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29B1 -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29B1
KR102336129B1 KR1020200096939A KR20200096939A KR102336129B1 KR 102336129 B1 KR102336129 B1 KR 102336129B1 KR 1020200096939 A KR1020200096939 A KR 1020200096939A KR 20200096939 A KR20200096939 A KR 20200096939A KR 102336129 B1 KR102336129 B1 KR 10233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output
heating element
dish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0009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은,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단계, 피가열체의 부하 저항 및 부하 인덕터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피가열체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 발열체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을 표시하는 단계,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에서 수행될 요리 유형의 적합도에 따라 요리 유형 리스트를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요리 유형 리스트에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OPERAITNG METHOD OF HEATING DEVICE WITH RECOMMENDED FUNCTION OF OBJECT TO BE HEATED}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선택된 조리 유형에 적합한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조리 또는 살균을 포함한 다양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가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온 반면,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냄비, 프라이팬, 찜솥 또는 주전자와 같은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한 가열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 및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을 포함한다. 저항 가열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한편,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가열체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피가열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하는 가열 장치의 경우,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피가열체에 유도 전류가 흐름으로써 피가열체가 가열되기 때문에, 피가열체의 특성에 따라 가열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피가열체의 특성에 따라 가열 효율이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상 불편을 느낄 수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피가열체의 특성에 따라 가열 장치에 놓여진 피가열체에서 실행가능한 조리 유형을 판단하고, 선택된 조리 유형에 적합한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은,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단계, 피가열체의 부하 저항 및 부하 인덕터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피가열체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 발열체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을 표시하는 단계,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에서 수행될 요리 유형의 적합도에 따라 요리 유형 리스트를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요리 유형 리스트에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발열체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 중 특정 출력 단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출력 단계로 발열체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중 최대 출력 이하의 출력 단계들로 수행 가능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중 최대 출력을 초과하는 출력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포함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피가열체의 주파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요리에 적합한 피가열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중 최대 출력을 초과하는 출력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포함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선택된 요리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피가열체를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은,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단계, 피가열체의 부하 저항 및 부하 인덕터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피가열체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 발열체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을 표시하는 단계, 발열체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 중 특정 출력 단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출력 단계에 대응하는 요리 유형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요리 유형 리스트에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요리 유형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출력 단계에 대응하는 요리 유형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선택된 출력 단계로 발열체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에 따른 가열 장치는 워킹 코일 및 피가열체의 전자기적 결합 특성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피가열체에서 실행 가능한 출력 단계 및 사용이 바람직한 조리 유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 유형에 화구에 배치된 피가열체의 사용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조리 유형에 적합한 피가열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열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 유형에 따른 적합한 피가열체를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 및 피가열체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 외부 전원 및 피가열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 및 피가열체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열 장치(100)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0)의 플레이트의 상면(100F)에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또는 화구들) 및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0)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화구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을 통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전기레인지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 장치(100)는 3개의 발열체들, 즉, 제1 발열체(10_1), 제2 발열체(10_2) 및 제3 발열체(10_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발열체(10_1), 제2 발열체(10_2) 및 제3 발열체(10_3)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 장치(100)에 포함된 발열체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열 장치(100)는 2개의 발열체를 포함하거나, 4개 이상의 발열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열 장치(100)는 인덕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열체(10_1)는 인덕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은 모두 인덕션들일 수 있다. 또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 장치(100)는 가열 방식이 서로 다른 발열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열체(10_1)는 및 제2 발열체(10_2)는 인덕션일 수 있고, 제3 발열체(10_3)는 하이라이트일 수도 있다.
