 배치될 때, 이차적인 록킹 수단은 연결부 하우징의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에 대한 접합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접합 중에, 연결부 조립체가 그 연결부 조립체의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 완전히 접합될 때, 조작자가 이차적인 록킹 수단을 록킹 위치로 밀 필요가 없이, 스프링이 편향되어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록킹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되게 한다.
전술한 연결부 조립체는, 연결부와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의 부분적인 접합이 가능하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그러한 경우에 이차적인 록킹 수단은 만족스럽게 기능하지 못한다.
연결부가 부분적으로만 접합되는 경우에, 연결부 조립체가 전기적으로 정확하게 기능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는 연결부와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의 전기적 접촉부가 연결되었으나(즉, 전류 전도가 가능하나), 기계적인 연결은 희망하는 재원(specification)에 상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높은 안정성과 관련된 연결부 조립체에서, 예를 들어 에어백 구속 시스템에서, 연결부의 접합 중에 폐쇄되는, 각각 개방된 전기 회로들을 기초로 대응 연결부들의 정확한 접합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장치가 종종 통합된다. 만약 연결부 및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가 부분적으로 접합된다면, 이러한 검출 장치가 연결부들의 정확한 접합을 잘못 보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이차적인 록킹 수단에서, 록킹된 위치에서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종종 이동할 수 있었고, 그에 의해서 접합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조작자에게 표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단지 부분적인 접합의 경우에, 종래 기술의 이차적인 록킹 수단은 종종 희망하는 이차적인 록킹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에어백 구속 시스템의 경우에, 전기적으로는 기능을 하지만 기계적으로는 불안정한 연결부가 차량 진동으로 인해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선된 이차적인 록킹 메커니즘을 가지는 연결부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기술 수준을 개선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지는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은 독립항인 제1항에 따른 연결부 조립체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원은 연결부 조립체, 특히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위한 연결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연결부 조립체는 연결부 하우징 및 이차적인 록킹 수단(즉, 이차적인 록)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 연결부 하우징은,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의 걸림을 위해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 아암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연결부 하우징은, 플러그-인(plug-in) 부분 및 플러그-인 부분의 대향 측부들 상에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일차적인 걸림 아암을 포함하고, 그에 의해서 접합 중에 플러그-인 부분이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한다. 플러그-인 부분의 걸림 아암은 접합 중에 굴절되고, 접합되었을 때, 대응 연결부 내에 제공된 상응하는 걸림 홈 또는 요홈부 내로 역으로 스냅된다. 그에 의해서, 각각의 걸림 아암이 굴절되고 개별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연결부 하우징으로 할당되고, 개방 위치로부터 록킹된 위치로 연결부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연결부 하우징에 의해서 그 이동가능성 내에서 안내되고, 그에 따라 이차적인 록킹 수단의 개방 위치로부터 록킹된 위치까지의 궤적이 형성된다. 동일한 것이 록킹된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의 이차적인 록킹 수단의 이동에 적용된다.
걸림 아암의 적어도 하나가 그 접합된 위치에 있게 된 후에,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형성된 궤적을 따라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궤적의 종료점이 록킹된 위치로서 규정된다.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그 록킹된 위치에 있을 때, 걸림 아암의 해제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 부분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걸림 아암의 굴절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적어도 방해 받도록, 이차적인 록킹 수단의 이러한 차단 부분이 플러그-인 부분의 걸림 아암에 대해서 배열된다. 그에 따라, 접합된 조건에서, 걸림 아암은 해제될 수 없고 연결부는 걸림 아암 및 차단 부분에 의해서 안정된다(secured).
