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230B1 -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230B1
KR102631230B1 KR1020180120563A KR20180120563A KR102631230B1 KR 102631230 B1 KR102631230 B1 KR 102631230B1 KR 1020180120563 A KR1020180120563 A KR 1020180120563A KR 20180120563 A KR20180120563 A KR 20180120563A KR 102631230 B1 KR102631230 B1 KR 10263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heated
heating
control module
inpu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529A (ko
Inventor
옥승복
박원규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230B1/ko
Priority to EP19201932.1A priority patent/EP3637956B1/en
Priority to US16/598,642 priority patent/US11445578B2/en
Publication of KR2020004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3Heating plates made out of a matrix of heating elements that can define heating areas adapted to cookware randomly placed on the heating pl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워킹 코일,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발광 소자,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되도록 발광 소자 상에 설치되며,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를 표시하는 도광체,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평편하게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워킹 코일 및 발광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고,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를 감지하는 제1 제어 모듈 및 제1 제어 모듈로부터 감지된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FUNCTION FOR DISTINGUISHING THE OBJECT TO BE HEATED}
본 발명은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체, 예컨대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예를 들어, 조리 용기)에 전달함으로써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피가열체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중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된 유도 가열 장치는 복수개의 피가열체 각각(예를 들어, 조리 용기)을 가열하기 위해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워킹 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최근에는 하나의 대상체를 복수개의 워킹 코일로 동시에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즉, 존프리(ZONE FREE) 타입 유도 가열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영역 내에서는 피가열체의 크기 및 위치에 상관없이 피가열체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구동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상태(예를 들어,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도 함께 구비(즉, 터치 스크린 방식 패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 상에 배치된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피가열체의 위치를 토대로 워킹 코일을 활성화시키며, 활성화된 워킹 코일의 위치에 대응되는 화구 이미지를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피가열체가 존재하는 경우,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각 피가열체에 대응되는 화구 이미지를 입력 인터페이스에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워킹 코일의 경계 조건 방식(즉, 활성화된 워킹 코일들 사이에 배치된 비활성화된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활성화된 워킹 코일들을 구분하는 방식)을 토대로 복수개의 피가열체를 구분한다.
다만, 복수개의 피가열체 구분시 워킹 코일의 경계 조건 방식만이 사용되는 경우, 인접 배치된 복수개의 피가열체가 하나의 피가열체로 인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입력 인터페이스에도 하나의 화구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를 감지하는 제1 제어 모듈과,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과, 발광 소자와 도광체로 구성된 인디케이터를 포함함으로써 피가열체 구분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평편하게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터치 입력을 제공받고,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을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특정 이미지 중 일부 이미지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과, 제2 제어 모듈로부터 터치 입력을 제공받고, 제2 제어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을 토대로 워킹 코일의 구동 및 발광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개선된 피가열체 구분 기능을 통해 인접 배치된 복수개의 피가열체를 구분할 수 있다. 나아가, 발광 소자 및 도광체로 구성된 인디케이터가 피가열체 구분 기능을 보완하는바,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유도 가열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불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상태에 따른 사용자 가이드 예시를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유도 가열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불록도이다.