제1 발열체(10_1)에 피가열체(200_1)가 배치될 수 있다. 피가열체(200_1) 는 가열 장치(100)에 의해 가열되는 물체를 나타낼 수 있다. 피가열체(200_1)는 냄비, 프라이팬, 찜솥, 주전자 및 티포트 등과 같은 피가열 용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가열 장치(100)에 제1 발열체(10_1)에 피가열체(200_1)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2 발열체(10_2) 및 제3 발열체(10_3)에 각각 배치되는 피가열체에도 이하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피가열체(200_1)는 인덕션인 제1 발열체(10_1)와 전자기적으로 결합(coupling)되는 부하 인덕터(inductor)와 부하 저항이 연결된 형태의 등가 회로로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조작부 및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의 동작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가열 장치(100)의 몸체의 상면(100F)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가열 장치(100) 내부에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 외부 전원 및 피가열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열 장치(100)는 복수의 발열체들, 복수의 발열체들로 전력을 제공하여 복수의 발열체들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구동부들,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로 제공되는 전력을 생성하는 직류 전원 생성부(30), 사용자 인터페이스(40), 통신부(50), 메모리(60) 및 가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0)는 외부 전원(300)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외부 전원(300)으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이용해 가열 장치(100)의 제1 발열체(10_1) 상에 놓여진 피가열체(200_1)를 가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피가열체(200_1)가 놓여진 제1 발열체(10_1)를 도시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제2 피가열체가 놓여진 제2 발열체 또는 제3 피가열체가 놓여진 제3 발열체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발열체(10_1)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20_1)에 도시하지만, 제2 발열체(10_2)를 구동하는 제2 구동부 및 제3 발열체(10_3)를 구동하는 제3 구동부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외부 전원(300)은 가열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외부 전원(300)은 가열 장치(100)의 전력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상용 전원일 수 있다. 상용 전원은 사용하는 국가 및/또는 지역에 따라 110V 교류 전원, 220V 교류 전원, 380V 교류 전원 또는 그 외의 임의의 전압 레벨을 갖는 교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직류 전원 생성부(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복수의 구동부들 각각으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구동부(20_1)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0_1)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제1 발열체(10_1)를 구동시킬 수 있고, 직류 전원 생성부(30)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제1 발열체(10_1)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직류 전원 생성부(30)는 외부 전원(300)으로부터 수신되는 교류 전압을 이용해 직류 전압을 생성해낼 수 있다. 직류 전원 생성부(30)는 다양한 형태의 정류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구동부(20_1)는 스위칭부(21)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도 3의 C)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1)는 직류 전원 생성부(30)에 의해 제공되는 직류 전압을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교류 전압으로 바꾸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스위칭부(21)는 외부 전원(300)으로부터 수신되는 교류 전압보다 고주파의 교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칭부(21)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원을 제1 발열체(10_1)에 제공할 수 있고, 유도 가열을 위한 고주파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스위칭부(21)는 인버터(invert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칭부(21)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칭 소자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IGB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스위칭부(21)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MOS-FET 또는 IGCT(Integrated Gate-Commutated Thyristor) 등 다양한 종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제1 발열체(10_1)는 교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공급 받은 교류 전력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magnetic field)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발열체(10_1)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변화는 피가열체(200_1) 주변의 자속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고, 자속의 변화로 인해 피가열체(200_1)에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제1 발열체(10_1)는 워킹 코일(L_coil)이라 칭해질 수도 있다. 제1 발열체(10_1)의 워킹 코일(L_coil)은 피가열체(200_1)의 부하 인덕터(L_load)와 전자기적으로 결합(coupling)될 수 있다.
피가열체(200_1)는 가열 장치(100)의 제1 발열체(10_1)와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부하 인덕터(L_load)와 부하 저항(R_load)이 연결된 형태의 등가 회로로서 표현될 수 있다. 가열 장치(100)의 제1 발열체(10_1)에 교류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제1 발열체(10_1)와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피가열체(200_1)의 인덕터 주변의 자기장이 변하게 되고, 피가열체(200_1)의 부하 인덕터(L_load) 및 부하 저항(R_load)에는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부하 저항(R_load)에 유도 전류가 흐름으로써 부하 저항(R_load)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피가열체(200_1)는 부하 저항(R_load)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제1 노드(Nd1) 및 제2 노드(Nd2) 사이의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제1 발열체(10_1) 및 피가열체(200_1)는, 제1 노드(Nd1) 및 제2 노드(Nd2) 사이에 직렬 연결된 등가 인덕터 및 등가 저항을 포함하는 등가 임피던스의 등가 회로로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동부(20_1)가 동일한 주파수의 동일한 듀티 비의 교류 전압을 공급한다고 하더라도, 피가열체(200_1)의 인덕턴스 값(L_load), 부하 저항 값(R_load) 및 제1 발열체(10_1)와 피가열체(200_1)의 인덕터의 결합 정도에 따라 피가열체(200_1)에서 평균적으로 소모되는 전력 값은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피가열체(200_1)는 제1 발열체(10_1)에 등가 임피던스에 따른 제1 공진 주파수의 전원이 제공될 때 최대 전력 효율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공진 주파수로부터 제1 발열체(10_1)의 동작 주파수가 멀어질수록 피가열체(200_1)의 출력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제1 공진 주파수는 피가열체(200_1)의 인덕턴스 값(L_load), 부하 저항 값(R_load) 및 제1 발열체(10_1)와 피가열체(200_1)의 인덕터의 결합 정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조작부 및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의 동작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사용자의 조작, 예를 들어, 구동시킬 발열체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발열체의 온/오프 동작, 구동 시간 조절 및 출력 조절 등에 대응되는 명령을 발생시켜서 제어부(70)로 출력할 수 있다.