유리하게, 발명의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2개의 분리된 록킹 부재를 포함한다. 그에 의해서, 분리된 록킹 부재는 2개의 물리적으로 상이한 부분이다. 2개의 분리된 록킹 부재는 바람직하게 대칭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분리된 록킹 부재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성형도 가능하다. 또한, 2개의 분리된 록킹 부재의 각각이 일차적인 걸림 아암들 중 하나로 할당되어 할당된 걸림 아암의 해제 이동을 차단한다. 그에 의해서, 2개의 분리된 록킹 부재의 각각이, 그 자체적인 궤적을 따라서, 개방 위치와 록킹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에 따라, 만약 연결부가 의도하지 않게 부분적으로만 접합된다면, 즉 2개의 걸림 아암 중 하나 만이 그 걸림 홈 내에 걸린다면, 걸리지 않은 걸림 아암에 대해서 할당된 록킹 부재가 록킹된 위치로 이동될 수 없는 경우에도, 걸림된(즉 접합된) 걸림 아암으로 할당된 록킹 부재가 그 록킹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된 위치에서, 그러한 부분적으로 접합된 조건에서도, 하나의 록킹 부재가 걸림된 걸림 아암의 해제 이동을 차단하고, 연결부는 충분히 안정된다. 이러한 안정되고, 부분적으로 접합된 조건은, 연결부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강한 보유력(retention force)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연결부 조립체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그러한 스프링은, 연결부 하우징이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 완전히 접합되었을 때, 각각의 록킹 부재를 그 록킹된 위치 내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록킹 부재의 적어도 하나에 그리고 바람직하게 양 록킹 부재에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연결부 하우징의 할당된 걸림 아암이 그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 접합될 때, 조작자가 이차적인 록킹 부재를 록킹된 위치로 수동으로 밀 필요가 없이, 록킹 부재가 그들의 록킹된 위치 내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끔 록킹 부재를 가압하도록 스프링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이차적인 록킹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부분을 각각 포함하고, 그러한 차단 부분은,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록킹된 위치에 있을 때, 걸림 아암(들)의 해제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차단 부분은, 예를 들어, 록킹 부재의 작동 아암과 같은 전용 요소 상에 배열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록킹 부재의 다른 기능적 부재의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차단 부분은,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록킹된 위치에 있을 때, 차단 부분이 연결부 하우징의 걸림 아암을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서 차단하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 각각의 록킹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작동 아암은, 접합되었을 때 그리고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그 록킹된 위치에 있을 때,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그에 의해서, 록킹 부재가 록킹된 위치에서 안정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부 조립체가 단락 요소(shortening element)를 더 구비하고, 그러한 단락 요소는, 각각 연결부 하우징과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 사이의 정확한 접합을 모니터링하는, 접합 공정의 모니터링을 허용한다. 단락 요소는 전기적 접촉 요소이고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의 부분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접합시에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그에 의해서, 단락 요소는 전기 회로의 폐쇄 또는 개방을 위해서 배치된다. 전기 회로의 개방 또는 폐쇄는 접합 공정의 원격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단락 요소는 바람직하게, 대응 연결부와 연결부 하우징의 완전하고 정확한 접합시에만 배치되도록(그에 의해서 전기 회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연결부 하우징 상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연결부 조립체는 또한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가 에어백 스퀴브(squib) 소켓이고 연결부 하우징이 그에 따라 에어백 스퀴브 연결부 하우징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분리된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 하우징을 상이한 도면들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연결부 하우징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연결부 하우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연결부 하우징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부분적으로 접합되고 록킹된 조건에서 연결부 하우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는 부분적으로 접합되고 록킹된 조건에서의 도 5의 연결부 하우징의 x-레이를 도시한다.