참고로,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커버 플레이트(119)를 생략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유도 가열 장치(1)의 일부 구성들(예를 들어, 도광체)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케이스(125), 커버 플레이트(119), 베이스 플레이트(145), 인디케이터 기판(175), 인디케이터(즉, 발광 소자(177)와 도광체(210)로 구성), 입력 인터페이스(300),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5)에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 베이스 플레이트(145), 인디케이터 기판(175), 발광 소자(177), 도광체(210)와 같은 유도 가열 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5)에는 워킹 코일(WC)의 구동과 관련된 각종 장치(예를 들어, 교류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전원부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력을 스위칭 동작을 통해 공진 전류로 변환하여 워킹 코일(WC)에 제공하는 인버터부, 인버터부 및 그 구동과 관련된 부품들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310), 워킹 코일(WC)을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하는 릴레이 또는 반도체 스위치 등)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참고로, 케이스(125)는 워킹 코일(WC)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처리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19)는 케이스(125)의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125)의 내부를 차폐하고, 피가열체(미도시)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19)는 조리 용기와 같은 피가열체를 올려놓기 위한 상판부(115)를 포함할 수 있고, 워킹 코일(WC)에서 발생된 열은 상판부(115)를 통해 피가열체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판부(115)는 예를 들어, 유리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판부(115)에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제공받아 제2 제어 모듈(320)로 해당 터치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300)가 설치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커버 플레이트(119)의 상면, 즉, 상판부(115)에 평편하게 매립되도록 설치(즉, 상판부(115)와 동일 평면 상에 평편하게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예를 들어, 화구 이미지, 잔열 이미지, 가열 세기 이미지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을 제2 제어 모듈(32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가열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는 유도 가열 장치(1)의 구동 상태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도 함께 구비(즉, 터치 스크린 방식 패널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제2 제어 모듈(320)에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을 전달하고, 제2 제어 모듈(320)이 전술한 제1 제어 모듈(310)로 상기 터치 입력을 전달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는 워킹 코일(WC), 페라이트 코어(126), 마이카 시트(120; 즉, 제1 마이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유도 가열 장치(1)가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인 경우,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고, 복수개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예를 들어, WCA)는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1개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워킹 코일(WC)은 환형으로 다수회 감긴 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교류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워킹 코일(WC)은 제1 제어 모듈(31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고, 워킹 코일(WC)의 하측에는 마이카 시트(120) 및 페라이트 코어(126)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페라이트 코어(126)는 워킹 코일(WC)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워킹 코일(WC)의 환형 내측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코어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라이트 코어(126)의 하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45)가 배치될 수 있고, 페라이트 코어(126)와 워킹 코일(WC) 사이에는 마이카 시트(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홀에는 패킹 개스킷(149; packing gasket)이 체결되어 페라이트 코어(126)가 베이스 플레이트(145)에 고정될 수 있고, 패킹 개스킷(149) 상단에는 센서(148)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센서(148)는 상판부(115)의 온도, 워킹 코일(WC)의 온도 또는 워킹 코일(WC)의 동작 등을 감지하여 전술한 제1 제어 모듈(310) 또는 제2 제어 모듈(320)로 온도 정보 또는 동작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126)는 마이카 시트(120)에 실런트(sealant)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워킹 코일(WC)에서 발생되는 교류 자계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이카 시트(120; 즉, 제1 마이카 시트)는 워킹 코일(WC)과 페라이트 코어(126)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워킹 코일(WC)의 환형 내측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시트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카 시트(120)는 워킹 코일(WC) 및 페라이트 코어(126)에 실런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워킹 코일(WC)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페라이트 코어(126)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유도 가열 장치(1)에는 워킹 코일(WC) 상단에 실런트를 통해 고정되고, 중심부에 워킹 코일(WC)의 환형 내측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제2 시트 홀(미도시)이 형성된 제2 마이카 시트(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가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45) 상에는 페라이트 코어(126), 마이카 시트(120), 워킹 코일(WC)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45)의 하측에는 인디케이터 기판(175)이 베이스 플레이트(145)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45)는 예를 들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뿐만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도광체(21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구비되도록 도광체(21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1개의 워킹 코일(WC) 당 4개의 도광체(예를 들어, 210)가 해당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광체(210)는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을 상단의 발광면(즉, 상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워킹 코일(WC)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즉, 화력)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도광체(210)는 베이스 플레이트(145)에 형성된 각각의 도광체 설치 홀(147)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도광체(210) 설치를 위한 도광체 설치 홀(147)이 페라이트 코어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광체 설치 홀(147)은 도광체(210)가 설치되는 위치를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45)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체 설치 홀(147) 역시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1개의 워킹 코일(WC) 당 4개의 도광체 설치 홀(예를 들어, 147)이 해당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광체 설치 홀(147)의 수는 도광체(210)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참고로, 인디케이터 기판(175)에 설치된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이 도광체 설치 홀(147)을 통해 도광체(2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광체(210)는 워킹 코일(WC)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인디케이터 기판(175)은 베이스 플레이트(145)의 하측에 베이스 플레이트(145)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인디케이터 기판(175)에는 발광 소자(177)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 기판(175)은 베이스 플레이트(145)에서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미도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는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는 도광체 설치 홀(예를 들어, 147)을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인디케이터 기판(175)에 설치되는바,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이 도광체 설치 홀(147)을 통해 도광체(210)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는 예를 들어, 각각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기판(175)은 예를 들어, PCB(즉, 인쇄 회로 기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제어 모듈(310)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토대로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인디케이터 기판(175)에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부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 모듈(310)은 복수개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 및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의 구동을 제어하고, 커버 플레이트(119)의 상면에 배치되는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310)은 감지된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제2 제어 모듈(320)로 제공할 수 있고, 