조작부는 정전식 터치 패널, 감압식 터치 패널, 적외선 방식의 터치 패널, 초음파 방식의 터치 패널, 물리적 버튼, 광학키, 키패드, (디지털)펜 센서, 및 음성 입력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0)의 구현에 따라, 조작부는 표시부와 하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가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부는 터치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표시부는 제어부(70)의 제어를 받아서, 발열체의 온/오프, 출력 단계, 구동 시간 및, 온도 등 가열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는 시각적 방법, 청각적 방법 또는 다른 감각을 통한 방법에 의해 가열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는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피가열체(200_1)의 출력 효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가열체(200_1)의 출력 효율이 낮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표시부는 사용자에게 피가열체(200_1)의 출력 효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표시부는 출력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피가열체가 배치된 발열체를 시각적인 방법 및/또는 청각적인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표시부는 동시에 구동하는 발열체들 각각에 사용이 적합한 피가열체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인 방법 및/또는 청각적인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부(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망, WIFI 망 등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통신부(50)는 온라인 쇼핑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이 적합한 피가열체를 구입할 수 있도록 피가열체를 추천할 수 있다.
메모리(60)는 가열 장치(100)에 관한 정보 및 가열 장치(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알고리즘 등을 메모리(6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0)는 플래시 메모리, 자기 저항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 DRAM, S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는 제어부(70)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70)가 마이컴(microcomputer) 또는 미니컴퓨터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60)는 제어부(70)와 하나의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서, 메모리(60)에는 피가열체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발열체 출력 정보(61) 및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62)가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메모리(60)에는 이전에 측정된 피가열체들의 공진 주파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가열 장치(100) 내의 다양한 구성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또는 미니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1 구동부(20_1)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부들 각각을 제어함으로써, 제1 발열체(10_1)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열체들 각각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열체들 각각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피가열체(200_1)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피가열체(200_1)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어부(70)는 제1 발열체(10_1)로 제공되는 전류를 측정한 결과에 따라 피가열체(200_1)의 주파수 특성을 검출할 수 있고, 피가열체(200_1)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피가열체(200_1)가 배치된 제1 발열체(10_1)로 공진 주파수의 전원을 제공하도록 스위칭 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메모리(60)에 저장된 피가열체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발열체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발열체(10_1)의 출력 가능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제어함으로써, 제1 발열체(10_1)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메모리(60)에 저장된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피가열체(100_1)에 적합한 요리 유형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요리 유형을 선택하는 경우에, 제어부(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출력 효율이 높은 피가열체로 변경하여 사용하도록 안내할 수 있고, 또는, 통신부(50)를 통해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선택된 요리 유형에 적합한 피가열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100)의 메모리(60)에 저장된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62)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발열체(10_1)는 오프 상태(OFF) 및 온(ON) 상태로 동작할 수 있고, 온 상태에서 제1 발열체(10_1)는 복수의 출력 단계들 중 하나의 출력 단계로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발열체(10_1)가 동작하는 복수의 출력 단계들은 제1 내지 제10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출력 단계에서 제10 출력 단계, 즉, 터보(Turbo) 출력 단계로 갈수록 제1 발열체(10_1)의 출력이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62)는 제1 내지 제10 출력 단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요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62)에서, 제1 출력 단계 및 제2 출력 단계는 죽 요리 및 스프 요리, 제3 출력 단계 및 제4 출력 단계는 국 요리(예를 들어, 곰탕 등), 제5 출력 단계는 일반 요리, 제6 출력 단계 및 제7 출력 단계는 볶음 요리, 제8 출력 단계 및 제9 출력 단계는 부침 요리(예를 들어, 김치부침개, 달걀 프라이 등), 제10 출력 단계는 물 끓이기(예를 들어, 라면, 국수 삶기)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요리는 제5 출력 단계와 다른 출력 단계에 대응되는 요리 유형을 제외한 요리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62)에 기초하여, 제1 발열체(10_1) 상에 배치된 피가열체(200_1)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요리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피가열체(200_1)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피가열체(200_1)의 최대 출력을 결정할 수 있고, 피가열체(200_1)의 최대 출력 및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62)에 기초하여, 피가열체(200_1)에서 적합한 요리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피가열체(200_1)의 