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759B1 -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759B1
KR102322759B1 KR1020200084945A KR20200084945A KR102322759B1 KR 102322759 B1 KR102322759 B1 KR 102322759B1 KR 1020200084945 A KR1020200084945 A KR 1020200084945A KR 20200084945 A KR20200084945 A KR 20200084945A KR 102322759 B1 KR102322759 B1 KR 10232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heating
crater
control operation
hea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철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0008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르면, 가열 장치는, 복수의 서브 화구들을 포함하는 프리존 화구, 프리존 화구를 제어하기 위한 프리존 화구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포함하는 프리존 화구 제어 조작부 및 프리존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하나의 서브 화구에 대해서만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한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HEATING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FREEZONE CRA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조리 또는 살균을 포함한 다양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가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온 반면,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냄비, 프라이팬, 찜솥 또는 주전자와 같은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한 가열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 및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을 포함한다. 저항 가열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한편,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워킹 코일에 인가할 때 워킹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자속 밀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가열체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피가열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한편, 가열 장치의 화구 상에 놓여지는 피가열체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가열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로부터 효율적으로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화구들을 포함하는 프리존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하나의 피가열체가 놓여진 것인지, 또는 복수의 피가열체들이 프리존 화구의 다른 영역 상에 놓여진 것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황에 따라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조작부를 달리 활성화 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가열 장치는, 복수의 서브 화구들을 포함하는 프리존 화구, 프리존 화구를 제어하기 위한 프리존 화구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포함하는 프리존 화구 제어 조작부 및 프리존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하나의 서브 화구에 대해서만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한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화구들을 포함하는 프리존 화구를 적어도 한 개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은, 프리존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져 있는지 감지하는 단계,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하나의 서브 화구에 대해서만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화구 제어 조작부만을 활성화 하는 단계 및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한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가열 장치는 복수의 서브 화구들을 포함하는 프리존 화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리존 화구 상의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는, 프리존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하나의 피가열체가 놓여진 것인지, 또는 복수의 피가열체들이 프리존 화구의 다른 영역 상에 놓여진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가열 장치는, 판단된 상황에 따라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조작부를 달리 활성화 함으로써, 사용자가 프리존 화구에 대한 제어 신호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10)를 나타낸다. 가열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 및 적어도 하나의 노말 화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존 화구란 복수의 서브 화구들을 포함하여, 상황에 따라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구를 가열할 수 있는 화구를 의미하며, 노말 화구란 하나의 화구를 포함하는 화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 및 노말 화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은 가열 장치(10)가 프리존 화구(100)를 1개 포함하고, 노말 화구(200)를 1개 포함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열 장치(10)는 복수의 프리존 화구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노말 화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따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10)는, 설계에 따라, 노말 화구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리존 화구(100)는 복수의 서브 화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서브 화구(120), 제2 서브 화구(140) 및 제3 서브 화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존 화구(100)에 포함된 서브 화구들의 개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서브 화구들 각각 하부에는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물체를 가열하는 가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부는 자성체에 의한 유도 작용을 통해 전용 용기에 열을 내는 워킹 코일, 직접 발열함으로써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금속판 또는 열선이 분포된 세라믹 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전기적 작용을 이용해 열을 내는 다양한 발열체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말 화구(200)의 하부에도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물체를 가열하는 가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부는 자성체에 의한 유도 작용을 통해 전용 용기에 열을 내는 워킹 코일, 직접 발열함으로써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금속판 또는 열선이 분포된 세라믹 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전기적 작용을 이용해 열을 내는 다양한 발열체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300)는 가열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모든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 또는 전부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300)는 화구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300)는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능과 조작 기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300)는 터치 패널, 회전 버튼, 푸시 버튼, 트랙볼, 포인트 스틱 및 