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771A -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771A
KR20190100771A KR1020180020740A KR20180020740A KR20190100771A KR 20190100771 A KR20190100771 A KR 20190100771A KR 1020180020740 A KR1020180020740 A KR 1020180020740A KR 20180020740 A KR20180020740 A KR 20180020740A KR 20190100771 A KR20190100771 A KR 20190100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ter
heating
unit
heating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451B1 (ko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2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4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구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조작부, 및 소정의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화구 중 제1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 조작부 중 제1 화구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하고, 제1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HEATING DEVICE FOR DETECTING HEATING TARGET AND INFORMING USER}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조리 또는 살균을 포함한 다양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가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온 반면,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냄비, 프라이팬, 찜솥 또는 주전자와 같은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한 가열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 및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을 포함한다. 저항 가열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한편,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워킹 코일에 인가할 때 워킹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자속 밀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가열체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피가열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한편, 가열 장치는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화구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의 사용자가 복수의 화구들 중 하나의 화구에 피가열체를 올려 놓은 뒤 해당 화구에서 피가열체를 가열하고자 할 때, 해당 화구의 출력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어디에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상당하다. 사용자는 모든 조작부를 일일이 조작해본 뒤에서야 해당 화구의 출력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피가열체가 올려진 화구를 조작하는 조작부의 위치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가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피가열체가 놓여진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의 위치를 알리는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구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조작부, 및 소정의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화구 중 제1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 조작부 중 제1 화구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하고, 제1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가열 장치가 다음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인스트럭션들은, 가열 장치가 소정의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피가열체가 감지된 하구에 대응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하는 단계, 및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에 의하면, 화구 상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하고, 해당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피가열체가 놓여진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화구 제어 조작부 위치 알림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사용할 예정인 화구의 선택을 선택 입력으로서 입력하는 경우의 동작 방법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10)를 나타낸다. 가열 장치(10)는 제1 화구(100_1), 제2 화구(100_2), 제3 화구(100_3) 및 사용자 조작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가열 장치(10)가 3개의 화구들(100_1, 100_2, 100_3)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지만, 화구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개수의 화구들을 포함하거나 더 적은 개수의 화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는 하나의 화구 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화구들(100_1, 100_2, 100_3)의 배치가 도 1에 개시된 배치에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화구(100_1), 제2 화구(100_2) 및 제3 화구(100_3)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외의 임의의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제1 화구(100_1), 제2 화구(100_2) 및 제3 화구(100_3)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화구(100_1), 제2 화구(100_2) 및 제3 화구(100_3)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화구들(100_1, 100_2, 100_3)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표되는 제1 화구(100_1)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화구(100_1)는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제1 화구(100_1)에 놓여지는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열 장치(10)는 제1 화구(100_1) 하부에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물체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는 자성체에 의한 유도작용을 통해 전용 용기에 열을 내는 워킹 코일, 직접 발열함으로써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금속판 또는 열선이 분포된 세라믹 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전기를 이용해 열을 내는 다양한 발열체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는 제1 화구(100_1), 제2 화구(100_2) 및 제3 화구(100_3) 하부에 모두 같은 유형의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는 다른 종류의 가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는 제1 화구(100_1) 및 제2 화구(100_2) 하부에 워킹 코일을 포함하고, 제3 화구(100_3) 하부에 발열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가열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200)는 가열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모든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200)는 화구들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200)는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능과 조작 기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200)는 터치 패널, 회전 버튼, 푸시 버튼, 트랙볼, 포인트 스틱 및 스캐너와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10)에 의하면, 가열 장치(10)는 화구들(100_1, 100_2, 100_3)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 조작부(200) 중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구(100_1)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진 경우, 가열 장치(10)는 사용자 조작부(200) 중 제1 화구(100_1)를 제어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사용자에게 강조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1000)는 피가열체가 감지되기 전까지는 화구 제어 조작부들을 조작 불가능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함으로써 가열 장치(10)의 사용자에게 해당 화구 제어 조작부의 위치를 알릴 수 있고,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피가열체가 없는 화구에 가열 동작이 수행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10)를 나타낸다. 