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523B1 - 유도가열기 - Google Patents

유도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523B1
KR102500523B1 KR1020160036663A KR20160036663A KR102500523B1 KR 102500523 B1 KR102500523 B1 KR 102500523B1 KR 1020160036663 A KR1020160036663 A KR 1020160036663A KR 20160036663 A KR20160036663 A KR 20160036663A KR 102500523 B1 KR102500523 B1 KR 102500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duction heater
connection
working coil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363A (ko
Inventor
박병규
김완수
김성준
김양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6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23B1/ko
Priority to ES17163051T priority patent/ES2715203T3/es
Priority to EP17163051.0A priority patent/EP3226652B1/en
Priority to US15/470,170 priority patent/US10588179B2/en
Publication of KR2017011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는 자장을 생성하여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서 상기 조리기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워킹코일, 상기 워킹코일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워킹코일을 수용하고, 적어도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도가열기 {Induction heating device}
실시예는 유도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등에 쉽게 착탈 가능하고, 미관이 아름다운 유도가열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스토랑이나 가정에서, 식탁 또는 탁자로 사용되는 테이블은 종래에는 물건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탄소가스가 발생되지 않고 친환경적인 유도가열방식으로 가열하는 유도가열기기가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유도가열기는 테이블 위에 거치되어 사용되는 거치식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유도가열기는 조리기기를 유도 가열하는 워킹코일과, 워킹코일에 유도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와, 인버터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로 구성된다. 테이블 상에 거치되는 유도가열기기는 미관 상 얇은 두께로 만들게 되는 데, 이때, 얇은 두께로 인해 유도가열기기의 구성들이 서로 밀착되어서 발열 또는 전기적인 쇼트가 문제가 된다. 따라서, 유도가열기기의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러 테이블 상에 거치되는 유도가열기기는 테이블 상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조리 시에 유동가열기기가 움직여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는 테이블에 쉽게 착탈되고, 일부가 테이블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사용자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유도가열기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는 자장을 생성하여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서 상기 조리기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워킹코일, 상기 워킹코일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워킹코일을 수용하고, 적어도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존재한다.
실시예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사이에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구성을 가져서, 유도가열기가 테이블의 상판의 측방에서 상판의 상부와 하부에 나누어서 위치되므로, 사용자에게 보이는 상부 영역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사이에 테이블의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유도가열기가 쉽게 착탈 가능한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높이 조절유닛을 통해 삽입공간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테이블에 유도가열기를 고정시킬 수 잇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간격 조절유닛을 통해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테이블에 유도가열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실시예는 사용자가에게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정렬 위치를 인지시키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도가열기기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워킹코일과 그 주변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동작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단면도이다.
도 8b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동작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도가열기기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유도가열기(20)는 자장을 생성하여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서 조리기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워킹코일(310), 워킹코일(310)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330) 및 전원부(330)와 워킹코일(310)을 수용하고, 적어도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유도가열기(20)는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 조리기기를 가열한다. 유도가열은 전자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금속을 가열하는 방법이다. 유도가열기(20)는 전자기기에 형성된 무선충전 수신기와의 연동 작용에 의하여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충전 송신기로 작동될 수도 있다.
워킹코일(310)은 조리기기를 가열한다. 워킹코일(310)은 전원부(330)에서 공급된 유도 전압을 통해 자장을 생성하고,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서 조리기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화석연료 등을 이용해 조리기기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에 비해 화상 위험이 적고, 탄소가스 및 미세먼지 배출의 문제가 없다.
워킹코일(310)은 보호부재(미도시)에 의해 차폐될수 있다. 보호부재(120)는 워킹코일(310)의 양측 또는 전체를 덮어서 워킹코일(310)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전원부(33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서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한다. 전원부(330)는 외부전원을 유도전압으로 변경하는 공지의 인버터일 수 있다.
