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239B1 -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239B1
KR102500239B1 KR1020200172209A KR20200172209A KR102500239B1 KR 102500239 B1 KR102500239 B1 KR 102500239B1 KR 1020200172209 A KR1020200172209 A KR 1020200172209A KR 20200172209 A KR20200172209 A KR 20200172209A KR 102500239 B1 KR102500239 B1 KR 102500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negative pressure
room
ward
isolation 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854A (ko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ublication of KR2022006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8Hospitals, infirmaries, or the like; Schools; Pri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7Clean rooms, i.e. enclosed spaces in which a uniform flow of filtered air is distribu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3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intensive ca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를 격리 입원시키며 의료진이 환자를 진료하거나 간호할 때에 병원균의 외부 확산 방지는 물론 환자의 분뇨 수거 또한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 시스템는 내부에 병실(101A, 101B)과 대기실(130)이 구비된 컨테이너(100B, 100C)와, 컨테이너(100B, 100C)의 외부에서 대기실(130)로 왕래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100B, 100C)에 형성된 외부 출입도어(140A)와, 대기실(130)에서 병실(101A, 101B)로 왕래할 수 있도록 대기실(130)과 병실(101A, 101B)을 구획하여 설치된 병실 출입도어(140C)와, 컨테이너(100B, 100C)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출입도어(140A)를 잠금하는 잠금해제장치(141)와, 대기실(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출입도어(140A)를 잠금하는 잠금해제장치(141)와, 대기실(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병실 출입도어(140C)를 잠금하는 잠금해제장치(141)와, 병실(101A, 101B)의 내부에 설치되어 병실 출입도어(140C)를 잠금하는 잠금해제장치(141)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The mixed system of the front container and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 container}
본 발명은 음압 격리병동을 출입하기 위해 방호복 등을 환복하는 전실과 이를 포함한 병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격리 병실을 출입하기 위해 의료진이 환복(換服)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음압 전실 컨테이너 및 상기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를 함께 구성한 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염성 병원균은 환자와의 접촉에 의해 전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호흡기 병원균의 경우에는 환자의 호흡 또는 대화 중에 발생하는 비말을 통해 공기 중으로 병원균이 확산되고, 확산된 비말의 병원균이 타인의 호흡기로 유입되어 전염된다.
따라서 호흡기 환자의 경우에는 일반 병동에 입원할 수 없으며, 별도의 격리 변동에 입원하게 되며 진료 또한 격리 병동에서 진료를 받게 된다.
호흡기 질환의 환자는 격리된 음압 병동에 입원하게 되는데, 음압병동은 일반 병동에 비해 설치비용이 크게 소요되며 관리 또한 어렵기 때문에, 음압 격리병동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HI: Avian Influenza Human Infection), 신종인플루엔자(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H1N1)), 에볼라 출열혈(Ebola hemorrhagic fever),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와 같은 다양한 전염병이 확산되면서 음압 격리변동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치 비용 및 관리가 어려워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전염성 호흡기 질환의 환자가 증대할 경우를 대비하여 신속한 병실 확보가 가능하도록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다.