가열 장치(10)는 복수의 가열부들(110_1~110_n), 각각의 가열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구동부들(120_1~120_n) 및 복수의 측정부들(140_1~140_n), 사용자 조작부(200), 제어부(300) 및 메모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에 관한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가열부들(110_1~110_n), 복수의 구동부들(120_1~120_n) 및 복수의 측정부들(140_1~140_n)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가열부(110_1), 제1 구동부(120_1) 및 제1 측정부(140_1)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가열부(110_1)는 제1 가열부(110_1)에 대응되는 제1 화구 상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직접 가열 방식 또는 유도 가열 방식을 통해 가열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20_1)는 외부의 전원을 입력으로 받아 제1 가열부(110_1)를 구동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제1 가열부(110_1)에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 및 출력 등을 달리 조절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1 구동부(120_1)는 정류부 및 인버터를 포함함으로써, 제어부(300)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기초로 교류 전원을 생성하여 제1 가열부(110_1)를 구동할 수 있다. 제1 측정부(140_1)는 제1 가열부(110_1)에 대응되는 제1 화구에 피가열체가 놓여졌는지 판단하기 위한 물리량을 측정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열부(110_1)가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경우, 제1 측정부(140_1)는 제1 가열부(110_1)에 흐르는 전류 또는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열부(110_1)에 대응되는 제1 화구에 압력 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제1 측정부(140_1)는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사용자 조작부(200)는 복수의 화구들 각각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들(220_1~220_n)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표로서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는 제1 가열부(110_1)에 대응되는 제1 화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변수를 가열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는 제1 화구의 출력을 제어 변수로서 입력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는 제1 화구의 가열 시간 및 조리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을 제어 변수로서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는 도 4a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열 장치(10)의 제조시부터 사용자 조작부(200)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는 필요에 따라 화면에 생성되는 조작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부(200)가 화면을 통해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가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에 생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가열 장치(10) 내의 다양한 구성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또는 미니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메모리(40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제반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복수의 구동부들(120_1~120_n)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 조작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사용자 조작부(2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복수의 측정부들(140_1~140_n)로부터 측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복수의 측정부들(140_1~140_n)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신호들을 기초로 복수의 가열부들(110_1~110_n)에 대응되는 화구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가열 장치(10)의 턴-온(turn-on)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마다 복수의 가열부들(110_1~110_n)에 대응되는 화구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400)는 가열 장치(10)에 관한 정보 및 가열 장치(1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00)는 제어부(30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알고리즘 및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00)는 플래시 메모리, 자기 저항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 DRAM, S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00)는 제어부(300)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제어부(300)가 마이컴(microcomputer) 또는 미니컴퓨터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400)는 제어부(300)와 하나의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10)에 의하면, 가열 장치(10)는 화구들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감지하여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함으로써 가열 장치(10)의 사용자에게 해당 화구 제어 조작부의 위치를 알릴 수 있고,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피가열체가 없는 화구에 가열 동작이 수행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화구 제어 조작부 위치 알림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S12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는 화구 상의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는 소정의 주기마다 복수의 가열부들(110_1~110_n)에 대응되는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주기는 일정한 주기일 수도 있고, 가변적인 주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의 제어부(300)는 복수의 측정부들(140_1~140_n)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신호들을 기초로 복수의 가열부들(110_1~110_n)에 대응되는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피가열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 동작이 달리 수행될 수 있다. 피가열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다시 S12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S16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가열 장치(10)는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진 경우를 예시로서 설명한다. 가열 장치(10)는 사용자 조작부(200) 상에서 빛을 냄으로써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를 강조하기 위한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300)는 발광부가 빛을 내도록 발광부를 제어함으로써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를 강조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 조작부(200)는 화면을 통해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가열 장치(10)의 사용자에게 가열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부가 화면을 통해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를 형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함으로써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를 강조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가열 장치(10)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는 가열 장치(10)의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방법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300)는 스피커부가 제1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부를 제어할 수 있다.
S180 단계에서,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가열 장치(10)는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는 피가열체가 감지되기 전까지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불가능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피가열체가 놓여진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만을 조작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부(200a, 200b)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조작부(200a)는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 제2 화구 제어 조작부(220_2) 및 제3 화구 제어 조작부(220_3)를 포함할 수 있다. 화구 제어 조작부들(220_1~220_3)의 개수, 구체적인 구성 및 배치 방식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부분임을 일러둔다.