도 7은 개방 위치에서 접합될 때 연결부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와 동일한 부분 절개도이나, 록킹 부재(30a)가 록킹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연결부 하우징(10)의 원근적인, 3차원적 도면을 도시한다. 연결부 하우징(10)은 본체(12) 및 걸림 연결부(15)에 의해서 본체(12)에 분리가능하게 걸리는 커버(11)를 포함한다. 본체(12)의 하단 측부(side)에는 원통형 플러그-인 부분(13)이 제공된다. 당업자는, 플러그-인 부분(13)이 전형적인 에어백 스퀴브 소켓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그에 따라 도시된 장치가 에어백 스퀴브 연결부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플러그-인 부분(13)의 대향 측부들 상에는, 2개의 걸림 아암(20a, 20b)이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플러그-인 부분(13)의 대향 측부들 상에는, 2개의 걸림 아암(20a, 20b)이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걸림 아암(20a, 20b)은 연결부의 일차적인 록킹을 제공한다. 참조 번호'30'으로 표시된 이차적인 록킹 수단이 연결부 하우징(10)의 본체(12)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이 록킹된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고 2개의 구분된 록킹 부재(30a 및 30b)로 이루어진다.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에 커플링 또는 접합될 때,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연결부 부분의 의도하지 않은 접합-분리를 방지할 것이다.
도 2는 상이한 각도로부터 동일한 장치를 도시한다. 또한, 도 2에서, 보유부(retainer)(50)가 설명 목적을 위해서 도시되어 있다. 당업자는, 보유부(50)가 에어백 스퀴브 소켓의 일부이고 그에 따라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도 2의 도면에서 스프링(40)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스프링은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을 그 록킹된 위치로 편향시킨다. 스프링(40)은, 접합시에 스프링(40)이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을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록킹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연결부 하우징(10) 내에 배열된다.
도 3은 다시, 연결부 하우징(10)의 내부 구성을 볼 수 있도록 커버(11)를 제거한 상태로, 도 2와 동일한 배열체(arrangement)를 상이한 시각으로부터 도시한다. 도 3으로부터, 케이블(14)이 연결부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케이블(14)은 페라이트 요소(16)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도 3의 개방 도면에서, 스프링(40)이 스프링강의 단일 와이어로 제조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록킹 부재가 작동 아암(31a, 31b)(시각으로 인해서, 도 3에서는 아암(31b) 만을 볼 수 있다)을 포함한다.
스프링(40)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록킹 부재(30a 및 30b)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스프링 아암(41a, 41b)을 포함한다. 또한, 도 2 또는 도 3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코일(42)이 권선 축이 연결부 하우징(10)의 접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 내에 있도록, 코일(42)이 배열된다. 당업자에게는, 도시된 스프링(40)이 단지 하나의 예라는 것 그리고 중요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구성을 또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록킹 부재(30a, 30b)가 그들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40)이 인장된다는(tensioned)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접합될 때, 스프링(40)은 부재(30a, 30b)를 록킹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어떻게 이러한 것이 이루어지는 지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스프링(40)의 2개의 작동 아암(41a, 41b)이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의 각각의 록킹 부재(30a, 30b)에 어떻게 동작적으로 연결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의 위치는 소위 개방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연결 