한편, 의료진이 음압 격리병동 또는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병원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호복을 착용하여야 하며, 격리병실에서 환자를 진료한 의료진이 외부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입고 있던 방호복에서 일반 의료복으로 환복을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의료진이 음압 격리변동 진입 전에 환복 및 휴식 등을 취하기 위한 공간을 '전실(前室)'이라 하며, 음압 격리변동 컨테이너의 보급에 따른 전실 컨테이너의 보급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원활한 진료가 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4518호(공고일자 2020년10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4523호(공고일자 2020년10월12일)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의료진이 음압 격리병동의 병실에 입원한 환자를 진료 또는 치료하기 위해 병실로 진입하기 전에 휴식 또는 환복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상기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압 전실 컨테이너는 내부에 휴게실과 환복실이 구비하고, 휴게실과 환복실을 구획하는 측벽에는 휴게실 출입도어가 마련되며, 환복실에는 병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출입도어가 마련되며, 휴게실에는 외부 출입도어가 마련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복실에는 음압기가 장착되어 환복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 전실 컨테이너의 외부로 배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복실에는 휴게실 출입도어의 둘레에 에어 샤워기가 장착되어 휴게실 출입도어의 출입자에게 에어를 분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게실 출입도어와 대응하여 에어 샤워룸이 형성되고, 에어 샤워룸에 에어 샤워기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게실 내에는 화장실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게실 출입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통로 출입도어의 개방이 차단되고, 휴게실 출입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통로 출입도어가 개방되도록 연동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게실 출입도어, 통로 출입도어, 외부 출입도어의 각 진입측과 진출측에는 출입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장치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은 병실이 구비된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와, 환복실이 구비된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에 형성된 외부 출입도어와 음압 전실 컨테이너의 통로 출입도어를 연결한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는 복수 개로서, 각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통로 출입도어를 통로로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압 전실 컨테이너는 내부에 휴게실과 환복실이 구비되고, 휴게실과 환복실을 구획하는 측벽에는 휴게실 출입도어가 장착되며, 환복실에는 병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출입도어가 장착되며, 휴게실에는 외부 출입도어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복실에는 음압기가 장착되어 환복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 전실 컨테이너의 외부로 배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복실에는 휴게실 출입도어의 둘레에 에어 샤워기가 장착되어 휴게실 출입도어의 출입자에게 에어를 분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게실 출입도어와 대응하여 에어 샤워룸이 형성되고, 에어 샤워룸에 에어 샤워기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게실 내에는 화장실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게실 출입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통로 출입도어의 개방이 차단되고, 휴게실 출입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통로 출입도어가 개방되도록 연동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게실 출입도어, 통로 출입도어, 외부 출입도어의 각 진입측과 진출측에는 출입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장치가 장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압 전실 컨테이너는 의료진이 환자를 진료하기 전에 방호복을 착용하거나 진료 방호복을 벗어 폐기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어 의료에 편리성을 제공하며, 음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의료진을 보호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병원균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은 단위별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들을 연결하여 많은 병실을 확보함과 더불어 컨테이너들 사이의 통로를 통해 외부와의 접촉 공간을 감소시킴에 따라 외부로 전염성 병원균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으며, 병동 컨테이너의 필요한 전실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있어 의료진의 편리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격리 대상이 되는 환자의 수가 급증할 경우 복합 시스템을 통한 병실 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복합 시스템은 외부와의 차단 효과가 우수한 컨테이너를 격리병동 및 전실로 사용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병동 및 전실 건설 등에 따른 장시간의 공사기간이 필요치 않아 신속한 병실 보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 전실 컨테이너,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은 병실에 전염성 병원균이 컨테이너의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병실과 대기실의 사이에 설치된 외부 출입도어와 대기실에서 컨테이너의 외부로 진출 또는 컨테이너의 외부에서 대기실로 진입하기 위한 통로 출입도어의 개폐를 연동 제어하며, 연동 제어에 오류가 발생하였을 시에 수동으로 상대방의 출입도어의 상태를 확인하고 출입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의료진 또는 환자의 실수로 출입도어 모두를 개방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출입도어의 양측에 잠금해제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환자가 무단으로 병실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의 내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압 전실 컨테이너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컨테이너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컨테이너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컨테이너의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1컨테이너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의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병실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병실에 설치된 음압기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병실에 설치된 화장실의 내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제1컨테이너의 오수탱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의 내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압 전실 컨테이너의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컨테이너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컨테이너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컨테이너의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1컨테이너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의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병실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병실에 설치된 음압기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병실에 설치된 화장실의 내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제1컨테이너의 오수탱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이하 '복합 시스템(300)'이라 함)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이하 '병동 컨테이너(100B, 100C)'라 함)와 음압 전실 컨테이너(이하 '전실 컨테이너(100A)'라 함)를 상호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도 1에 보이듯이, 복수 개의 변동 컨테이너(100B, 100C)가 통로(20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그 중 한 개의 변동 컨테이너(100B)와 전실 컨테이너(100A)가 통로(200)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도 2에 보이듯이, 한 개의 변동 컨테이너(100B)와 전실 컨테이너(100A)가 통로(200)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 시스템(300)에 있어서, 의료진이 각각의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에 구비된 병실(101A, 101B)로 입실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실 컨테이너(100A)의 휴게실(320)을 통해 전실 컨테이너(100A)의 내부로 진입하여 전실 컨테이너(100A)의 환복실(310)에서 방호복으로 환복한다. 그리고 전실 컨테이너(100A)와 병동 컨테이너(100B, 100C)를 연결하는 통로(200)를 통해 병동 컨테이너(100B, 100C)로 이동 후 병실(101A, 101B)로 진입한다.
