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840B1 -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840B1
KR102289840B1 KR1020200160032A KR20200160032A KR102289840B1 KR 102289840 B1 KR102289840 B1 KR 102289840B1 KR 1020200160032 A KR1020200160032 A KR 1020200160032A KR 20200160032 A KR20200160032 A KR 20200160032A KR 102289840 B1 KR102289840 B1 KR 10228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oxane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essence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별
김영호
유광호
성낙준
조희경
윤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to KR1020200160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33Distinct layers, e.g. core/shell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 또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센스부; 및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REACTIVE SILICONE}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 또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센스부; 및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단, 제1 조성물이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조성물은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제1 조성물이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조성물은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함).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로실릴화 촉매에 의한 제1 폴리실록산과 제2 폴리실록산의 수소규소화 반응(hydrosilylation)으로 인조 피부막을 형성하여 피부 리프팅, 주름 개선 및 지속력 강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와 파운데이션이 함께 스틱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최근 피부 상에서 신속하게 폴리머 필름을 형성하여 단시간 내에 피부의 주름과 탄력을 개선할 수 있는 인조 피부막이 개발되면서, 의료용 인조 피부막이 아닌 미적으로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 용도로의 인조 피부막 제조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폴리실록산은 화장품에 적용 가능한 인조 피부막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인조 피부막 제조용 화장품은 먼저 폴리실록산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을 피부 상에 도포하고, 백금 기반의 촉매가 있는 성분을 도포하여 수소규소화 반응을 일으켜 가교화함으로써 인조 피부막을 생성한다.
따라서, 제형 내에 수소규소화 반응의 반응물인 반응성 실리콘(폴리실록산)들이 함께 존재하게 되므로, 촉매의 활성도가 떨어져 경시적으로는 인조 피부막 형성이 어려워지고, 제형 내 안정도도 저하된다.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중, 스틱형 화장품은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성이 우수하여, 전통적인 스틱형 화장품인 립스틱 외에도, 자외선 차단제, 스틱형 파운데이션 등 그 활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스틱형 화장료는,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이 갖는 내재적인 한계에 의해 외부의 충격에 의하거나, 피부 적용시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 내의 왁스 등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제형의 강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피부 발림성이 떨어지고, 왁스 등의 특유의 향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컬러 스틱형 화장료는 피부의 생기와 활력을 불어 넣어 주기 위한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예컨대, 물의 함량이 높은 물스틱과 갚은 제품은 착색력은 좋으나 보습력이 약해 보습제를 함께 사용하여야 하고, 오일의 함량이 높은 유분산 립스틱과 같은 제품은 보습력은 좋으나 착색력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들 스틱형 제품들은 대부분 입술이나 피부에 사용 후 다시 용기에 넣어 보관하므로 스틱에 잔여하는 오염원으로 인한 방부 또는 미생물 증식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여, 제형 안정성도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스틱형 화장료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제형 안정성을 가지고, 착색력과 보습력을 동시에 나타나며, 다양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스틱형 화장료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030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반응성 실리콘(폴리실록산)에 의한 인조 피부막 형성을 통하여, 상술한 기존 스틱형 화장료들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피부 리프팅, 주름 개선 및 지속력 강화 효과를 가지고, 사용 편의성이 높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 또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센스부; 및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단, 제1 조성물이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조성물은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제1 조성물이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조성물은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함)
본 발명에서는, 반응성 실리콘(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에센스부와 반응성 실리콘(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는 스틱형으로 적용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피부 리프팅, 주름 개선 및 지속력 강화 효과와 함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장료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의 외부 및 내부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3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리프팅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강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현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 또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센스부; 및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단, 제1 조성물이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조성물은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제1 조성물이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조성물은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함)
