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062B1 -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062B1
KR102535062B1 KR1020180044073A KR20180044073A KR102535062B1 KR 102535062 B1 KR102535062 B1 KR 102535062B1 KR 1020180044073 A KR1020180044073 A KR 1020180044073A KR 20180044073 A KR20180044073 A KR 20180044073A KR 102535062 B1 KR102535062 B1 KR 10253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rol module
input interface
heated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643A (ko
Inventor
정미진
한현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062B1/ko
Priority to EP19785029.0A priority patent/EP3780905A4/en
Priority to US17/046,951 priority patent/US11877372B2/en
Priority to PCT/KR2019/004402 priority patent/WO2019199097A1/ko
Publication of KR2019012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4Heating plates with overheat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온도 센서로부터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잔열 이미지 표시 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HALF FLEX TYPE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Half Flex Type)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체, 예컨대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예를 들어, 조리 용기)에 전달함으로써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피가열체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중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된 유도 가열 장치는 복수개의 피가열체 각각(예를 들어, 조리 용기)을 가열하기 위해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워킹 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최근에는 하나의 대상체를 복수개의 워킹 코일로 동시에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프 플렉스 타입(half flex type) 유도 가열 장치의 경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영역에 복수개의 워킹 코일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도 가열 장치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특정 영역 내에서 피가열체의 크기에 따라 일부 워킹 코일만을 동작시켜 피가열체를 유도 가열시킬 수 있다.
참고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구동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도 함께 구비(즉, 터치 스크린 방식 패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잔열을 표시하는 기능이 없어서 사용자는 유도 가열 장치의 상판부(즉, 피가열체가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의 상판부)에 잔열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도 가열 장치에 남아있는 잔열로 인해 화상을 입게 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사용자 역시 잔열로 인한 화상을 조심하기 위해 조리 작업시 효율적으로 유도 가열 장치를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경우, 워킹 코일 작동시 피가열체가 배치된 위치에 화구를 표시하였다. 다만, 해당 화구에는 설정된 가열 세기와 타이머(즉, 가열 시간) 정보만 표시되는바, 실제로 해당 화구를 통해 피가열체가 가열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잔열 감지 및 표시 기능을 갖춘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의 해당 위치에 전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온도 센서로부터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잔열 이미지 표시 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과,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부에 피가열체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잔열 감지 및 표시 기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터치 입력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터치 입력이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인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에 가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가열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평편하게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을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특정 이미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과,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부에 피가열체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제1 제어 모듈은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 및 전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잔열 감지 및 표시 기능을 갖춤으로써 사용자가 잔열로 인해 화상을 입게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잔열에 대한 사용자의 걱정을 경감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조리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가열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바, 사용자는 피가열체가 가열되고 있다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피가열체가 제대로 가열되고 있는지 여부를 반복해서 확인할 필요가 없는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의 해당 위치에 전원 이미지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워킹 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서 자동 감지 모드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서 화구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서 가열 세기 및 타이머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13은 가열 이미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잔열 이미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피가열체 제거에 따른 잔열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커버 플레이트(119)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케이스(125), 커버 플레이트(119), 입력 인터페이스(300), 제1 제어 모듈(310), 제2 제어 모듈(320), 온도 센서(330), 복수개의 워킹 코일(W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케이스(125)에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WC) 외에도 워킹 코일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인디케이터 기판이 설치되는 인디케이터 기판 지지부, 인디케이터 기판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 복수개의 발광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디케이터 기판, 발광 소자에서 발산된 광을 발광면을 통해 표시하는 도광체, 워킹 코일 또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하는 송풍팬과 같은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5)에는 워킹 코일(WC)의 구동과 관련된 각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류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전원부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력을 스위칭 동작을 통해 공진 전류로 변환하여 워킹 코일(WC)에 제공하는 인버터부, 인버터부 및 그 구동과 관련된 부품들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320), 워킹 