주파수 특성으로 인해 최대 출력이 제4 출력 단계로 판단되면 피가열체(200_1)를 제1 타입 용기로 판단할 수 있고, 피가열체(200_1)에서 적합한 요리 유형을 죽 요리, 스프 요리 및 국 요리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피가열체(200_1)의 주파수 특성으로 인해 최대 출력이 제7 출력 단계로 판단되면, 피가열체(200_1)를 제2 타입 용기로 판단할 수 있고 피가열체(200_1)에서 적합한 요리 유형을 죽 요리, 스프 요리, 국 요리, 일반 요리, 및 볶음 요리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피가열체(200_1)의 주파수 특성으로 인해 최대 출력이 제10 출력 단계로 판단되면, 피가열체(200_1)를 제3 타입 용기로 판단할 수 있고 피가열체(200_1)는 모든 요리 유형의 요리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가열 장치(100)의 플레이트의 상면(100F)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가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S10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플레이트의 상면(100F)에 배치된 피가열체(200_1)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하는 제1 내지 제3 조작부(41_1~41_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부(41_1)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가열 장치(100)는 제1 조작부(41_1)에 대응하는 제1 발열체(10_1) 상에 배치된 피가열체(200_1)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조작부(41_1)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가열 장치(100)는 제1 조작부(41_1) 및 제1 조작부(41_1)에 대응하는 제1 발열체(10_1)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조작부 및 다른 발열체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피가열체(200_1)의 주파수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0)는 가열 장치(100)는 감지된 피가열체(200_1)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피가열체(200_1)의 부하 인덕턴스 값, 부하 저항 값 및 제1 발열체(10_1)와의 인덕터의 결합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피가열체(200_1)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열체(10_1)로 제공되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피가열체(200_1)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0)는 검출된 피가열체(200_1)의 공진 주파수를 메모리(예를 들어, 도 2의 메모리(60))에 저장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피가열체(200_1)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0)는 메모리(60)의 피가열체 주파수 특성에 따른 발열체 출력 정보(61)에 기초하여, 피가열체(200_1)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0)는 피가열체(200_1)가 배치된 제1 발열체(10_1)의 최고 출력 단계를 제7 출력 단계로 판단할 수 있고, 피가열체(200_1)를 제2 타입 용기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S40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제1 발열체(10_1)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의 조절 가능한 출력 단계를 표시하고,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의 출력 단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4 조작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0)는 피가열체(200_1)를 가열할 때, 제1 발열체(10_1)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 즉, 오프 단계, 제1 출력 단계 내지 제7 출력 단계를 표시할 수 있다.
S50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특정 발열체, 예를 들어, 제1 발열체(10_1)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발열체에서 수행이 가능한 요리 유형 리스트를 표시할 지를 선택할 수 있는 제5 조작부(43)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5 조작부(43)를 터치한 것이 감지되면, 가열 장치(100)는 발열체 출력 가능 범위에 따른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열 장치(100)는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S610 단계에서, 제1 발열체(10_1)의 출력 가능 범위에 기초하여 요리 유형 리스트를 요리 적합도에 따라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0)는 메모리(60)의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62)에 기초하여, 피가열체(200_1)로 수행하기 적합한 요리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 장치(100)는 제1 발열체(10_1) 상에 배치된 피가열체(200_1)에서 수행하기 적합한 요리 유형일수록 먼저 표시되도록 요리 유형 리스트를 배열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제1 추천 요리 리스트(43_1)를 제2 추천 요리 리스트(43_2)보다 우선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 장치(100)는 요리 유형 리스트 선택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추천 요리 리스트(43_1)를 사용자 인터페이스(40)에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추가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추천 요리 리스트(43_2)를 사용자 인터페이스(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추천 요리 리스트(43_1)는 피가열체(200_1)에서 수행하기에 적합한 요리 유형의 리스트일 수 있다. 피가열체(200_1)가 제2 타입의 용기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죽 요리/스프 요리, 국 요리, 보통 요리, 및 볶음 요리가 제1 추천 요리 리스트(43_1)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2 추천 요리 리스트(43_2)는 피가열체(200_1)에서 수행하기에 상대적으로 부적합한 요리 유형의 리스트일 수 있다. 피가열체(200_1)가 제2 타입의 용기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부침 요리 및 물 끓이기가 제2 추천 요리 리스트(43_2)로서 제공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에 표시된 요리 유형 리스트에 포함된 요리 유형들 중에서 특정 요리에 대한 선택의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요리에 대한 선택의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S63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0)는 선택된 요리에 따라 출력 단계를 결정하고 가열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S710 단계에서, 제1 발열체(10_1)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 중에서 특정 출력 단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출력 단계에 대한 선택의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S72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선택된 출력 단계로 제1 발열체(10_1)를 동작시킬 수 있다.
