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149B1 -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149B1
KR102060149B1 KR1020180027608A KR20180027608A KR102060149B1 KR 102060149 B1 KR102060149 B1 KR 102060149B1 KR 1020180027608 A KR1020180027608 A KR 1020180027608A KR 20180027608 A KR20180027608 A KR 20180027608A KR 102060149 B1 KR102060149 B1 KR 102060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light emitting
induction heating
light
work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312A (ko
Inventor
김성준
김훈
이용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149B1/ko
Priority to US15/941,876 priority patent/US10856369B2/en
Priority to EP18165409.6A priority patent/EP3537850B1/en
Publication of KR2019010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3Heating plates made out of a matrix of heating elements that can define heating areas adapted to cookware randomly placed on the heating p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피가열체를 가열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워킹 코일, 워킹 코일이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워킹 코일의 주변에 구비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를 발광면을 통해 표시하는 도광체 및 도광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도광체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되, 도광체는, 상면의 제1 방향의 길이가 하면의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하면이 포물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은 발광면을 포함하는 도광부와, 도광부를 감싸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도광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INDICATOR STRUCTURE}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체, 예컨대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예를 들어, 조리 용기)에 전달함으로써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피가열체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중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된 유도 가열 장치는 복수개의 피가열체 각각(예를 들어, 조리 용기)을 가열하기 위해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워킹 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최근에는 하나의 대상체를 복수개의 워킹 코일로 동시에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즉, 존프리(ZONE FREE)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영역 내에서는 피가열체의 크기 및 위치에 상관 없이 피가열체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뿐만 아니라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플렉스 또는 듀얼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에는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또는 출력 세기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발광 소자와 도광체가 구비)가 구비되어 있는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의 인디케이터 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의 인디케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은 일본 특허(JP6052585B2)에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에는 다수의 워킹 코일(2)이 행렬을 맞추어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인디케이터는 워킹 코일(2)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도광 유닛(25)과 도광 유닛(25) 사이에 설치되어 광을 발산하는 발광 표시 유닛(23)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에서는, 워킹 코일(2)을 둘러싸는 발광 표시 케이스(24) 내에 발광 소자(8)가 설치되고, 발광 소자(8)가 설치된 발광 표시 케이스(24)가 부세부(11)와 접하게 된다. 또한 도광 유닛(25)이 워킹 코일(2)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발광 소자(8)가 도광부(26)의 측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 및 배치로 인해, 워킹 코일(2)을 고정하는 부품들과 발광 관련 부품(예를 들어, 발광 소자(8), 발광 표시 유닛(23) 등), 도광 관련 부품(예를 들어, 도광부(26), 도광 지지부(27) 등) 등이 서로 분리된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워킹 코일(2)을 고정하는 부품 외에 발광 관련 부품 및 도광 관련 부품 등 다수의 부품 구성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의 인디케이터 구조에서는, 발광면(예를 들어, 도광부의 상면)의 광 균일도가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즉, 발광면의 좌우 끝 단의 표면 조도가 발광면의 중심 부분의 표면 조도보다 낮아서 광 표시가 불균일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디케이터 관련 부품의 종류 및 개수 저감이 가능한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팩트(compact)한 구조에서 워킹 코일의 크기에 맞추어 발광면을 확대 구현 가능한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면의 광 균일도 개선이 가능한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워킹 코일의 주변에 구비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를 발광면을 통해 표시하는 도광체와 도광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도광체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인디케이터 관련 부품의 종류 및 개수 저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상면의 제1 및 제2 방향의 길이가 각각 하면의 제1 및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긴 도광부를 포함함으로써 콤팩트한 구조에서 워킹 코일의 크기에 맞추어 발광면을 확대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상면의 제1 방향의 길이가 하면의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하면이 포물선 형태로 형성되는 도광부 및 도광부를 감싸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발광 소자에서 발산되어 도광부를 통해 전개되는 광을 내측으로 전반사하는 도광 지지부를 포함하는 도광체를 포함함으로써 발광면의 광 균일도 개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인디케이터 관련 부품의 종류 및 개수 저감이 가능한바, 재료비 절감 및 제조 시간 저감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조 시간 저감을 통해 인건비 및 가공비 저감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콤팩트한 구조에서 워킹 코일의 크기에 맞추어 발광면을 확대 구현 가능한바,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면 확대 구현을 위해 별도의 추가 부품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발광면의 광 균일도 개선이 가능한바,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하게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리 작업 효율 개선이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의 인디케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도 가열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유도 