코일(WC)을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하는 릴레이 또는 반도체 스위치 등이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125)는 워킹 코일(WC)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커버 플레이트(119)는 케이스(125)의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125)의 내부를 차폐하고, 피가열체(미도시; 즉, 복수개의 워킹 코일(WC)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대상체)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19)는 조리 용기와 같은 피가열체를 올려놓기 위한 상판부(115)를 포함할 수 있고,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에서 발생된 열은 상판부(115)를 통해 피가열체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판부(115)는 예를 들어, 유리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판부(115)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아 제1 제어 모듈(310)로 해당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300)가 설치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커버 플레이트(119)의 상면, 즉, 상판부(115)에 평평하게 매립되도록 설치(즉, 상판부(115)와 동일 평면 상에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상면이 배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을 제1 제어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가열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도 함께 구비(즉, 터치 스크린 방식 패널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제1 제어 모듈(310)에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입력을 전달하고, 제1 제어 모듈(310)이 전술한 제2 제어 모듈(320)로 상기 입력을 전달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온도 센서(330)는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330)는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1 제어 모듈(31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310)은 온도 센서(330)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잔열 이미지 표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모듈(31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제1 제어 모듈(3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특정 이미지를 표시(즉,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31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을 제2 제어 모듈(320)로 전달하거나 수신된 터치 입력을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되는 특정 이미지를 제어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 모듈(310)은 제2 제어 모듈(320)로부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되는 특정 이미지를 제어 또는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제어 모듈(320)은 복수개의 워킹 코일(WC)의 구동을 제어하고, 복수개의 워킹 코일(WC)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부에 피가열체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 모듈(3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버터부 및 그 구동과 관련된 부품들을 제어함으로써 복수개의 워킹 코일(W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모듈(320)은 감지된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1 제어 모듈(310)로 제공할 수 있고, 제1 제어 모듈(31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제2 제어 모듈(320)은 제1 제어 모듈(31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기초로 복수개의 워킹 코일(W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개의 워킹 코일(WC)은 케이스(125)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2 제어 모듈(32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워킹 코일(WC)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1)는, 하프 프리 영역(HFZ)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1, WC12)과, 듀얼 버너 영역(DZ) 상에 배치되는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21, WC22)과 지정 버너 영역(SZ) 상에 배치되는 제5 워킹 코일(WC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프 프리 영역(HFZ), 듀얼 버너 영역(DZ) 및 지정 버너 영역(SZ)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2)는, 제1 하프 프리 영역(HFZ1)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1, WC12)과, 듀얼 버너 영역(DZ) 상에 배치되는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21, WC22)과 제2 하프 프리 영역(HFZ2) 상에 배치되는 제5 및 제6 워킹 코일(WC31, WC3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하프 프리 영역(HFZ1), 듀얼 버너 영역(DZ) 및 제2 하프 프리 영역(HFZ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각 영역의 배치는 얼마든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워킹 코일(WC)은 제2 제어 모듈(32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워킹 코일(WC)을 예로 들어 워킹 코일(WC)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워킹 코일(WC)은 환형으로 다수회 감긴 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교류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워킹 코일(WC)의 하측에는 마이카 시트 및 페라이트 코어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는 마이카 시트에 실런트(sealant)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워킹 코일(WC)에서 발생되는 교류 자계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이카 시트는 워킹 코일(WC) 및 페라이트 코어에 실런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워킹 코일(WC)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페라이트 코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기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즉, 최근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많은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충전 패드에 올려 놓는 것 만으로도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유선 코드나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휴대성이 향상되며 크기와 무게가 종래에 비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과, 공진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 그리고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전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1차 코일(예를 들어, 워킹 코일)과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2차 코일 간의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물론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가열 방식은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한다는 점에서 전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원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1, 2)의 경우에도, 유도 가열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제어 모듈(310)에 의해 유도 가열 모드 또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제어될 수도 있는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도 가열 기능 