스캐너와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 상에 놓여지는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에 대응되는 가열부들에 테스트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열 장치(10)는 복수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가열부들에 테스트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복수의 서브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졌는지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하나의 서브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가열 장치(10)는 사용자 조작부(3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조작부가 활성화 된다는 것은, 제어 조작부가 가열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가열 장치(10)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해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피가열체 특성들을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들의 실시 예에 대해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다른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하나의 피가열체가 놓여진 것인지, 또는 복수의 피가열체들이 프리존 화구의 다른 영역 상에 놓여진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가열 장치(10)는, 판단된 상황에 따라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조작부를 달리 활성화 함으로써, 가열 장치(10) 사용자가 프리존 화구(100)에 대한 제어 신호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10)를 나타낸다. 가열 장치(10)는 도 1의 가열 장치(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화구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화구 가열부들, 노말 화구(200)에 대응되는 노말 화구 가열부(210), 복수의 구동부들, 복수의 측정부들, 사용자 조작부(300), 제어부(600) 및 메모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서브 화구 가열부(130)는 프리존 화구(100)에 포함된 제1 서브 화구(120) 상에 놓여지는 피가열체를 직접 가열 방식 또는 유도 가열 방식을 통해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구동부(422)는 외부의 전원을 입력으로 받아 제1 서브 화구 가열부(130)를 구동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제1 서브 화구 가열부(130)에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 및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1 구동부(422)는 정류부 및 인버터를 포함하여, 제어부(600)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기초로 교류 전원을 생성하여 제1 서브 화구 가열부(130)를 구동할 수 있다. 제1 측정부(424)는 제1 서브 화구 가열부(130)에 대응되는 제1 서브 화구(120)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물리량을 측정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화구 가열부(130)가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경우, 제1 측정부(424)는 제1 서브 화구 가열부(130)에 흐르는 전류 또는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서브 화구 가열부(130)에 대응되는 제1 서브 화구(120)에 압력 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제1 측정부(424)는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서브 화구 가열부(150)는 프리존 화구(100)에 포함된 제2 서브 화구(140) 상에 놓여지는 피가열체를 직접 가열 방식 또는 유도 가열 방식을 통해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구동부(442)는 외부의 전원을 입력으로 받아 제2 서브 화구 가열부(150)를 구동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제2 서브 화구 가열부(150)에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 및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2 구동부(442)는 정류부 및 인버터를 포함하여, 제어부(600)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기초로 교류 전원을 생성하여 제2 서브 화구 가열부(150)를 구동할 수 있다. 제2 측정부(444)는 제2 서브 화구 가열부(150)에 대응되는 제2 서브 화구(140)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물리량을 측정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화구 가열부(150)가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경우, 제2 측정부(444)는 제2 서브 화구 가열부(150)에 흐르는 전류 또는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서브 화구 가열부(150)에 대응되는 제2 서브 화구(140)에 압력 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제2 측정부(444)는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노말 화구 가열부(210)는 노말 화구(200) 상에 놓여지는 피가열체를 직접 가열 방식 또는 유도 가열 방식을 통해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n 구동부(520)는 외부의 전원을 입력으로 받아 노말 화구 가열부(210)를 구동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노말 화구 가열부(210)에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 및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n 구동부(520)는 정류부 및 인버터를 포함하여, 제어부(600)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기초로 교류 전원을 생성하여 노말 화구 가열부(210)를 구동할 수 있다. 제n 측정부(540)는 노말 화구 가열부(210)에 대응되는 노말 화구(200)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물리량을 측정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말 화구 가열부(210)가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경우, 제n 측정부(540)는 노말 화구 가열부(210)에 흐르는 전류 또는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노말 화구 가열부(210)에 대응되는 노말 화구(200)에 압력 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제n 측정부(540)는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사용자 조작부(300)는 복수의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부(300)는 프리존 화구(100)에 대응되는 프리존 화구 제어 조작부(320) 및 노말 화구(200)에 대응되는 노말 화구 제어 조작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존 화구 제어 조작부(320)는, 복수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존 화구 제어 조작부(320)는, 제1 서브 화구(120)에 대응되는 제1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321) 및 제2 서브 화구(140)에 대응되는 제2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의를 위해 도 2에는 미도시 하였지만, 프리존 화구(100)가 도 1과 같이 제3 서브 화구(16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프리존 화구 제어 조작부(320)는 제3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600)는 가열 장치(10) 내의 다양한 구성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또는 미니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복수의 구동부들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 조작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사용자 조작부(3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복수의 측정부들로부터 측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가열 장치(10)가 수행하는 다양한 제어 동작들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제어부(6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메모리(700)는 가열 장치(10)에 관한 정보 및 가열 장치(1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00)는 