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581B1 -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581B1
KR102069581B1 KR1020170080804A KR20170080804A KR102069581B1 KR 102069581 B1 KR102069581 B1 KR 102069581B1 KR 1020170080804 A KR1020170080804 A KR 1020170080804A KR 20170080804 A KR20170080804 A KR 20170080804A KR 102069581 B1 KR102069581 B1 KR 102069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heated
current
container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200A (ko
Inventor
장호용
강병극
허제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581B1/ko
Priority to ES18179803T priority patent/ES2887346T3/es
Priority to EP18179803.4A priority patent/EP3422810B1/en
Priority to US16/018,225 priority patent/US11265975B2/en
Priority to EP21171142.9A priority patent/EP3876671A1/en
Publication of KR2019000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9/00Stoves or ranges heated by a single type of energy supply not covered by groups F24C3/00 - F24C7/00 or subclass F24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전원 인가 후 유도 센싱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1차적으로 사용 가능 용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 가능 용기에 대하여 전류 센싱을 수행하여 2차적으로 사용 가능 용기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유도 가열 장치의 상판부에 용기를 올려놓기만 하면 해당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인지 여부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용기를 올려놓은 후 화구 선택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 예컨대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 물체에 전달함으로써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워킹 코일에 인가할 때 워킹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 물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피가열 물체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의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도 가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압이 코일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유도 가열 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워킹 코일 주변에는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유도 자계의 자력선이 유도 가열 장치 상부에 놓인 금속 성분을 포함한 피가열 물체의 바닥을 통과하면, 피가열 물체 바닥의 내부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와전류가 피가열 물체 바닥에 흐르면 피가열 물체 자체가 가열된다.
유도 가열 장치를 사용할 경우, 유도 가열 장치의 상판부는 가열되지 않고 피가열 물체 자체만 가열된다. 따라서 피가열 물체를 유도 가열 장치의 상판부에서 들어올리면 코일 주변의 유도 자계가 소멸되면서 피가열 물체의 발열도 즉시 중단된다. 또한 유도 가열 장치는 워킹 코일이 발열되지 않기 때문에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상판부의 온도가 비교적 낮은 온도로 유지되어 안전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유도 가열 장치는 유도 가열에 의해 피가열 물체 자체를 가열시키므로 가스 레인지나 저항 가열 방식 장치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유도 가열 장치의 다른 장점은 다른 방식의 가열 장치에 비해 보다 짧은 시간 내에 피가열 물체를 가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유도 가열 장치의 출력이 높을수록 보다 빠르게 피가열 물체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유도 가열 장치는 사용 가능한 용기가 한정적이라는 제약을 갖는다. 즉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장치의 코일에 고주파 전력이 공급될 때 와전류가 발생되는 용기만이 유도 가열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제약에 따라서, 유도 가열 장치 상부에 놓인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유도 가열 장치 내부의 워킹 코일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한 미리 정해진 크기의 전력을 공급하여, 피가열 물체에 앞서 설명된 와전류가 발생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피가열 물체의 종류, 즉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피가열 물체의 판별을 위하여 지나치게 많은 전력(예컨대, 200W 이상)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정확하고 빠르게 판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유도 가열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보다 적은 전력을 소모하여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정확하고 빠르게 판별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가열 물체의 온도 측정 및 피가열 물체의 종류 판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해당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인지 여부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용기를 올려놓은 후 화구 선택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비해 보다 적은 전력을 소모하여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피가열 물체의 종류 판별을 위한 새로운 구조의 용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구조의 용기 감지 센서는 외부에 센싱 코일이 감기며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를 갖는다. 또한 용기 감지 센서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는 온도 센서가 수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용기 감지 센서는 워킹 코일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워킹 코일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지는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동시에 피가열 물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감지 센서에 포함되는 센싱 코일은 워킹 코일에 비해 적은 회전 수 및 총 길이를 가지므로, 종래의 워킹 코일을 이용한 피가열 물체 판별 방법에 비해 보다 적은 전력을 소모하면서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감지 센서의 내부 공간에는 온도 센서가 수용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보다 작은 크기 및 부피를 갖는 센서로 온도 측정 및 피가열 물체의 종류 판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워킹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싱 및 용기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유도 센싱을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의 종류 판별이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용기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유도 센싱의 경우 워킹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싱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전력을 소모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전원 인가 후 유도 센싱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1차적으로 사용 가능 용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 가능 용기에 대하여 전류 센싱을 수행하여 2차적으로 사용 가능 용기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유도 