가열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의 도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4의 유도 가열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도 가열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유도 가열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참고로,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의 유도 가열 장치(1)의 일부 구성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케이스(125), 커버 플레이트(119), 베이스 플레이트(145),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170), 인디케이터 기판(175), 발광 소자(177), 도광체(210),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5)에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 베이스 플레이트(145),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170), 인디케이터 기판(175), 발광 소자(177), 도광체(210)와 같은 유도 가열 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5)에는 워킹 코일(WC)의 구동과 관련된 각종 장치(예를 들어, 교류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전원부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력을 스위칭 동작을 통해 공진 전류로 변환하여 워킹 코일(WC)에 제공하는 인버터부, 유도 가열 장치(1) 내 각종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워킹 코일(WC)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릴레이 또는 반도체 스위치 등)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참고로, 케이스(125)는 워킹 코일(WC)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처리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19)는 케이스(125)의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125)의 내부를 차폐하고, 피가열체(미도시)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20)는 조리 용기와 같은 피가열체를 올려놓기 위한 상판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판부(115)는 예를 들어, 유리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판부(15)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아 전술한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판부(15)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
참고로, 입력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제어부(즉, 인버터부용 제어부)가 아닌 입력 인터페이스용 제어부(미도시)에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입력을 전달하고, 입력 인터페이스용 제어부가 전술한 제어부로 상기 입력을 전달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워킹 코일(WC)에서 발생된 열은 상판부(115)를 통해 피가열체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는 워킹 코일(WC), 페라이트 코어(126), 마이카 시트(120; 즉, 제1 마이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유도 가열 장치(1)가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인 경우,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고, 복수개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는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1개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워킹 코일(WC)은 환형으로 다수회 감긴 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교류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워킹 코일(WC)의 하측에는 마이카 시트(120) 및 페라이트 코어(126)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126)는 워킹 코일(WC)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워킹 코일(WC)의 환형 내측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코어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라이트 코어(126)의 하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45)가 배치될 수 있고, 페라이트 코어(126)와 워킹 코일(WC) 사이에는 마이카 시트(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홀에는 패킹 개스킷(149; packing gasket)이 체결되어 페라이트 코어(126)가 베이스 플레이트(145)에 고정될 수 있고, 패킷 개스킷(149) 상단에는 센서(148)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센서(148)는 상판부(115)의 온도, 워킹 코일(WC)의 온도 또는 워킹 코일(WC)의 동작 등을 감지하여 전술한 입력 인터페이스용 제어부로 온도 정보 또는 동작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126)는 마이카 시트(120)에 실런트(sealant)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워킹 코일(WC)에서 발생되는 교류 자계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이카 시트(120; 즉, 제1 마이카 시트)는 워킹 코일(WC)과 페라이트 코어(126)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워킹 코일(WC)의 환형 내측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시트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카 시트(120)는 워킹 코일(WC) 및 페라이트 코어(126)에 실런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워킹 코일(WC)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페라이트 코어(126)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유도 가열 장치(1)에는 워킹 코일(WC) 상단에 실런트를 통해 고정되고, 중심부에 워킹 코일(WC)의 환형 내측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제2 시트 홀(미도시)이 형성된 제2 마이카 시트(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45) 상에는 페라이트 코어(126), 마이카 시트(120), 워킹 코일(WC)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45)는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170)로부터 상방(즉, 수직 방향 중 일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45)와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170; 보다 자세하게는 인디케이터 기판(175)) 사이에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이러한 공기 유로를 통해 차가운 공기 순환이 가능해짐으로써 워킹 코일(WC)과 발광 소자(177)의 온도가 저감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5)의 일측 하단에는 송풍 팬(230)이 설치될 수 있는바, 송풍 팬(230)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차가운 공기가 전술한 공기 유로로 송풍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45)의 페라이트 코어 사이 공간에는 연결부(171)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연결홀(17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부(171)는 워킹 코일(WC)의 도선 정리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해 인디케이터 기판(175)에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171)에는 주변에 배치된 워킹 코일의 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45)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뿐만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도광체(21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구비되도록 