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817B1 -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817B1
KR102500817B1 KR1020200080779A KR20200080779A KR102500817B1 KR 102500817 B1 KR102500817 B1 KR 102500817B1 KR 1020200080779 A KR1020200080779 A KR 1020200080779A KR 20200080779 A KR20200080779 A KR 20200080779A KR 102500817 B1 KR102500817 B1 KR 10250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ylinder
air
wat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224A (ko
Inventor
전덕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시스
Priority to KR102020008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8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7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장치의 일 양태는, 밸브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누설 시험을 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는, 상기 밸브의 개방된 일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연결관이 구비되는 제1차폐 플랜지; 상기 밸브의 개방된 타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배수관이 구비되는 제2차폐 플랜지;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밸브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스탬;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의 상기 가압 스탬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부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압 스탬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진하면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기설정된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된다.

Description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LEAK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VALVE}
본 발명은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밸브란, 유체가 유동하는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거나 유량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전에 누설 여부를 확인한 후 밸브를 관로에 설치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0894441호(명칭: 밸브 시험 장치,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칭함)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66534호(명칭: 보일러용 쓰리웨이 밸브의 누수 시험장치,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칭함)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밸브의 누설을 시험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선행기술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고정형판(54) 및 가동형판(58)에 의하여 밸브(10)의 양단이 차폐된 상태에서, 저장탱크(84)에 저장된 시험유체가 가압기(90)에 의하여 기설정된 압력으로 가압되어 밸브(10)에 공급됨으로써, 밸브(10)에 대한 누설 시험이 수행된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 2를 참조하면, 밸브(28)의 누설 시험을 위하여 공기 압축펌프(34)에 의하여 밸브(28)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밸브의 누설 시험을 위한 장치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선행기술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가압기(10)가 밸브(10)에 공급되는 시험유체, 실질적으로 물을 시험에 필요한 기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대적으로 고출력 또는 고용량의 가압기(90), 실질적으로 펌프가 사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누설 시험을 위하여 밸브(10)의 내부에 공급되는 물이 300bar의 압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300bar 이상의 압력으로 밸브(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펌프를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누설 시험을 위한 장비의 고출력화가 요구된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2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밸브(28)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누설 시험이 수행된다. 그런데, 기체의 경우에는 액체에 비하여 압력에 따른 부피의 증감률이 현저하게 크므로, 밸브(28)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94441호(명칭: 밸브 시험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66534호(명칭: 보일러용 쓰리웨이 밸브의 누수 시험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저출력의 부품을 사용하여 밸브의 누설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밸브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출력의 부품을 사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밸브의 누설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밸브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장치의 일 양태는, 밸브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누설 시험을 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는, 상기 밸브의 개방된 일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연결관이 구비되는 제1차폐 플랜지; 상기 밸브의 개방된 타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배수관이 구비되는 제2차폐 플랜지;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밸브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스탬;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의 상기 가압 스탬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부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압 스탬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진하면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기설정된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장치의 일 양태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스탬의 전진에 의하여 상기 밸브의 내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기설정된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구동 스탬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고압으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구동부로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1급기관;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급기관; 및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상기 제1 및 제2급기관 중 어느 일방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환 밸브;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상기 밸브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배수관 상에 설치되는 유량계에 의하여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밸브의 외부로 모두 배출된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압 스탬의 일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 스탬이 설치되는 구동 하우징; 상기 구동 하우징의 내부를 제1 및 제2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 스탬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구동 플레이트; 상기 제1영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전진용 급기관; 및 상기 제2영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후진용 급기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전진용 급기관을 통하여 상기 제1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제2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구동 스탬이 전진하고, 상기 후진용 급기관을 통하여 상기 제2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제1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구동 스탬이 후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진용 급기관 및 후진용 급기관 중 어느 일방으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후진 