가열 장치의 상판부에 용기를 올려 놓기만 하면 해당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인지 여부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용기를 올려 놓은 후 화구 선택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피가열 물체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화구를 포함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 하부에 상기 화구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열 물체를 감지하는 용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워킹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싱 및 상기 용기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유도 센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 용기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모든 화구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센싱 간격에 따라서 상기 유도 센싱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 센싱에 의해서 상기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상기 워킹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최초로 인가되면 모든 화구에 대하여 상기 전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센싱에 의해서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된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만 상기 워킹 코일을 이용한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류 센싱은 상기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때 상기 피가열 물체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로 결정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 센싱은 상기 센싱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때 측정되는 상기 전류의 위상값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로 결정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 센싱은 상기 센싱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때 측정되는 상기 센싱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로 결정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 센싱 수행 시 소모 전력은 상기 전류 센싱 수행 시 소모 전력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화구에 대하여 유도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도 센싱에 의해서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전류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센싱 수행 결과 상기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원이 최초로 인가되면 모든 화구에 대하여 상기 전류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센싱 수행 결과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상기 유도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모든 화구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센싱 간격에 따라서 상기 유도 센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종래에 비해 보다 적은 전력을 소모하여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정확하고 빠르게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피가열 물체의 온도 측정 및 피가열 물체의 종류 판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해당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인지 여부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용기를 올려놓은 후 화구 선택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코일 베이스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감지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감지 센서에 포함되는 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유도 센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워킹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조작 영역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02) 및 케이스(102)와 결합되어 케이스(102)를 밀폐하는 커버 플레이트(104)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104)는 케이스(102)의 상면과 결합하여 케이스(10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한다. 커버 플레이트(104)는 조리 용기와 같은 피가열 물체가 놓일 수 있는 상판부(1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판부(106)는 세라믹 글래스와 같은 강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0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기 위한 워킹 코일 어셈블리(108, 110)가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102) 내부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전원을 인가하게 하거나 워킹 코일 어셈블리(108, 110)의 출력을 조절하게 하는 기능과, 유도 가열 장치(1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부(114)가 구비된다. 인터페이스부(114)는 터치에 의한 정보 입력 및 정보 표시가 모두 가능한 터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구조의 인터페이스부(114)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판부(106)에는 인터페이스부(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작 영역(118)이 구비된다.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조작 영역(118)에는 문자나 이미지등이 미리 인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 인쇄된 문자나 이미지를 참고하여 조작 영역(118)의 특정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4)에 의해서 출력되는 정보는 상판부(106)를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108, 110)나 인터페이스부(1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12)가 배치된다.
참고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2) 내부에 두 개의 워킹 코일어셈블리(108, 110)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스(102) 내부에는 하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가 배치되거나 두 개 이상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워킹 코일 어셈블리(108, 110)는 전원부(112)에 의해 공급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이용하여 유도 자계를 형성하는 워킹 코일, 그리고 피가열 물체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부터 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단열 시트(116)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열 시트(116)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케이스(10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인터페이스부(114)를 통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전원부(112)를 제어하여 워킹 코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코일 베이스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는 제1 워킹 코일(202), 제2 워킹 코일(204), 코일 베이스(206)를 포함한다.
제1 워킹 코일(202)은 코일 베이스(206)의 상부에 장착되며 반지름 방향으로 제1 회전 수만큼 감겨진다. 또한 제2 워킹 코일(204)은 코일 베이스(206)의 상부에 장착되고, 제1 워킹 코일(202)과 중심을 공유하며 반지름 방향으로 제2 회전 수만큼 감겨진다.