또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1, 2)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지는바, 이하에서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1, 2)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서 자동 감지 모드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여기에서,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1)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300)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2)에 대한 인터페이스(300)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19)의 상판부(115)에 피가열체가 놓여지면, 제2 제어 모듈(320)은 해당 피가열체가 복수개의 워킹 코일(WC)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부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제어 모듈(320)은 각각의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공진 전류의 감쇄 정도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기초로 피가열체가 어느 워킹 코일의 상부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부연 설명을 하자면,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 위에 피가열체가 위치하는 경우, 피가열체의 저항으로 인해 전체 저항이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해당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을 흐르는 공진 전류의 감쇄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제2 제어 모듈(320)은 이와 같이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에 흐르는 공진 전류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 값을 기초로 해당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 위에 피가열체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물론, 제2 제어 모듈(320)은 다른 방법을 통해 피가열체를 감지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방법으로 피가열체를 검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피가열체의 위치가 감지되면, 제2 제어 모듈(320)은 감지된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1 제어 모듈(3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310)은 제2 제어 모듈(320)로부터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는 복수의 워킹 코일(WC)의 배치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예를 들어, 도 5의 HFZ, DZ, SZ)와,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예를 들어, FI11, F12, F21, F22, F3)와, 설정 아이콘(예를 들어, 일시 낮춤 아이콘, 버튼 잠금 아이콘, 설정 목록 아이콘, 타이머 아이콘)이 표시된 설정 이미지(SI)와, 보조 아이콘(예를 들어, 피가열체 자동 감지 상태 아이콘, Wi-Fi 연결 상태 아이콘, 현재 시간 표시 아이콘)이 표시된 보조 이미지(CI)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HFZ, DZ, SZ)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HFZ, DZ, SZ)는 대응되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예를 들어, FI11, FI12, FI21, FI22, FI3) 보다 흐릿하게 표시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HFZ, DZ, SZ)는 도 2의 복수의 워킹 코일(WC)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 이미지(HFZ)는 하프 프리 버너 영역을 나타내며, 제1 영역 이미지(HFZ)는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버너 영역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버너 영역은 도 2의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에서 동시에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두 개의 버너 영역 상에 동시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1, FI12)가 개별 활성화된다(도 5의 <C>). 이때, 사용자는 하프 플렉스 버튼 이미지(FB)를 선택함으로써 두개의 화구를 링크(link)시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1 또는 제2 워킹 코일(WC1, WC2) 중 어느 하나에서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피가열체가 감지된 버너 영역에 해당하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도 5의 <B>).
제2 영역 이미지(DZ)는 듀얼 버너 영역을 나타내며, 동일한 중심을 갖고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두 개의 버너 영역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버너 영역은 도 2의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피가열체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커서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에서 동시에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두 개의 버너 영역을 포함하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2)가 활성화된다(도 5의 <C>). 반면, 피가열체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아 제3 워킹 코일(WC3)에서만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작은 지름의 버너 영역만을 포함하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1)가 활성화된다(도 5의 <B>).
제3 영역 이미지(SZ)는 싱글 버너 영역을 나타내며, 하나의 원형 버너 영역만으로 구성된다. 제5 워킹 코일(WC5)에서 피가열체가 감지되는 경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3)가 활성화된다(도 5의 <B>, <C>).
각각의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예를 들어, FI11, FI12, FI21, FI22, FI3)의 중앙에는 해당 워킹 코일(WC)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전원 이미지(PI)가 표시될 수 있다.
추가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하단에 설정 이미지(SI)와 보조 이미지(CI)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입력 인터페이스(300)가 턴온되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상부에는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HFZ, DZ, SZ)가 표시되고, 하부에는 설정 이미지(SI) 및 보조 이미지(CI)가 표시된다.
이어서, 피가열체가 상판부(115)에 배치되어 그 위치가 제2 제어 모듈(320)에 의해 감지되면,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 및 전원 이미지(PI)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 모듈(310)은 제2 제어 모듈(320)로부터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2)에 대한 인터페이스(300)는 복수의 워킹 코일(WC)의 배치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예를 들어, HFZ1, DZ, HFZ2)와,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예를 들어, FI11, F12, F21, F22, F31, F32)와, 설정 이미지(SI)와, 보조 이미지(CI)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3 영역 이미지(HFZ1, HFZ2)는 도 5의 제1 영역 이미지(HFZ)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머지 영역(즉, 제2 영역 이미지(DZ),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 설정 이미지(SI)와, 보조 이미지(CI))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제어 모듈(310)은 자동 감지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 감지 모드의 활성화된 경우, 제1 제어 모듈(310)은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HFZ, DZ, SZ)를 표시하고,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는 표시하지 않는다. 이어서, 피가열체가 제2 제어 모듈(32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만을 표시한다(도 5 및 도 6의 <A> -> <B>).