제2 제어 모듈(32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제1 제어 모듈(310)은 제2 제어 모듈(32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토대로 복수개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및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제어 모듈(310)로부터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 모듈(32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제2 제어 모듈(3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특정 이미지를 표시(즉,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모듈(32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을 제1 제어 모듈(310)로 전달하거나 수신된 터치 입력을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되는 특정 이미지 중 일부 이미지(예를 들어, 잔열 이미지, 타이머 이미지, 가열 세기 이미지 등)를 제어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제어 모듈(310)로부터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되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케이스(125)에는 인디케이터 기판이 설치되는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미도시), 복수개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 또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하는 송풍팬(미도시)과 같은 유도 가열 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토대로 무선 전력 전송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즉, 최근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많은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충전 패드에 올려 놓는 것 만으로도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유선 코드나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휴대성이 향상되며 크기와 무게가 종래에 비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과, 공진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 그리고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전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1차 코일(예를 들어, 워킹 코일(WC))과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2차 코일 간의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물론 유도 가열 장치(1)의 유도 가열 방식은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한다는 점에서 전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원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의 경우에도, 유도 가열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제어 모듈(310) 또는 제2 제어 모듈(320)에 의해 유도 가열 모드 또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제어될 수도 있는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도 가열 기능 또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지는바, 이하에서는, 유도 가열 장치(1)의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상태에 따른 사용자 가이드 예시를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참고로, 도 6, 8, 10, 12는 피가열체의 위치를 토대로 워킹 코일 주변에 배치된 도광체의 발광면이 발광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들이고, 도 7, 9, 11, 13은 피가열체의 위치를 토대로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될 때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1)의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방법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의 상판부(도 1의 115)에 피가열체가 배치되면, 제1 제어 모듈(310)은 해당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즉, 피가열체가 상판부(도 1의 115)에 놓인 순서)에 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제어 모듈(310)은 각각의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공진 전류의 감쇄 정도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토대로 피가열체가 어느 워킹 코일의 상부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부연 설명을 하자면, 워킹 코일(예를 들어, 도 2의 WC) 위에 피가열체가 위치하는 경우, 피가열체의 저항으로 인해 전체 저항이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해당 워킹 코일(예를 들어, 도 2의 WC)을 흐르는 공진 전류의 감쇄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310)은 이와 같이 워킹 코일(예를 들어, 도 2의 WC)에 흐르는 공진 전류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 값을 토대로 해당 워킹 코일(예를 들어, 도 2의 WC) 위에 피가열체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물론, 제1 제어 모듈(310)은 다른 방법을 통해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방법으로 피가열체를 검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가 감지되면, 제1 제어 모듈(310)은 감지된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제2 제어 모듈(3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모듈(320)은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열체가 서로 다른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 TH2, TH3)를 포함하는 경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가 각각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하는지에 관한 정보와,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와, 상기 다른 워킹 코일의 상측에 피가열체가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는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 각각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경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제1 피가열체(TH1)가 'a10~a13'에 해당하는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 피가열체(TH2)가 'a23, a25, b22, b24'에 해당하는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3 피가열체(TH3)가 'a00~a03'에 해당하는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한다는 정보 및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a14, a15, a20, a22, a24)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6과 같이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경우,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가 없어도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 각각에 대응되는 화구 이미지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가 이미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도 가열 장치(1)의 전원이 켜지거나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가 동시에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의 상면에 배치되더라도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 각각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 각각에 대응되는 화구 이미지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가 이미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도 가열 장치(1)의 전원이 켜지거나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가 동시에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의 상면에 배치된 경우,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는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가 모두 동일한 배치 순서를 가지고 있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 모듈(310)이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제1 내지 제3 피가열체(TH1~TH3)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구동시킴으로써 해당 발광 소자의 상측에 위치하는 도광체(210-1, 210-2, 210-3)의 발광면이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는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 상의 제1 피가열체(TH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는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 상의 제2 피가열체(TH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3)는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 상의 제3 피가열체(TH3)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제3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제1 내지 제3 영역은 서로에 대해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1)의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방법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8과 같이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지 않고, 제1 피가열체(TH1)의 배치 순서가 제2 피가열체(TH2)의 배치 순서보다 빠른 경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제1 피가열체(TH1)가 'a10~a13'에 해당하는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 피가열체(TH2)가 'a20~a23'에 해당하는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한다는 정보 및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는 제1 피가열체(TH1)의 배치 순서(1-a; 즉, a영역에 첫번째 배치)가 제2 피가열체(TH2)의 배치 순서(2-a; 즉, a영역에 두번째 배치)보다 빠르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 모듈(310)이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구동시킴으로써 해당 발광 소자의 상측에 위치하는 도광체(210-1, 210-2)의 발광면이 발광될 수 있다.