제1 워킹 코일(202)의 회전 수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회전 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워킹 코일(202)의 회전 수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회전 수의 합은 코일 베이스(206)의 크기 및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규격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제1 워킹 코일(202)의 양단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양단은 각각 제1 워킹 코일(202)의 양단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외부로 연장된다. 제1 워킹 코일(202)의 양단에는 커넥터(204a, 204b)가 연결되고, 제2 워킹 코일(204)의 양단에는 커넥터(204c, 204d)가 연결된다.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은 커넥터(204a, 204b, 204c, 204d)를 통해 제어부(미도시) 또는 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커넥터(204a, 204b, 204c, 204d)는 전도성의 연결 단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코일 베이스(206)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체로서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이 장착되는 영역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자성 시트, 예컨대 페라이트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212a~212h)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베이스의 하부에는 페라이트 시트(314a~414h)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312a~312h)가 형성된다. 페라이트 시트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된다. 참고로 페라이트 시트의 개수, 형상, 위치, 단면적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베이스의 상부에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이 장착되고,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하부에는 자성 시트가 장착된다. 이러한 자성 시트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에 의해서 생성되는 자속이 코일 베이스(206)의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에 의해서 생성되는 자속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워킹 코일(202)의 중앙 영역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감지 센서(2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용기 감지 센서(220)는 제1 워킹 코일(202)과 중심을 공유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용기 감지 센서(220)의 위치는 중앙 영역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용기 감지 센서(220)의 외부면에는 미리 정해진 회전 수에 따라서 센싱 코일(222)이 감겨 있다. 센싱 코일(222)의 양단에는 커넥터(222a, 222b)가 연결된다. 센싱 코일(222)은 커넥터(222a, 222b)를 통해서 제어부(미도시) 또는 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용기 감지 센서(220)의 커넥터(222a, 222b)를 통해 센싱 코일(222)에 전류를 공급하여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감지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감지 센서(220)는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234)를 포함한다. 몸체(234)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갖는데, 몸체(234)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1 수용 공간으로 정의된다.
몸체(234)의 외부면에는 미리 정해진 권선수에 따라서 센싱 코일(222)이 감겨 있다. 센싱 코일(222)의 양단에는 다른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222a, 222b)가 연결될 수 있다. 센싱 코일(222)은 커넥터(222a, 222b)를 통해서 제어부(미도시) 또는 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전원부(미도시)를 통해서 센싱 코일(222)에 전류를 인가할 때 나타나는 센싱 코일(222)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나 전류의 위상 변화에 기초하여 피가열 물체의 종류,즉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지 아니면 사용 불가 용기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용기 감지 센서(220)는 몸체(234)의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자성 코어부(232)를 포함한다. 자성 코어부(232)는 자성을 갖는 물질, 예컨대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성 코어부(232)는 센싱 코일(222)에 전류가 흐를 때 센싱 코일(222)에 유도되는 자속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성 코어부(23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갖는데, 자성 코어부(23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2 수용 공간으로 정의된다.
자성 코어부(232)의 제2 수용 공간 내부에는 온도 센서(230)가 수용될 수 있다. 온도 센서(230)는 피가열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다른 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도선(230a, 230b)을 구비한다. 온도 센서(230)의 도선(230a, 230b)은 자성 코어부(232)의 타측 및 몸체(234)의 타측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감지 센서에 포함되는 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감지 센서의 몸체(234)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부(234a), 몸체부(234a)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배리어(234b) 및 몸체부(234a)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배리어(234c)로 구성된다.
제1 배리어(234b)는 전술한 자성 코어부(232)가 제1 수용 공간 내부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몸체부(234a)의 일측의 둘레 주변을 따라서 형성된다. 또한 제2 배리어(234c)는 전술한 자성 코어부(232)가 제1 수용 공간 내부로 수용될 때 자성 코어부(23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영역(236)을 갖는다.