가열 장치(100)는 특정 요리 선택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고, 특정 출력 단계 선택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1 발열체(10_1)를 동작시키지 않고,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가열 장치(100)는, 피가열체(200_1)를 가열 동작에 사용함에 있어서 적합한 요리 유형을 적합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피가열체(200_1)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출력 단계의 범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요리를 수행할 때 사용이 적합한 용기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S630 단계 및 S630A 단계는 각각 도 4의 S630 단계의 일 예시이다. 도 10의 S630 단계는 S631 내지 S633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S630 단계는 S631 내지 S63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631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최대 출력 이하의 출력 단계들로 수행 가능한 특정 요리 선택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최대 출력은, 도 4의 S300 단계에서 판단된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내의 최대 출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장치(100)는 최대 출력 이하의 출력 단계들을 수행하여도 선택된 요리가 충분히 수행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최대 출력 이하의 출력 단계들로 수행 가능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S632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최대 출력을 초과하는 출력 단계를 수행하는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S633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선택된 요리에 대응하는 다른 피가열체를 추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 장치(100)의 메모리(예를 들어, 도 2의 60)에는 출력 효율이 좋은 피가열체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고, 가열 장치(100)는 출력 효율이 좋은, 즉, 터보 모드까지 가열이 가능한 피가열체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도 2의 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 장치(100)는 메모리(예를 들어, 도 2의 60)에 저장된 주파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요리에 대응하는 다른 피가열체를 추천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0)는 도 4의 S200 단계를 수행함에 따라 추출된 피가열체의 주파수 특성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6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장치(100)는 메모리(60)에 저장되고, 기사용된 복수의 피가열체들 각각에 대한 주파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요리에 적합한 피가열체를 판단할 수 있고, 기사용된 피가열체들 중 선택된 요리에 적합한 피가열체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S630A 단계는 S631 내지 S633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631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최대 출력 이하의 출력 단계들로 수행 가능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최대 출력 이하의 출력 단계들로 수행 가능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S632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최대 출력을 초과하는 출력 단계를 수행하는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S633A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선택된 특정 요리에 대응하는 다른 피가열체를 구매하도록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0)는 터모 모드까지 가열이 가능한 피가열체를 인터넷 구매가 가능하도록 통신부(50)를 통해 인터넷 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가열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 유형에 발열체에 배치된 피가열체의 사용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조리 유형에 적합한 피가열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열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 유형에 따른 적합한 피가열체를 추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4에서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 중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11을 참조하면, S710B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발열체, 예를 들어, 도 1의 제1 발열체(10_1)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 중에서 특정 출력 단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출력 단계에 대한 선택의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S500B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S720B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선택된 출력 단계로 제1 발열체(10_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S610B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S710B 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출력 단계에 대응하는 요리 유형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단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제1 출력 단계에 대응하는 죽 요리/스프 요리를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S620B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에 표시된 요리 유형 리스트에 포함된 요리 유형들 중에서 특정 요리에 대한 선택의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요리에 대한 선택의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S63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0)는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0)는 선택된 요리에 따라 출력 단계를 결정하고 가열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요리 유형 리스트 선택의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열 장치(100)는 S720B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나타낸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0)은 댁(500) 내 구비되는 액세스 포인트(510), 복수의 장치들(5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또는 클라우드; 6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치들(520)은 액세스 포인트(510)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510)는 서버(600)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400)과 제3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장치들(520)은 사용자 단말(400)과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복수의 장치들(520)은 사용자 단말(400)과 제4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제2 네트워크, 제3 네트워크 및 제4 네트워크 각각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내지 제4 네트워크 각각은,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네트워크는 LTE-M,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IoT(Internet of Things) 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3 네트워크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의 이동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장치들(520)은 액세스 포인트(510)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서버(600)와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장치들(520)은 가정에 구비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전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장치들(520)은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 조명, 안마기, 웨어러블 장치, 스피커 등과 같은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장치들(520)은 냉장고, 오븐, 전자레인지, 전기레인지, 밥솥, 커피 머신, 로봇쿠커, 식기 세척기와 같은 다양한 주방 가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치들(520)은 제1 장치(520_1), 제2 장치(520_2) 내지 제N 장치(520_N)(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댁(500) 내에 하나의 제1 장치(520_1)만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장치(520_1)는 전기 레인지인 가열 장치일 수도 있다.