반대로 진료를 마친 의료진이 복합 시스템(300) 밖으로 나오기 위해서는, 병실(101A, 101B)에서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대기실(130)로 이동 후, 통로(200)를 통해 전실 컨테이너(100A)로 진입하고, 전실 컨테이너(100A)의 환복실(310)에서 환복 후 휴게실(320)을 통해 전실 컨테이너(100A)의 외부로 진출한다.
이와 같이 전실 컨테이너(100A)는 의료진이 병동 컨테이너(100B, 100C)로 진입 또는 진출 시에 병원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병원균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아래에서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전실 컨테이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실 컨테이너(100A)의 내부는 환복실(310)과 휴게실(320)로 구분된다.
전실 컨테이너(100A)의 배면에는 통로 출입도어(140B)가 형성된다. 그리고 환복실(310)과 휴게실(320)을 구획하는 내부 측벽에는 휴게실 출입도어(140D)가 장착된다.
따라서 전실 컨테이너(100A)의 환복실(310)을 구성하는 측벽에는 통로 출입도어(140B)와 휴게실 출입도어(140D)이 형성되고, 휴게실(320)의 측벽에는 휴게실 출입도어(140D)가 형성되며, 휴게실(320)에는 휴게실 출입도어(140D)와 마주하는 측벽에 외부 출입도어(140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실 컨테이너(100A)에 있어서, 환복실(310)에는 사용한 방호복 및 사용한 의료용품을 수납하는 폐기함(311)과 사용할 방호복을 수납해 둔 방호복 보관함(313)과 사용할 의료용품을 수납해 둔 의료용품 보관함(315) 등이 구비되며, 휴게실 출입도어(140D)의 상부에는 에어 샤워기(317)가 장착된다.
에어 샤워기(317)에서 분사된 에어는 환복실(310) 내에서만 순환하도록 환복실(310)에 장착되며, 휴게실 출입도어(140D)를 통과하여 휴게실(320)로 진입하기 이전에 에어 샤워가 이루어지도록 휴게실 출입도어(140D)의 상부 또는 측부에 장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보이듯이, 휴게실 출입도어(140D)에 대응하여 에어 샤워룸(319)을 형성하고, 에어 샤워룸(319)의 내부에 에어 샤워기(317)가 장착되어 에어 샤워룸(319)에서 에어 샤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에어 샤워기(317)에는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에어 샤워기(317)로 진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에어 샤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휴게실 출입도어(140D)를 통해 휴게실(320)로 진입하려는 의료진은 모두 에어 샤워를 한 후에 진입 또는 진출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휴게실(320)의 내부에는 화장실(110)이 설치되며, 휴식에 필요한 다른 기타 장비 및 가구들이 위치한다. 화장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화장실(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휴게실(320)의 측벽에는 외부 출입도어(140A)가 장착된다. 에어 샤워를 한 의료진은 휴게실(320)에서 휴식을 취한 후에 외부 출입도어(140A)를 통해 출입 가능하다.