하우징(10)을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 완전히 접합할 수 있는데, 이는 이차적인 록킹 수단(30) 즉, 록킹 부재(30a, 30b)가 걸림 아암(20a, 20b)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40)은, 록킹 부재를 그들의 록킹된 위치 내로 개별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2개의 작동 아암(41a, 41b)을 포함하고, 각각의 작동 아암은 2개의 록킹 부재(30a, 30b)의 각각의 하나에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예를 들어, 작동 아암(41a, 41b)과 록킹 부재(30a, 30b)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으나, 작동 아암과 록킹 아암 사이에 제공된 추가적인 요소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또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 아암이, 연결부 하우징(10)과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의 접합 시에 록킹 부재를 개방 위치로부터 록킹된 위치로 능동적으로 밀거나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도 5는, 연결부 하우징(10)의 연부의 하나의 측부 만이 아래로 밀리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부분적으로 접합된 조건의 연결부 하우징(10)을 도시한다. 결과적으로, 연결부 하우징(10)이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 내로 비스듬하게 접합된다. 록킹 부재(30a)는 여전히 그 개방 위치에 있는 반면, 록킹 부재(30b)는 그 록킹된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부분적으로 록킹된 연결부의 보유력이 78N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 100N 보다 크고, 가장 바람직하게 135N 보다 크다. 보유력은, 접합 방향으로 당길 때 연결부 하우징(10)과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를 접합-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이다. 보유력은 ISO 19702-2, §4.4.에 기재된 테스트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도 6은 부분적으로 접합된 연결부의 x-레이 사진을 도시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걸림 아암(20a, 20b) 및 록킹 부재(30a, 30b)의 작동 아암(31a, 31b)이 후퇴되어 있다. 도 6의 우측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걸림 아암(20b)이 걸림 홈(55)으로 걸리고, 록킹 부재(30b)의 작동 아암(31b)이 걸림 아암(20b)을 차단하는데, 이는 록킹 부재(30b)가 그 록킹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걸림 아암(20a)은 걸리지 않았고, 다시 말해서 연결부 하우징(10)과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의 부분적인 접합만이 발생되었다. 또한, 걸림 아암(20a)이 걸리지 않았기 때문에, 작동 아암(31a)을 가지는 록킹 부재(30a)가 여전히 그 개방 위치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록킹 부재(30b)가 그 록킹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연결이 충분히 안정된다.
도 7은 접합 공정 중의 연결부의 부분적인 절개도를 도시한다. 그러한 절개도로부터, 플러그-인 부분(13)이 보유부(50) 내로 어떻게 부분적으로 삽입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위치에서, 보유부(50)의 정지 부재(51)가, 록킹 부재(30a)의 작동 아암(31a)의 자유 단부에 제공된 제1 작동 표면(32a)과 차단 접촉(blocking contact)한다. 그에 의해서, 연결부 하우징(10)의 접합 방향을 따른 보유부(50) 내로의 이동 시에, 록킹 부재(30a, 30b)가 이동되지 않고 유지되고, 다시 말해서 록킹 부재가 접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데, 이는 제1 작동 표면(32a)이 정지 부재(51) 상에 놓여져 있기 때문이다. 록킹 부재(30a, 30b)의 이러한 차단으로 인해서(대칭적인 배열로 인해서, 록킹 부재(30b)가 또한 보유부의 상응하는 정지 부재 상에 놓여있다), 연결부 하우징(10)이 접합되는 위치 내로 이동될 때, 록킹 부재(30a, 30b)가 스프링(40)을 편향시킬 것이다. 그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위치에서, 스프링(40)의 작동 아암(41a, 41b)이 큰 인장하에 그리고 기본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나, 록킹 부재(30a, 30b)가 여전히 정지 부재(51) 상에 확실하게 놓여 있기 때문에, 스프링(40)은 록킹 부재(30a, 30b)를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록킹된 위치로 여전히 이동시킬 수 없다.
