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641B1 -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641B1
KR102175641B1 KR1020190053904A KR20190053904A KR102175641B1 KR 102175641 B1 KR102175641 B1 KR 102175641B1 KR 1020190053904 A KR1020190053904 A KR 1020190053904A KR 20190053904 A KR20190053904 A KR 20190053904A KR 102175641 B1 KR102175641 B1 KR 10217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sensor module
temperature
signal
nfc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05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65Handheld, por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7Constructional details making use of sensor-related data, e.g. for identification of sensor parts 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센서 모듈은, 피가열체의 온도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온도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정보 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독출 신호에 기반하여 저장된 온도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및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독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수신한 상기 온도 정보 신호를 무선 신호를 통해 출력하는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COOKING APPARATUS AND TEMPERATURE SENSOR MODULE CONFIGURED TO SEAT ON THE SAM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냄비 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기로서, 인덕션(induction), 핫-플레이트(hot plate) 등 다양한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인덕션, 핫-플레이트 등의 조리기기는 기존 가열 조리기기에 비해 높은 에너지효율을 가지며 가스 누출과 폭발 위험이 없고, 세척이 편리하고, 조리시에 공기 중 산소를 소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조리기기들은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고, 다양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조리기기들은, 조리되는 음식물의 종류 및/또는 상태에 따른 온도 제어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피가열체의 온도에 대한 용이하고도 정밀한 측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의 상판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모듈 및 상기 온도 센서 모듈이 안착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에 따른 온도 센서 모듈은, 피가열체의 온도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온도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정보 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독출 신호에 기반하여 저장된 온도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및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독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수신한 상기 온도 정보 신호를 무선 신호를 통해 출력하는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온도 센서 모듈은 상기 피가열체가 안착되는 조리기기의 상판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피가열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센싱함으로써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NFC 태그는, 상기 온도 정보 신호에 상기 NFC 태그의 태그 ID를 더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피가열체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화구를 포함하는 상판; NFC 태그를 감지하고 NFC 태그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NFC 태그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NFC 태그로부터 상기 피가열체에 대한 온도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NFC 리더(Near Field Communication reader); 및 상기 NFC 리더로부터 상기 온도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온도 정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화구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NFC 리더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NFC 태그가 상기 상판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탈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탈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이탈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 이탈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이탈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내부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온도 센서 모듈은 피가열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바로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정확한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하게 센싱된 피가열체의 온도 정보가 용이하게 조리기기로 전달됨에 따라, 조리기기는 정확한 온도 정보에 기 반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리기기의 조리 동작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조리기기에 안착되는 피가열체 및 온도 센서 모듈의 간략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센서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센서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조리기기에 안착되는 피가열체 및 온도 센서 모듈의 간략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조리기기(100)의 적어도 일부 및 온도 센서 모듈(200)이 도시되고,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00)는 상판(top plate)(TP)을 포함하고, 상판(TP)은 화구(110)를 포함할 수 있다. 화구(110)는 피가열체(10)가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구(110)는 피가열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평탄한 상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화구(110)는 내열성이 우수한 유리 재질을 포함하고, 피가열체(10)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투과할 수 있다. 피가열체(10)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는, 적외선, 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판(TP)이 하나의 화구(1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상판(TP)은 다수의 화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화구(110)의 모양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화구(110)의 모양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조리기기(100)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고, 이에 기반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전기레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0)는 인덕션 레인지 또는 핫-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는, 조리기기(100)는 인덕션 레인지 및 핫-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가열장치일 수 있다. 인덕션 레인지는 코일 등에서 발생한 자력선에 기반하여 피가열체(10)에 와류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피가열체(10) 자체를 발열시켜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기기일 수 있다. 핫-플레이트는 열판 등을 가열하고, 상판(TP)을 통해 피가열체(10)로 열을 전달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기기일 수 있다.