또한 제2 배리어(234c)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성 코어부(232)의 타측을 통과한 온도 센서(230)의 도선(230a, 230b)을 몸체(234)의 타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도선용 홀(238)을 포함한다. 도선용 홀(238)을 통해서 노출된 온도 센서(230)의 도선(230a, 230b)은 제어부(미도시) 또는 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온도 센서(230) 및 자성 코어부(232)가 제1 배리어(234b)에서 제2 배리어(234c)를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온도 센서(230) 및 자성 코어부(232)가 제2 배리어(234c)에서 제1 배리어(234b)를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 영역(236) 및 도선용 홀(238)은 제1 배리어(234b) 상에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감지 센서는 센싱 코일(222)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서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동시에 온도 센서(230)를 통해서 피가열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230)가 몸체(234)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 및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유도 가열 장치 내부에서의 배치 및 공간 활용이 보다 유연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유도 센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602)는 전술한 바와 같은 용기 감지 센서의 센싱 코일(222)에 미리 정해진 진폭(A) 및 위상값(ωt)을 갖는 교류 전류(Acos(ωt))를 인가한다. 이와 같은 교류 전류를 센싱 코일(22)에 인가한 이후, 제어부(602)는 센싱 코일(22)을 거친 교류 전류를 수신하여 교류 전류의 성분을 분석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센싱 코일(22)에 전류를 인가하여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이 유도 센싱으로 정의된다.
만약 센싱 코일(22)에 근접하는 피가열 물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피가열 물체가 금속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사용 불가 용기인 경우, 센싱 코일(222)을 거쳐 수신되는 교류 전류(Acos(ωt+φ))의 위상값(ωt+φ)은 센싱 코일(22)에 인가되기 전의 위상값(ωt)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센싱 코일(22)에 근접하는 피가열 물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피가열 물체가 금속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사용 불가 용기인 경우 센싱 코일(222)의 인덕턴스 값(L)에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센싱 코일(222)에 근접하는 피가열 물체가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사용 가능 용기인 경우, 피가열 물체와 센싱 코일(22) 사이의 자기 및 전기 유도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서 센싱 코일(222)의 인덕턴스 값(L)에 큰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인덕턴스 값(L)의 변화는 센싱 코일(222)을 거쳐 수신되는 교류 전류(Acos(ωt+φ))의 위상값(ωt+φ)의 변화량(φ)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602)는 센싱 코일(222)에 미리 정해진 진폭(A) 및 위상값(ωt)을 갖는 교류 전류(Acos(ωt))를 인가하여 워킹 코일에 근접한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2)는 센싱 코일(222)에 미리 정해진 진폭(A) 및 위상값(ωt)을 갖는 교류 전류(Acos(ωt))가 인가될 때 측정되는 교류 전류(Acos(ωt+φ))의 위상값(ωt+φ)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피가열 물체를 사용 가능 용기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이 위상값(ωt+φ)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제어부(602)는 워킹 코일 근처에 사용 불가 용기가 존재하거나 피가열 물체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602)는 센싱 코일(222)에 미리 정해진 진폭(A) 및 위상값(ωt)을 갖는 교류 전류(Acos(ωt))가 인가될 때 센싱 코일(222)의 인덕턴스 값(L)을 측정하고, 측정된 인덕턴스 값(L)이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을 초과하면 피가열 물체를 사용 가능 용기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인덕턴스 값(L)이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제어부(602)는 워킹 코일 근처에 사용 불가 용기가 존재하거나 피가열 물체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상판부 상에 놓여진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2)는 사용 가능 용기가 놓여진 화구의 화력이 사용자가 지정한 화력에 도달하도록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가열 동작의 수행 과정에서 제어부(602)는 용기 감지 센서 내부에 수용된 온도 센서를 통해서 현재 가열되고 있는 용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경우, 용기 감지를 위하여 센싱 코일(222)에 공급되는 전력은 1W 이하이다. 이러한 전력의 크기는 종래의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 워킹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200W 이상)에 비하여 매우 작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2)는 유도 가열 장치에 올려진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예컨대, 1초 또는 0.5초)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센싱 코일(222)에 전류를 인가하고, 전류 인가에 따른 결과를 바탕으로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복적인 전류 인가 및 판별 동작을 수행할 경우 유도 가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이후 사용자가 유도 가열 장치에 용기를 올려놓을 때 실시간으로 용기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워킹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602)는 워킹 코일(202)에 미리 정해진 진폭(A) 및 위상값(ωt)을 갖는 교류 전류(Acos(ωt))를 인가한다.
