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988B1 -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988B1
KR102500988B1 KR1020200157324A KR20200157324A KR102500988B1 KR 102500988 B1 KR102500988 B1 KR 102500988B1 KR 1020200157324 A KR1020200157324 A KR 1020200157324A KR 20200157324 A KR20200157324 A KR 20200157324A KR 102500988 B1 KR102500988 B1 KR 102500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oxane
skin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608A (ko
Inventor
정현아
김근오
양우영
유광호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to KR102020015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9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 또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층부; 및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을 포함하는 하층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 상기 제1 조성물이 상기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성물이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함).

Description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REACTIVE SILICONE}
본 발명은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 또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층부 및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을 포함하는 하층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단, 상기 제1 조성물이 상기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성물이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함).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로실릴화 촉매에 의한 제1 폴리실록산과 제2 폴리실록산의 수소규소화 반응(hydrosilylation)으로 인조 피부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피부 수분 보유 향상 및 피부 수분 증발량 감소), 피부 리프팅 및 메이크업 지속력 효과를 가진다.
최근 피부 상에서 신속하게 폴리머 필름을 형성하여 단시간 내에 피부의 주름과 탄력을 개선할 수 있는 인조 피부막이 개발되면서, 의료용 인조 피부막이 아닌 미적으로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 용도로의 인조 피부막 제조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폴리실록산은 화장품에 적용 가능한 인조 피부막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인조 피부막 제조용 화장품은 먼저 폴리실록산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을 피부 상에 도포하고, 백금 기반의 촉매가 있는 성분을 도포하여 수소규소화 반응을 일으켜 가교화함으로써 인조 피부막을 생성한다.
따라서, 제형 내에 수소규소화 반응의 반응물인 반응성 실리콘(폴리실록산)들이 함께 존재하게 되므로, 촉매의 활성도가 떨어져 경시적으로는 인조 피부막 형성이 어려워지고, 제형 내 안정도도 저하된다.
다양한 화장품 중, 미스트는 수시로 얼굴에 뿌려 건조해진 피부에 즉각적인 수분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포함하는 성분에 따라 즉각 수분 공급 외에도 화장 지속력을 높여주고 피부 화장 들뜸 방지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미스트는 제품 특성상 즉각적인 수분 공급 외에도 분사 시 피부에 고르게 도포가 되어야 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스트는 폴리올로 구성된 투명 가용화 타입의 미스트나 유화제와 오일을 함유한 유화타입의 미스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미스트를 고르게 얼굴에 분사하기 위해서는 사슬이 긴 폴리올, 고함량의 폴리올 및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즉각적인 수분 충전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미스트가 피부 상에 도포 시 오히려 피부 내 수분과 함께 증발됨으로써, 오히려 사용 전보다 피부가 더 건조해진다고 느끼는 소비자가 많다.
즉, 즉각적인 수분 공급이 가능하지만, 수분 유지력은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기존의 폴리실록산의 수소규소화 반응에 의한 인조 피부막과 미스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54702호(출원일: 2017.12.28)
본 발명은 상술한 반응성 실리콘(폴리실록산)에 의한 인조 피부막 형성의 어려움 및 제형 내 안정도 저하를 해결하는 동시에 피부 상에서 이질감 없는 인조 피부막이 형성되어 즉각적인 잔주름 개선이 가능하게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피부 보습(피부 수분 보유 향상 및 피부 수분 증발량 감소), 피부 리프팅 및 메이크업 지속력 효과 등이 강화되어 미스트로 적용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 또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층부; 및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을 포함하는 하층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단, 상기 제1 조성물이 상기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성물이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함)
본 발명에서는, 반응성 실리콘(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상층부와 반응성 실리콘(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에멀전을 포함하는 하층부를 포함하는 미스트로 적용 가능한 2층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피부 상에서 이질감 없는 인조 피부막이 형성되어 즉각적인 잔주름 개선이 되게 한다.