조리기기(100)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 또는 온도 센서 모듈(200)의 출력 신호)에 기반하여 조리기기(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프로세서, 조작부,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온도 센서 모듈(2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NFC 리더(Near Field Communication rea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리더를 통해 조리기기(100)는 온도 센서 모듈(20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온도 센서 모듈(200)로부터 피가열체(10)에 대한 온도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판(TP) 상에 온도 센서 모듈(200)이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TP)은 온도 센서 모듈(200)이 안착되도록 평탄한 상면을 구비하며, 온도 센서 모듈(200)은 상판(TP)에 안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온도 센서 모듈(200)은 피가열체(10)의 온도를 센싱하고, 이에 기반하여 온도 정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가열체(10)가 화구(110)에 안착되어 가열됨에 따라 피가열체(10)의 온도는 상승하고, 온도 센서 모듈(200)은 피가열체(10)의 온도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온도 센서 모듈(200)은 피가열체(10)에 대한 온도 정보 신호를 조리기기(100)의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센서 모듈(200)은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20)에 구비된 NFC 리더로 온도 정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NFC 태그를 통해, 온도 센서 모듈(200)은 온도 정보 신호를 무선 신호 형태로 조리기기(10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온도 센서 모듈(200)에 구비된 NFC 태그는, 온도 정보 신호에 NFC 태그의 태그 ID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온도 센서 모듈(200)은 피가열체(10)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예를 들어, 적외선)(EM)를 센싱함으로써 피가열체(10)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 모듈(200)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는, 피가열체(1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센싱함으로써 피가열체(10)의 온도를 센싱하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온도 센서 모듈(200)은 온도 센서로서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0)는 제어부(120)를 포함하고, 제어부(120)는 프로세서(122), 조작부(124), 디스플레이(126) 및 NFC 리더(12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조작부(124), 디스플레이(126) 및 NFC 리더(128)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 로직 회로(logic circu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조리기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작부(124)는, 예를 들어 조리기기(100)의 사용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24)에 구비되는 스위치는, 예를 들어 임의의 동작에 대한 온/오프(on/off)를 선택하는 스위치, 임의의 동작의 정도를 조절하는 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26)는 프로세서(122)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조리기기(100)의 각종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온도 센서 모듈(200)에 NFC 태그가 구비된 경우, NFC 리더(128)는 상기 NFC 태그를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NFC 리더(128)는 NFC 태그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감지된 NFC 태그로 무선 전력(WP)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리더(128)는, 무선 전력 전송 신호에 의한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 및 특정 주파수의 무선 전력 전송 신호에 의한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NFC 태그로 무선 전력(WP)을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NFC 리더(128)는 온도 센서 모듈(200)로부터 피가열체(10)에 대한 온도 정보 신호(T_I)를 수신할 수 있다. NFC 리더(128)는 수신한 온도 정보 신호(T_I)를 프로세서(122)로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22)는 온도 정보 신호(T_I)에 기반하여 화구(110)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2)는 제어신호를 통해, 온도 정보 신호(T_I)에 기반하여 화구(110) 상의 피가열체(10)에 대한 가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피가열체(10)의 온도가 피드백되어 제어됨으로써, 피가열체(10)는 조리에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며 가열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22)는 온도 정보 신호(T_I)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2)는 제어신호를 통해, 온도 정보 신호(T_I)에 따른 현재 피가열체(10)의 온도를 디스플레이(126)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센서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도 센서 모듈(200)은 온도 센서(210), 메모리(220) 및 NFC 태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10)는 피가열체(10)로부터 방사된 적외선(EM)을 센싱함으로써 피가열체(1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10)는 피가열체(1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EM)을 수신하고, 수신한 적외선(EM)의 방사량을 전압 또는 전류로 환산할 수 있다. 