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096B1 -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096B1
KR102206096B1 KR1020190045750A KR20190045750A KR102206096B1 KR 102206096 B1 KR102206096 B1 KR 102206096B1 KR 1020190045750 A KR1020190045750 A KR 1020190045750A KR 20190045750 A KR20190045750 A KR 20190045750A KR 102206096 B1 KR102206096 B1 KR 102206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ntrol module
input interface
image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711A (ko
Inventor
정미진
한현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5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096B1/ko
Priority to EP20791379.9A priority patent/EP3957131A4/en
Priority to PCT/KR2020/005081 priority patent/WO2020213947A1/en
Priority to US17/604,568 priority patent/US20220201809A1/en
Publication of KR2020012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0Establishing desired heat distribution, e.g. to heat particular parts of work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3Heating plates made out of a matrix of heating elements that can define heating areas adapted to cookware randomly placed on the heating pl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워킹 코일,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평편하게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측에 피가열체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1 제어 모듈 및 제1 제어 모듈로부터 감지된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특정 이미지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피가열체가 서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 및 제2 피가열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제어 모듈은 입력 인터페이스에 제1 및 제2 피가열체 중 어느 하나의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체, 예컨대 냄비와 같은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예를 들어, 조리 용기)에 전달함으로써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피가열체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중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된 유도 가열 장치는 복수개의 피가열체 각각(예를 들어, 조리 용기)을 가열하기 위해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워킹 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최근에는 하나의 대상체를 복수개의 워킹 코일로 동시에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즉, 존프리(ZONE FREE) 타입 유도 가열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영역 내에서는 피가열체의 크기 및 위치에 상관없이 피가열체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참고로, 일본 특허(JP6052585B2)에는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구동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상태(예를 들어,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도 함께 구비(즉, 터치 스크린 방식 패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피가열체가 서로 근접 배치되어 있을 때(즉, 복수개의 용기 간 간섭이 일어날 때), 종래의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근접 배치된 피가열체 중 일부를 가열 대상에서 제외할 뿐만 아니라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해당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즉, 가열 대상에서 제외된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도 비활성화시켰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복수개의 피가열체가 서로 근접 배치된 경우, 사용자가 근접 배치된 일부 피가열체에 대해서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열 세기 등을 조정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열 대상에서 제외된 피가열체를 어디로 배치해야 가열 측면에서 효율적인지 알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간섭시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측에 피가열체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1 제어 모듈과, 입력 인터페이스에 서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피가열체 중 어느 하나의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용기 간섭시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평편하게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을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특정 이미지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과, 제2 제어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을 토대로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용기 간섭시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효율적인 용기 재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효율적인 용기 재배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복수개의 피가열체 가열시 가열 효율 개선 및 과발열 방지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 및 안전성 개선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유도 가열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유도 가열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커버 플레이트(119)를 생략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유도 가열 장치(1)의 일부 구성들(예를 들어, 도광체)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케이스(125), 커버 플레이트(119), 베이스 플레이트(145), 인디케이터 기판(175), 인디케이터(즉, 발광 소자(177)와 도광체(210)로 구성), 입력 인터페이스(300), 제1 제어 모듈(310), 제2 제어 모듈(320),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5)는 워킹 코일(WC)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5)에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 베이스 플레이트(145), 인디케이터 기판(175), 발광 소자(177), 도광체(210) 등과 같은 유도 가열 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25)에는 워킹 코일(WC)의 구동과 관련된 각종 장치(예를 들어, 교류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전원부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력을 스위칭 동작을 통해 공진 전류로 변환하여 워킹 코일(WC)에 제공하는 인버터부, 워킹 코일(WC)을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하는 릴레이 또는 반도체 스위치 등)와, 인디케이터 기판(175)이 설치되는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미도시)와, 워킹 코일(WC) 또는 발광 소자(177)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하는 송풍팬(미도시) 등이 더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커버 플레이트(119)는 