제어부(60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알고리즘 및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00)는 플래시 메모리, 자기 저항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 DRAM, S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0)는 제어부(600)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제어부(600)가 마이컴(microcomputer) 또는 미니컴퓨터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700)는 제어부(600)와 하나의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 상에 놓여지는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에 대응되는 가열부들에 테스트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열 장치(10)는 복수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가열부들에 테스트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복수의 서브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졌는지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하나의 서브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가열 장치(10)는 사용자 조작부(3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조작부가 활성화 된다는 것은, 제어 조작부가 가열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가열 장치(10)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해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피가열체 특성들을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들의 실시 예에 대해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다른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하나의 피가열체가 놓여진 것인지, 또는 복수의 피가열체들이 프리존 화구의 다른 영역 상에 놓여진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가열 장치(10)는, 판단된 상황에 따라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조작부를 달리 활성화 함으로써, 가열 장치(10) 사용자가 프리존 화구(100)에 대한 제어 신호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부(300)를 나타낸다. 도 3의 사용자 조작부(300)는 도 1 및 도 2의 사용자 조작부(30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사용자 조작부(300)는 제1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321), 제2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322) 및 노말 화구 제어 조작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화구 제어 조작부들의 개수, 구체적인 구성 및 배치 방식 등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부분임을 일러둔다.
가열 장치(10)의 제어부(600)는 프리존 화구(100)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프리존 화구(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 화구 가열부들에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고, 테스트 전원의 인가에 따라 대응되는 측정부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신호를 기초로, 복수의 서브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화구 상에만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600)는 사용자 조작부(300)가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하도록 사용자 조작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제1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321)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화구 상에만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600)는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가열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최초로 수신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도 있다.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600)는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측정된 적어도 2개의 피가열체 특성들을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위 실시 예들에 대해서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 상의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프리존 화구(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화구들에 테스트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동부들을 제어하고, 테스트 전원의 인가에 따라 측정부들로부터 출력되는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프리존 화구(100)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600)는 프리존 화구(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화구들 각각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되었는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이후의 동작이 달리 수행될 수 있다(S140).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어느 서브 화구에서도 피가열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가열 장치(10)는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모두를 활성화 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하나의 서브 화구에 대해서만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가열 장치(10)는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 있다(S160).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이 경우, 제1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321)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600)는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가열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최초로 입력(또는 수신)되는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를 통해, 가열 장치(10)의 사용자가 화구 제어에 혼동을 하지 않도록 도울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가열 장치(10)는, 피가열체가 감지된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에 대한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 있다(S180). S180 단계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S180 단계가 수행되기에 앞서, 피가열체가 감지된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이 서로 인접한 서브 화구들인지 판단하는 동작이 선행될 수 있는데, 이 실시 예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특히, 도 4의 S180 단계의 세부적인 순서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5는,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에 대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가열 장치(10)는 피가열체가 감지된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에 대한 피가열 체 특성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에 대응되는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테스트 전원을 인가할 수 있고, 테스트 전원의 인가에 따라 대응되는 측정부들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신호들을 피가열체 특성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는 측정된 2개 이상의 피가열체 특성들을 비교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측정 신호들을 비교할 수 있다.