도광체(21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1개의 워킹 코일(WC) 당 4개의 도광체(예를 들어, 210)가 해당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도광체(210) 설치를 위한 도광체 설치 홀(147)이 페라이트 코어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광체 설치 홀(147)은 도광체(210)가 설치되는 위치를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45)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체 설치 홀(147) 역시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1개의 워킹 코일(WC) 당 4개의 도광체 설치 홀(예를 들어, 147)이 해당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광체 설치 홀(147)은 연결홀(172)과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광체 설치 홀(147)의 수는 도광체(210)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참고로, 인디케이터 기판(175)에 설치된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이 도광체 설치 홀(147)을 통해 도광체(210)로 전달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인디케이터 기판(175)에는 발광 소자(177)가 설치되고, 인디케이터 기판(175)은 베이스 플레이트(14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 기판(175)은 베이스 플레이트(145)에서 하방(즉, 수직 방향 중 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17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디케이터 기판(175)에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가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는 도광체(210)의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참고로, 인디케이터 기판(175)은 예를 들어, PCB(즉, 인쇄 회로 기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를 통해 워킹 코일(WC)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즉, 화력)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인디케이터 기판(175)에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부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170)에는 인디케이터 기판(175)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170)는 인디케이터 기판(175)을 지지하기 위해 인디케이터 기판(17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체(210)는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구비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45)에 설치되고, 워킹 코일(WC)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를 발광면(214)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워킹 코일(WC) 당 4개의 도광체(예를 들어, 210)가 해당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도광체(210)는 베이스 플레이트(145)에 형성된 각각의 도광체 설치 홀(147)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광체(210)는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을 상단의 발광면(214)을 통해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바, 도광체(2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토대로 무선 전력 전송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즉, 최근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많은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충전 패드에 올려 놓는 것 만으로도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유선 코드나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휴대성이 향상되며 크기와 무게가 종래에 비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과, 공진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 그리고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전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1차 코일(예를 들어, 워킹 코일)과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2차 코일 간의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물론 유도 가열 장치(1)의 유도 가열 방식은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한다는 점에서 전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원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의 경우에도, 유도 가열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또는 입력 인터페이스용 제어부)에 의해 유도 가열 모드 또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제어될 수도 있는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도 가열 기능 또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지는바,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광체(210) 및 발광 소자(177)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의 도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4의 유도 가열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참고로,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광체의 형상을 사다리꼴이 아닌 직사각형 형태로 표현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도광체(210)는 확산 필름(211), 도광부(213), 도광 지지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산 필름(211)은 도광부(21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확산 필름(211)은 도광부(213)의 상면에 배치되어,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되어 도광부(213)의 발광면(214)으로 전달된 광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광부(213)는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을 전달받아 상단의 발광면(214)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광부(213)는 상면의 제1 방향의 길이(P1)가 하면의 제1 방향의 길이(P2)보다 길고 하면이 포물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은 발광면(21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부(213)의 하면은 일단에 연결된 제1 직선 구간(213a)과, 제1 직선 구간(213a)에 일단이 연결되고, 포물선 형태로 연장되는 곡선 구간(213b)과, 곡선 구간(213b)의 타단과 하면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제2 직선 구간(213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직선 구간(213a, 213c)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곡선 구간(213b)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도광부(213)의 하면은 직선 구간 없이 전부 곡선 구간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광부(213)의 하면이 제1 및 제2 직선 구간(213a, 213c)과 곡선 구간(213b)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광부(213)의 직선 구간(예를 들어, 제1 직선 구간(213a))과 바닥면(예를 들어, 도광 지지부(216)의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 'A'는 예를 30°~ 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도광부(213)의 하면이 포물선 형태로 구성되는바,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은 