그리고 전실 컨테이너(100A)의 환복실(310)에는 음압기(120)가 휴게실 출입도어(140D)와 마주하는 내측벽에 장착되며, 음압기(120)를 통해 환복실(310)의 공기를 전실 컨테이너(100A)의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음압기 후드(121)가 전실 컨테이너(100A)의 외측벽에 장착된다.
한편, 전실 컨테이너(100A)의 후방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동 컨테이너(100B, 100C)가 위치하며, 전실 컨테이너(100A)와 병동 컨테이너(100B, 100C)는 통로(200)로 연결된다. 이는 전실 컨테이너(100A)에서 환복을 한 의료진이 통로(200)를 통해 병동 컨테이너(100B, 100C)로 이동 가능하고, 반대로 진료를 마친 의료진이 전실 컨테이너(100A)로 이동하여 환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실 컨테이너(100A)의 휴게실 출입도어(140D)와 통로 출입도어(140B)의 개폐에 있어서, 휴게실 출입도어(140D)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통로 출입도어(140B)가 개방되지 않고, 휴게실 출입도어(140D)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통로 출입도어(140B)가 개방된다. 이는 통로 출입도어(140B)가 개방됨에 따라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에서 전실 컨테이너(100A)로 유입된 병원균이 휴게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휴게실 출입도어(140D)의 진입측과 진출측에 각각 잠금해제장치(141)가 설치되며, 잠금해제장치(141)는 전실 컨테이너(100A)의 통로 출입도어(140B)의 진입측과 진출측에도 각각 형성된다. 잠금해제장치(141)의 작동에 따른 출입도어의 개폐관계는 아래의 병동 컨테이너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한편,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각 병실(101A, 101B)들은 음압상태를 유지하며 병실(101A, 101B) 내부의 공기가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차단한다.
아래에서는 각 병동 컨테이너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동 컨테이너(100B, 100C)는 그 내부 좌측과 우측에 제1병실(101A)과 제2병실(101B)이 형성되고, 제1병실(101A)과 제2병실(101B)의 사이에 대기실(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대기실(130)에는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정면과 배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된 외부 출입도어(140A)과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다른 한 면에 형성된 통로 출입도어(140B)가 형성되고, 대기실(130)과 제1병실(101A) 그리고 대기실(130)과 제2병실(101B)을 구획하는 내벽에는 각각 병실 출입도어(140C)가 형성된다.
제1병실(101A)과 제2병실(101B) 각각에는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정면에 형성된 제1창(143A)과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배면에 형성된 제2창(143B)이 형성된다. 외부 출입도어(140A) 내지 병실 출입도어(140C) 그리고 제1창(143A) 및 제2창(143B)은 그 밀폐성이 우수하여 폐쇄 상태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
여기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출입도어(140A), 통로 출입도어(140B), 병실 출입도어(140C) 및 휴게실 출입도어(140D)는 투명한 슬라이딩 자동문이며, 각각의 출입도어(140A, 140B, 140C, 140D)는 차후에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연동하여 작동하거나 각각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수동 작동함에 있어 환자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각 출입도어(140A, 140B, 140C, 140D)의 진입측과 진출측에는 각각 잠금해제장치(141)가 설치된다. 각 출입도어(140A, 140B, 140C, 140D)를 통해 진출하거나 진입하기 위해서는 잠금해제장치(141)에 의해 잠금 해제를 하여야만 해당 출입도어(140A, 140B, 140C, 140D)가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대기실(130)에는 제1병실(101A)과 제2병실(101B)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탱크(131)가 설치되며 매니폴더를 통해 산소탱크(131)에 저장된 산소가 제1병실(101A)과 제2병실(101B)로 공급되어 환자가 산소를 흡입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대기실(130)의 내측벽에는 제1병실(101A)과 제2병실(101B)의 내부 압력과 대기실(130)의 내부 압력 및 두 내부 압력의 차를 표시하는 압력 디스플레이어(133)가 장착되며, 제1병실(101A)과 제2병실(101B) 중 어느 한 병실에서 응급 벨을 누를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135)가 대기실(130)에 장착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병실(101A)과 제2병실(101B)에는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침상(102), 의료 장비를 수납하는 보관함(103) 및 카트(105), 그리고 각 병실(101A, 101B)의 공기를 흡기하여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부로 배출하는 음압기(120)가 병실 출입도어(140C)와 마주하는 내측벽에 장착된다.