반대로, 자동 감지 모드의 비활성화된 경우, 제1 제어 모듈(310)은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HFZ, DZ, SZ) 상의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를 모두 활성화시켜 표시한다(도 5 및 도 6의 <A> -> <C>). 이어서, 피가열체가 제2 제어 모듈(32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제1 제어 모듈(310)은 피가열체가 감지된 해당 영역의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의 크기를 조절하여 입력 인터페이스(300) 상에 표시한다(즉, 감지된 피가열체에 따라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의 크기를 조절하고, 피가열체가 감지되지 않은 영역에도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를 표시한다)(도 5 및 도 6의 <C> -> <B>).
참고로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러한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의 표시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서 화구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HFZ1, DZ, HFZ2)와, 각각의 영역에 대응되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FI3)와, 설정 아이콘이 표시된 설정 이미지(SI)와, 보조 아이콘이 표시된 보조 이미지(CI)를 표시한다.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HFZ1, DZ, HFZ2)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FI3)보다 흐릿하게 표시되며,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나타난다.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FI3)는 현재 피가열체가 인가된 워킹 코일(WC)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제2 영역 이미지(DZ) 상에 표시되는 테두리가 원형인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를 예로 들어,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가 나타내는 의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참고로,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FI3) 내측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공통된 의미를 갖는다.
우선, 제1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1)는 중앙에 전원 이미지(PI)가 표시되며, 전원 이미지(PI)를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해당 화구에 대응되는 워킹 코일(WC)이 동작을 시작한다.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2)는 사용자가 전원 이미지(PI)를 터치하는 경우 표시된다. 이때,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2)는 가열 세기 이미지(PL), 타이머 이미지(T), 및 종료 이미지(TI)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가열 세기 이미지(PL)는 워킹 코일(WC)의 출력 레벨을 나타내며, 타이머 이미지(T)는 워킹 코일(WC)의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아이콘을 나타내고, 종료 이미지(TI)는 워킹 코일(WC)의 동작을 즉각 정지시키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으나, 워킹 코일(WC)의 동작을 중지시키더라도 화구의 온도는 즉각적으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이 경우 화구의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음을 나타내는 잔열 표시 이미지(RHI)가 제2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2)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가열 세기 이미지(PL)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의 상측에 배치되고, 타이머 이미지(T)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의 하측에 배치되며, 종료 이미지(TI)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의 경계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23)는 사용자가 타이머 이미지(T)를 선택하여 워킹 코일(WC)의 동작 시간을 설정한 경우 표시된다. 여기에서, 동작 시간은 워킹 코일(WC)의 동작에 대한 잔여 시간을 나타낸다.
추가로, 설정 이미지(SI)는 일시 낮춤 아이콘(SI1), 버튼 잠금 아이콘(SI2), 설정 목록 아이콘(SI3), 타이머 아이콘(SI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일시 낮춤 아이콘(SI1)은 각 화구의 온도를 일시적으로 동시에 낮추거나 낮추기 전 상태로 회복시킨다. 버튼 잠금 아이콘(SI2)은 일정 시간 동안 다른 버튼이 입력되지 않도록 하는 클린 락(clean lock) 동작을 수행시킨다. 설정 목록 아이콘(SI3)은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의 동작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시킨다. 타이머 아이콘(SI4)은 워킹 코일(WC)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으로 전환시킨다.