가열 장치는 사용자 조작부 상에서 빛을 냄으로써 각각의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하기 위한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제1 화구를 강조하기 위한 제1 발광부, 제2 화구를 강조하기 위한 제2 발광부, 제3 화구를 강조하기 위한 제3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부는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의 테두리에 빛을 냄으로써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를 강조할 수 있으며,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 내에서 작은 원형의 빛을 내거나 깜빡거림으로써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를 강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강조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의 제어부(300)는 화구 상의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 있고,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하기 위한 발광부가 빛을 내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제2 화구에 피가열체가 놓여진 경우, 제어부(300)는 제2 화구에 대응되는 제2 화구 제어 조작부(220_2)를 강조하기 위한 제2 발광부가 빛을 내도록 발광부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2 화구 제어 조작부(220_2)를 강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제2 화구 제어 조작부(220_2)의 위치를 쉽게 알아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조작부(200b)는 화면을 통해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가열 장치(10)의 사용자에게 가열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부(200b)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부로서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사용자 조작부(200b)는 상부 유리판 밑에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CD)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의 제어부(300)는 화구 상의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 있고,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화면을 통해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형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제1 화구에 피가열체가 놓여진 경우,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부가 화면을 통해 제1 화구에 대응되는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를 형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는 화구 위치 표시 메시지(230), 피가열체 감지 알림 메시지(232) 및 제어 변수 조작 가이드(2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구 위치 표시 메시지(230)는 가열 장치(10)를 간소화한 모형 내에서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피가열체 감지 알림 메시지(232)는 도 4b와 같이 해당 화구에 피가열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 변수 조작 가이드(233)는 사용자가 제어 변수를 조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b에 개시된 화구 위치 표시 메시지(230), 피가열체 감지 알림 메시지(232) 및 제어 변수 조작 가이드(233)의 구체적인 메시지 또는 모양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구체적인 부분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취지의 메시지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일러둔다.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200)를 통해 형성되는 제1 화구 제어 조작부(220_1)를 제공받음으로써 별도의 노력 없이 제어 조작부의 위치를 쉽게 알아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사용할 예정인 화구의 선택을 선택 입력으로서 입력하는 경우의 동작 방법 순서도를 나타낸다. 특히, 도 5는 도 3의 S120 단계에서 피가열체가 감지되지는 않았지만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사용 예정인 화구의 선택을 선택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 방법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S21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의 사용자 조작부(200)는 가열 장치(10)의 외부로부터 가열 장치(10)에서 사용할 화구의 선택을 선택 입력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가열 장치(10)는 선택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선택된 화구 상의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선택된 화구에 대응되는 측정부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신호를 기초로 선택된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선택된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 동작이 달리 수행될 수 있다. 피가열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S24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S25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선택된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가열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선택된 화구에 피가열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해 경고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 예정인 화구에 피가열체를 올려 놓음으로써 적절한 가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선택된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가열 장치(10)는 선택된 화구에 대응되는 선택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할 수 있다.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하는 방식은 도 3의 S16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에 의할 수 있다.