온도 센서(210)는 전압 또는 전류로 환산된 적외선(EM)의 방사량을 피가열체(10)의 온도 정보 신호(T_I)로서 메모리(22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센서(210)는 센싱용 적외선을 피가열체(10)로 출력하고, 반사되는 적외선(EM)의 양을 전압 또는 전류로 환산하는 방식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도 센서(210)는 별도의 센싱용 적외선 출력 없이, 가열에 따라 피가열체(10)에서 방사되는 적외선(EM)의 양을 전압 또는 전류로 환산하는 방식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온도 센서(210)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 신호(T_I)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메모리(220)는 NFC 태그(230)로부터 독출 신호(R_D)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NFC 태그(230)로 저장된 온도 정보 신호(T_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일부 실시 예들에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모바일 DRAM,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LPDDR (Low Power DDR) SDRAM, GDDR (Graphic DDR) SDRAM, RDRAM(Ramb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volatile)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EEPROM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RRAM(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NFGM (Nano Floating Gate Memory), PoRAM(Polymer Random Access Memory), MRAM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NFC 태그(230)는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NFC 태그(230)는 조리기기(100)의 NFC 리더(128)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NFC 태그(230)는 무선 전력(WP)에 기반하여 메모리(220)로 독출 신호(R_D)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출력된 온도 정보 신호(T_I)를 무선 신호를 통해 외부(예를 들어, NFC 리더(128))로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NFC 태그(230)는 온도 정보 신호(T_I)에 NFC 태그(230)의 태그 ID를 더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NFC 태그(230)는 NFC 리더(128)가 온도 센서 모듈(20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 센서 모듈(200)과 조리기기(100)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NFC 리더(128)는 NFC 태그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 NFC 태그가 감지된 경우(예를 들어, NFC 태그가 구비된 온도 센서 모듈(200)이 상판(TP)에 안착된 경우), NFC 리더(128)는 태그 ID가 온도 센서 모듈의 ID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NFC 리더(128)에서 감지된 NFC 태그는, NFC 태그의 태그 ID를 NFC 리더(128)로 출력하고, NFC 리더(128)는 이에 기반하여 태그 ID가 온도 센서 모듈의 ID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리더(128)는 소정의 메모리(미도시)에 온도 센서 모듈의 ID를 저장하고, 태그 ID와 저장된 온도 센서 모듈의 ID를 비교할 수 있다.
태그 ID가 온도 센서 모듈의 ID와 동일한 경우, NFC 리더(128)는 NFC 태그(230)로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30). 예를 들어, NFC 태그(230)는 NFC 리더(128)가 송신한 무선 전력에 기반하여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NFC 리더(128)는 NFC 태그(230)로부터 피가열체(10)에 대한 온도 정보 신호(T_I)를 수신할 수 있다(S40). NFC 리더(128)는 수신한 온도 정보 신호(T_I)를 프로세서(122)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22)는 수신한 온도 정보 신호(T_I)에 기반하여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0). 일 예로, 프로세서(122)는 온도 정보 신호(T_I)에 기반하여 화구(110)를 통해 피가열체(1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2)는 온도 정보 신호(T_I)에 기반하여 현재 피가열체(10)의 온도를 디스플레이(126)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센서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NFC 태그(230)는 조리기기(100)에 구비된 NFC 리더(128)로부터 송신된 무선 전력(WP)을 수신할 수 있다(S100). 무선 전력(WP)은 온도 센서 모듈(200)의 각종 동작 수행에 기반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 모듈(200)은 조리기기(100)의 상판(TP)에 안착된 경우 NFC 리더(128)로부터 무선 전력(WP)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온도 센서(210)는 피가열체(1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온도 센서(210)는 피가열체(10)에서 방사되는 적외선(EM)을 센싱함으로써, 피가열체(10)에 대한 온도 정보 신호(T_I)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다음, 온도 센서(210)로부터 온도 정보 신호(T_I)를 수신한 메모리(220)는, 온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NFC 태그(230)로부터 독출 신호(R_D)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저장된 온도 정보를 NFC 태그(230)에 전달할 수 있다. NFC 태그(230)는 NFC 리더(128)로부터 수신한 무선 전력(WP)에 기반하여 독출 신호(R_D)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 메모리(230)로부터 온도 정보 신호(T_I)를 수신한 NFC 태그(230)는, 온도 정보 신호(T_I)를 NFC 리더(128)로 송신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NFC 태그(230)는 무선 신호로서 온도 정보 신호(T_I)를 NFC 리더(128)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센서 모듈(200)을 통해 센싱된 피가열체(10)의 온도 정보가 조리기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온도 센서 모듈(200)은 피가열체(1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바로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정확한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하게 센싱된 피가열체(10)의 온도는 NFC 리더 및 NFC 태그를 통해 용이하게 조리기기(100)로 전달됨에 따라, 조리기기(100)는 정확한 온도 정보에 기반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리기기(100)의 조리동작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의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00a)는 음향 출력기(130a) 및 내부 온도센서(14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a)에 구비된 NFC 리더(128a)는 이탈 감지부(12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이탈 감지부(129a)는 NFC 태그(2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NFC 태그(230)가 상판(TP)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탈 감지 신호(D_Sa)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탈 감지부(129a)는, NFC 태그(230)를 포함하는 온도 센서 모듈(200a)이 상판(TP)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음향 출력기(130a)는 이탈 감지 신호(D_Sa)에 기반하여 외부로 이탈 알림 신호(V_Sa)를 출력할 수 있다. 