종래에 거치식 유도가열기(20)는 전원부(330)와 워킹코일(310)을 밀착시켜서 제조하므로, 방열 및 전기적 쇼트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실시예의 유동가열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이들 각각에 전원부(330)와 워킹코일(310)을 이격시켜 배치하며, 이러한 케이스 형상을 사용하여 테이블(10)의 플레이트(11)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케이스는 전원부(330)와 워킹코일(310)을 수용하고, 유도가열기(20)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는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를 방해하지 않고, 내열성과, 강성을 가지는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케이스는 후술하는 광원(260)에서 생성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및 반투명 재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는 내열성과, 광투과성 및 비자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케이스는 우드 및 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만, 케이스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케이스는 적어도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는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의 사이에는 플레이트(11)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40)을 정의한다.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는 서로 마주보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플레이트(11)는 유도가열기(20)가 고정되는 다양한 물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11)는 도 1에서 도시하는 것처럼 테이블(10)에서 물건 등을 지지하는 플레이트(11)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이블(10)은 플레이트(11)과 플레이트(11)을 지지하는 다리(12)로 구성된다.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 사이에 플레이트(11)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40)을 정의되면, 케이스가 유도가열기(20)가 테이블(10)의 플레이트(11)의 측방에서 플레이트(11)의 상부와 하부에 나누어서 위치되므로, 케이스가 사용자에게 보이는 상부 영역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의 내부영역은 서로 연결되어서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을 구획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330)는 제1케이스(210) 내에 배치되고, 워킹코일(310)은 제2케이스(220) 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케이스(210)는 적어도 2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내부에 적어도 전원부(33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케이스(210)는 제1케이스 하판(211)과, 제1케이스 하판(211)과 결합되어 전원부(33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 상판(212)으로 구성된다.
제2케이스(220)는 적어도 2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내부에 적어도 워킹코일(31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케이스(220)는 제2케이스 하판(221)과, 제2케이스 하판(221)과 결합되어 내부에 워킹코일(31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 상판(222)으로 구성된다.
제2케이스(220)에는 워킹코일(310)과 중첩되는 영역에 조리기기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가압센서(800)가 위치될 수 있다. 가압센서(800)는 압력변화를 감지하여서 워킹코일(310)과 중첩되는 제2케이스 상판(222)에 조리기기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가압센서(800)는 제2케이스 상판(222) 중 워킹코일(310)과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어서, 조리기기가 워킹코일(310)의 작동영역에 위치되는 지 판단한다. 여기서, 수직방향은 도 3에 도시된 상하방향(U,D)이다.
케이스에는 플레이트(11)와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슬립방지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슬립방지부재(400)는 케이스 보다 마찰력이 큰 고무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 슬립방지부재(400)는 제1케이스 상판(212)의 하부면 또는/및 제2케이스 하판(221)의 상부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케이스 상판(222)에 위치되는 조리기기의 하중에 의해 마찰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제1케이스 하판(211)에서 워킹코일(310)과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여기서, 삽입공간(240)은 제1케이스 상판(212)과 제2케이스 하판(221) 사이의 공간이다. 삽입공간(240)은 플레이트(1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케이스 상판(212)과 제2케이스 하판(22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평행이라 함은 수학적 의미에서 완전한 평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오차를 포함하는 공학적인 의미에서 대략적인 평행을 의미할 것이다.
연결 케이스(230)는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를 연결한다. 연결 케이스(230)는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한다. 연결 케이스(230)의 길이에 따라 삽입공간(240)의 높이가 결정된다. 연결 케이스(230)의 내부에는 워킹코일(310)과 전원부(3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320)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케이스(230)는 제1케이스(210)의 일단과 제2케이스(220)의 일단을 연결한다.
연결 케이스(230)는 적어도 2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케이스(230)는 연결 케이스 외판(231)과 연결 케이스 외판(231)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 케이스 내판(232)을 포함한다. 연결 케이스 내판(232)은 삽입공간(240)으로 노출되고, 연결 케이스 외판(231)은 연결 케이스 내판(232)과 마주보게 배치되어서 외부로 노출된다. 연결 케이스 외판(231)은 제1케이스 하판(211)과 제2케이스 상판(222)을 연결하고, 연결 케이스 내판(232)은 제1케이스 상판(212)과 제2케이스 하판(221)을 연결한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250)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25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유도가열기(20)를 제어한다. 컨트롤러(250)는 가압센서(800)의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유도가열기(20)를 제어한다.
컨트롤러(250)는 케이스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50)는 제1케이스 상판(212)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컨트롤러(250)는 다양한 입력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250)는 터치센서 또는 물리적 입력버튼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20)의 워킹코일(310)과 그 주변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제2케이스 상판(222)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부에서 워킹코일(310)과 제2케이스 하판(221)을 바라본 도면이다.
실시예는 유도가열기(20)에서 케이스에 지지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작동 가능한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는 광원(2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광원(260)과 다수의 광가이드(미도시) 또는 복수 개의 광원(260)이 유도가열기(20)가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키는 위한 경계를 표시한다.
광원(260)은 광을 생성한다. 광원(260)은 컨트롤러(250) 또는/및 유도가열기(20)와 연결되어서, 유도가열기(2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케이스에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한다.