케이스(125)의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125)의 내부를 차폐하고, 피가열체(미도시)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19)는 조리 용기와 같은 피가열체를 올려놓기 위한 상판부(115; 즉, 커버 플레이트(119)의 상면)를 포함할 수 있고, 워킹 코일(WC)에서 발생된 열은 상판부(115)를 통해 피가열체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판부(115)는 예를 들어, 유리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판부(115)에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제공받아 제2 제어 모듈(320)로 해당 터치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30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커버 플레이트(119)의 상면, 즉, 상판부(115)에 평편하게 매립되도록 설치(즉, 상판부(115)와 동일 평면 상에 평편하게 설치)되고, 제2 제어 모듈(320)에 의해 특정 이미지(예를 들어, 화구 이미지, 잔열 이미지, 가열 세기 이미지, 타이머 이미지, 최적 변경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 등)를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을 제2 제어 모듈(3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가열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인터페이스(300)에는 유도 가열 장치(1)의 구동 상태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도 함께 구비(즉, 터치 스크린 방식 패널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제2 제어 모듈(320)에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을 전달하고,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제어 모듈(310)로 상기 터치 입력을 전달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는 워킹 코일(WC), 페라이트 코어(126), 마이카 시트(120; 즉, 제1 마이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유도 가열 장치(1)가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인 경우,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고, 복수개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예를 들어, WCA)는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개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예를 들어, WCA)에 포함된 복수개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은 그룹 단위로 제어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워킹 코일은 예를 들어, 제1 워킹 코일 그룹(즉, 제1 영역(AR1)에 배치된 복수개의 워킹 코일들), 제2 워킹 코일 그룹(즉, 제2 영역(AR2)에 배치된 복수개의 워킹 코일들)과 같이, 그룹 단위로 제어될 수 있고, 각 워킹 코일 그룹은 개별 인버터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각 워킹 코일 그룹에 포함된 워킹 코일들은 전술한 릴레이 또는 반도체 스위치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1개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워킹 코일(WC)은 환형으로 다수회 감긴 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교류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워킹 코일(WC)은 제1 제어 모듈(31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고, 워킹 코일(WC)의 하측에는 마이카 시트(120) 및 페라이트 코어(126)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페라이트 코어(126)는 워킹 코일(WC)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워킹 코일(WC)의 환형 내측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코어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라이트 코어(126)의 하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45)가 배치될 수 있고, 페라이트 코어(126)와 워킹 코일(WC) 사이에는 마이카 시트(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홀에는 패킹 개스킷(149; packing gasket)이 체결되어 페라이트 코어(126)가 베이스 플레이트(145)에 고정될 수 있고, 패킹 개스킷(149) 상단에는 센서(148)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센서(148)는 상판부(115)의 온도, 워킹 코일(WC)의 온도 또는 워킹 코일(WC)의 동작 등을 감지하여 전술한 제2 제어 모듈(320) 또는 제1 제어 모듈(310)로 온도 정보 또는 동작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126)는 마이카 시트(120)에 실런트(sealant)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워킹 코일(WC)에서 발생되는 교류 자계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이카 시트(120; 즉, 제1 마이카 시트)는 워킹 코일(WC)과 페라이트 코어(126)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워킹 코일(WC)의 환형 내측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시트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카 시트(120)는 워킹 코일(WC) 및 페라이트 코어(126)에 실런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워킹 코일(WC)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페라이트 코어(126)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에는 워킹 코일(WC) 상단에 실런트를 통해 고정되고, 중심부에 워킹 코일(WC)의 환형 내측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제2 시트 홀(미도시)이 형성된 제2 마이카 시트(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마이카 시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WCA)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45) 상에는 페라이트 코어(126), 마이카 시트(120), 워킹 코일(WC)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45)의 하측에는 인디케이터 기판(175)이 베이스 플레이트(145)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45)는 예를 들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뿐만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도광체(21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구비되도록 도광체(21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1개의 워킹 코일(WC) 당 4개의 도광체(예를 들어, 210)가 해당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광체(210)는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을 상단의 발광면(즉, 상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워킹 코일(WC)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즉, 가열 세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도광체(210)는 베이스 플레이트(145)에 형성된 각각의 도광체 설치 홀(147)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45)에는 도광체(210) 설치를 위한 도광체 설치 홀(147)이 페라이트 코어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광체 설치 홀(147)은 도광체(210)가 설치되는 위치를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45)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체 설치 홀(147) 역시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1개의 워킹 코일(WC) 당 4개의 도광체 설치 홀(예를 들어, 147)이 해당 워킹 코일(WC)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광체 설치 홀(147)의 수는 도광체(210)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참고로, 인디케이터 기판(175)에 설치된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이 