또한, 피부 상에 도포된 미스트의 증발로 초래되는 피부 건조와 관련하여 분사 각도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과량의 오일을 함유 하여 피부 보습(피부 수분 보유 향상 및 피부 수분 증발량 감소)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피부 리프팅 및 메이크업 지속력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4에 해당하는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4에 해당하는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리프팅 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4에 해당하는 2층상 화장료 조성물과 대조군인 가용화 타입의 보습용 미스트를 각각 피실험자의 얼굴의 절반씩에 분사하여 실험한 메이크업 화장료 지속력 평가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현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 또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층부; 및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을 포함하는 하층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단, 상기 제1 조성물이 상기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성물이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함)
상기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과 상기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은 촉매 존재 하에서 수소규소화 반응을 통해서 인조 피부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은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예를 들어, 비닐 디메치콘(vinyl dimethicone)), 비닐 말단 폴리디페닐실록산, 비닐 말단 디에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 말단 디페닐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 말단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메틸실록산 단독중합체, 비닐메틸실록산-옥틸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메틸실록산-페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메톡시실록산 단독중합체, 비닐에톡시실록산 단독중합체, 비닐에톡시실록산-프로필에톡시실록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은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예를 들어, 수소 디메치콘(hydrogen dimethicon)),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에틸실록산,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페닐실록산,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페닐메틸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메틸하이드로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하이드라이드 말단 메틸히드로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폴리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에틸실록시 말단 폴리에틸하이드로실록산,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페닐-(디메틸하이드로실록시)실란, 하이드라이드 말단 메틸히드로실록산-페닐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메틸하이드로실록산-옥틸메틸실록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의 마이크로 에멀전은 평균 지름이 10~200nm일 수 있고,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은 투명 또는 반투명(백색광의 산란)의 액체이며,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계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전에는 상층부와 하층부가 층 분리된 2층상의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미스트 등의 화장품에 적용되는 경우, 상층부와 하층부를 흔들어 섞은 후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하이드로실릴화 촉매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실릴화 촉매는 백금(Pt), 루비듐(Rb)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이드로실릴화 촉매는, 예를 들어, 백금(Pt)의 함량이 0.0025 내지 0.1000 중량%인 용액의 형태로 0.5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촉매 용액에 포함된 순수한 촉매 금속만의 함량으로 환산했을 경우, 0.01 내지 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금 촉매는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isopropyl acetate, IPA)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 함량이 0.025 중량%인 용액으로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을 1~5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 인조 피부막 형성이 어렵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상에 도포 시 인조 피부막이 형성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 총 중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은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1~30 중량% 포함하고, 폴리올을 0.1~3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의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 인조 피부막을 형성하는 효과가 미미하여 즉각적인 리프팅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의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의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할 경우, 보습력은 우수하나 반응성 실리콘인 폴리실록산의 무겁고 끈적이는 사용감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가 적용된 미스트 등의 화장품에서 나타나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고, 마이크로 에멀전 제조 시 유화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피부에 보습 효과를 주는 것으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아이소펜틸다이올 및 프로판다이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보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스트 분사각도에 영향을 끼쳐 피부에 고르게 도포하기가 어렵고 두텁고 답답한 사용감을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은 방부제, 유화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일반 에스터 오일에 비하여 폴리실록산과 사용성이 우수한 실리콘 오일(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라이메티콘, 메틸트라이메티콘,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다이메티콘, 