보조 이미지(CI)는 피가열체 자동 감지 모드 아이콘(CI1), Wi-Fi 연결 상태 아이콘(CI2), 현재 시간 표시 아이콘(CI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피가열체 자동 감지 모드 아이콘(CI1)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서 자동 감지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표시된다. Wi-Fi 연결 상태 아이콘(CI2)은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가 Wi-Fi 연결 가능 상태인 경우 표시된다. 현재 시간 표시 아이콘(CI3)은 현재 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
도 8은 하프 플렉스 버튼 이미지(FB)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1 영역 이미지(HFZ)의 하프 플렉스 버튼 이미지(FB)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살펴보면, 제1 영역 이미지(HFZ)는 제1 워킹 코일(WC1)에 대응되는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워킹 코일(WC2)에 대응되는 제2 서브 영역(A2)로 구성된다.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의 일측에는 하프 플렉스 버튼 이미지(FB)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D1> 이미지는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이 언링크(Unlincked) 된 상태에서 피가열체가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상에서 감지되지 않았을 때 나타난다. 이때, 하프 플렉스 버튼 이미지(FB)는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이 언링크(Unlincked) 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D2> 이미지는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이 링크(lincked) 된 상태에서 피가열체가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상에서 감지되지 않았을 때 나타낸다. 이때, 하프 플렉스 버튼 이미지(FB)는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이 링크(lincked) 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D3> 이미지는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이 언링크(Unlincked) 된 상태에서 피가열체가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모두에서 감지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 상에는 개별적으로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a, FIb)가 표시되며,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은 각각 개별 제어될 수 있다.
<D4> 이미지는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이 언링크(Unlincked) 된 상태에서 피가열체가 제2 워킹 코일(WC2) 상에서만 감지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제2 서브 영역(A2) 상에만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b)가 표시된다.
<D5> 이미지는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이 링크(lincked) 된 상태에서 피가열체가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상에서 감지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 상에는 하나의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t)가 표시되며, 이때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는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제2 영역 이미지(DZ)에서 표시되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c, FI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살펴보면, 제2 영역 이미지(DZ)는 제3 워킹 코일(WC3)에 대응되는 제3 서브 영역(A3)과 제4 워킹 코일(WC4)에 대응되는 제4 서브 영역(A4)으로 구성된다. 제3 서브 영역(A3)과 제4 서브 영역(A4)은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E1> 이미지는 피가열체가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 상에서 감지되지 않았을 때 나타난다. 이때, 제2 영역 이미지(DZ) 상에는 제3 서브 영역(A3)과 제4 서브 영역(A4)을 나타내는 흐릿한 이미지가 표시된다.
<E2> 이미지는 피가열체가 제3 워킹 코일(WC3) 상에서만 감지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제3 서브 영역(A3) 상에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c)가 오버랩되어 표시된다.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c)는 중앙에 전원 이미지(PI)가 표시되며, 전원 이미지(PI)를 선택하는 경우 제3 워킹 코일(WC3)만이 동작하게 된다.
<E3> 이미지는 피가열체가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 모두에서 감지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제3 및 제4 서브 영역(A3, A4) 상에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d)가 오버랩되어 표시된다.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d)는 중앙에 전원 이미지(PI)가 표시되며, 전원 이미지(PI)를 선택하는 경우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이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
<E4> 이미지는 사용자가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c)의 전원 이미지(PI)를 선택함에 따라 제3 워킹 코일(WC3)이 동작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c)의 내측에는 워킹 코일의 현재 출력을 나타내는 가열 세기 이미지(PL)와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이미지(T)가 표시된다. 또한,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c)의 일측에는 워킹 코일의 동작을 원스텝(one-step)으로 중단시키는 종료 이미지(TI)가 표시된다.