S260 단계에서, 선택된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가열 장치(10)는 선택된 화구에 대응되는 선택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프리존 화구(2100)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2000)를 나타낸다. 가열 장치(2000)는 프리존 화구(2100), 제2 화구(2200) 및 사용자 조작부(230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리존 화구(2100)는 제1 프리존 구성 화구(2120), 제2 프리존 구성 화구(2140) 및 제3 프리존 구성 화구(2160)를 포함할 수 있다. 화구들의 개수, 구성 및 배열은 도 6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들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프리존 화구(2100)의 특수성을 제외한 가열 장치(2000)에 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은 도 6에도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프리존 화구(2100)는 프리존 화구(2100) 상에 놓여지는 피가열체(3000)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프리존 구성 화구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동작시키는 화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피가열체(30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를 갖는 경우, 프리존 화구(2100)에 포함된 제1 프리존 구성 화구(2120) 및 제2 프리존 구성 화구(2140)을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피가열체(3000)를 최대한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의 프리존 화구(2100)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10)에 도 1 내지 도 5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적용할 때, 가열 장치(2000)의 제어부는 제1 프리존 구성 화구(2120) 및 제2 프리존 구성 화구(2140) 상에 피가열체가 놓여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제1 프리존 구성 화구(2120) 및 제2 프리존 구성 화구(2140) 각각에 다른 피가열체들이 놓여진 것인지, 하나의 피가열체가 제1 프리존 구성 화구(2120) 및 제2 프리존 구성 화구(2140) 모두에 걸쳐서 놓여진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프리존 화구(2100)에 포함되고, 이웃한 프리존 구성 화구들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가열 장치(2000)는 사용자 조작부(2300)를 통해 각각의 프리존 구성 화구들에 별개의 피가열체가 놓여진 것인지, 하나의 피가열체가 놓여진 것인지 질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응답에 의해 하나의 피가열체가 놓여진 경우로 판단된 경우, 복수의 프리존 구성 화구들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는 하나의 제어 조작부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응답에 의해 복수의 피가열체들이 각각의 프리존 구성 화구들에 놓여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수의 프리존 구성 화구들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는 각각의 프리존 구성 화구들에 대응되는 제어 조작부들을 통해 각각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구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조작부; 및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구 중 제1 화구 상에 상기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조작부 중 상기 제1 화구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하고, 상기 제1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조작부 상에서 빛을 냄으로써 상기 제1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하기 위한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구 상에 상기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발광부가 빛을 내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화면을 통해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열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가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구 상에 상기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화구 제어 조작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가열 장치의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방법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구 상에 상기 피가열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스피커부가 상기 제1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상기 가열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열 장치에서 사용할 화구의 선택을 선택 입력 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된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화구 상에 상기 피가열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화구에 대응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화구 상에 상기 피가열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가열 장치가 상기 가열 장치의 사용자에게 피가열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알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7. 적어도 하나의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가열 장치가 다음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가열 장치가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구 상에 피가열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피가열체가 감지된 화구에 대응하는 화구 제어 조작부를 강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화구 제어 조작부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KR1020180020740A 2018-02-21 2018-02-21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KR10223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740A KR102238451B1 (ko) 2018-02-21 2018-02-21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740A KR102238451B1 (ko) 2018-02-21 2018-02-21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771A true KR20190100771A (ko) 2019-08-29
KR102238451B1 KR102238451B1 (ko) 2021-04-09

Family

ID=6777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740A KR102238451B1 (ko) 2018-02-21 2018-02-21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759B1 (ko) * 2020-07-09 2021-11-09 (주)쿠첸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739A (ja) * 2009-06-02 2010-12-16 Panasonic Corp 誘導加熱装置
JP2013004330A (ja) * 2011-06-17 201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WO2016181653A1 (ja) * 2015-05-14 2016-1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739A (ja) * 2009-06-02 2010-12-16 Panasonic Corp 誘導加熱装置
JP2013004330A (ja) * 2011-06-17 201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WO2016181653A1 (ja) * 2015-05-14 2016-1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759B1 (ko) * 2020-07-09 2021-11-09 (주)쿠첸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451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8613B2 (ja) 誘導加熱装置
JP2010073384A (ja) 誘導加熱調理器
EP289440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oking device
EP3111813A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keep warm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WO2014174828A1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90100771A (ko)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JP5724799B2 (ja) 加熱調理器
JPWO2011155224A1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9845399B (zh) 感应烹饪灶具以及用于检查烹饪锅在感应烹饪灶具上的最佳位置的方法
JP2010282739A (ja) 誘導加熱装置
KR102213165B1 (ko) 화구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238453B1 (ko) 주변 환경에 따라 가열 보상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14035904A (ja) 加熱調理器
KR102322759B1 (ko) 적어도 하나의 프리존 화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299438B1 (ko) 가열 예약 기능을 갖는 가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90099932A (ko) 가열 장치 및 그것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
JP525754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749650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999998B2 (ja) 誘導加熱調理器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564135B2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20011136A1 (zh) 基于对电磁脉冲的响应确定灶具器具上的炊具位置
KR102213164B1 (ko) 화구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가열 장치
KR20180115498A (ko) 인덕션 렌지의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0330895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6877325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