제1 장치(520_1)는 전기 레인지인 가열 장치일 수 있고, 제2 장치(520_2) 내지 제N 장치(520_N) 각각은 상기 언급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장치(520_1) 내지 제N 장치(520_N) 각각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51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제4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장치(520_1) 내지 제N 장치(520_N)는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장치(520_1) 내지 제N 장치(520_N)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 경로를 중개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허브, 스위치, 라우터 등과 같은 중간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서버(600)는 각종 데이터 또는 알고리즘을 액세스 포인트(510), 복수의 장치들(520)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음성 신호, 터치 신호 및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카메라를 통해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감각적인 방법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동작,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 제공하는 동작은,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가열 장치인 제1 장치(520_1)가 제4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함으로써, 사용자 단말(400)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은 설치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400)은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이 스마트폰인 경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DRAM,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100: 가열 장치
10_1~10_3: 발열체
20_1: 제1 구동부
30: 직류 전원 생성부
40: 사용자 인터페이스
50: 통신부
60: 메모리
70: 제어부

Claims (8)

  1.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부하 저항 및 부하 인덕터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피가열체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열체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을 표시하는 단계;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발열체 출력에 따른 요리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열체에서 수행될 요리 유형의 적합도에 따라 요리 유형 리스트를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요리 유형 리스트에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중 최대 출력을 초과하는 출력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포함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사용된 복수의 피가열체들 각각의 주파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요리에 적합한 피가열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 중 특정 출력 단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출력 단계로 상기 발열체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중 최대 출력 이하의 출력 단계들로 수행 가능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중 최대 출력을 초과하는 출력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포함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된 요리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피가열체를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6.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부하 저항 및 부하 인덕터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피가열체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열체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발열체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단계들 중 특정 출력 단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출력 단계에 대응하는 요리 유형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요리 유형 리스트에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요리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요리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체의 출력 가능 범위 중 최대 출력을 초과하는 출력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포함된 특정 요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기사용된 복수의 피가열체들 각각의 주파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요리에 적합한 피가열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 유형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요리 유형 리스트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출력 단계에 대응하는 요리 유형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출력 단계로 상기 발열체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00096939A 2020-08-03 2020-08-03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36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939A KR102336129B1 (ko) 2020-08-03 2020-08-03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939A KR102336129B1 (ko) 2020-08-03 2020-08-03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129B1 true KR102336129B1 (ko) 2021-12-08

Family

ID=7886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939A KR102336129B1 (ko) 2020-08-03 2020-08-03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660B2 (ja) * 2004-11-26 2010-08-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90109935A (ko)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피가열체에서 실행 가능한 조리 유형을 판단하는 가열 장치
JP2019179599A (ja) * 2018-03-30 2019-10-1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660B2 (ja) * 2004-11-26 2010-08-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90109935A (ko)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피가열체에서 실행 가능한 조리 유형을 판단하는 가열 장치
JP2019179599A (ja) * 2018-03-30 2019-10-1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46587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nduction heating device
US11255548B2 (en) Cooktop appliance control system
JPWO2015063942A1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7272479B (zh) 基于超声波的触摸感测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烹饪设备和家用电器
KR102336129B1 (ko) 피가열체 추천 기능을 구비한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JP6211175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30012630A1 (en) Electric range providing specific functions according to gesture of user
KR20220107989A (ko) 스마트 가열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5632B1 (ko) 피가열체에서 실행 가능한 조리 유형을 판단하는 가열 장치
JP696056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2248499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238453B1 (ko) 주변 환경에 따라 가열 보상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53496B1 (ko) 선택된 조리 유형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가열 장치
JP2022542125A (ja) 検出回路、電気器具及び制御方法
KR102165578B1 (ko) 가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53499B1 (ko) 가열 장치 및 이의 출력 제어 방법
KR102175639B1 (ko) 가열 장치 및 이의 출력 제어 방법
CN104977462B (zh) 一种计算烹饪器具中的烹饪对象耗电量的设备和方法
US20230233020A1 (en) Method of outputting information regarding cooking applian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erefor
EP4354705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cooking device positioning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90110810A (ko) 피가열체 특성에 따른 온도 제어를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20230037555A1 (en) Electric range providing specific functions without user intervention
JP5257542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30209663A1 (en) Cooking device having multi-power structure
CN213371393U (zh) 电加热锅和电加热锅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