이탈 알림 신호(V_Sa)는 음향 신호일 수 있다. 음향 출력기(130a)가 이탈 감지 신호(D_Sa)에 기반하여 이탈 알림 신호(V_Sa)를 출력함으로써, 조리기기(100a)는 온도 센서 모듈(200a)의 이탈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내부 온도센서(140a)는 조리기기(100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온도센서(140a)는 화구(110)와 오버랩되도록 상판(TP)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내부 온도센서(140a)는 이탈 감지 신호(D_Sa)에 응답하여 피가열체(10)의 온도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온도센서(140a)는 온도 센서 모듈(200a)이 동작 중에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온도 센서 모듈(200a)의 이탈에 따라 출력된 이탈 감지 신호(D_Sa)에 응답하여 피가열체(10)의 온도 센싱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온도센서(140a)는 화구(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NFC 리더(128a)에 구비된 이탈 감지부(129a)는 온도 센서 모듈(200a)의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이탈 감지부(129a)는 온도 센서 모듈(200a)에 구비된 NFC 태그(2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NFC 태그(230) 및 이를 구비하는 온도 센서 모듈(200a)의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탈 감지부(129a)는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온도 센서 모듈(200a)의 이탈 여부를 확정(S210)할 수 있다. 온도 센서 모듈(200a)이 상판(TP)으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확정한 경우, 이탈 감지부(129a)는 이탈 알림 신호(D_Sa)를 출력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조리기기(100a)는 내부 온도센서(140a)를 구비하고, 이탈 감지부(129a)는 내부 온도센서(140a)로 이탈 알림 신호(D_Sa)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 조리기기(100a)는 이탈 알림 신호(D_Sa)에 기반하여 내부 온도센서(140a)를 구동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온도 센서 모듈(200a)이 상판(TP)에서 이탈하지 않고 온도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내부 온도센서(140a)는 톤-오프 상태일 수 있다. 온도 센서 모듈(200a)이 상판(TP)에서 이탈하고, 이탈 감지부(129a)가 상기 이탈을 감지한 경우, 이탈 알림 신호(D_Sa)에 기반하여 내부 온도센서(140a)가 턴-온 될 수 있다. 이로써, 조리기기(100a)는 온도 센서 모듈(200a)이 상판(TP)으로부터 이탈됨에 응답하여, 피가열체(10)에 대한 온도를 센싱하기 위해 내부 온도센서(140a)를 구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온도 센서 모듈(200a)이 상판(TP)으로부터 이탈한 경우, 이탈 감지부(129a)는 감지 동작에 따라 온도 센서 모듈(200a)의 이탈을 확인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이탈 감지부(129a)는 소정의 주기로 반복해서 온도 센서 모듈(200a)의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이탈 감지부(129a)는 상기 감지 동작에 따라, 온도 센서 모듈(200a)이 기 설정된 N(N은 1이상의 양의 정수)회 연속 이탈한 것으로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10). 온도 센서 모듈(200a)이 N회 이상 연속하여 이탈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이탈 감지부(129a)는 상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이탈 알림 신호(D_Sa)를 음향 출력기(130a)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 음향 출력기(130a)는 이탈 알림 신호(D_Sa)에 기반하여, 제1 이탈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이탈 알림 신호(D_Sa)는 온도 센서 모듈(200a)이 N회 이상 연속하여 이탈한 것으로 감지된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음향 출력기(130a)는 이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제1 이탈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탈 알림 신호는, "모듈 위치 및 적합한 모듈인지 확인하여 주십시오" 등의 음향 신호일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탈 감지부(129a)는 반복하여 온도 센서 모듈(200a)의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온도 센서 모듈(200a)이 M(M은 N보다 큰 양의 정수)회 연속 이탈한 것으로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30). 온도 센서 모듈(200a)이 M회 이상 연속하여 이탈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이탈 감지부(129a)는 상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이탈 알림 신호(D_Sa)를 음향 출력기(130a)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 음향 출력기(130a)는 이탈 알림 신호(D_Sa)에 기반하여, 제2 이탈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40). 예를 들어, 이탈 알림 신호(D_Sa)는 온도 센서 모듈(200a)이 M회 이상 연속하여 이탈한 것으로 감지된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음향 출력기(130a)는 이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제2 이탈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이탈 알림 신호는 제1 이탈 알림 신호와 상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온도 센서 모듈에 있어서,