만약 워킹 코일(202)에 근접하는 피가열 물체가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사용 가능 용기인 경우, 워킹 코일(202)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Acos(ωt))에 의해서 피가열 물체와 워킹 코일(202) 사이의 자기 및 전기 유도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서 피가열 물체에 와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워킹 코일(202) 주변의 와전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워킹 코일(202)에 근접하는 피가열 물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피가열 물체가 금속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사용 불가 용기인 경우, 피가열 물체와 워킹 코일(202) 사이의 자기 및 전기 유도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워킹 코일(202) 주변의 와전류 크기는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702)는 워킹 코일(202)에 교류 전류(Acos(ωt))를 인가한 후 전류 센서(702)를 통해서 워킹 코일(202) 주변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되는 와전류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부(702)는 피가열 물체를 사용 가능 용기로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워킹 코일(202)에 전류를 인가할 때 피가열 물체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이 전류 센싱으로 정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조작 영역을 나타낸다.
도 8은 앞서 설명된 도 1의 상판부(106)에 위치하는 조작 영역(118)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영역(118)에는 유도 가열 장치에 구비된 화구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화구 선택 버튼(802a, 804a, 806a) 및 각 화구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화력 선택 버튼(810)이 미리 인쇄되어 있다. 참고로 도 7에는 조작 영역(118)에 3개의 화구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나, 유도 가열 장치에 구비되는 화구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화력 표시 영역(802b, 804b, 806b)에는 대응되는 각각의 화구 위치 별 현재 화력이 숫자로 표시된다. 또한 조작 영역(118)에는 특정 화구가 급속하게 가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터보 표시 영역이 존재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먼저 사용하고자 하는 용기를 3개의 화구 중 어느 하나의 화구, 예컨대 제2 화구에 올려 놓은 후 제2 화구 선택 버튼(804a)을 터치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해당 화구에 올려놓은 용기에 가해질 화력을 화력 선택 버튼(810)을 통해서 입력한다. 그러면 유도 가열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2 화구에 놓인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인지 판별한 후, 해당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경우에 한해서 해당 화구와 대응되는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화력에 도달하기 위한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제2 화구에 놓인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이면 제2 화구에 대응되는 화력 표시 영역(804b)에는 사용자가 화력 선택 버튼(810)을 통해 입력한 화력이 숫자로 표시된다. 반대로 제2 화구에 놓인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가 아니면 제2 화구에 대응되는 화력 표시 영역(804b)에는 해당 용기가 사용 불가 용기임을 알리기 위한 숫자 또는 문자(예컨대, u)가 표시될 수 있다.