이는, 연결부 하우징(10) 내에 제공된 경사진 해제 표면(17)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러한 경사진 굴절 표면(17)은 접합 공정의 종료에서 작동 아암(31a)의 제2 작동 표면(33a)과 접촉한다. 상응하는 표면이 작동 아암(31b)에 대해서 동일한 효과를 가질 것이다. 이러한 것이 발생될 때, 경사진 굴절 표면(17)이 록킹 부재(30a)의 작동 아암(31a)을 외측으로, 즉 플러그-인 부분(13)으로부터 멀리 밀어낼 것이다. 그에 의해서, 당업자는, 제1 작동 표면(32a)이 정지 부재(51)로부터 상승될 것이고 록킹 부재(30a, 30b)가 해제되고 인장된 스프링(40)이 록킹 부재(30a, 30b)를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록킹된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당업자는, 록킹 부재(30a, 30b)가, 연결부 하우징(10)의 걸림 아암(20a, 20b)이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의 걸림 홈(55) 내로 스냅될 수 있는(즉, 걸림 아암이 그 걸림 위치에 있게 되는) 이후에만 해제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8로부터, 록킹 부재(30a)의 작동 아암(31a)이 이제, 플러그-인 부분들(13) 사이에서 각각, 걸림 아암(20a)과 보유부(50)의 부분 사이에 어떻게 배열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위치에서, 걸림 아암(20a)을 내측으로, 즉 플러그-인 부분(13)을 향해서 이동시킬 수 없고, 그에 따라 걸림 아암(20a)을 걸림 홈(55)과의 록킹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굽히는 것이 불가능하다. 동일한 것이, 도시되지 않은 걸림 아암(20b) 및 록킹 부재(30b)에도 적용된다. 조작자가,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을 접합 방향 및 스프링(40)의 편향력에 대항하여(against) 당기는 것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이차적인 록킹 수단(30), 즉 양 록킹 부재(30a, 30b)를 해제한 후에만, 2개의 연결부의 접합-분리가 가능하다. 록킹 부재(30a, 30b)의 작동 아암은, 작동 아암(31a, 31b)의 수동적 걸림-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동 해제 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참조 번호 '18'은 플러그-인 부분(13) 내에 제공된 전기적 암놈형 단자를 나타낸다. 2개의 구분되는 록킹 부재 형태의 록킹 수단을 제공하는 진보적인 개념은, 일차적인 록킹 수단이 부분적으로만 록킹된 경우에도, 접합의 안정적이고 신뢰가능한 이차적인 록킹을 가능하게 한다. 그에 따라, 당업자는 설명된 실시예의 스프링(40)이 단지 유리한 특징이고, 진보적인 개념에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인지할 것이다.
10. 연결부 하우징
11. 커버
12. 연결부 하우징의 본체
13. 플러그-인 부분
14. 전기 케이블
15. 걸림 연결부
16. 페라이트 요소
17. 경사진 굴절 표면
18. 전기적 암놈형 단자
20a; 20b. 걸림 아암
30. 이차적인 록킹 수단
30a. 록킹 아암
30b. 록킹 아암
31a; 31b. 록킹 부재의 작동 아암
32a. 제1 작동 표면
33a. 제2 작동 표면
40. 스프링
41a; 41b. 스프링 아암
42. 스프링 코일
43. U-형상의 프레임
50. 보유부(대응 연결부의 일부)
51. 정지 부재
52. 소켓 하우징
55. 걸림 홈
62. 접촉 삽입 길이

Claims (15)

  1.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위한, 연결부 조립체로서,
    플러그-인 부분(13) 및 플러그-인 부분(13)의 대향 측부들 상에 배열된 2개의 일차적인 걸림 아암(20a, 20b)을 포함하는 연결부 하우징(10); 및
    연결부 하우징(10)에 할당되고, 개방된 위치로부터 록킹된 위치로 연결부 하우징(10)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으로서, 록킹 수단(30)은, 록킹 수단(30)이 그 록킹된 위치에 있을 때, 걸림 아암(20a, 20b)의 해제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 부분을 포함하는,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을 포함하는, 연결부 조립체에 있어서:
    이차적인 록킹 수단(30)이 2개의 분리된 록킹 부재(30a, 30b)를 포함하고, 그리고
    2개의 분리된 록킹 부재(30a, 30b)의 각각이 일차적인 걸림 아암(20a; 20b)의 각각에 할당되어, 할당된 걸림 아암(20a, 20b)의 해제 이동을 차단하며, 그리고
    2개의 분리된 록킹 부재(30a, 30b)의 각각이, 개방 위치와 록킹된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연결 하우징(10)이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 완전히 접합될 때, 록킹 부재(30a, 30b)를 그 록킹된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30a, 30b)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40)을 더 포함하는, 연결부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접합시에, 각각의 스프링(40)이 그러한 스프링에 동작적으로 연결된 록킹 부재(30a, 30b)를 그 록킹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40)이 연결부 하우징(10)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40)이 2개의 작동 아암(41a, 41b)을 포함하고, 각각의 작동 아암은 2개의 록킹 부재(30a, 30b)의 각각의 하나에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록킹 부재(30a, 30b)를 록킹된 위치 내로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40)이 접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작동 아암(41a, 41b)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41a, 41b)은 하나의 단부 상에서 하우징(10)에 고정되고, 각각의 작동 아암은 그 타 단부에서 하나의 록킹 부재(30a, 30b)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록킹 부재(30a, 30b)를 그 록킹된 위치에서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30a, 30b)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40)이 인장되도록 그리고 록킹 부재(30a, 30b)가 