    피가열체의 온도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온도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정보 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독출 신호에 기반하여 저장된 온도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및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독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수신한 상기 온도 정보 신호를 무선 신호를 통해 출력하는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 모듈은,
    상기 피가열체가 안착되는 조리 기기의 상판에 안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NFC 태그는,
    상기 온도 센서 모듈이 상기 피가열체가 안착되는 조리 기기의 상판에 안착되면, 상기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온도 센서 모듈.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피가열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센싱함으로써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는, 상기 온도 정보 신호에 상기 NFC 태그의 태그 ID를 더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 모듈.
  5. 피가열체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화구를 포함하는 상판;
    내부 온도 센서;
    NFC 태그를 감지하고 NFC 태그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NFC 태그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NFC 태그로부터 상기 피가열체에 대한 온도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NFC 리더(Near Field Communication reader); 및
    상기 NFC 리더로부터 상기 온도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온도 정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화구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NFC 리더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NFC 태그가 상기 상판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탈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내부 온도 센서는,
    상기 이탈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조리기기.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 이탈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삭제
KR1020190053904A 2019-05-08 2019-05-08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 KR10217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04A KR102175641B1 (ko) 2019-05-08 2019-05-08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04A KR102175641B1 (ko) 2019-05-08 2019-05-08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641B1 true KR102175641B1 (ko) 2020-11-06

Family

ID=7357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904A KR102175641B1 (ko) 2019-05-08 2019-05-08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6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2567B2 (ja) * 2009-06-12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6227162B2 (ja) * 2014-10-29 2017-11-0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6289264B2 (ja) * 2014-05-23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家電機器、加熱調理器、電力指令装置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2567B2 (ja) * 2009-06-12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6289264B2 (ja) * 2014-05-23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家電機器、加熱調理器、電力指令装置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JP6227162B2 (ja) * 2014-10-29 2017-11-0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043B2 (en) Container support
JP4828634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60102463A (ko) 통신방식의 인덕션 조리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페어링 하는 방법
KR20170035852A (ko) 용기받침대
CN105351981A (zh) 一种加热方法和加热装置
KR102175641B1 (ko)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모듈
KR20210054357A (ko) Wpt 쿡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788220B2 (en) Determining cookware location on a cooktop appliance based on temperature response
JP582463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080187A (ja) 誘導加熱調理器
JP4654740B2 (ja) 加熱調理器
JP2007080759A (ja) 加熱調理器
JP42512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238451B1 (ko)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JP4996289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7053038A (ja) 誘導加熱調理装置
KR102311291B1 (ko) 피가열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모듈 및 가열 장치
JP422221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238453B1 (ko) 주변 환경에 따라 가열 보상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919960B1 (ko) 중량 측정 기능을 가진 가열 장치
WO2009004542A2 (en) Temperature control for a heating device
JP2008060088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515001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322759B1 (ko)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20240171087A1 (en) Heating device and output control method for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