광원(26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발광 소자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발광소자가 모두 백색광을 발광하여 백색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LED들을 조합하여 특정 색상의 조명 또는 백색의 광을 제공할 있다.
예를 들면, 광원(260)은 제2케이스(220)에 배치된다. 광원(260)은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가 모여서 일정한 형상 또는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원(260)은 워킹코일(310)의 둘레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원(260)은 제2케이스 하판(221)에 설치된다. 복수 개의 광원(260)은 상부에서 보아, 워킹코일(310)(134)을 감싸는 임의의 곡선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제2케이스 하판(221)에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260)들은 제2케이스(220)에 지지되는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작동 가능한 영역을 사용자가게 인지시키므로, 사용자가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위치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유도가열기(20)에는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900)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900)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의 정보를 컨트롤러(250)에 제공한다. 컨트롤러(250)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의 정보를 통해 유도가열기(20)의 작동세기 및 작동여부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900)는 워킹코일(310)의 주변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테이블(10)의 플레이트(11)의 두께에 따라 삽입공간(240)의 크기를 조절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20)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면, 높이 조절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의 차이를 가지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특별한 설명이 없는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높이 조절유닛(500)은 제1케이스(210) 또는 제2케이스(220)에 결합되어 삽입공간(240)의 높이(d1)를 조절한다. 여기서, 삽입공간(240)의 높이(d1)는 높이 조절유닛(500)과, 제1케이스(210) 상판(212) 사이의 간격 또는 높이 조절유닛(500)과 제2케이스 하판(221) 사이의 간격이다.
높이 조절유닛(500)을 통해 삽입공간(2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테이블(10)에 유도가열기(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유닛(500)은 회전에 의해 승강되면서 삽입공간(24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510)일 수 있다.
조절나사(510)는 제1케이스(210) 또는 제2케이스(220)에 형성된 조립공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면서 삽입공간(240)의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조립공은 제1케이스(210)에서 제2케이스(2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조립공(212a)은 제1케이스 상판(212)이 관통되어 형성되거나, 제2케이스 하판(22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조절나사(510)는 제1케이스(210) 또는 제2케이스(220)에서 삽입공간(24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조절나사(510)는 제2케이스 하판(221)에 형성된 조립공(미도시)에 나사 결합되어 삽입공간(240)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제1케이스 상판(212)에 형성된 조립공(212a)에 나사 결합되어 삽입공간(240)의 내부로 도출된다.
조절나사(510)는 조립공(212a)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511)와 몸체(511)에 일단에 연결되어 몸체(511) 보다 확장된 폭을 가지는 헤드(512)를 포함한다. 헤드(512)는 손잡이의 역할과 삽입공간(240)에 삽입되는 플레이트(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나사(510)는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높이 조절유닛(500)은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조절나사(510)의 회전을 제한하여서, 조절나사(510)가 일정 정도 이하의 외압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체는 일 예로 코일스프링(520)이고, 코일스프링(520)의 일단은 몸체(511)에 지지되고, 타단은 케이스에 지지되어서, 몸체(511)와 케이스의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한다. 코일스프링(520)은 몸체(511)에 외삽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동작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20)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면, 간격 조절유닛(600)을 더 포함한다.
간격 조절유닛(600)은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여기서,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 사이의 간격은 제1케이스(210) 상판(212)과 제2케이스 하판(221) 사이의 간격(d2)이다.
간격 조절유닛(600)을 통해 삽입공간(240)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테이블(10)에 유도가열기(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간격 조절유닛(600)은 연결 케이스(2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케이스(230)는 제1연결 케이스(232-1)와 제2연결 케이스(232-2)를 포함한다.
제1연결 케이스(232-1)의 일단은 제1케이스(210)와 연결되고, 제2연결 케이스(232-2)의 일단은 제2케이스(220)와 연결된다. 제1연결 케이스(232-1)와 제2연결 케이스(232-2)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연결 케이스(232-1)와 제2연결 케이스(232-2)는 연결 케이스 외판(231)이 2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연결 케이스(232-1)는 제1케이스 하판(211)과 연결되고, 제1연결 케이스(232-1)는 제2케이스 상판(222)과 연결된다. 이 때, 연결 케이스(230)의 내판(231)은 제1케이스(210)와 연결되고, 제2케이스(220)와 연결되지 않게 배치된다. 연결 케이스(230)의 길이가 증가되면, 연결 케이스(230)의 내판(231)과 제2케이스(220)의 이격거리가 증가된다.