결국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임의의 화구에 용기를 올려놓은 이후 반드시 용기 선택 버튼을 통해서 가열하고자 하는 용기를 지정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된 유도 센싱 또는 전류 센싱 방법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화구에 올려놓은 피가열 물체, 즉 용기의 종류가 바로 판별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화구에 사용 가능 용기를 올려 놓을 경우, 유도 가열 장치는 사용자의 화구 선택 버튼(802a, 804a, 806a) 입력을 기다리지 않고 제2 화구에 대응되는 화력 표시 영역(804b)을 통해서 해당 화구가 사용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문자 또는 숫자(예컨대, 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또는 숫자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력 선택 버튼(810)을 통해서 해당 화구에 적용하고자 하는 화력을 입력하고, 입력된 화력은 곧바로 화력 표시 영역(804b)에 표시된다. 이후 유도 가열 장치는 해당 화구의 화력이 사용자가 입력한 화력에 도달하도록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제2 화구에 사용 불가 용기를 올려 놓을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용기 판별 과정에 따라서 제2 화구에 대응되는 화력 표시 영역(804b)에는 해당 용기가 사용 불가 용기임을 알리기 위한 숫자 또는 문자(예컨대, u)가 표시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 가능 용기를 임의의 화구에 올려 놓은 후 화구 선택 버튼(802a, 804a, 806a)을 누를 필요 없이 곧바로 원하는 화력을 입력하여 가열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화구 선택을 위한 입력 동작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가자 임의의 화구에 용기를 올려 놓으면 매우 빠른 시간 내에 해당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인지 아니면 사용 불가 용기인지 여부가 각각의 화력 표시 영역을 통해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올려 놓은 용기의 종류를 직관적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전류 센싱 및 유도 센싱을 이용한 본 발명의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602)는 먼저 유도 가열 장치의 상판부(106)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화구에 대하여 유도 센싱을 수행한다(9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2)는 상판부(106) 상에 위치하는 모든 화구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센싱 간격(예컨대, 0.5초 또는 1초)에 따라서 유도 센싱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904)에서 유도 센싱에 의해서 임의의 화구에 놓여진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602)는 해당 화구에 놓여진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전류 센싱을 수행한다(904). 즉, 제어부(602)는 유도 센싱을 통해서 1차적으로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판별하고, 1차 센싱을 통해서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된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전류 센싱을 2차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2차 센싱, 즉 전류 센싱에 의해서 해당 화구에 놓여진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최종 판별되면, 제어부(602)는 해당 피가열 물체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906). 예를 들어 제어부(602)는 1, 2차 센싱을 통해 최적으로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된 제2 화구에 대응되는 도 8의 화력 표시 영역(804b)에 해당 화구가 사용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문자 또는 숫자(예컨대, 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또는 숫자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력 선택 버튼(810)을 통해서 해당 화구에 적용하고자 하는 화력을 입력하고, 입력된 화력은 곧바로 화력 표시 영역(804b)에 표시된다. 이후 유도 가열 장치는 제2 화구의 화력이 사용자가 입력한 화력에 도달하도록 제2 화구에 대응되는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도 센싱은 전류 센싱에 비해서 보다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사용 가능 용기를 감지할 수 있으나, 코일 주변 온도나 다른 주변 환경 요인의 급격한 변화, 또는 노이즈의 발생으로 인하여 유도 센싱의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차적으로 유도 센싱에 의해서 사용 가능 용기가 감지되었을 때 전류 센싱에 의한 2차적인 용기 종류 판별을 통해서 용기 감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전원이 최초로 인가되면 모든 화구에 대하여 전류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전류 센싱 수행 결과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되면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이 최초로 인가될 때 전류 센싱을 수행하는 횟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유도 가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에서 모든 화구에 대하여 전류 센싱을 1회 수행하여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먼저 판별하는데, 이 최초 전류 센싱 과정에서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사용 가능 용기에 대해서는 곧바로 가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최초 전류 센싱을 통해서 사용 가능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이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주기적인 유도 센싱 수행을 통해서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유도 가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어(1002) 유도 가열 장치의 작동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602)는 유도 가열 장치에 존재하는 모든 화구에 대응되는 각각의 워킹 코일에 미리 정해진 진폭 및 위상값을 갖는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전류 센싱을 수행한다(1004).
제어부(602)는 단계(1004)의 최초 전류 센싱 수행 결과 임의의 화구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006). 판단(1006) 결과 임의의 화구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602)는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된 화구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1016).