상기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과 상기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은 촉매 존재 하에서 수소규소화 반응을 통해서 인조 피부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은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예를 들어, 비닐 디메치콘(vinyl dimethicone)), 비닐 말단 폴리디페닐실록산, 비닐 말단 디에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 말단 디페닐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 말단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메틸실록산 단독중합체, 비닐메틸실록산-옥틸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메틸실록산-페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비닐메톡시실록산 단독중합체, 비닐에톡시실록산 단독중합체, 비닐에톡시실록산-프로필에톡시실록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은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예를 들어, 수소 디메치콘(hydrogen dimethicon)),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에틸실록산,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페닐실록산,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페닐메틸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메틸하이드로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하이드라이드 말단 메틸히드로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폴리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에틸실록시 말단 폴리에틸하이드로실록산,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페닐-(디메틸하이드로실록시)실란, 하이드라이드 말단 메틸히드로실록산-페닐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메틸하이드로실록산-옥틸메틸실록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하이드로실릴화 촉매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실릴화 촉매는 백금(Pt), 루비듐(Rb)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이드로실릴화 촉매는, 예를 들어, 백금(Pt)의 함량이 0.0025 내지 0.1000 중량%인 용액의 형태로 0.5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촉매 용액에 포함된 순수한 촉매 금속만의 함량으로 환산했을 경우, 0.01 내지 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금 촉매는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isopropyl acetate, IPA)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 함량이 0.025 중량%인 용액으로 첨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고분자 나노섬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펙틴(pectin), 덱스트로스(dextrose), 피브린(fibrin),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고분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는 상기 천연 고분자로 표면 개질된 고분자 나노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는 직경이 0.1nm 내지 1,000nm이고, 길이가 100nm 내지 500nm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직경 및 길이가 상기 수치 범위에 속해야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형성할 수 있다. 직경과 길이가 작으면 물리적 물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고, 직경과 길이가 너무 크면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가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형성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는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나노 크기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는 무독성의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소재이고, 특히 상처 부위의 통증과 세균 감염을 감소시키는 효과 및 피부 재생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까지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0.5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피부에 형성된 인조피부의 형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없으며 0.5중량%를 초과할 경우 피부에 형성된 인조 피부막의 인장강도가 높아져서, 이질감이 강한 인조 피부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스부 및 상기 파운데이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합성왁스, 디하이드로아세트산, 페닐트리메치콘,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트리에틸헥사노인 및 울금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울금뿌리 추출물은 강황의 뿌리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성분으로 강화에는 커큐민(쿠르쿠민)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항염, 항산화 효과로 염증 생성 억제에 도움을 준다.
또한, 피부 노화의 원이 되는 활성 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고, 외부 자극과 스트레스로 지친 피부를 진정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스부는 세레신, 디메치콘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파운데이션부는 오조케라이트, 폴리에틸렌, 옥틸도데칸올,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및 안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스부의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 포함되고, 상기 파운데이션부의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센스부 및 상기 파운데이션부의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에 미달되는 경우, 인조 피부막을 형성하는 효과가 미미하여 즉각적인 리프팅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에센스부 및 상기 파운데이션부의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반응성 실리콘인 폴리실록산의 무겁고 끈적이는 사용감으로 인하여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에센스부와 상기 파운데이션부의 경계 부분에 막이 형성되어 사용 편의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후, 면적이 1 mm2를 초과하는 피부 세포의 개수 및 면적이 0.5~1 mm2 인 피부 세포의 개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30% 이상 감소하고, 주름이 20%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거칠기가 30% 이상, 이방성 측정값(anisotropy index)가 15% 이상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감싸고 있는 쉘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에센스부 또는 상기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쉘부는 상기 에센스부 또는 상기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단, 상기 코어부가 상기 에센스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쉘부는 상기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쉘부가 상기 에센스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어부는 상기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함).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일 수 있다.
이하, 실험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각각 에센스부와 파운데이션부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2의 에센스부와 파운데이션부의 함량의 총합을 100 중량%로 하였다.
에센스부의 반응성실리콘(1제)는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비닐디메티콘)을 사용하였고, 파운데이션부의 반응성실리콘(1제)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하이드로젠디메티콘)을 사용하였다.
또한, 반응성실리콘(1제)는 하이드로실릴화 촉매(백금, Pt)를 포함하고 있었다.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에센스부 및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의 단계를 따라 제조된다.
1) 제형성분을 각각 가온용해한다.
2) 상기 각 제형을 완전히 탈기한다.