간격 조절유닛(600)은 제1연결 케이스(232-1)의 나사공(232d)에 나사 결합되고, 제2연결 케이스(232-2)를 관통하여, 회전에 의해 제1연결 케이스(232-1)를 승강시키는 회전나사를 포함한다. 회전나사의 회전에 의해 제1연결 케이스(232-1)와 제2연결 케이스(232-2)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서, 결국 삽입공간(240)의 크기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회전나사는 제1연결 케이스(232-1)의 나사공(232d)에는 나사 결합되고, 회전나사는 제2연결 케이스(232-2)에 상하이동은 제한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연결 케이스(232-2)에는 회전나사가 관통되는 관통공(232c)이 형성되고, 관통공(232c)에는 회전나사의 상하이동을 제한하고,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이동 제한홈(232b)을 형성된다.
회전나사에는 상하이동 제한홈(232b)에 삽입되는 제한돌기(622)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회전나사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바디(620)와, 바디(620)의 일단에 결합되고 바디(620)보다 확장된 폭을 가지고 연결 케이스(2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나사헤드(610)를 포함한다. 제한돌기(622)는 바디(620)의 외주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회전나사는 제2연결 케이스(232-2)의 상하이동 제한홈(232b)을 따라 상하이동이 제한되면서 회전되고, 제1연결 케이스(232-1)의 나사공(232d)에는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하로 이동된다. 따라서, 회전나사는 회전에 의해 제1연결 케이스(232-1)와 제2연결 케이스(232-2)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연결 케이스(230)는 제1연결 케이스(232-1)와 제2연결 케이스(232-2)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막(232a)을 더 포함한다. 차폐막(232a)은 회전나사의 회전에 의해 제1연결 케이스(232-1)와 제2연결 케이스(232-2)가 이격될 때 이 이격공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한다. 예를 들면, 차폐막(232a)은 제1연결 케이스(232-1) 또는 제2연결 케이스(232-2)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어 다른 하나를 덮도록 배치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단면도, 도 8b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동작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20)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면, 높이 조절유닛(500A)을 더 포함한다.
높이 조절유닛(500A)은 제1케이스(210) 또는 제2케이스(220)에 결합되어 삽입공간(240)의 높이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유닛(500A)은 케이스에 고정되는 탄성부재(540)와 탄성부재(540)에 지지되어서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공간(240)의 높이는 조절하는 지지부재(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공간(240)의 높이는 지지부재(530)와 제1케이스(210) 또는 제2케이스(220)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540)는 제1케이스(210)에 고정되어서, 제1케이스(210)에서 제2케이스(220)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540)는 제1케이스 상판(212)에 고정된다.
지지부재(530)는 탄성부재(540)에 지지되고, 제2케이스(220)와의 사이에 삽입공간(240)을 정의한다. 지지부재(530)는 판 형상으로 제2케이스 하판(22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탄성부재(540)가 제1케이스(210)에 고정되고 지지부재(530)와 제1케이스(210)의 사이에 삽입공간(240)의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공간(240)의 높이는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케이스(220)와 지지부재(53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면서 조절된다. 따라서, 테이블(10) 플레이트(11)의 두께에 따라 삽입공간(240)의 높이가 가변되고,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플레이트(11)과 유도가열기(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또한, 테이블(10)의 플레이트(11)가 삽입공간(240)으로 삽입되는 것을 부드럽게 하고, 플레이트(11)가 지지부재(530)와 탄성부재(540)가 고정되는 제1케이스 상판(212)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예는 지지부재(530)의 테두리와 제1케이스(210)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재질의 커버(550)를 더 포함한다.
커버(550)는 지지부재(530)에 유동에 따라 그 길이 및 형상이 변하고, 지지부재(530)와 제1케이스 상판(212) 사이의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폐한다. 커버(550)의 일단은 제1케이스 상판(212)과 연결되고 커버(550)의 타단은 지지부재(530)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 영역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550)는 연결 케이스(23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지지부재(530) 테두리의 일부 영역과 연결 케이스(23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1케이스 상판(212)의 일부 영역을 연결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20)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20)는 제4실시예와 비교하면, 커버(550)가 생략되고 힌지(560)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재(530)의 일단은 제1케이스(210)에 힌지 결합되어서, 테이블(10)의 플레이트(11)가 삽입공간(240)으로 삽입되는 것을 부드럽게 하고, 플레이트(11)가 지지부재(530)와 제1케이스 상판(212)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재(530)는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고, 제1케이스(210)의 일단을 중심축으로 회전된다.