도광체 설치 홀(147)을 통해 도광체(2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광체(210)는 워킹 코일(WC)의 구동 여부 및 출력 세기(즉, 가열 세기)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인디케이터 기판(175)은 베이스 플레이트(145)의 하측에 베이스 플레이트(145)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인디케이터 기판(175)에는 발광 소자(177)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 기판(175)은 베이스 플레이트(145)에서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미도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기판(175)은 예를 들어, PCB(즉, 인쇄 회로 기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인디케이터 기판(175)에는 발광 소자(177)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부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는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는 도광체 설치 홀(147)을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인디케이터 기판(175)에 설치(즉, 도광체(210)의 하측에 구비)되는바, 발광 소자(177)에서 발산된 광이 도광체 설치 홀(147)을 통해 도광체(210)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는 예를 들어, 각각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제어 모듈(3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 모듈(310)은 복수개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제어 모듈(310)은 각각의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공진 전류의 감쇄 정도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토대로 피가열체가 어느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부연 설명을 하자면, 워킹 코일(WC) 위에 피가열체가 위치하는 경우, 피가열체의 저항으로 인해 전체 저항이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해당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공진 전류의 감쇄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310)은 이와 같이 워킹 코일(WC)에 흐르는 공진 전류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 값을 토대로 해당 워킹 코일(WC) 위에 피가열체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물론, 제1 제어 모듈(310)은 다른 방법을 통해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방법으로 피가열체를 검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제어 모듈(310)은 감지된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2 제어 모듈(320)로 제공하고, 제2 제어 모듈(32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제1 제어 모듈(310)은 제2 제어 모듈(32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토대로 복수개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 모듈(32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되는 이미지 및 복수개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177)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 모듈(32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터치 입력을 제1 제어 모듈(310)로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터치 입력을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 또는 발광 소자(177)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제어 모듈(310)로부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피가열체가 서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및 제2 피가열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제어 모듈(310)로부터 제공받은 복수개의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복수개의 피가열체 중 어느 하나의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제어 모듈(320)은 다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바,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토대로 무선 전력 전송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즉, 최근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많은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충전 패드에 올려 놓는 것 만으로도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유선 코드나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휴대성이 향상되며 크기와 무게가 종래에 비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과, 공진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 그리고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전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1차 코일(예를 들어, 워킹 코일(WC))과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2차 코일 간의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물론 유도 가열 장치(1)의 유도 가열 방식은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한다는 점에서 전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원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의 경우에도, 유도 가열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제어 모듈(320) 또는 제1 제어 모듈(310)에 의해 유도 가열 모드 또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제어될 수도 있는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도 가열 기능 또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지는바,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유도 가열 장치(1)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2는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참고로, 도 11 및 도 1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워킹 코일, 도광체, 입력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피가열체의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제1 및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의 위치에 대응된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1)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는 방법을 먼저 설명한 후 이어서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19)의 상판부(도 1의 115)에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가 배치되면, 제1 제어 모듈(310)은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가 복수개의 워킹 코일(a00~a03, a10~a15, a20~a25, b00~b03, b10~b15, b20~b25)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제어 모듈(320)은 각각의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공진 전류의 감쇄 정도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토대로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가 어느 워킹 코일의 상측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의 위치가 감지되면, 제1 제어 모듈(310)은 감지된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2 