그리고 음압기(120)가 장착된 내측벽 쪽에는 화장실(110)을 형성하기 위한 격벽들이 형성되고, 격벽에는 화장실 출입문(110D)이 형성된다.
도 11에 보이듯이, 화장실(110)의 내부에는 세면대(113) 및 변기(111)가 설치되며, 화장실(110)의 내부 일측에는 물탱크(115)가 장착된다.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저면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탱크(160)가 제1병실(101A)과 제2병실(101B)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되며, 세면대(113)와 변기(111)를 통해 배수되는 오수가 각각의 오수탱크(160)에 저장된다.
한편, 제1병실(101A)과 제2병실(101B) 및 대기실(130)에는 각각 에어컨디셔너(137)가 장착되어 병실(101A, 101B) 내부를 냉난방하며, 에어컨디셔너(137)와 연결된 실외기(138)는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측에 장착된다.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측에는 각 병실(101A, 101B)의 화장실(110)에 위치한 물탱크(115)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17)이 형성되고, 오수탱크(160)에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61) 및 오수탱크(160)의 오수량을 관측하기 위한 감시창(163)이 형성되며, 각 병실(101A, 101B)에 설치된 음압기(120)를 통해 병실(101A, 101B)의 공기를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음압기 후드(121)가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측벽에 장착된다.
그리고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저면에 장착된 오수탱크(160)의 오수가 겨울에 결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오수탱크(160)를 감싸는 열선(미도시)이 설치되며,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부에는 열선이 연결된 접속부(155)가 형성된다. 따라서 접속부(155)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면 열선에서 열이 발생하고 그 열에 의해 결빙된 오수가 해동되며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오수탱크(160)는 배기관이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상부로 연장되며, 배기관에는 배기팬(167)이 장착되어 오수탱크(160) 내부의 악취를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때 배기팬(167)에는 필터가 장착되어 오수탱크(160)에서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이와 같이 오수탱크(160)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여과함에 따라 변기(111)를 통해 오수탱크(160)로 유입될 수 있는 전염성 병원균이 배기관을 통해 병동 컨테이너(100B, 100C) 외부로 배기되어 타인에게 전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일측에는 전원 캐비넷(150)이 장착되고, 전원 캐비넷(150)의 내부에는 분전반(151)이 장착되며, 분전반(151)에는 외부 전원케이블이 연결된다.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상면에는 태양전지판(153)들이 고정되고, 태양전지판(153)에서 발생된 전원은 전원 캐비넷(150)에 수용된 충전지에 충전된다. 따라서 외부 전원 또는 태양전지판(153)에서 발생된 전원으로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설치된 장비들을 작동시킨다.
아래에서는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작동관계 및 출입도어(140A, 140B, 140C)의 개폐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외부 출입도어(140A) 내지 병실 출입도어(140C) 그리고 제1창(143A)과 제2창(143B)이 닫힌 상태에서, 병실(101A, 101B)에 장착된 음압기(120)를 작동시키면 병실(101A, 101B) 내부의 공기는 음압기(120)로 유입된 후 음압기 후드(121)를 통해 병동 컨테이너(100B, 100C) 외부로 배기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에 의해 병실(101A, 101B)은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대기실(130)과 병실(101A, 101B)을 구획하는 병실 출입도어(140C)가 개방되더라도, 압력차에 의해 대기실(130)의 공기가 병실(101A, 101B)로 유동하게 됨에 따라 병실(101A, 101B)에 퍼져 있는 병원균이 대기실(130)로 확산되지 못하고, 병실(101A, 101B) 내에 머물거나 음압기(120)를 통과하는 중에 음압기(120)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여과된다. 병원균이 여과된 청정한 공기가 음압기 후드(121)를 통해 병동 컨테이너(100B, 100C) 외부로 배기된다.