조작 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방법의 일 양태는, 제 1 항의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밸브를 누설 시험을 하는 방법으로: 상기 물 공급부가, 상기 밸브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가압 스탬을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진시켜서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기설정된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하는 제1가압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방법의 일 양태는, 상기 공기 공급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기설정된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방법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가압 단계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구동 스탬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추가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방법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제1가압 단계에서,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압력이 상기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 스탬의 전진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가압 단계에서,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압력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방법의 일 양태는, 공기 공급부가,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상기 밸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방법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배수 단계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유량계에 의하여 상기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밸브의 외부로 모두 배출된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밸브의 채워진 물이 가압 스탬에 의하여 가압된 후 공기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가압됨으로써,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누설 시험을 위한 압력에 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기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밸브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가압을 위한 가압 스탬의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직접적으로 밸브에 채워진 물이 가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출력의 부품, 예를 들면, 압축기 등을 사용하여 밸브의 누설 시험을 위한 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의 내부에 압력에 따른 부품의 변화가 큰 공기가 아닌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밸브의 누설 시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저출력의 부품을 사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밸브 누설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누설 시험 방법에 의하여 밸브의 누설 시험을 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1)는, 밸브(1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누설 시험을 하기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기설정된 압력을 가압한다. 상기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1)는, 제1 및 제2차폐 플랜지(110)(120), 실린더(200), 가압 스탬(300), 물 공급부(400), 구동부(500) 및 공기 공급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차폐 플랜지(110)(120)는, 상기 밸브(10)의 개방된 양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차폐 플랜지(110)(120)는, 상기 밸브(10)의 개방된 양단에 인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밸브(10)의 개방된 양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차폐 플랜지(110)에는, 연결관(111)이 연결되고, 상기 제2차폐 플랜지(120)에는 배수관(121)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111)은,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공급되는 물이 유동되는 곳이고, 상기 배수관(121)은,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이 유동되는 곳이다. 상기 연결관(111) 상에는,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계(113)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121) 상에는,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계(12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00)는, 상기 밸브(10)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실린더(200)는, 상기 연결관(111)을 통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실린더(20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만,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 및 상기 공기 공급부(60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정의되어야 한다.
상기 가압 스탬(300)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가압 스탬(300)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 공간의 체적을 증감시켜서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선택적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전진'은,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압하기 위한 상기 가압 스탬(300)의 이동으로, 도 1에서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가압 스탬(300)의 이동을 의미한다. 그리고 '후진'은,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 스탬(300)의 이동으로, 도 1에서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가압 스탬(300)의 이동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기설정된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된다. 여기서, '중간 압력'이란, 상기 밸브(10)의 누설 시험을 위한 시험 압력 미만의 압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밸브(10)의 누설 시험이 300bar의 압력에서 이루어진다면, 상기 중간 압력은, 300bar 미만의 압력으로 설정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서의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500)가, 구동 하우징(510), 구동 플레이트(520), 전진용 급기관(530), 후진용 급기관(540), 전후진 조작 밸브(550) 및 스토핑 플레이트(56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 하우징(510)에는, 상기 가압 스탬(300)의 일부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 스탬(300)이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 하우징(510)은, 상기 실린더(200)와 연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린더(200)와 구동 하우징(510)이 연통되는 부분에는, 상기 실린더(200)로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가 상기 구동 하우징(5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520)는, 상기 구동 하우징(510)의 내부를 제1 및 제2영역으로 구획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 플레이트(520)는, 상기 구동 하우징(5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520)에는,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 스탬(3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이동한다.
상기 전진용 급기관(530)은, 상기 제1영역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후진용 급기관(540)은, 상기 제2영역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전진용 급기관(530)을 통하여 상기 제1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구동 플레이트(520)가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제2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 스탬(300)이 전진한다. 그리고 상기 후진용 급기관(540)을 통하여 상기 제2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구동 플레이트(520)가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제1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 스탬(300)이 후진한다.