록킹된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40)이 예압되도록(pre-loaded),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40)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연결부 하우징(10)을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 접합하는 동안에 록킹 부재(30a, 30b)가 접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록킹 부재(30a, 30b)의 각각이 대응 연결부의 정지 부재(51)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작동 표면(3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연결부 하우징(10)이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 접합될 때, 연결부 하우징(10)의 2개의 일차적인 걸림 아암(20a, 20b)이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의 걸림 홈(55)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합치될 때 그리고 록킹 부재(30a, 30b)가 그 록킹된 위치에 있을 때,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에 걸리도록 구성된 작동 아암(31a, 31b)을 록킹 부재(30a, 30b)의 각각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30a, 30b)의 각각이 제2 작동 표면(33a)을 포함하고, 그에 의해서 제2 작동 표면(33a)이 연결부 하우징(10)의 경사진 굴절 표면(17)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연결부 하우징(10)이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 접합될 때, 각각의 록킹 부재(30a, 30b)의 작동 아암(31a, 31b)이 굴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30a, 30b)의 작동 아암이, 작동 아암(31a, 31b)의 수동적 걸림-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동 해제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연결부 하우징(10)이, 전기 회로를 폐쇄 또는 개방하여 접합 공정의 모니터링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와의 접합시에 작동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락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30a, 30b)의 작동 아암(31a, 31b)이 차단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연결부와 대응 연결부가 완전히 접합된 조건에서 록킹 부재(30a; 30b)의 각각의 보유력이 78N 보다 큰, 연결부 조립체.
  1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조립체가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응하는 대응 연결부는 에어백 스퀴브 소켓이고, 연결부 하우징(10)은 에어백 스퀴브 연결부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조립체.
KR1020150097083A 2014-07-11 2015-07-08 이중의 이차적인 록을 구비하는 연결부 조립체 KR102501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6820.0A EP2966735B8 (en) 2014-07-11 2014-07-11 Connector assembly with dual secondary lock
EP14176820.0 2014-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401A KR20160007401A (ko) 2016-01-20
KR102501190B1 true KR102501190B1 (ko) 2023-02-20

Family

ID=5117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083A KR102501190B1 (ko) 2014-07-11 2015-07-08 이중의 이차적인 록을 구비하는 연결부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20674B2 (ko)
EP (1) EP2966735B8 (ko)
JP (1) JP6940128B6 (ko)
KR (1) KR102501190B1 (ko)
CN (1) CN105261881B (ko)
BR (1) BR10201501661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385B1 (ko) * 2012-11-12 2019-08-16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자동 이차 로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EP3312941B1 (en) * 2016-10-19 2019-07-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dual secondary lock
CN106898917B (zh) * 2017-03-31 2022-09-16 沈阳兴华航空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直插式支架锁紧电连接器
EP3396786B1 (de) 2017-04-27 2020-03-18 Aptiv Technologies Limited Stecker anordnung
EP3396785B1 (de) 2017-04-27 2020-12-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Steckeranordnung
EP3396790A1 (en) 2017-04-27 2018-10-31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Connector assembly for safety systems
EP3396789B1 (en) 2017-04-27 2021-03-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airbag restraint systems
US11183793B2 (en) 2018-10-08 2021-11-2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system with a terminal retaining device having a reverse hinged lock feature
DE102018124876A1 (de) * 2018-10-09 2020-04-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ekundärsicherun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CN210326329U (zh) * 2019-06-21 2020-04-14 重庆市鸿腾科技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与之相对接的插头连接器