도광부(213)의 하면에서 굴절되어 확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이 도광부(213)의 발광면(214) 양 끝단으로도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직선 구간(213a, 213c) 및 곡선 구간(213b) 각각의 길이, 'A' 각도, 직선 구간(213a, 213c) 및 곡선 구간(213b) 간 길이 비율 등은 도광체(210)의 크기, 목표 표면 조도, 목표 균일도 등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광부(213)의 상면의 제2 방향의 길이(P3)는 도광부(213)의 하면의 제2 방향의 길이(P4)보다 길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즉, 도광부(213)의 상면의 제1 및 제2 방향의 길이(P1, P3)가 각각 도광부(213)의 하면의 제1 및 제2 방향의 길이(P2, P4)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발광 소자(177)가 배치되는 폭보다 확대된 발광면(214)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홀(172) 또는 페라이트 코어(126) 등으로 인해 도광체 설치 홀(147)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워킹 코일(WC)의 크기에 맞추어 발광면(214)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적은 수량의 발광 소자(177)로 확대된 발광면(214)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참고로, 발광 소자(177)는 복수개(177a, 177b, 177c, 177d, 177e, 177f)이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177a, 177b, 177c, 177d, 177e, 177f)는 발광면(214)의 균일한 광 표시를 위해 도광부(213)의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발광 소자(177)는 도광부(213)의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로 제1 간격만큼 대칭되게 이격된 제1 및 제2 발광 소자(177a, 177b)와, 도광부(213)의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로 제1 간격보다 긴 제2 간격만큼 대칭되게 이격된 제3 및 제4 발광 소자(177c, 177d)와, 도광부(213)의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로 제2 간격보다 긴 제3 간격만큼 대칭되게 이격된 제5 및 제6 발광 소자(177e, 177f)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발광 소자(177a, 177b) 간 이격 간격(d1)은 제1 및 제3 발광 소자(177a, 177c) 간 이격 간격(d2)보다 길고, 제1 및 제3 발광 소자(177a, 177c) 간 이격 간격(d2)은 제3 및 제5 발광 소자(177c, 177e) 간 이격 간격(d3)보다 길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발광 소자(177a, 177b) 간 이격 간격(d1)은 제2 및 제4 발광 소자(177b, 177d) 간 이격 간격(d2)보다 길고, 제2 및 제4 발광 소자(177b, 177d) 간 이격 간격(d2)은 제4 및 제6 발광 소자(177d, 177f) 간 이격 간격(d3)보다 길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복수개의 발광 소자(177)는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도광부(213)의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술한 방식(즉, 양 끝단에 위치한 발광 소자 간 이격 간격보다 중앙에 위치한 발광 소자 간 이격 간격이 더 크도록 배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배치 방식을 통해 발광면(214)의 좌우 끝 단의 표면 조도가 발광면(214)의 중심 부분의 표면 조도보다 낮아서 광 표시가 불균일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발광 소자(177a, 177b, 177c, 177d, 177e, 177f) 간 이격 간격은 도광부(213)의 형상 및 목표 균일도 등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도광 지지부(216)의 색상에 따라 발광면(214)의 표면 조도 및 광 균일도가 달라지는바, 도광 지지부(216)의 색상에 맞추어 복수개의 발광 소자(177a, 177b, 177c, 177d, 177e, 177f) 간 이격 간격이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177)가 6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177)가 6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도광 지지부(216)는 도광부(213)를 감싸도록 베이스 플레이트(도 7의 145)에 설치되고,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되어 도광부(213)를 통해 전개되는 광을 내측으로 전반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 지지부(216)는 도광부(213)를 감싸도록 형성되는바, 도광부(213)와 같이, 상면의 제1 및 제2 방향의 길이가 각각 하면의 제1 및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도광 지지부(216)의 내측면은 광을 전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바,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되어 도광부(213)의 하면에서 굴절 및 확산된 광은 도광 지지부(216)에 의해 내측으로 전반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 지지부(216)의 내측면에 의해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전반사된 광은 도광부(213)의 발광면(214)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이 도광부(213)의 발광면(214)에 보다 균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디케이터 구조에서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c', 177e')에서 발산된 광이 도광부(213')의 발광면의 양 끝단으로 전달되지 못하는바, 발광면(214')의 양 끝단에 어두운 부분(B)이 생기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발광면(214')의 광 균일도 저하로 인해 사용자가 워킹 코일(도 7의 WC)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전술한 도광체(210) 및 발광 소자(177)를 포함하는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c, 177e)에서 발산된 광이 도광부(213)의 발광면(214)의 양 끝단(즉, 'B' 부분)으로 전달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플레이트(145)와 인디케이터 기판(175)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로로 인해 발생하는 발광 소자(177)의 광 손실도 보상 가능한바, 발광면(214)의 광 균일도 개선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인디케이터 관련 부품의 종류 및 개수 저감이 가능한바, 재료비 절감 및 제조 시간 저감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조 시간 저감을 통해 인건비 및 가공비 저감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콤팩트한 구조에서 워킹 코일(WC)의 크기에 맞추어 발광면(214)을 확대 구현 가능한바,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면(214) 확대 구현을 위해 별도의 추가 부품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발광면(214)의 광 균일도 개선이 가능한바,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하게 워킹 코일(WC)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리 작업 효율 개선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20: 마이카 시트 126: 페라이트 코어
145: 베이스 플레이트 170: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
175: 인디케이터 기판 177: 발광 소자
210: 도광체 211: 확산 필름
214: 발광면 216: 도광 지지부
WC: 워킹 코일 WCA: 워킹 코일 어셈블리

Claims (12)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이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워킹 코일의 주변에 구비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를 발광면을 통해 표시하는 도광체; 및
    상기 도광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체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도광체는,
    상면의 제1 방향의 길이가 하면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하면이 포물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은 상기 발광면을 포함하는 도광부와,