예를 들어 제어부(602)는 단계(1006)의 판단 결과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력 표시 영역에 해당 화구가 사용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문자 또는 숫자(예컨대, 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또는 숫자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력 선택 버튼을 통해서 해당 화구에 적용하고자 하는 화력을 입력하고, 입력된 화력은 곧바로 화력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이후 제어부(602)는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된 화구의 화력이 사용자가 입력한 화력에 도달하도록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단계(1006)의 판단 결과 어느 화구에도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2)는 모든 화구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센싱 간격에 따라서 유도 센싱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1008). 예를 들어 제어부(602)는 각 화구에 대응되는 워킹 코일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용기 감지 센서의 센싱 코일에 0.5초마다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유도 센싱을 수행한다.
제어부(602)는 단계(1008)의 유도 센싱을 수행한 결과 임의의 화구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1010). 단계(1010)의 판별 결과 임의의 화구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602)는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된 화구에 대하여 전류 센싱을 수행한다(1012).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주변 온도나 다른 주변 환경 요인의 급격한 변화, 또는 노이즈의 발생으로 인하여 유도 센싱의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차적으로 유도 센싱에 의해서 사용 가능 용기가 감지되었을 때 전류 센싱에 의한 2차적인 용기 종류 판별을 통해서 용기 감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602)는 단계(1008)의 유도 센싱에 의해서 사용 가능 용기로 판별된 용기가 단계(1012)의 전류 센싱에 의해서도 사용 가능 용기로 판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1014). 단계(1014)의 확인 결과 해당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602)는 단계(1008)로 복귀하여 모든 화구에 대한 주기적인 유도 센싱을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단계(1014)의 확인 결과 해당 용기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602)는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된 화구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1016). 이 때 제어부(602)는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력 표시 영역에 해당 화구가 사용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문자 또는 숫자(예컨대, 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또는 숫자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력 선택 버튼을 통해서 해당 화구에 적용하고자 하는 화력을 입력하고, 입력된 화력은 곧바로 화력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이후 제어부(602)는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된 화구의 화력이 사용자가 입력한 화력에 도달하도록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1004) 내지 단계(1006)에 의해 수행되는 센싱 과정, 또는 단계(1008) 내지 단계(1014)에 의해서 수행되는 센싱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가 피가열 물체를 올려놓은 시점에 피가열 물체의 종류가 판별된다. 그리고 이러한 판별 결과는 도 8에 도시된 화력 표시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 가열 장치의 전원 인가 후 용기를 상판부에 올려놓기만 하면 해당 용기의 종류를 사용자가 빠르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센싱 과정에 의해서 자동으로 사용 가능 용기가 인식되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화구 선택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상부에 피가열 물체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화구를 포함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 하부에 상기 화구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워킹 코일;
    미리 정해진 회전 수에 따라서 센싱 코일이 감겨 있고 상기 워킹 코일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열 물체를 감지하는 용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수행되는 전류 센싱 및 상기 용기 감지 센서의 센싱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수행되는 유도 센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 용기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든 화구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센싱 간격에 따라서 상기 유도 센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유도 가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 센싱에 의해서 상기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상기 워킹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싱을 수행하는
    유도 가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최초로 인가되면 모든 화구에 대하여 상기 전류 센싱을 수행하는
    유도 가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센싱에 의해서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된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만 상기 워킹 코일을 이용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유도 가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센싱은
    상기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때 상기 피가열 물체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로 결정되는 것인
    유도 가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센싱은
    상기 센싱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때 측정되는 상기 전류의 위상값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로 결정되는 것인
    유도 가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센싱은
    상기 센싱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때 측정되는 상기 센싱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로 결정되는 것인
    유도 가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센싱 수행 시 소모 전력은 상기 전류 센싱 수행 시 소모 전력보다 작게 설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