제어 모듈(3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제어 모듈(310)로부터 제공받은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제1 및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 FI2)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 FI2)와, 설정 아이콘(예를 들어, 일시 정지 아이콘, 화면 잠금 아이콘, 설정 목록 아이콘, 타이머 아이콘 등)이 표시된 설정 이미지(SI)와, 보조 아이콘(예를 들어, Wi-Fi 연결 상태 아이콘, 현재 시간 표시 아이콘)이 표시된 보조 이미지(CI)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는 커버 플레이트(119) 상의 제1 피가열체(T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고, 제1 피가열체(T1)의 크기 및 회전 방향이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는 커버 플레이트(119) 상의 제2 피가열체(T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고, 제2 피가열체(T2)의 크기 및 회전 방향이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커버 플레이트(119)의 상판부(115) 대비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축척을 토대로 상판부(115) 상의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의 실제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특정 영역에 제1 및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 FI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 FI2) 각각의 중앙에는 전원 이미지(PI1, PI2)가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유도 가열 장치(1)의 전원이 턴온된 상태에서 피가열체가 상판부(115)에 배치되기 이전에는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설정 이미지(SI)와 보조 이미지(CI)만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열체가 상판부(115)에 배치되어 그 위치가 제1 제어 모듈(310)에 의해 감지되면,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예를 들어, FI1, FI2) 및 전원 이미지(예를 들어, PI1, PI2)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추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방법을 통해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제1 및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 FI2)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가 1개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a22)의 상측에 중복되어 배치되는 경우, 해당 피가열체들에 대한 가열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하나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a22)의 상측에서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 둘다가 감지된 경우, 제2 제어 모듈(32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는 최적 가열 위치에 대응되는 화구 이미지(OHP)와, 제1 피가열체(T1)의 현재 위치에서 최적 가열 위치로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이미지(A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는 가이드 문구 이미지(TX1; 예를 들어, '적절한 위치로 용기를 이동시켜 주세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가 제1 피가열체(T1)를 최적 가열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 및 전원 이미지(PI1) 역시 최적 가열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즉, 도 7의 OHP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피가열체(T1)가 최적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제1 제어 모듈(310)이 제1 피가열체(T1)의 변경된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2 제어 모듈(3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제어 모듈(31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즉, OHP, AD, TX1)를 입력 인터페이스(300)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1 피가열체(T1)가 최적 가열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 모듈(32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서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즉, OHP, AD, TX1)가 제거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즉, OHP, AD, TX1)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서 제거된 상태에서 제2 제어 모듈(320)이 입력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 중 어느 하나의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피가열체(T1))를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하는 터치 입력(UT)을 제공받은 경우, 제2 제어 모듈(32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UT)을 제1 제어 모듈(3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제어 모듈(310)은 제2 제어 모듈(320)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UT)을 토대로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된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피가열체(T1))의 하측에 배치된 워킹 코일(예를 들어, a13, a15, a22, a24)을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되지 않은 피가열체의 하측에 배치된 워킹 코일(예를 들어, a20~a23)보다 먼저 구동시킬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의 하측에 동시에 배치된 워킹 코일(예를 들어, a22)도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된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피가열체(T1))의 가열을 위해 구동될 수 있다.
참고로,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된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피가열체(T1))의 하측에 배치된 워킹 코일(예를 들어, a13, a15, a22, a24)의 구동시 제2 제어 모듈(3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UT)을 토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우선 가열 문구 이미지(TX2; 예를 들어, '선택한 화구가 우선 가열됩니다')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2 제어 모듈(320)은 우선 가열 문구 이미지(TX2)가 표시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우선 가열 문구 이미지(TX2)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서 제거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 모듈(32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 중 어느 하나의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하는 동시에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최적 가열 위치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교대로 턴온 및 턴오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 모듈(320)은 이동 대상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피가열체(T1))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즉, a13, a15, a22, a24)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최적 가열 위치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즉, a12~a15)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교대로 턴온 및 턴오프시킬 수 있다.