<E5> 이미지는 사용자가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d)의 전원 이미지(PI)를 선택하여,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이 모두 동작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d)의 내측에는 워킹 코일의 현재 출력을 나타내는 가열 세기 이미지(PL)와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이미지(T)가 표시되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d)의 일측에는 워킹 코일의 동작을 원스텝(one-step)으로 중단시키는 종료 이미지(TI)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1, 2)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지는바, 이하에서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1, 2)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서 가열 세기 및 타이머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13은 가열 이미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잔열 이미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피가열체 제거에 따른 잔열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참고로, 도 10은 가열 세기 이미지, 타이머 이미지 및 가열 세기 선택 이미지가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실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가열 세기가 선택된 후 표시될 때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타이머가 설정된 후 표시될 때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을 살펴보면,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전원 이미지(PI)를 터치하는 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전원 이미지(PI)를 터치하는 입력을 제1 제어 모듈(3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31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제공받은 전원 이미지(PI)를 터치하는 입력을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가열 세기 이미지(PL) 및 타이머 이미지(T)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원 이미지(PI)를 터치하면 입력 인터페이스(300)에는 전원 이미지(PI) 대신 가열 세기 이미지(PL) 및 타이머 이미지(T)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세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가열 세기 선택 이미지(PL PICKER)도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드래그 동작을 통해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예를 들어, 3.5의 가열 세기를 터치하는 입력)을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가열 세기는 가열 세기 이미지(PL)에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가 타이머에 관한 입력 없이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만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제공한 경우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가열 작업이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세기 이미지(PL) 및 타이머 이미지(T)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타이머 이미지(T)를 터치하면, 타이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타이머 선택 이미지(TIMER SETTING)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드래그 동작을 통해 특정 시, 분 값에 관한 터치 입력을 할 수 있고, 이 후 'OK'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타이머는 변경된 타이머 이미지(T')로 표시된 후 카운트될 수 있고, 정해진 시간이 종료되면,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의 중앙에는 다시 전원 이미지(PI)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판부(115)에 잔열이 남아있는 경우, 잔열 이미지(RHI)도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의 내측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을 제1 제어 모듈(3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310)은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을 제2 제어 모듈(320)로 제공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을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가열 이미지(HI1, HI2)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 모듈(320)은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을 기초로 복수개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 중 피가열체가 감지된 위치에 배치된 워킹 코일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t, FI2)의 중앙에 가열 세기 이미지(PL)와 변경된 타이머 이미지(T')뿐만 아니라 배경 이미지로 가열 이미지(HI1, HI2)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 이미지(HI1, HI2)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t, FI2)가 표시되는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특정 영역 안에 표시되고, 동적 이미지 형태로 반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 이미지(HI1, HI2)는 워킹 코일이 구동 중인 동안(즉, 가열 작업 중인 동안) 불꽃의 색상과 모양을 형상화한 모션 형태로 반복해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재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피가열체에 대한 가열 작업이 진행 중이라는 것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3의 가열 이미지(HI1, HI2)는 다양한 색상과 형상을 갖는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서 잔열 이미지가 표시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4는 잔열 이미지가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실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피가열체 제거에 따른 잔열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을 제1 제어 모듈(3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 모듈(310)은 온도 센서(330)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즉, 상판부(115)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어서, 제1 제어 모듈(310)은 온도 센서(330)로부터 제공받은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잔열 이미지 표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 모듈(310)은 커버 플레이트(119)에 잔열이 남아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잔열 이미지(RHI)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19)에 잔열이 남아있는 경우, 잔열 이미지(RHI1, RHI2, RHI3)는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HFZ1, DZ, HFZ2)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19)에 잔열이 남아있는 경우, 커버 플레이트(119)가 아직 뜨겁다는 메시지창(M1)을 입력 인터페이스(3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시지창(M1)는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초)이 경과되는 경우 사라지거나, 커버 플레이트(119)에서 잔열이 사라질 때까지 계속해서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잔열 이미지(RHI1, RHI2, RHI3)는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상면 일측 상단 또는 상면 타측 상단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잔열 이미지(RHI1)가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제1 내지 제3 영역 이미지(HFZ1, DZ, HFZ2)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잔열 이미지(RHI1)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복수개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 중 구동 중인 워킹 코일의 종료를 의미하는 터치 입력을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제공한 경우이다.
이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해당 입력을 제1 제어 모듈(310)로 제공하고, 제1 제어 모듈(310)은 해당 입력 및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커버 플레이트(119)에서 잔열이 제거될 때까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잔열 이미지(RHI1)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한다.