상기 전후진 조작 밸브(550)는, 상기 전진용 급기관(530) 및 후진용 급기관(540) 중 어느 일방으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 조작 밸브(550)가 상기 공기 공급부(60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전진용 급기관(530) 또는 후진용 급기관(540)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스토핑 플레이트(560)는, 상기 가압 스탬(300)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520)가 상기 구동 하우징(510)의 내면에 완전하게 면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핑 플레이트(560)는, 상기 구동 하우징(5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영역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물 공급부(400)는,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물 공급부(400)는, 급수관(410)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부(400)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연결관(111)을 통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압 스탬(300)이 상기 구동부(500)에 의하여 상기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서 전진하면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가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 공급부(400)가 단순히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질 양 이상의 물만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급할 뿐이므로, 상기 물 공급부(400)에 의한 고압으로의 물의 공급은 불필요하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상기 밸브(10)의 내부를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할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600)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공급부(600)가,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50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공급부(60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가압 스탬(300)이 전진함으로써,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압력이 상기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압축기(610), 제1 및 제2급기관(620)(630) 및 전환 밸브(1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610)는, 고압으로 공기를 압축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급기관(620)(630)은, 상기 구동부(500) 또는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전환 밸브(10)는,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공기를 상기 제1 및 제2급기관(620)(630) 중 어느 일방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공급부(600)가,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수관(121)을 통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상기 밸브(10)에 대한 누설 시험이 완료되면,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배출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상기 유량계(123)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모두 배출된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미설명 도면 부호 V1 내지 V3은 제1 내지 제3개폐 밸브(V1)(V2)(V3)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개폐 밸브(V1)(V2)(V3)는, 각각 급수관(410), 연결관(111) 및 배수관(1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개폐 밸브(V1)는, 상기 물 공급부(400)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200) 및 밸브(1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만 상기 급수관(410)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개폐 밸브(V2)는, 상기 밸브(10)의 내부로 물이 채워지는 경우, 상기 가압 스탬(300) 및 상기 공기 공급부(600)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가압되는 경우에만 상기 연결관(111)을 개방한다. 상기 제3개폐 밸브(V3)는, 상기 공기 공급부(600)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배수관(121)을 개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누설 시험 방법에 의하여 밸브의 누설 시험을 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누설 시험 방법은, 급수 단계, 제1가압 단계, 제2가압 단계 및 배수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 단계에서는, 밸브(1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도록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가압 단계에서는,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기설정된 중간 압력 또는 기설정된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수 단계에서는,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급수 단계에서는, 물 공급부(400)가 공급하는 물이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급된 후 연결관(111)을 통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공급부(400)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이 상기 밸브(10)의 내부 뿐만 아니라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 채워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1가압 단계에서는, 구동부(500)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서 가압 스탬(300)을 전진시켜서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압력이 기설정된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한다.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공급부(60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500)가 상기 가압 스탬(300)을 전진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공기가 전환 밸브(10)에 의하여 제1급기관(620)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5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00)로 공급되는 공기는, 전후진 조작 밸브(550)에 의하여 전진용 급기관(530)을 통하여 구동 하우징(510)의 제1영역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구동 플레이트(520) 및 이에 고정된 가압 스탬(300)이 전진하면서, 상기 실린더(200) 및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된다.
한편, 상기 제2가압 단계에서는, 상기 공기 공급부(600)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공기가 상기 전환 밸브(10)에 의하여 제2급기관(630)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200)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밸브(10)에 대한 누설 시험이 종료되면,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상기 배수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배수 단계에서는, 상기 공기 공급부(600)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배수관(12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유량계(123)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모두 배출된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하여 정의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제1차폐 플레이트 111: 연결관
120: 제2차폐 플레이트 121: 배수관
200: 실린더 300: 가압 스탬
400: 물 공급부 410: 급수관
500: 구동부 510: 구동 하우징
520: 구동 플레이트 530: 전진용 급기관
540: 후진용 급기관 550: 전후진 조작 밸브
560: 스토핑 플레이트 600: 공기 공급부
610: 압축기 620: 제1급기관
630: 제2급기관 640: 전환 밸브

Claims (14)

  1. 밸브(1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누설 시험을 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1)는,
    상기 밸브(10)의 개방된 일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연결관(111)이 구비되는 제1차폐 플랜지(110);
    상기 밸브(10)의 개방된 타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배수관(121)이 구비되는 제2차폐 플랜지(120);
    상기 연결관(111)을 통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실린더(200);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스탬(300);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400);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서의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부(400)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연결관(111)을 통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압 스탬(300)이 상기 구동부(500)에 의하여 상기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서 전진하면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기설정된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600)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기설정된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500)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고압으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610);
    상기 구동부(500)로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1급기관(620);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급기관(630); 및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공기를 상기 제1 및 제2급기관(620)(630) 중 어느 일방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환 밸브(10); 를 포함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배수관(121)을 통하여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상기 배수관(121) 상에 설치되는 유량계(123)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모두 배출된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가압 스탬(300)의 일부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 스탬(300)이 설치되는 구동 하우징(510);
    상기 구동 하우징(510)의 내부를 제1 및 제2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 스탬(3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구동 플레이트(520);
    상기 제1영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전진용 급기관(530); 및
    상기 제2영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후진용 급기관(540); 을 포함하고,
    상기 전진용 급기관(530)을 통하여 상기 제1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구동 플레이트(520)가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제2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 스탬(300)이 전진하고,
    상기 후진용 급기관(540)을 통하여 상기 제2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구동 플레이트(520)가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제1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 스탬(300)이 후진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전진용 급기관(530) 및 후진용 급기관(540) 중 어느 일방으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후진 조작 밸브(550)를 더 포함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9. 제 1 항의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1)를 사용하여 밸브(10)를 누설 시험을 하는 방법으로:
    상기 물 공급부(400)가,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도록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단계; 및
    상기 구동부(500)가, 상기 가압 스탬(300)을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서 전진시켜서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기설정된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하는 제1가압 단계; 를 포함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부(600)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기설정된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압 단계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500)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추가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상기 제1가압 단계에서,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압력이 상기 중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압 스탬(300)의 전진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500)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가압 단계에서,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압력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600)가,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시험 압력에 도달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단계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600)는, 유량계(123)에 의하여 상기 밸브(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밸브(10)의 외부로 모두 배출된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상기 실린더(2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밸브용 누설 시험 방법.