물론, 전술한 2가지 위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발광 소자(예를 들어, a13의 전단 및 a15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경우, 교대로 턴온 및 턴오프될 수도 있고,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제어 모듈(320)이 이동 대상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피가열체(T1))의 하측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즉, a13, a15, a22, a24)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턴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해당 발광 소자의 상측에 위치하는 도광체(210)의 발광면이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모듈(320)이 최적 가열 위치에 위치하는 워킹 코일(즉, a12~a15)의 주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교대로 턴온 및 턴오프시킴으로써 해당 발광 소자의 상측에 위치하는 도광체(210')의 발광면이 점멸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발광 상태와 도 12에 도시된 발광 상태가 교대로 반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300) 뿐만 아니라 상판부(도 1의 115)를 통해서도 제1 및 제2 피가열체(T1, T2) 중 어떤 피가열체를 최적 가열 위치로 옮겨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정리하자면, 1개의 워킹 코일의 상측에 2개 이상의 피가열체가 위치하는 경우,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1)는 가열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300) 및 상판부(도 1의 115)를 통해 일부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1)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일 예가 구현되는바,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유도 가열 장치(1)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참고로, 도 13에 도시된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다른 예는 도 8 내지 도 12에서 설명된 최적 변경 위치 가이드 이미지 제거 여부 결정, 우선 가열 대상 선정 및 가열, 발광 소자 구동 등의 방법을 동일하게 포함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및 제3 피가열체(즉,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에 대응되는 피가열체와 제3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3)에 대응되는 피가열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열 세기 이상의 가열 세기로 가열되는 상태에서 1개의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에 대응되는 피가열체)가 가열 중인 피가열체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과열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여기에서, 제1 피가열체의 가열 세기(PL1)는 'Boost 모드 가열'을 가리키고, 제3 피가열체의 가열 세기(PL3)는 '9(즉, 1~9 중 가장 높은 가열 세기)'를 가리킨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가열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열 세기 이상의 가열 세기로 가열되는 상태에서 제2 피가열체가 제1 피가열체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 과열 발생 가능성이 커지는바, 제2 제어 모듈(32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제2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는 최적 가열 위치에 대응되는 화구 이미지(OHP)와, 제2 피가열체의 현재 위치에서 최적 가열 위치로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이미지(A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는 가이드 문구 이미지(TX1; 예를 들어, '적절한 위치로 용기를 이동시켜 주세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적어도 하나의 피가열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열 세기 이상의 가열 세기로 가열되는 상태에서 추가 피가열체가 가열 중인 피가열체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1)는 과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300) 및 상판부(도 1의 115)를 통해 추가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1)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다른 예가 구현되는바,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유도 가열 장치(1)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또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의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참고로, 도 14에 도시된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방법의 또 다른 예는 도 8 내지 도 12에서 설명된 최적 변경 위치 가이드 이미지 제거 여부 결정, 우선 가열 대상 선정 및 가열, 발광 소자 구동 등의 방법을 동일하게 포함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1)가 제1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제1 영역(도 2의 AR1)에 배치된 워킹 코일에 공진 전류를 인가하고, 제2 제어 모듈(320)에 의해 제1 스위칭 동작이 제어되는 제1 인버터부(미도시) 및 제2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제2 영역(도 2의 AR2)에 배치된 워킹 코일에 공진 전류를 인가하고, 제2 제어 모듈(320)에 의해 제2 스위칭 동작이 제어되는 제2 인버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되, 제1 및 제2 스위칭 동작은 서로 다른 스위칭 동작이고, 제1 및 제2 영역(도 2의 AR1, AR2)은 서로 다른 영역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영역(도 2의 AR1)의 위치는 도 14에 도시된 제1 가상 영역(ARI1; 설명을 위해 표시한 이미지로 실제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는 표시 안됨)의 위치에 대응되고, 제2 영역(도 2의 AR2)의 위치는 도 14에 도시된 제2 가상 영역(ARI2; 설명을 위해 표시한 이미지로 실제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는 표시 안됨)의 위치에 대응된다고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피가열체(예를 들어, 제1 및 제2 피가열체(즉,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에 대응되는 피가열체와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에 대응되는 피가열체)) 각각의 가열을 위한 필요 출력 세기가 서로 다르고, 복수개의 피가열체가 모두 동일한 인버터부(예를 들어, 제1 인버터부)에 의해 제어되는 워킹 코일 배치 영역(예를 들어, 제1 영역(도 2의 AR1))의 상측에서 감지된 경우, 인버터부의 동작 효율성이 저하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피가열체 각각의 가열을 위한 필요 출력 세기가 서로 다르고, 제1 및 제2 피가열체 둘다가 제1 영역(도 2의 AR1)에 배치된 워킹 코일의 상측에서 감지된 경우, 제2 제어 모듈(32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는 최적 가열 위치에 대응되는 화구 이미지(OHP)와, 제1 피가열체(T1)의 현재 위치에서 최적 가열 위치로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이미지(A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가열체(T1)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는 가이드 문구 이미지(TX1; 예를 들어, '적절한 위치로 용기를 이동시켜 주세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4의 케이스에서, 제1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는 제2 영역(도 2의 AR2)에 배치된 워킹 코일의 상측에 대응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복수개의 피가열체 각각의 가열을 위한 필요 출력 세기가 서로 다르고, 복수개의 피가열체가 모두 동일한 인버터부에 의해 제어되는 워킹 코일 배치 영역의 상측에서 감지된 경우, 도 1의 유도 가열 장치(1)는 인버터부의 동작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300) 및 상판부(도 1의 115)를 통해 일부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용기 간섭시 최적 가열 위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효율적인 용기 재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효율적인 용기 재배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복수개의 피가열체 가열시 가열 효율 개선 및 과발열 방지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 및 안전성 개선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5: 상판부 119: 커버 플레이트