CN112310741B (zh) * 2019-07-30 2024-05-07 戴尔产品有限公司 连接器释放辅助系统
EP3772782A1 (en) * 2019-08-05 2021-02-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watertight connection
CN216698943U (zh) * 2022-01-19 2022-06-07 菲尼克斯亚太电气(南京)有限公司 连接器插头和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1623A1 (en) 1996-04-30 1997-11-06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A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ing and with a lateral cable outlet
DE10005858A1 (de) 2000-02-10 2001-08-30 Fci Automotive Deutschland Gmb Steckverbinder
DE102005058969A1 (de) 2005-12-09 2007-06-1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Steckerteil und Grundleiste ein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WO2014072081A1 (en) * 2012-11-12 2014-05-15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R.L. Connector assembly with automatic secondary lock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0726C2 (de) * 1998-09-07 2000-09-28 Amphenol Tuchel Elec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KR100564091B1 (ko) * 2000-03-01 2006-03-2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접속 시스템
BRPI0105829B1 (pt) * 2000-11-17 2016-05-24 Framatome Connectors Int conector de encaixe
DE10227016B4 (de) * 2002-06-17 2004-06-0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20217461U1 (de) * 2002-11-11 2004-03-25 Ghw Grote & Hartmann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05001515B4 (de) * 2005-01-13 2008-01-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05043903B3 (de) * 2005-09-14 2007-03-01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er
KR20090062657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스퀴브커넥터 연결구조
CN103238255B (zh) * 2010-10-29 2016-01-20 德尔福连接系统控股法国公司 连接器组件
WO2012143570A1 (en) * 2011-04-22 2012-10-26 Fci Automotive Holding Airbag connector system
US20140287611A1 (en) * 2011-10-20 2014-09-25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A.R.L. Airbag connecto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1623A1 (en) 1996-04-30 1997-11-06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A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ing and with a lateral cable outlet
DE10005858A1 (de) 2000-02-10 2001-08-30 Fci Automotive Deutschland Gmb Steckverbinder
DE102005058969A1 (de) 2005-12-09 2007-06-1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Steckerteil und Grundleiste ein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WO2014072081A1 (en) * 2012-11-12 2014-05-15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R.L. Connector assembly with automatic secondary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61881A (zh) 2016-01-20
JP6940128B6 (ja) 2021-10-20
US20160013583A1 (en) 2016-01-14
EP2966735B8 (en) 2019-02-27
JP6940128B2 (ja) 2021-09-22
US9520674B2 (en) 2016-12-13
CN105261881B (zh) 2017-09-12
EP2966735A1 (en) 2016-01-13
KR20160007401A (ko) 2016-01-20
BR102015016610A2 (pt) 2016-01-12
JP2016021397A (ja) 2016-02-04
EP2966735B1 (en)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190B1 (ko) 이중의 이차적인 록을 구비하는 연결부 조립체
KR102011385B1 (ko) 자동 이차 로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2342224B1 (ko) 스프링 작동식 보조 잠금 장치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KR101834111B1 (ko) 커넥터 합치 보장
JP440516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半体組立体
EP2700130B1 (en) Airbag connector system
CN109196731A (zh) 具有连接器位置保证的连接器系统
JP6678753B2 (ja) コネクタ位置保証を有するコネクタシステム
CN110571567B (zh) 分阶段释放的电连接器组件
KR102622672B1 (ko) 커넥터 위치 보증 부재
CN110770981A (zh) 连接器
US992330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centering system
KR102475089B1 (ko) 이중 이차 잠금부를 가지는 연결부 조립체
JP5986919B2 (ja) コネクタの嵌合構造
JP2024061996A (ja) コネクタ
KR20160099855A (ko)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