구체적으로 음압기(120)에는 프리필터와 헤파필터가 내장되어 병실(101A, 101B)의 공기가 프리필터와 헤파필터를 통과한다. 이때 공기 중에 포함된 비말 및 병원균은 프리필터 및 헤파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병원균의 확산을 방지한다.
한편, 각 출입도어(140A, 140B, 140C)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잠금을 해제하여야 한다. 의료진만이 각 출입도어(140A, 140B, 140C)의 잠금을 해제하고 출입할 수 있어야 하며, 환자는 병실(101A, 101B)에서 대기실(130)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한하여야 한다. 이는 환자가 대기실(130)로 이동함에 따라 병원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또한 외부 출입도어(140A)와 통로 출입도어(140B) 중 어느 한 출입도어라도 개방된 상태에서는 병실 출입도어(140C)의 개방이 제한되어야 한다.
외부 출입도어(140A)와 통로 출입도어(140B) 중 어느 한 출입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대기실(130)의 공기가 외부에 노출되는데, 이 상태에서 병실 출입도어(140C)가 개방될 경우 병실(101A, 101B)의 공기가 대기실(130)을 통해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부에 노출되어 해당 병동 컨테이너(100B, 100C) 외부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 출입도어(140A)와 통로 출입도어(140B) 중 어느 한 출입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병실 출입도어(140C)가 개방되지 않도록 연동 제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출입도어(140A, 140B, 140C)에는 양측에 각각 잠금해제장치(141)가 설치된다. 따라서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부에서 병실(101A, 101B) 내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2번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져야 병실(101A, 101B)로 진입이 가능하며, 병실(101A, 101B)에서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부로 진출할 경우에도 2번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환자가 병동 컨테이너(100B, 100C) 외부로 무단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병실(101A, 101B)에서 병실 출입도어(140C)를 개방함에 있어 잠금해제를 위한 시간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그 시간 동안에 외부 출입도어(140A) 또는 통로 출입도어(140B)가 개방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연동제어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무의식적으로 병실 출입도어(140C)를 개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병실에서 외부 출입도어(140A) 또는 통로 출입도어(140B)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병실 출입도어(140C)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며, 반대로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외부에서 병실 출입도어(140C)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외부 출입도어(140A)와 통로 출입도어(140B) 또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실 컨테이너(100A)에 장착된 통로 출입도어(140B)와 휴게실 출입도어(140D) 또한 어느 한 출입도어가 개방되면 다른 한 출입도어는 개방되지 않도록 연동제어되며, 오류가 발생하였을 시에 통로 출입도어(140B)의 잠금해제장치(141) 및 휴게실 출입도어(140D)의 잠금해제장치(141)를 통해 동시에 두 출입도어(140B, 140D)가 개방되지 않게 확인하며 잠금해제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환자는 병실(101A, 101B)에서 활동하며 화장실(110)에서 씻거나 배설할 경우, 오수 및 분뇨는 병동 컨테이너(100B, 100C)의 저면에 장착된 오수탱크(160)에 저장된다. 오수탱크(160)에 저장된 오수의 양은 감시창(163)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오수탱크(160)의 채워진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오수탱크(160)에 연장된 배출관(161)을 통해 오수탱크(160)에 채워진 오수를 배출하여 처리한다. 이때에도 외부 오수통과 배출관(161)의 연결부위를 밀폐하고, 진공펌프를 통해 오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오수의 배출 과정 중에 병원균이 대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수탱크(160)에는 세정관(165)이 연결되며, 세정관(165)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여 오수탱크(160)를 세정하고 배출관(161)을 통해 세척수를 배출하여 오수탱크(160)를 세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병동 컨테이너(100; 100B, 100C)들이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200)로 연결된다.
통로(200)는 제1병동 컨테이너(100B)의 배면과 제2병동 컨테이너(100C)의 정면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제1병동 컨테이너(100B)의 통로 출입도어(140B)와 제2병동 컨테이너(100C)의 통로 출입도어(140B)를 연결한다.