물론, 제1 피가열체(TH1)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과 제2 피가열체(TH2)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배치된 발광 소자도 구동되는바, 해당 발광 소자의 상측에 위치하는 도광체(BID)의 발광면도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는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 상의 제1 피가열체(TH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는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 상의 제2 피가열체(TH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 FI2)는 각각 독립적인 화구 이미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되고, 제1 영역은 제2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1)의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방법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과 같이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지 않고,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 각각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가 없거나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가 동시에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의 상면에 배치된 경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하나의 피가열체가 'a10~a13, a20~a23'에 해당하는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는 단일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1-a; 즉, a영역에 첫번째 배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 모듈(310)이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되, 제1 피가열체(TH1)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과 제2 피가열체(TH2)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의 주변에 배치된 도광체(210-1, 210-2) 중 일부 도광체(BID')의 발광면이 발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 상의 제1 및 제2 피가열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단일 화구 이미지(FI)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도 10 및 도 11의 경우, 제1 및 제2 피가열체가 제대로 구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사용자는 도광체의 발광면을 통해 제1 및 제2 피가열체가 하나의 피가열체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및 제2 피가열체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피가열체가 하나의 피가열체로 인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피가열체 구분 및 표시 상태에 따른 사용자 가이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와 같이, 사용자가 제2 피가열체(TH2)의 위치를 기존의 'a20~a23'에서 'a21, a23, b20, b22'로 변경함으로써,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제1 피가열체(TH1)가 'a10~a13'에 해당하는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 피가열체(TH2)가 'a21, a23, b20, b22'에 해당하는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한다는 정보 및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a20, a22)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설령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가 없을지라도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 각각에 대응되는 화구 이미지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제2 피가열체(TH2)가 기존 위치(즉, 도 10의 a20~a23)에서 이탈된 후 새로운 위치(a21, a23, b20, b22)에 배치된 경우,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는 제1 피가열체(TH1)의 배치 순서가 제2 피가열체(TH2)의 배치 순서보다 빠르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 모듈(310)이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제1 및 제2 피가열체(TH1, TH2)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구동시킴으로써 해당 발광 소자의 상측에 위치하는 도광체(210-1, 210-2)의 발광면이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는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 상의 제1 피가열체(TH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는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 상의 제2 피가열체(TH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영역은 서로에 대해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개선된 피가열체 구분 기능을 통해 인접 배치된 복수개의 피가열체를 구분할 수 있다. 나아가, 발광 소자 및 도광체로 구성된 인디케이터가 피가열체 구분 기능을 보완하는바,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5: 상판부 119: 커버 플레이트
125: 케이스 300: 입력 인터페이스
310: 제1 제어 모듈 320: 제2 제어 모듈

Claims (10)

  1.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워킹 코일;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발광 소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를 표시하는 도광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평편하게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워킹 코일 및 상기 발광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를 감지하는 제1 제어 모듈;
    상기 제1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감지된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 및
    상기 워킹 코일의 내측영역에 상기 워킹 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워킹 코일의 동작을 감지하여 그 동작 정보를 상기 제1 제어 모듈 또는 상기 제2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유도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코일 및 상기 발광 소자가 각각 복수개이고, 상기 피가열체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피가열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가 각각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하는지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1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과 상기 제2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와, 상기 다른 워킹 코일의 상측에 피가열체가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각각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과 상기 제2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의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의 상기 제2 피가열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에 표시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과 상기 제2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유도 가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과 상기 제2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각각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가 없거나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가 동시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의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고,
    상기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의 상기 제2 피가열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되,
    상기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와 상기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는 단일 화구 이미지로 표시되는
    유도 가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과 상기 제2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각각의 배치 순서에 관한 정보가 없거나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가 동시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되,