트라이실록산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하이드로아세토페논,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1,2-헥산다이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PEG(Poly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글루코사이드계, 폴리글리세리례, 글리세릴계 및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는 아데노신 및 실리콘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층부에는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이 포함되지 않고, 상기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과 상기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이 상기 상층부 총 중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50~9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페닐트라이메티콘, 트라이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 일반적인 실리콘 오일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인조 피부막 형성 시간 단축에 도움이 되는 휘발도가 높은 실리콘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는 점증제를 0.01~0.5 중량% 추가로 포함하고, 또한, 글리세린, 아데노신, 방수제 및 고분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 잔탄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상층부와 하층부로 이루어진 2층상 화장료의 유지에 반드시 필요하고, 상기 점증제의 함량이 0.5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의 점도가 높아져서, 2층상으로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2층상의 외관이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펙틴(pectin), 덱스트로스(dextrose), 피브린(fibrin),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고분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는 상기 천연 고분자로 표면 개질된 고분자 나노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는 직경이 0.1nm 내지 1,000nm이고, 길이가 100nm 내지 500nm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직경 및 길이가 상기 수치 범위에 속해야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형성할 수 있다. 직경과 길이가 작으면 물리적 물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고, 직경과 길이가 너무 크면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가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형성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는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나노 크기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는 무독성의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소재이고, 특히 상처 부위의 통증과 세균 감염을 감소시키는 효과 및 피부 재생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까지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함량은 상기 하층부 총 중량에 대하여 0.1~0.5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피부에 형성된 인조피부의 형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없으며 0.5중량%를 초과할 경우 피부에 형성된 인조 피부막의 인장강도가 높아져서, 이질감이 강한 인조 피부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의 중량비가 1:9~9:1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의 중량비가 4:6~6:4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일 수 있다.
즉,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높은 비율의 하층부는 분사각, 사용감 등이 우수하고, 높은 비율의 상층부는 인조 피부막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의 중량비가 4:6~6:4인 경우, 이질감 없는 인조 피부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2 주 후, 피부의 수분 보유량이 55% 이상 증가하고, 피부의 수분 증발량이 15% 이상 감소하며, 피부에 도포 시, 피부 리프팅이 10% 이상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일 수 있고, 상기 화장품은 미스트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로 에멀전 제조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dizer)를 이용(800bar, 2 pass)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마이크로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반응성 실리콘 B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하이드로젠디메티콘)을 포함하고, 실리카를 추가로 포함하며, 반응성 실리콘 B의 점도는 약 35,000~55,000 cps 이었다.
또한, 사용된 방부제는 하이드로아세토페논과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함께 사용하였고, 유화제는 레시틴이었다.
제조된 마이크로 에멀전의 지름은 약 70~100nm정도이고 백탁되어 있었다.
성분 실시예 1-1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폴리올 10 10 0.1 10 35
반응성 실리콘B 15 0.5 15 35 15
방부제 0.37 0.37 0.37 0.37 0.37
유화제 4 1 2 3 3
*상기 구성 성분의 수치는 전체 중량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 1-1의 조성으로 제조한 마이크로 에멀전은 보습감, 제형 내 엉김현상, 밀림현상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1은 반응성 실리콘 B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으로 소량 포함되어, 실시예 1의 마이크로 에멀전에 비하여 마이크로 에멀전 제조 시 기포가 많이 발생하였고, 피부에 도포 시 백탁 현상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2는 폴리올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으로 소량 포함되어, 실시예 1의 마이크로 에멀전에 비하여 보습력이 약하고, 비교예 3은 반응성 실리콘 B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여 다량 포함되어, 경시적 안정도 하락 및 엉김 현상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4는 폴리올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여 다량 포함되어, 실시예 1의 마이크로 에멀전에 비하여 보습력은 우수하였으나, 무겁고 두터운 사용감 부여 및 미스트로 분사 시 고르지 못한 분포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층부 화장료 조성물 제조
마이크로 에멀전을 포함하는 하층부와 함께 사용될 마이크로 에멀전이 포함되지 않는 상층부를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상층부는 반응성 실리콘 A 외 실리콘 오일, 유효성 성분인 유용성 아데노신을 혼합한 뒤 교반기(agitator)를 이용하여 균일화하여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의 반응성 실리콘 A는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비닐디메티콘)으로 점도는 약 120~180 cps 이었다. 또한, 하이드로실릴화 촉매(백금, Pt)가 함께 포함되어 있었다.