3) 몰드에서 쉘부에 파운데이션부를 먼저 충진하여 급냉한다.
4) 코어 몰드를 제거한 뒤 코어부에 에센스부를 충진하고 급냉한다.
이후, 준비된 에센스부와 파운데이션부를 에센스부를 코어(core)부로 하고, 파운데이션부를 코어부를 감싸는 쉘(shell)부로 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틱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에센스부와 파운데이션부의 반응성 실리콘(1제) 및 반응성 실리콘(2제) 의 함량을 조절하면서, 에센스부의 페닐트리메치콘, 트리에틸헥사노인 및 디메친콘의 함량 및 파운데이션부의 트리에틸헥사노인 및 디메친콘의 함량을 조절하였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은 에센스부의 반응성 실리콘(1제)와 반응성 실리콘(2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았다.
에센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세레신
(Ceresin)
0.45 0.45 0.45 0.45
합성왁스
(Synthetic Wax)
1.35 1.35 1.35 1.35
디하이드로아세트산(Dehydroacetic Acid) 0.01 0.01 0.01 0.01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2.25 4.5 1.13 5.63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2.7 2.7 2.7 2.7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VP/Hexadecene Copolymer) 0.45 0.45 0.45 0.45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3.79 5.31 1.94 3.51
반응성실리콘(1제) 3.38 1.8 5.4 -
디메치콘(Dimethicone) 5.63 3.15 6.3 5.63
실리카(Silica) 1.8 1.8 1.8 1.8
울금뿌리추출물 0.25 0.25 0.25 0.25
*상기 구성 성분의 수치는 전체 중량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파운데이션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오조케라이트
(Ozokerite)
1.94 1.94 1.94 1.94
폴리에틸렌(Polyethylene) 1.55 1.55 1.55 1.55
합성왁스(Synthetic Wax) 4.65 4.65 4.65 4.65
디하이드로아세트산(Dehydroacetic Acid) 0.04 0.04 0.04 0.04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7.35 8.10 4.22 8.1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4.65 4.65 4.65 12.4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3.88 3.88 3.88 3.88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2.33 2.33 2.33 2.33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VP/Hexadecene Copolymer) 1.55 1.55 1.55 1.55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0.78 0.78 0.78 0.78
반응성실리콘(2제) 7.5 3.88 11.63 -
디메치콘(Dimethicone) 15.5 19.38 15.5 15.5
안료(Pigment Base) 24.8 24.8 24.8 24.8
울금뿌리추출물 0.75 0.75 0.75 0.75
*상기 구성 성분의 수치는 전체 중량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리프팅, 주름 개선 및 지속력 강화 효과 평가
본 발명의 눈썹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리프팅, 주름 개선 및 지속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1] 리프팅 효과 측정
피험자의 얼굴에 실시예 3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피부 진단기(A-ONE, 봄텍전자㈜)로 피부 리프팅 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도포 전, 후의 피부 상태를 비교해 보면,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SEr 측정값과 주름의 정도를 나타내는 SEw 측정값에서 큰 변화를 나타내었다(SEr 측정값은 수치가 낮을수록 피부의 거칠기가 덜한 것이고, SEw 측정값의 수치가 낮아질수록 주름이 적은 것이다).
실시예 3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결과, SEr수치값은 3.07에서 0.88로, SEw 수치값은 159.14에서 40.59로 변화되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거칠기와 주름을 개선시키는 피부 리프팅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b에 나타낸 이방성(anisotropy) 측정 결과에 의하면, 이방성 측정값이 29.7에서 20.64로 감소하였다.
즉, 실시예 3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전에 비하여 도포 후, 1 mm2을 초과하는 크기의 피부 세포수가 9개에서 4개로 줄어들었고, 0.5 mm2~1 mm2의 크기의 피부 세포수도 5개에서 2개로 줄어들었다. 또한, 0.5 mm2 이하 크기의 피부 세포수는 동일하거나 증가하였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피부 세포수는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피부 세포수는 줄어드는 측정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거칠기와 주름을 개선시키는 피부 리프팅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주름 개선 효과 측정
피험자의 얼굴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피부 진단기(A-ONE, 봄텍전자㈜)로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도포한 경우, 주름의 양이 줄어들고, 육안으로 보여지는 잡티가 많이 가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a).