    상기 제1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과 상기 제2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구동을 중단하는
    유도 가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과 상기 제2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1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가 상기 제2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보다 빠른 경우,
    상기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의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의 상기 제2 피가열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에 표시되되,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는 각각 독립적인 화구 이미지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과 상기 제2 피가열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 사이에 다른 워킹 코일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1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가 상기 제2 피가열체의 배치 순서보다 빠른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유도 가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을 상기 제2 제어 모듈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터치 입력을 토대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상기 특정 이미지 중 일부 이미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을 토대로 상기 워킹 코일의 구동 및 상기 발광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유도 가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코일이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가 설치된 인디케이터 기판;
    상기 워킹 코일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교류 자계를 확산시키는 페라이트 코어;
    상기 워킹 코일과 상기 페라이트 코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상기 페라이트 코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이카 시트; 및
    상기 인디케이터 기판이 설치되는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180120563A 2018-10-10 2018-10-10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63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563A KR102631230B1 (ko) 2018-10-10 2018-10-10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EP19201932.1A EP3637956B1 (en) 2018-10-10 2019-10-08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improved function for distinguishing object
US16/598,642 US11445578B2 (en) 2018-10-10 2019-10-10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improved function for distinguishing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563A KR102631230B1 (ko) 2018-10-10 2018-10-10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29A KR20200040529A (ko) 2020-04-20
KR102631230B1 true KR102631230B1 (ko) 2024-01-29

Family

ID=6824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563A KR102631230B1 (ko) 2018-10-10 2018-10-10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45578B2 (ko)
EP (1) EP3637956B1 (ko)
KR (1) KR102631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222B1 (ko) * 2018-11-19 202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품 배치 구조 및 조립성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322759B1 (ko) * 2020-07-09 2021-11-09 (주)쿠첸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20036653A (ko) * 2020-09-16 202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및 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무선 인디케이터
KR102346051B1 (ko) * 2020-09-23 2022-01-03 누구나(주) 다기능 인덕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809A (ja) * 2012-08-24 2014-03-1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装置
WO2014156010A1 (ja) * 2013-03-28 2014-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075A (en) 1986-05-01 1987-12-08 New Holland Inc. Integrally mounted positionable concave extension
FR2966002B1 (fr) * 2010-10-07 2015-12-11 Fagorbrandt Sas Procede de commande en fonctionnement d'un ensemble d'inducteurs d'une table de cuisson a induction et table de cuisson a induction associee
KR20120109965A (ko) * 2011-03-28 2012-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가열조리기의 제어방법
EP2506668B1 (en) * 2011-03-28 2017-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method of induction heating cooker
WO2014030315A1 (ja) * 2012-08-24 2014-02-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CN103780531B (zh) * 2012-10-25 2018-0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载波基带消峰装置及方法
JP5948612B2 (ja) * 2012-12-06 2016-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809A (ja) * 2012-08-24 2014-03-1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装置
WO2014156010A1 (ja) * 2013-03-28 2014-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20761A1 (en) 2020-04-16
EP3637956A1 (en) 2020-04-15
EP3637956B1 (en) 2021-02-17
KR20200040529A (ko) 2020-04-20
US11445578B2 (en)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230B1 (ko)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10980156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KR102060150B1 (ko) 냉각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11653422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US20190104573A1 (en) Indicat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30112603A (ko)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00122713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00122714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107618B1 (ko) 워킹 코일 연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206096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11140753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and assemblability
KR102060149B1 (ko)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266358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00057552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10066227A (ko)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KR20200057551A (ko) 가열 위치 가이드 메커니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535062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KR102445832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KR102545457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
US20230292411A1 (en) Induction heating cooktop and wireless indicator for indicating operation state thereof
KR20210092044A (ko) 전기 쿡탑
KR20210063090A (ko) 사용자의 개입 없이 화력이 조절되는 전기 레인지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63897A (ko)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