    상기 도광부를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도광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의 상기 하면은,
    일단에 연결된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1 직선 구간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포물선 형태로 연장되는 곡선 구간과,
    상기 곡선 구간의 타단과 상기 하면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제2 직선 구간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직선 구간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곡선 구간의 길이보다 짧은
    유도 가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의 상기 상면의 제2 방향의 길이는 상기 도광부의 상기 하면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유도 가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도광부의 상기 하면에서 굴절되어 확산되고,
    상기 확산된 광은 상기 도광 지지부에 의해 내측으로 전반사되어 상기 발광면을 통해 방출되는
    유도 가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면의 균일한 광 표시를 위해 상기 도광부의 상기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유도 가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는
    상기 도광부의 상기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로 제1 간격만큼 대칭되게 이격된 제1 및 제2 발광 소자와,
    상기 도광부의 상기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로 상기 제1 간격보다 긴 제2 간격만큼 대칭되게 이격된 제3 및 제4 발광 소자와,
    상기 도광부의 상기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로 상기 제2 간격보다 긴 제3 간격만큼 대칭되게 이격된 제5 및 제6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 간 이격 간격은 상기 제1 및 제3 발광 소자 간 이격 간격보다 길고,
    상기 제1 및 제3 발광 소자 간 이격 간격은 상기 제3 및 제5 발광 소자 간 이격 간격보다 긴
    유도 가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도광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확산 필름을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코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교류 자계를 확산시키는 페라이트 코어;
    상기 워킹 코일과 상기 페라이트 코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상기 페라이트 코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이카 시트;
    상기 발광 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된 인디케이터 기판; 및
    상기 인디케이터 기판이 설치되는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카 시트는 상기 워킹 코일 및 상기 페라이트 코어에 실런트(sealant)를 통해 고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유도 가열 장치.
KR1020180027608A 2018-03-08 2018-03-08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60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608A KR102060149B1 (ko) 2018-03-08 2018-03-08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15/941,876 US10856369B2 (en) 2018-03-08 2018-03-30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indicator structure
EP18165409.6A EP3537850B1 (en) 2018-03-08 2018-04-03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indicato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608A KR102060149B1 (ko) 2018-03-08 2018-03-08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12A KR20190106312A (ko) 2019-09-18
KR102060149B1 true KR102060149B1 (ko) 2019-12-27

Family

ID=6186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608A KR102060149B1 (ko) 2018-03-08 2018-03-08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56369B2 (ko)
EP (1) EP3537850B1 (ko)
KR (1) KR102060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222B1 (ko) * 2018-11-19 202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품 배치 구조 및 조립성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809A (ja) * 2012-08-24 2014-03-1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2585B2 (ja) 1978-01-27 1985-1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ワイヤボンディング法
ITMI20031602A1 (it) * 2003-08-04 2005-02-05 Whirlpool Co Piano di cottura a piazzamento casuale con interfaccia utente
KR20060033162A (ko) * 2004-10-14 2006-04-19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니트의 도광판
CN101971698B (zh) * 2008-03-10 2013-04-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
JP2014035933A (ja) 2012-08-09 2014-02-24 Panasonic Corp 誘導加熱装置
DE112013004163T5 (de) 2012-08-24 2015-05-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duktionsheizeinrichtung
JP5948612B2 (ja) 2012-12-06 2016-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809A (ja) * 2012-08-24 2014-03-1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12A (ko) 2019-09-18
EP3537850A1 (en) 2019-09-11
US10856369B2 (en) 2020-12-01
EP3537850B1 (en) 2020-09-16
US20190281668A1 (en)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50B1 (ko) 냉각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10980156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US11672055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ferrite core shape
KR102631230B1 (ko)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60147B1 (ko) 와이어 하니스가 저감된 유도 가열 장치
US11612021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insulation structure
KR102060149B1 (ko)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20200359469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assemblability and cooling performance
KR102060151B1 (ko)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30112603A (ko)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11140753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and assemblability
KR102107618B1 (ko) 워킹 코일 연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00122713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206096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60146B1 (ko) 워킹 코일 고정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00057552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