즉, 측정된 주름의 측정값이 3.04에서 2.35로 감소하여, 주름의 양이 약 22.7%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도포한 경우에도 실시예 1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주름의 양이 줄어들고, 육안으로 보여지는 잡티가 많이 가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b 및 3c).
즉, 실시예 2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도포 전후의 측정된 주름의 측정값은 2.72에서 2.15로 약 21% 감소하였다(도 3b). 또한, 실시예 3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도포 전후의 측정된 주름의 측정값은 2.76에서 2.02로 약 27% 감소하였다(도 3c).
이에 반하여,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에는 육안으로 보여지는 잡티가 어느 정도 가려지는 효과는 있었으나 주름의 양은 도포 전후 모두 1.96으로 동일하였다(도 3d). 즉,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도 주름 개선의 효과는 전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반응성 실리콘(폴리실록산)의 수소규소화 반응이 발생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소규소화 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지속력 측정
피험자의 얼굴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후, 마스크를 2시간동안 착용하고 마스크 착용에 따른 마찰이 일어난 부분에 대하여 피부 진단기(A-ONE, 봄텍전자㈜)로 지속력 강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도 4a), 실시예 2(도 4b) 및 실시예 3(도 4c)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도포한 경우, 마스크 착용에 따른 마찰로 일부 메이크업이 지워졌으나 정도가 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에 따른 마찰로 일부 메이크업이 지워지는 정도가 매우 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d).
따라서, 반응성 실리콘(폴리실록산)의 수소규소화 반응이 발생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소규소화 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지속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비닐기(vinyl)를 포함하는 제1 폴리실록산 또는 하나 이상의 Si-H기를 포함하는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센스부; 및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센스부 및 상기 파운데이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합성왁스, 디하이드로아세트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트리에틸헥사노인 및 울금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에센스부는 세레신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파운데이션부는 옥틸도데칸올 또는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을 추가로 포함하며,
    도포 후, 도포 전과 비교하여 면적이 1 mm2를 초과하는 피부 세포의 개수 및 면적이 0.5~1 mm2 인 피부 세포의 개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30% 이상 감소하는,
    화장료 조성물.
    (단, 제1 조성물이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조성물은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제1 조성물이 제2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조성물은 제1 폴리실록산을 포함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 또는 상기 제2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하이드로실릴화 촉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스부의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 포함되고,
    상기 파운데이션부의 상기 제1 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제2 폴리실록산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15 중량%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감싸고 있는 쉘부;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에센스부 또는 상기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쉘부는 상기 에센스부 또는 상기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단, 상기 코어부가 상기 에센스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쉘부는 상기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쉘부가 상기 에센스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어부는 상기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형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제2항,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200160032A 2020-11-25 2020-11-25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032A KR102289840B1 (ko) 2020-11-25 2020-11-25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032A KR102289840B1 (ko) 2020-11-25 2020-11-25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840B1 true KR102289840B1 (ko) 2021-08-18

Family

ID=7746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032A KR102289840B1 (ko) 2020-11-25 2020-11-25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840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480A (ko) * 2000-05-31 2003-09-03 와이어쓰 복합조성물 스틱제품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 및 시스템
KR20080077410A (ko) * 2005-12-20 2008-08-22 로레알 화합물 a 및 b 중 하나 이상이 실리콘 기재인, 화합물 a및 b 의 적용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방법
EP2174691A1 (en) * 2008-10-10 2010-04-14 Coty Deutschland GmbH Cosmetic core stick with a water based hard core part
KR20130046272A (ko) * 2011-10-27 2013-05-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스틱형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5843A (ko) * 2010-08-31 2013-12-11 리빙 프루프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510309B1 (ko) 2013-08-2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색조 화장용 스틱 타입 고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JP2019503396A (ja) * 2015-11-09 2019-02-07 シセイドー アメリカズ コーポレーション 皮膚への適用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190056772A (ko) * 2017-11-17 2019-05-27 (주)아모레퍼시픽 팩용 조성물