성분 실시예 2-1 비교예 2-1 비교예 2-2
반응성 실리콘 A 88 40 95
유용성 아데노신 2 2 2
실리콘 오일 10 58 3
*상기 구성 성분의 수치는 전체 중량의 중량%를 나타내고, 실리콘 오일은 트라이실록산임
상기 실시예 2-1의 상층부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감, 제형 내 밀림현상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1의 경우, 반응성 실리콘 A를 40 중량% 포함하여, 실시예 2-1에 비해 실리콘 오일에 상용성이 우수한 상층부를 제조할 수 있었으나, 반응성 실리콘 A보다 실리콘오일의 비율이 높아 피부에 도포 시 건조되는 시간이 길어져 즉각적인 리프팅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예 2-2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반응성 실리콘 A의 함량이 95 중량%로 과량 포함하여, 생성된 인조 피부막의 밀림 현상이 있어 사용성이 좋지 않았다.
하층부 화장료 조성물 제조
마이크로 에멀전을 포함하는 하층부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3 및 표 4의 조성을 제조하였다. 마이크로 에멀전은 실시예 1-1에 의해서 제조된 마이크로 에멀전을 사용하였다.
먼저, 수상부의 원료들을 혼합하여 HOMO MIXER를 이용하여 균일화하고, 상기 수상부에 마이크로 에멀전을 포함하는 첨가부를 혼합하여 균일화 한 후, 마지막으로 방부제 처리를 하여 하층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반응성 고분자는 고분자 나노섬유를 사용하였다.
구분 성분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
글리세린 5 5 5 -
잔탄검 0.01 0.01 0.01 0.01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첨가부 마이크로 에멀전 40 30 20 99.85
반응성 실리콘 B - - - -
반응성고분자 0.1 0.1 0.1 0.1
방부제부 1,2-헥산다이올 2 2 2 0.01
*상기 구성 성분의 수치는 전체 중량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성분 비교예
3-1
비교예
3-2
비교예
3-3
비교예
3-4
비교예
3-5
비교예
3-6
비교예
3-7
비교예
3-8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0.01 20 5 5 5 5 5 5
잔탄검 0.01 0.01 0.5 0.01 0.01 0.01 0.01 0.01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첨가부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 40 40 40 - 40 40 0.1 55
반응성 실리콘 B - - - 2 - - - -
반응성 고분자 0.1 0.1 0.1 0.1 0.01 1 0.1 0.1
방부제부 1,2-헥산다이올 2 2 2 2 2 2 2 2
*상기 구성 성분의 수치는 전체 중량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3의 하층부 화장료 조성물의 실시예 3-1 내지 3-4을 사용한 2층상 고보습,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결과, 미스트로 적합한 사용감, 우수한 리프팅 및 화장지속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분사 시 미스트가 고르게 분사되고, 가혹한 조건에서도 유효성 물질들의 역가 및 안정한 2층상의 성상을 유지하여 장기간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3-1은 글리세린의 함량이 0.01 중량%로 소량 포함하고 있어서, 실시예 3-1 내지 3-4보다 수분 보유 능력이 약하여 보습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3-2는 글리세린의 함량이 20 중량%로 과량 포함되어, 분사가 고르게 되지 않아 사용 편이성이 떨어졌다.
또한, 비교예 3-3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점증제(잔탄검) 함량이 0.5 중량%으로, 제형의 점도가 높아 사용 전에 흔들어서 혼합할 경우 분리되는 속도가 너무 느려서, 제형 내 반응성 실리콘 A, B가 서로 엉기거나 밀리는 현상 등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3-4는 반응성 실리콘 B를 마이크로 에멀전으로 제조하여 투입하지 않고, 미스트에 직접 투입한 것으로 반응성 실리콘B를 2 중량% 포함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온에서 침전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반응성 실리콘 A와 만나 피부에 도포 시 밀리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비교예 3-5 및 3-6은 섬유상 고분자(반응성 고분자)를 각각 0.01 중량%으로 소량 포함하거나, 1 중량%으로 과량 포함하여, 상온에서 경화되는 폴리머의 인장강도가 약하거나 강해 즉각 리프팅의 효과를 느끼기 어렵거나, 피부 도포 시 답답함을 느낄 수 있었다.