KR1020200080779A 2020-07-01 2020-07-01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2500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79A KR102500817B1 (ko) 2020-07-01 2020-07-01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79A KR102500817B1 (ko) 2020-07-01 2020-07-01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224A KR20220003224A (ko) 2022-01-10
KR102500817B1 true KR102500817B1 (ko) 2023-02-17

Family

ID=7934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779A KR102500817B1 (ko) 2020-07-01 2020-07-01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8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41B1 (ko) 2009-01-19 2009-04-24 한일마이크로텍(주) 밸브 테스트장치
JP2011017715A (ja) 2010-08-31 2011-01-27 Jfe Steel Corp 鋼管の水圧試験装置
JP2013195271A (ja) 2012-03-21 2013-09-30 Shinsei Kagaku Kogyo Co Ltd ガスケットの破壊圧測定機及びガスケット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6534A (ko) 1996-03-22 1997-10-13 배순훈 보일러용 쓰리웨이 밸브의 누수 시험장치
EP3104158B1 (en) * 2014-02-04 2019-10-30 Nakata Manufacturing Co., Ltd. Hydraulic testing method and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41B1 (ko) 2009-01-19 2009-04-24 한일마이크로텍(주) 밸브 테스트장치
JP2011017715A (ja) 2010-08-31 2011-01-27 Jfe Steel Corp 鋼管の水圧試験装置
JP2013195271A (ja) 2012-03-21 2013-09-30 Shinsei Kagaku Kogyo Co Ltd ガスケットの破壊圧測定機及びガスケット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224A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441B1 (ko) 밸브 테스트장치
EP3652436B1 (en) Control of a high-pressure compressor
KR101941704B1 (ko) 가스용기 수압시험용 동시 주입장치
KR100194508B1 (ko) 밸브 구동장치
US20190293189A1 (en) Stop valve, scr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s and/or identifying variations in metered amounts
CN105806711A (zh) 一种采用增压器的油驱水压力循环试验系统
KR102500817B1 (ko) 밸브용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
JP4085038B2 (ja) 高圧ガス容器の非水槽式耐圧試験装置
KR101024592B1 (ko) 실린더 검사장치
JP2016020880A (ja) 内圧疲労試験機
JP4254961B2 (ja) 過流量阻止弁の作動検査方法
KR200477993Y1 (ko) 수압테스터기
EP08296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undissolved gas in a hydraulic system
CN105300626A (zh) 传感器密封性检测系统
KR200429474Y1 (ko) 자동 밸브수압 시험장치
CN201488993U (zh) 侧向变形控制器
CN101173852A (zh) 岩石平面应变仪
RU2228466C2 (ru) Гидросистема стенда для испытаний на прочность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CN113310681A (zh) 一种液力自驱型快关隔离阀的试验装置及试验方法
US5331842A (en) Cyclical pressure testing apparatus
KR200420482Y1 (ko) 자동차 기화기용 공압진공 검사장치
JP2007057053A (ja) 油圧装置
KR102424488B1 (ko) 스로틀 밸브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PS62123332A (ja) 水圧試験における管体締付力制御方法
CN219265723U (zh) 一种压裂装备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