125: 케이스 300: 입력 인터페이스
310: 제1 제어 모듈 320: 제2 제어 모듈

Claims (1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워킹 코일;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제1 및 제2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평편하게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측에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1 제어 모듈;
    상기 감지된 제1 및 제2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상기 특정 이미지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 및
    상기 제2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되어 광을 발산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가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중 어느 하나의 피가열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어느 하나의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상기 최적 가열 위치와 대응되는 2 이상의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된 2 이상의 발광 소자를 반복적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유도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하나의 워킹 코일의 상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둘다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유도 가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1 피가열체가 상기 최적 가열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제거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유도 가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중 어느 하나의 피가열체를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제공받은 경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제1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제어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터치 입력을 토대로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상기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된 피가열체의 하측에 배치된 워킹 코일을 상기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되지 않은 피가열체의 하측에 배치된 워킹 코일보다 먼저 구동시키는
    유도 가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는,
    상기 최적 가열 위치에 대응되는 화구 이미지와,
    상기 제1 피가열체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최적 가열 위치로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열 세기 이상의 가열 세기로 가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피가열체가 상기 제1 피가열체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2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유도 가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 피가열체가 상기 최적 가열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제거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유도 가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중 어느 하나의 피가열체를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제공받은 경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제1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제어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터치 입력을 토대로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상기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된 피가열체의 하측에 배치된 워킹 코일을 상기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되지 않은 피가열체의 하측에 배치된 워킹 코일보다 먼저 구동시키는
    유도 가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는,
    상기 최적 가열 위치에 표시된 화구 이미지와,
    상기 제2 피가열체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최적 가열 위치로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제1 영역에 배치된 워킹 코일에 공진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2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칭 동작이 제어되는 제1 인버터부; 및
    제2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제2 영역에 배치된 워킹 코일에 공진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2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칭 동작이 제어되는 제2 인버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동작은 서로 다른 스위칭 동작이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서로 다른 영역인
    유도 가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각각의 가열을 위한 필요 출력 세기가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둘다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워킹 코일의 상측에서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유도 가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1 피가열체가 상기 최적 가열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제거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유도 가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피가열체 중 어느 하나의 피가열체를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제공받은 경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제1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제어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터치 입력을 토대로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상기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된 피가열체의 하측에 배치된 워킹 코일을 상기 우선 가열 대상으로 선택되지 않은 피가열체의 하측에 배치된 워킹 코일보다 먼저 구동시키는