통로(200)는 마주하는 양측이 개방된 박스 구조로서, 통로(200)의 일단부가 제1병동 컨테이너(100B)의 통로 출입도어(140B)를 감싸 연결하고, 통로(200)의 타단부가 제2병동 컨테이너(100C)의 통로 출입도어(140B)를 감싸 연결하는 구조로서, 통로(200)의 내부와 통로(200) 외부가 통하는 곳이 없도록 밀폐한다. 경우에 따라서 통로(200)가 길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로(200)의 측벽에 앞서 설명한 창(143A, 143B) 또는 밀폐형 창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통로(200)의 바닥은 제1병동 컨테이너(100B)의 대기실(130) 바닥과 제2병동 컨테이너(100C)의 대기실(130) 바닥과 일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통로(200)의 저면에는 지지대(201)가 고정되어 지면으로부터 통로(200)가 지지대(201)의 높이만큼 올려진 상태로 제1병동 컨테이너(100B)와 제2병동 컨테이너(100C)를 연결한다.
통로(200)의 바닥은 제1병동 컨테이너(100B)의 대기실(130) 바닥과 제2병동 컨테이너(100C)의 대기실(130) 바닥과 일치함으로써, 제1병동 컨테이너(100B)와 제2병동 컨테이너(100C)의 사이를 바퀴가 달리 카트, 주들것 또는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병동 컨테이너(100B)의 전방에는 전실 컨테이너(100A)가 위치하며, 제1병동 컨테이너(100B)의 외부 출입도어(140A)와 전실 컨테이너(100A)의 통로 출입도어(140B)를 앞서 설명한 통로와 동일한 구조의 통로(200)가 제1병동 컨테이너(100B)와 전실 컨테이너(100A)를 연결한다.
또한 전방에 위치한 전실 컨테이너(100A)의 외부 출입도어(140A)에는 슬로프 발판(203)을 설치하여 휠체어 등이 전실 컨테이너(100A)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전실 컨테이너(100A)의 내부로 이동하기 수월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시스템(300)을 설명함에 있어서, 통로(200)로 연결된 컨테이너(100A, 100B, 100C)들이 단층으로 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고 있으나, 컨테이너를 적층하여 배치하고 적층된 컨테이너에 난간을 설치하여 복합 시스템을 복수 층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컨테이너를 적층할 수 있도록 보강대(170)가 고정된다.
100A, 100B, 100C : 컨테이너
101A, 101B : 병실
102 : 침상
103 : 보관함
105 : 카트
110 : 화장실
110D : 출입문
111 : 변기
113 : 세면대
115 : 물탱크
117 : 급수관
120 : 음압기
121 : 후드
130 : 대기실
131 : 산소탱크
133 : 압력 디스플레이어
135 : 스피커
137 : 에어컨디셔너
138 : 실외기
140A, 140B, 140C, 140D : 출입도어
141 : 잠금해제장치
143A, 143B : 창
150 : 전원 캐비넷
151 : 분전반
153 : 태양전지판
160 : 오수탱크
161 : 배출관
163 : 감시창
165 : 세정관
167 : 배기팬
170 : 보강대
200 : 통로
201 : 지지대
203 : 슬로프 발판
300 : 복합 시스템
310 : 환복실
311 : 폐기함
313, 315 : 보관함
317 : 에어 샤워기
319 : 에어 샤워룸
320 : 휴게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병실이 구비된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와,
    환복실이 구비된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에 형성된 외부 출입도어와 음압 전실 컨테이너의 통로 출입도어를 연결한 통로를 포함하며,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저면에 설치되며 병실에서 배출되는 분뇨 및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탱크와,
    오수탱크에 저장된 분뇨 및 오수를 배출하도록 오수탱크에서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과,
    오수탱크에 저장된 분뇨 및 오수의 양을 감시하도록 오수탱크에 장착된 감시창과,
    오수탱크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오수탱크에서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외부로 연장된 세정관을 더 포함하며,
    오수탱크에는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열선이 장착되며, 열선은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는 복수 개로서, 각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통로 출입도어를 통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음압 전실 컨테이너는 내부에 휴게실과 환복실이 구비되고, 휴게실과 환복실을 구획하는 측벽에는 휴게실 출입도어가 장착되며, 환복실에는 병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출입도어가 장착되며, 휴게실에는 외부 출입도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환복실에는 음압기가 장착되어 환복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 전실 컨테이너의 외부로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환복실에는 휴게실 출입도어의 둘레에 에어 샤워기가 장착되어 휴게실 출입도어의 출입자에게 에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휴게실 출입도어와 대응하여 에어 샤워룸이 형성되고, 에어 샤워룸에 에어 샤워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휴게실 내에는 화장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휴게실 