그 밖에도, 비교예 3-7은 마이크로 에멀전의 함량이 0.1 중량%로 실시예 3-1과 비교시 사용감이 보다 가볍고 흡수가 빠른 반면, 반응성 실리콘 B의 함량이 낮아 즉각 리프팅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고, 비교예 3-8은 마이크로 에멀전 함량이 55 중량%로 과량 포함하여, 제조된 미스트는 조밀하게 도포되나 흡수가 느리고 상온에서 인조 피부막을 형성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2층상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2-1를 상층부로 하고, 상기 실시예 3-4를 하층부로 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낸 조성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실시예4-1 실시예4-2 실시예4-3 실시예4-4 실시예4-5 실시예4-6 실시예4-7
상층부 실시예 2-1 10 30 40 50 60 70 90
하층부 실시예 3-4 90 70 60 50 40 30 10
*상기 구성 성분의 수치는 전체 중량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하층부와 상층부 비율을 조절하여 장기 안정도, 사용감, 인조피부 형성 등을 평가한 결과, 상층부와 하층부의 중량비를 9:1~1:9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나, 하층부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분사각, 사용감 등이 향상되고, 상층부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인조 피부막 형성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층부와 하층부의 중량비를 6:4~4:6으로 조절하는 것이 이질감 없는 인조 피부막 형성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 보습 효과 실험
실시예 4-4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실제 피부에 도포 시,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피험자(5명, 평균연령 32세)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시중에 판매중인 가용화 타입의 보습용 미스트를 선정하여 피부 수분 보유량과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였다.
5명 중 4명(실험예 1 내지 4)은 상기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였고, 1명은 양성 대조군인 시중에 판매중인 가용화 타입의 보습용 미스트를 피부에 도포하였다(대조군).
측정된 수분보유량과 수분증발량은 각각 하기 표 6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대조군
사용 전 25.4 25.6 25.3 25.4 25.6
사용 1주후 35.5 36.9 36.1 37.4 32.5
사용 2주후 39.9 40.1 40.6 41.5 34.1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대조군
사용 전 8.6 7.9 8.0 7.2 6.8
사용 1주후 7.5 6.5 7.2 6.6 6.5
사용 2주후 6.6 6.0 6.4 5.6 5.7
측정 결과, 상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보습용 미스트를 피부에 도포한 대조군의 경우, 2주 후 각질층 수분량을 즉정한 결과 사용 전보다 수분 보유량이 33.3% 증가하였으며, 수분 증발량은 16.17%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실시예 4-4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실험예 1 내지 4의 경우, 피부에 도포한 지 2주 후,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분 보유량은 각각 57.08%, 56.64%, 60.47%, 63.38%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 2 주 후, 수분 증발량은 23.25%, 24.05%, 20%, 22.2% 감소하여, 일반 보습용 미스트을 도포했을 때(대조군)보다 실시예 4-4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실험예 1 내지 4의 경우에 도포한 피부의 각질층 수분량이 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응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2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 리프팅 효과 실험
ANTERRRA 3D??이용하여 실시예 4-4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사용 후의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개선 정도를 수량화하여 리프팅 효과를 평가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indention index가 도포 전 13.248에서 도포 후 11.606으로 측정되어, 개선율이 약 12.3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반응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리프팅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이크업 지속력 효과
먼저, 피험자의 얼굴 전체에 메이크업 화장료를 바른 후, 실시예 4-4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과 대조군으로 시중에 판매중인 가용화 타입의 보습용 미스트를 각각 피험자의 얼굴의 절반씩에 분사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도포 후, 4 시간 및 8시간 경과 후 평가한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4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이 대조군에 비하여 메이크업 화장의 지속을 장시간 유지시켜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 또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층부; 및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을 포함하는 하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 용액은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단, 상기 제1 조성물이 상기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성물이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하이드로실릴화 촉매가 추가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을 1~50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 총 중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마이크로 에멀전 용액은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1~30 중량% 포함하고,
    폴리올을 0.1~35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는 아데노신 및 실리콘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는 점증제를 0.01~0.5 중량%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는 글리세린, 아데노신, 방부제 및 고분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의 중량비가 1:9~9:1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피부에 도포 2 주 후, 피부의 수분 보유량이 55% 이상 증가하고, 피부의 수분 증발량이 15% 이상 감소하며,
    피부에 도포 시, 피부 리프팅이 10% 이상 증가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미스트인,
    화장품.