나아가, 커버 플레이트(119)에 잔열이 남아있는 경우 제1 제어 모듈(310)은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커버 플레이트(119)에서 잔열이 제거될 때까지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커버 플레이트(119)의 잔열이 제거된 경우 제1 제어 모듈(310)은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 중 피가열체가 감지된 위치에 배치된 워킹 코일에서 피가열체가 제거되어 워킹 코일이 구동을 중단한 경우, 제1 제어 모듈(310)은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커버 플레이트(119)에서 잔열이 제거될 때까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잔열 이미지(RHI1)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피가열체가 워킹 코일 상에서 제거되는 경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는 사라지게 되나, 잔열 이미지(RHI1)는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가 기준 온도 보다 낮아질 때까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계속해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 모듈(310)은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커버 플레이트(119)에서 잔열이 제거될 때까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잔열 이미지(RHI1)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가 기준 온도 보다 낮아지는 경우(예를 들어, n초 경과 후) 잔열 이미지(RHI1)는 입력 인터페이스(300) 상에서 사라진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종료 이미지(도 13의 TI)를 터치하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된 가열 세기 이미지(PL) 및 타이머 이미지(T)는 전원 이미지(PI) 및 잔열 이미지(RHI)로 변경되고, 해당 피가열체에 대해 가열 작업 중이던 워킹 코일의 구동은 중단될 수 있다.
이어서,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된 가열 세기 이미지(PL) 및 타이머 이미지(T)가 전원 이미지(PI) 및 잔열 이미지(RHI)로 변경되는 경우, 제1 제어 모듈(310)은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커버 플레이트(119)에서 잔열이 제거될 때까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잔열 이미지(RHI1)가 표시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사용자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제공된 터치 입력이 복수개의 워킹 코일(WC) 중 구동 중인 워킹 코일의 종료를 의미하는 경우(즉, 종료 이미지(TI)에 대한 터치 입력인 경우), 제2 제어 모듈(320)은 구동 중인 워킹 코일(즉, 종료 대상 피가열체에 대해 가열 작업 중이던 워킹 코일)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 모듈(31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된 가열 세기 이미지(PL) 및 타이머 이미지(T)를 전원 이미지(PI) 및 잔열 이미지(RHI1)로 변경할 수 있다.
이어서, 피가열체가 워킹 코일 상에서 제거되는 경우, 제1 제어 모듈(310)은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커버 플레이트(119)에서 잔열이 제거될 때까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잔열 이미지(RHI1)를 표시하고,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FI1)는 표시되지 않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제어한다.
이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커버 플레이트(119)에서 잔열이 제거되는 경우(즉, 기준 온도보다 커버 플레이트(119)의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제1 제어 모듈(31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에서 잔열 이미지(RHI1)의 표시를 제거한다.