힌지(560)는 제1케이스 상판(212)과 지지부재(530)를 힌지(56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힌지는 제1케이스 상판(212)과 지지부재(530)의 테두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힌지(560)는 연결 케이스(23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지지부재(530)의 일단과 연결 케이스(23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1케이스 상판(212)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자장을 생성하여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서 상기 조리기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워킹코일;
    상기 워킹코일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와 워킹코일을 수용하고, 적어도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사이에는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유도가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워킹코일은 상기 제2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유도가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유도가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상기 제2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공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은,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에 형성된 조립공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삽입공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유도가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은 상기 제1케이스에서 상기 제2케이스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유도가열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은,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제2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삽입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2케이스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유도가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유도가열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테두리와 상기 제1케이스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재질의 커버를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기.
    .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과 전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연결 케이스의 내에 배치되는 유도가열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유닛은 상기 연결 케이스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스는,
    일단이 상기 제1케이스와 연결된 제1연결 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제2케이스와 연결된 제2연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유닛은 제1연결 케이스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 케이스를 관통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연결 케이스를 승강시키는 회전나사를 포함하는 유도가열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나사는 상기 제2연결 케이스에 상하이동은 제한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도가열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스는 상기 제1연결 케이스와 상기 제2연결 케이스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막을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기.
KR1020160036663A 2016-03-28 2016-03-28 유도가열기 KR102500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663A KR102500523B1 (ko) 2016-03-28 2016-03-28 유도가열기
ES17163051T ES2715203T3 (es) 2016-03-28 2017-03-27 Dispositivo de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EP17163051.0A EP3226652B1 (en) 2016-03-28 2017-03-27 Induction heating device
US15/470,170 US10588179B2 (en) 2016-03-28 2017-03-27 Induction he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663A KR102500523B1 (ko) 2016-03-28 2016-03-28 유도가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363A KR20170111363A (ko) 2017-10-12
KR102500523B1 true KR102500523B1 (ko) 2023-02-15

Family

ID=5842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663A KR102500523B1 (ko) 2016-03-28 2016-03-28 유도가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88179B2 (ko)
EP (1) EP3226652B1 (ko)
KR (1) KR102500523B1 (ko)
ES (1) ES271520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747A1 (ko) * 2020-10-14 2022-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5887A (ja) 1986-02-21 1987-08-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H0747833Y2 (ja) * 1992-07-07 1995-11-01 ▲呉▼ 長 富 電磁調理器
JPH0629087A (ja) 1992-07-08 1994-02-04 Daido Steel Co Ltd 電極支持装置
NO320968B1 (no) * 2004-06-17 2006-02-20 Stale Herving Anordning for a opprettholde temperatur i mat og drikke
DE102006039087B4 (de) 2006-08-19 2009-09-03 Electrolux Home Products N.V. Gargerät, insbesondere Haushalts-Gargerät
EP2310750A4 (en) 2008-06-24 2015-04-29 Electrolux Ab COOKING TABLE
CN102077685B (zh) * 2009-03-13 2014-03-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及厨房装置
KR101393889B1 (ko) * 2011-12-30 2014-05-13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유도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6652A1 (en) 2017-10-04
EP3226652B1 (en) 2018-12-26
KR20170111363A (ko) 2017-10-12
US10588179B2 (en) 2020-03-10
ES2715203T3 (es) 2019-06-03
US20170280512A1 (en)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797B1 (ko)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US8203106B2 (en) Induction heating appliance for cooking
KR102631230B1 (ko)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EP3226653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5462179A (zh) 感应加热式炉灶
JPWO2011093102A1 (ja) 加熱調理器
KR102424535B1 (ko)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KR102500523B1 (ko) 유도가열기
KR102676465B1 (ko)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20190104573A1 (en) Indicat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210259063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for heating various objects
KR20170074465A (ko) 전자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냉각장치
KR102500521B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653422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JPWO2018229967A1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センサユニット
KR20180004567A (ko) 워킹 코일 베이스
KR20130043885A (ko) 용기 이탈 방지 구조가 구비된 인덕션 렌지
CN105135494A (zh) 一种新型用于电磁炉的可触控led显示屏
JP5887517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4082297A1 (en) Induction cooking device
JP2012209101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7317005U (zh) 一种采用空心磁性旋钮的灶具
CN105650269A (zh) 用于换挡机构的电磁锁
JP722902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120175B1 (ko) 워킹 코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