KR1020200157324A 2020-11-23 2020-11-23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0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24A KR102500988B1 (ko) 2020-11-23 2020-11-23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24A KR102500988B1 (ko) 2020-11-23 2020-11-23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608A KR20220070608A (ko) 2022-05-31
KR102500988B1 true KR102500988B1 (ko) 2023-02-21

Family

ID=8177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324A KR102500988B1 (ko) 2020-11-23 2020-11-23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284A (ko) 2022-06-10 2023-12-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과전류 보호기능을 구비한 연성회로기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2939A2 (en) * 2012-11-21 2015-09-30 Dow Corning Corporation Fabric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emulsions
KR101942535B1 (ko) * 2012-12-05 2019-01-28 코웨이 주식회사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8149A (ko) * 2012-12-17 2014-06-25 코웨이 주식회사 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모공 및 주름을 커버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63141B1 (ko) * 2014-04-30 2016-10-17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88449B1 (ko) * 2017-04-28 2019-06-12 주식회사 삼양사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102054702B1 (ko) * 2017-12-28 2019-12-11 주식회사 메가코스 폴리실록산 함유 상온 경화성 필름 형성 조성물
KR102202389B1 (ko) * 2018-03-09 2021-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피막 형성제
KR20200063749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메가코스 반응성 실리콘을 적용한 눈썹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608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49073B (zh) 成膜的含硅酮组合物
KR101666267B1 (ko) 화장 지속성 및 유연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2921164A1 (en) Sticky hydrogel cosmetic composition
KR20170038265A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6930990B2 (ja) シロキサン組成物
JPH09227332A (ja) 脂肪相と組み合わせて用いられる固体有機ポリシロキサンエラストマーを含有する、皮膚の手入れ用もしくは皮膚のツヤ消しのためのメイクアップ用組成物
KR101072128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4044A (ko) 실리콘 엘라스토머 겔을 함유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CN108778239B (zh) 组合物和制备方法
KR101645440B1 (ko) 다량의 유분을 포함하면서 피부개선효과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TW201010737A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N101945950A (zh) 含硅氧烷的成膜组合物
US20190321281A1 (en) Water-in-oil emulsion cosmetics
KR102500988B1 (ko)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E3640177A1 (de) Hautschuetzende bzw. hautpflegende zusammensetzung
FR3076218A1 (fr) Composition gelifiee comprenant une microdispersion aqueuse de cire(s)
JPH1066856A (ja) W/o型エマルジョン用の乳化剤
KR20130028293A (ko) 에멀젼화 방법을 이용하여 동결건조 방식으로 다공성 패치 형태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패치 형태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360819B1 (ko) 유화 분리 방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침시킨 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00063749A (ko) 반응성 실리콘을 적용한 눈썹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9897B1 (ko)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다공성 동결건조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34142B1 (ko) 폴리실세스퀴옥산과 에몰리언트를 함유한 피부보습과 주름완화에 효과적인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6940336A (zh) 涂抹型身体修补皮膜形成剂的第2剂用水包油型组合物
KR102003278B1 (ko) 일시적 피부 주름가림용 실리콘탄성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9840B1 (ko)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