KR20190080324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메가코스 상온 경화 필름 형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형성 방법
KR20190080413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메가코스 폴리실록산 함유 상온 경화성 필름 형성 조성물
KR102000529B1 (ko) * 2018-10-08 2019-07-16 더스미슨 에스피.제트오.오. 스킨 케어 키트 및 방법
KR20190092226A (ko) * 2018-01-30 2019-08-07 주식회사 에스스킨 소수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인조 피부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 피부막 제조 방법
KR20200063749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메가코스 반응성 실리콘을 적용한 눈썹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480A (ko) * 2000-05-31 2003-09-03 와이어쓰 복합조성물 스틱제품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 및 시스템
KR20080077410A (ko) * 2005-12-20 2008-08-22 로레알 화합물 a 및 b 중 하나 이상이 실리콘 기재인, 화합물 a및 b 의 적용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방법
EP2174691A1 (en) * 2008-10-10 2010-04-14 Coty Deutschland GmbH Cosmetic core stick with a water based hard core part
KR20130135843A (ko) * 2010-08-31 2013-12-11 리빙 프루프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KR20130046272A (ko) * 2011-10-27 2013-05-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스틱형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510309B1 (ko) 2013-08-2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색조 화장용 스틱 타입 고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JP2019503396A (ja) * 2015-11-09 2019-02-07 シセイドー アメリカズ コーポレーション 皮膚への適用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190056772A (ko) * 2017-11-17 2019-05-27 (주)아모레퍼시픽 팩용 조성물
KR20190080324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메가코스 상온 경화 필름 형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형성 방법
KR20190080413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메가코스 폴리실록산 함유 상온 경화성 필름 형성 조성물
KR20190092226A (ko) * 2018-01-30 2019-08-07 주식회사 에스스킨 소수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인조 피부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 피부막 제조 방법
KR102000529B1 (ko) * 2018-10-08 2019-07-16 더스미슨 에스피.제트오.오. 스킨 케어 키트 및 방법
KR20200063749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메가코스 반응성 실리콘을 적용한 눈썹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0516B1 (fr) Procédé de coloration des cheveux à partir d'une composition comprenant un polymère filmogène hydrophobe, un pigment et un solvant volatil
US20120003167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iloxane resins and at least one phenyl silicone oil
CN100522126C (zh) 含有聚合物颗粒以及酸和多元醇的酯的分散体的化妆组合物
JP2001048736A (ja) 繊維及び親水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を含有するケア又はメークアップ組成物
JP2002193746A (ja) 繊維と分散性コポリマーを含むケアまたはメイクアップ組成物
KR101072128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A2298020A1 (fr) Utilisation de particules d'un organopolysiloxane hydrophile dans une composition de maquillage ou de soin resistante a l'eau
KR20010006595A (ko) 친수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메이커업 또는캐어 조성물
US20080107697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polymer particle dispersed in at least one liquid fatty phase and at least one ester of at least one acid and at least one polyol ester
JPWO2018143061A1 (ja) 凹凸補正化粧料
FR2827160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dispersion de particules
JP2005325122A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エラストマーを含む化粧用粉末
FR2827161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dispersion de particules
EP1616557A2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polymère de silicone defini et un agent filmogène
FR3073146A1 (fr) Composition a effet lumineux et satine comprenant des particules de cellulose, du nitrure de bore et des nacres satinees
EP2384737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copolymère siliconé particulier et au moins deux alcanes linéaires volatils liquides
KR102289840B1 (ko)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052664A (zh) 超持久化妆粉底
KR102500988B1 (ko)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3831A (ko)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계면 활성제로 구성된 화합물, 실리콘 엘라스토머 분말, 및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오일 상을 포함하는 에멀젼을 포함하는 조성물
EP1477153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e dispersion de particules de polymères et un composé plastifiant le polymère
JP6904744B2 (ja) 油中水型口唇化粧料
KR20200063749A (ko) 반응성 실리콘을 적용한 눈썹용 화장료 조성물
FR3060307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corps gras solides et un polymere gelifiant
US20050287092A1 (en) Cosmetic powder comprising barium sulf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