이어서,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잔열 이미지(RHI1)의 표시가 사라지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제1 제어 모듈(310)은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커버 플레이트(119)에 잔열이 남아있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300)에 잔열 이미지(RHI1)가 표시되는바, 잔열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잔열 감지 및 표시 기능을 갖춤으로써 사용자가 잔열로 인해 화상을 입게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잔열에 대한 사용자의 걱정을 경감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조리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는 가열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바, 사용자는 피가열체가 가열되고 있다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피가열체가 제대로 가열되고 있는지 여부를 반복해서 확인할 필요가 없는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5: 상판부 119: 커버 플레이트
125: 케이스 300: 입력 인터페이스
310: 제1 제어 모듈 320: 제2 제어 모듈
330: 온도 센서

Claims (15)

  1.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잔열 이미지 표시 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부에 상기 피가열체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워킹 코일의 배치에 대응하는 영역 이미지와 상기 영역 이미지에 대응되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와 설정 아이콘이 표시된 설정 이미지와 보조 아이콘이 표시된 보조 이미지가 표시되며,
    자동 감지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피가열체가 상기 제2 제어 모듈에 의해 감지되면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만을 표시하고, 상기 자동 감지 모드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영역 이미지 및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를 모두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은,
    제1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워킹 코일과,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배치되는 제3 및 제4 워킹 코일과,
    상기 제1 및 제2 영역과 다른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5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을 상기 제1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구동 중인 워킹 코일의 종료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잔열이 제거될 때까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잔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감지된 상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되,
    상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의 상기 피가열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의 중앙에는 전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원 이미지를 터치하는 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원 이미지를 터치하는 입력을 상기 제1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전원 이미지를 터치하는 입력을 기초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가열 세기 이미지 및 타이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을 상기 제1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을 상기 제2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을 기초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가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상기 피가열체가 감지된 위치에 배치된 워킹 코일을 구동시키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상기 피가열체가 감지된 위치에 배치된 워킹 코일이 미구동 상태이고, 상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잔열이 남아있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잔열이 제거될 때까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잔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잔열이 남아있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잔열이 제거될 때까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잔열이 제거된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턴오프시키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11.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터치 입력이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인 경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가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부에 상기 피가열체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워킹 코일의 배치에 대응하는 영역 이미지와 상기 영역 이미지에 대응되는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와 설정 아이콘이 표시된 설정 이미지와 보조 아이콘이 표시된 보조 이미지가 표시되며,
    자동 감지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피가열체가 상기 제2 제어 모듈에 의해 감지되면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만을 표시하고, 상기 자동 감지 모드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영역 이미지 및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를 모두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감지된 상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제2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제어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특정 가열 세기에 관한 입력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워킹 코일 중 상기 피가열체가 감지된 위치에 배치된 워킹 코일을 구동시키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피가열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가열 이미지는 상기 피가열체용 화구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특정 영역 안에 표시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이미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동적 이미지 형태로 반복하여 표시되는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KR1020180044073A 2018-04-12 2018-04-16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KR102535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73A KR102535062B1 (ko) 2018-04-16 2018-04-16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EP19785029.0A EP3780905A4 (en) 2018-04-12 2019-04-12 SEMI-FLEX INDUCTION HEATER TO ENABLE AN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US17/046,951 US11877372B2 (en) 2018-04-12 2019-04-12 Half-flex type induction heating device enabl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PCT/KR2019/004402 WO2019199097A1 (ko) 2018-04-12 2019-04-12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73A KR102535062B1 (ko) 2018-04-16 2018-04-16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43A KR20190120643A (ko) 2019-10-24
KR102535062B1 true KR102535062B1 (ko) 2023-05-22

Family

ID=6842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73A KR102535062B1 (ko) 2018-04-12 2018-04-16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0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2151A (ja) 2009-03-30 2010-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調理器
JP2014044852A (ja) * 2012-08-27 2014-03-1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装置
JP6268613B2 (ja) * 2013-06-11 2018-01-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741A (ko) * 2005-01-10 200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의 일시정지 제어방법
KR20060081740A (ko) * 2005-01-10 200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산전력을 이용한 전기 레인지의 잔열 표시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2151A (ja) 2009-03-30 2010-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調理器
JP2014044852A (ja) * 2012-08-27 2014-03-1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装置
JP6268613B2 (ja) * 2013-06-11 2018-01-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43A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5578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improved function for distinguishing object
EP3531799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device
EP3726929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KR102535062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KR102509724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KR102545457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
KR102445832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KR102509713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
US11877372B2 (en) Half-flex type induction heating device enabl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KR20210066227A (ko)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KR20200122714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20220412567A1 (en) Electric range of which heat power is controlled without user interven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66358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00122713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206096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190115751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존프리 타입 유도 가열 장치
US20230048201A1 (en) Electric range adjusting heat power based on properties of heating target
US20230171856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KR20200057552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10063897A (ko)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KR20210078795A (ko) 피가열체의 물리적 상태에 기초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전기 레인지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57551A (ko) 가열 위치 가이드 메커니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20036653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및 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무선 인디케이터
KR20230076590A (ko) 전기 레인지
KR20190066853A (ko) 스마트 인공 지능 유도 가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