  10. 상부에 피가열 물체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화구를 포함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 하부에 상기 화구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워킹 코일, 미리 정해진 회전 수에 따라서 센싱 코일이 감겨 있고 상기 워킹 코일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열 물체를 감지하는 용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워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수행되는 전류 센싱 및 상기 용기 감지 센서의 센싱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수행되는 유도 센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 용기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화구에 대하여 상기 유도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도 센싱에 의해서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상기 전류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센싱 수행 결과 상기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전원이 최초로 인가되면 모든 화구에 대하여 상기 전류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센싱 수행 결과 피가열 물체가 사용 가능 용기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피가열 물체에 대해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모든 화구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센싱 간격에 따라서 상기 유도 센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080804A 2017-06-26 2017-06-26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6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804A KR102069581B1 (ko) 2017-06-26 2017-06-26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ES18179803T ES2887346T3 (es) 2017-06-26 2018-06-26 Dispositivo de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y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el mismo
EP18179803.4A EP3422810B1 (en) 2017-06-26 2018-06-26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018,225 US11265975B2 (en) 2017-06-26 2018-06-26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1171142.9A EP3876671A1 (en) 2017-06-26 2018-06-26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804A KR102069581B1 (ko) 2017-06-26 2017-06-26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484A Division KR102250802B1 (ko) 2020-01-13 2020-01-13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00A KR20190001200A (ko) 2019-01-04
KR102069581B1 true KR102069581B1 (ko) 2020-01-23

Family

ID=6279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804A KR102069581B1 (ko) 2017-06-26 2017-06-26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65975B2 (ko)
EP (2) EP3876671A1 (ko)
KR (1) KR102069581B1 (ko)
ES (1) ES288734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16047A1 (en) * 2018-08-31 2020-02-29 Instant Brands Inc. Induction heating food processor
EP4183226A1 (de) * 2020-07-17 2023-05-24 BSH Hausgeräte GmbH Kochfeldvorrich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9159Y2 (ja) * 1992-10-12 1999-01-20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調理用誘導加熱装置
WO2014064941A1 (ja) * 2012-10-25 2014-05-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JP6038345B2 (ja) * 2013-11-01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345B2 (ja) 1978-11-07 1985-08-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伝送用ガラス素材の製造方法
KR100661226B1 (ko) 2005-12-02 200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의 부하 감지장치 및 방법
ES2335256B1 (es) * 2008-01-14 2011-01-17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Campo de cocion por induccion con una pluralidad de cuerpos de calentamiento por induccion.
EP3206461B1 (en) 2010-11-16 2018-06-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uction-heating cooking system and controlling process thereof
KR101844405B1 (ko) 2011-04-08 201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US9699834B2 (en) * 2012-10-22 2017-07-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er
DE112013007531T5 (de) 2013-10-24 2016-07-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uktionswärmeherd
ES2535245B1 (es) * 2013-11-05 2016-02-16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por inducción
US9543817B2 (en) * 2014-06-07 2017-01-10 David Deak, SR. Hollow magnetic metal core pulse energy harvesting generator
DE102014224051A1 (de) * 2014-11-25 2016-05-25 E.G.O. Elektro-Gerätebau GmbH Induktionskochfeld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Induktionskochfelds
DE102015202032A1 (de) * 2015-02-05 2016-08-11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Induktor, insbesondere zur magnetisch gekoppelten Energieübertrag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erartigen Indukt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9159Y2 (ja) * 1992-10-12 1999-01-20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調理用誘導加熱装置
WO2014064941A1 (ja) * 2012-10-25 2014-05-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JP6038345B2 (ja) * 2013-11-01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65975B2 (en) 2022-03-01
KR20190001200A (ko) 2019-01-04
US20180376546A1 (en) 2018-12-27
ES2887346T3 (es) 2021-12-22
EP3876671A1 (en) 2021-09-08
EP3422810B1 (en) 2021-07-28
EP3422810A1 (en)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703B1 (ko)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52704B1 (ko) 유도 가열 장치
KR102069583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용기 감지 방법
KR102250802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79826B1 (ko)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69581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94498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용기 감지 방법
KR102052705B1 (ko) 유도 가열 장치
KR102258803B1 (ko)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69582B1 (ko)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69580B1 (ko)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256126B1 (ko)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