측정된 2개 이상의 피가열체 특성들이 상호 동일한 경우, 가열 장치(10)는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 있다(S260). 다시 말해, 이 경우, 제어부(600)는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 상에 하나의 피가열체가 놓여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 때, 가열 장치(10)는 활성화된 하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측정된 2개 이상의 피가열체 특성들이 상호 동일하지 않은 경우, 가열 장치(10)는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활성화 할 수 있다(S280). 다시 말해, 이 경우, 제어부(600)는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 각각 상에 서로 다른 피가열체들이 놓여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 때는 서로 다른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통해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독립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다른 가열 장치(10)는, 프리존 화구(100)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하나의 피가열체가 놓여진 것인지, 또는 복수의 피가열체들이 프리존 화구의 다른 영역 상에 놓여진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가열 장치(10)는, 판단된 상황에 따라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조작부를 달리 활성화 함으로써, 가열 장치(10) 사용자가 프리존 화구(100)에 대한 제어 신호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특히, 도 4의 S180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선행되는 동작의 추가 실시 예를 도시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6 역시,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에 대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6 역시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가열 장치(10)는 피가열체가 감지된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이 서로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이 서로 인접하지 않은 경우, 가열 장치(10)는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활성화 할 수 있다(S340). 다시 말해, 이 경우, 제어부(600)는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 각각 상에 서로 다른 피가열체들이 놓여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 때는 서로 다른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통해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독립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이 서로 인접한 경우, 가열 장치(10)는, 피가열체가 감지된 2개 이상의 서브 화구들에 대한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할 수 있다(S360). 다시 말해, 이 경우, 제어부(600)는 도 4의 S180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가열 장치로서,
    복수의 서브 화구들을 포함하는 프리존 화구;
    상기 프리존 화구를 제어하기 위한 프리존 화구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포함하는 프리존 화구 제어 조작부; 및
    상기 프리존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하나의 서브 화구에 대해서만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해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적어도 2개의 피가열체 특성들을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적어도 2개의 피가열체 특성들이 상호 동일한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하고, 이에 따라, 활성화된 상기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을 동시에 구동하며,
    상기 측정된 적어도 2개의 피가열체 특성들이 상호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활성화 하고, 이에 따라, 활성화된 상기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신된 제어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을 각각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가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하나의 서브 화구에 대해서만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상기 가열 장치 외부의 입력이 최초로 수신되는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이 서로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이 서로 인접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활성화 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이 서로 인접한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해 피가열체의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적어도 2개의 피가열체 특성들을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6. 복수의 서브 화구들을 포함하는 프리존 화구를 적어도 한 개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프리존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져 있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하나의 서브 화구에 대해서만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화구 제어 조작부만을 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들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해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에 대한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해, 테스트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피가열체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적어도 2개의 피가열체 특성들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적어도 2개의 피가열체 특성들이 상호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하나의 선택된 화구 제어 조작부를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하나의 선택된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을 동시에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적어도 2개의 피가열체 특성들이 상호 동일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 중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서브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신된 제어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화구들을 각각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7. 삭제
KR1020200084945A 2020-07-09 2020-07-09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322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45A KR102322759B1 (ko) 2020-07-09 2020-07-09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45A KR102322759B1 (ko) 2020-07-09 2020-07-09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759B1 true KR102322759B1 (ko) 2021-11-09

Family

ID=7861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945A KR102322759B1 (ko) 2020-07-09 2020-07-09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7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1653A1 (ja) * 2015-05-14 2016-1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20190100771A (ko) * 2018-02-21 2019-08-29 (주)쿠첸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KR20200040529A (ko) * 2018-10-10 202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1653A1 (ja) * 2015-05-14 2016-1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20190100771A (ko) * 2018-02-21 2019-08-29 (주)쿠첸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KR20200040529A (ko) * 2018-10-10 202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287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20011186A (ko)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JP5699185B2 (ja) 拡大した加熱範囲を有する電磁誘導加熱器
KR102052703B1 (ko)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JP5861029B2 (ja) 加熱調理器
CN105351981B (zh) 一种加热方法和加热装置
KR102322759B1 (ko)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527261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3249341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238451B1 (ko)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JP505247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069581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JPH04109914A (ja) 炊飯器
KR102238453B1 (ko) 주변 환경에 따라 가열 보상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99438B1 (ko) 가열 예약 기능을 갖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238452B1 (ko) 듀얼 가열부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JP521828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88751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748634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592410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36129B1 (ko)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13164B1 (ko) 화구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가열 장치
JP200531038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175641B1 (ko)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
US20200018488A1 (en) Determining cookware location on a cooktop appliance based on response to an electromagnetic pul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