    유도 가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미지는,
    상기 최적 가열 위치에 표시된 화구 이미지와,
    상기 제1 피가열체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최적 가열 위치로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열체의 최적 가열 위치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워킹 코일의 상측에 대응되는
    유도 가열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제2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터치 입력을 토대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상기 특정 이미지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제1 제어 모듈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제어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터치 입력을 토대로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는
    유도 가열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제어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되,
    상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의 상기 피가열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피가열체의 크기 및 회전 방향이 반영되어 표시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190045750A 2019-04-18 2019-04-18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206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750A KR102206096B1 (ko) 2019-04-18 2019-04-18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EP20791379.9A EP3957131A4 (en) 2019-04-18 2020-04-16 INDUCTION HEATER WITH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PCT/KR2020/005081 WO2020213947A1 (en) 2019-04-18 2020-04-16 Induction heating device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US17/604,568 US20220201809A1 (en) 2019-04-18 2020-04-16 Induction heating device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750A KR102206096B1 (ko) 2019-04-18 2019-04-18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711A KR20200122711A (ko) 2020-10-28
KR102206096B1 true KR102206096B1 (ko) 2021-01-21

Family

ID=7283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750A KR102206096B1 (ko) 2019-04-18 2019-04-18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01809A1 (ko)
EP (1) EP3957131A4 (ko)
KR (1) KR102206096B1 (ko)
WO (1) WO202021394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8613A (ja) * 2008-03-27 200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6052585B2 (ja) * 2012-08-24 2016-1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JP6227162B2 (ja) * 2014-10-29 2017-11-0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2585B2 (ja) * 1978-01-27 1985-1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ワイヤボンディング法
JPS55148210A (en) * 1979-04-30 1980-11-18 Kuraray Co Ltd Preparation of hollow ethylene-vinyl alcohol membrane
ES2579334T3 (es) * 2012-07-20 2016-08-10 BSH Hausgeräte GmbH Dispositivo de campos de cocción
JP2016025031A (ja) * 2014-07-23 2016-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DE102014111899A1 (de) * 2014-08-20 2016-02-25 Miele & Cie. Kg Kochfeld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KR102413858B1 (ko) * 2017-08-31 2022-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알고리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8613A (ja) * 2008-03-27 200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6052585B2 (ja) * 2012-08-24 2016-1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JP6227162B2 (ja) * 2014-10-29 2017-11-0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7131A1 (en) 2022-02-23
EP3957131A4 (en) 2022-12-28
WO2020213947A1 (en) 2020-10-22
KR20200122711A (ko) 2020-10-28
US20220201809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156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KR102631230B1 (ko)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60150B1 (ko) 냉각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11653422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KR20200122714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60149B1 (ko)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560312B1 (ko)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206096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00122713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266358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60146B1 (ko) 워킹 코일 고정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10066227A (ko)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KR20200057552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20230292411A1 (en) Induction heating cooktop and wireless indicator for indicating operation state thereof
KR20190133315A (ko) 워킹 코일 연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676465B1 (ko)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445832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US20220412567A1 (en) Electric range of which heat power is controlled without user interven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00057551A (ko) 가열 위치 가이드 메커니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190115751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
KR20210083568A (ko) 피가열체의 속성에 기초하여 화력이 조절되는 전기 레인지
KR20210063897A (ko)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KR20210078795A (ko) 피가열체의 물리적 상태에 기초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전기 레인지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