출입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통로가 연결된 통로 출입도어의 개방이 차단되고, 휴게실 출입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통로 출입도어가 개방되도록 연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휴게실 출입도어, 통로 출입도어, 외부 출입도어의 각 진입측과 진출측에는 출입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장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KR1020200172209A 2020-11-12 2020-12-10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KR102500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0887 2020-11-12
KR1020200150887 2020-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854A KR20220064854A (ko) 2022-05-19
KR102500239B1 true KR102500239B1 (ko) 2023-02-17

Family

ID=8180110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08A KR102552233B1 (ko) 2020-11-12 2020-12-10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 시스템
KR1020200172209A KR102500239B1 (ko) 2020-11-12 2020-12-10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KR1020200172207A KR102500238B1 (ko) 2020-11-12 2020-12-10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08A KR102552233B1 (ko) 2020-11-12 2020-12-10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07A KR102500238B1 (ko) 2020-11-12 2020-12-10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52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63B1 (ko) * 2023-11-09 2024-04-18 (주)플랜엠 모듈러 본체 간의 내부 이동이 가능한 모듈러 건축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0811A (zh) * 2022-06-07 2022-09-27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系统工程研究院 适用于水陆空运的生物安全隔离装备及其运输部署方法
KR102568175B1 (ko) 2022-12-14 2023-08-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데드스페이스를 활용한 mep모듈장치 음압병동 모듈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30Y1 (ko) * 2004-05-10 2004-09-07 박래주 자성체를 이용한 유리문 도어록 장치
JP2008501424A (ja) * 2004-06-03 2008-01-24 ヒル−ロム サービ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移動救急病院
JP2010047940A (ja) * 2008-08-20 2010-03-04 Ohbayashi Corp 感染症対応型施設
KR101646524B1 (ko) * 2015-07-27 2016-08-08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이동식 음압 격리 병실
KR102164518B1 (ko) *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음압병동 컨테이너
KR102172044B1 (ko) * 2020-04-20 2020-10-30 주식회사 나미 모듈러 건축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523B1 (ko)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양압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30Y1 (ko) * 2004-05-10 2004-09-07 박래주 자성체를 이용한 유리문 도어록 장치
JP2008501424A (ja) * 2004-06-03 2008-01-24 ヒル−ロム サービ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移動救急病院
JP2010047940A (ja) * 2008-08-20 2010-03-04 Ohbayashi Corp 感染症対応型施設
KR101646524B1 (ko) * 2015-07-27 2016-08-08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이동식 음압 격리 병실
KR102172044B1 (ko) * 2020-04-20 2020-10-30 주식회사 나미 모듈러 건축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4518B1 (ko) *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음압병동 컨테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63B1 (ko) * 2023-11-09 2024-04-18 (주)플랜엠 모듈러 본체 간의 내부 이동이 가능한 모듈러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853A (ko) 2022-05-19
KR20220064854A (ko) 2022-05-19
KR102552233B1 (ko) 2023-07-07
KR102500238B1 (ko) 2023-02-16
KR20220064852A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0239B1 (ko) 음압 전실 컨테이너와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의 복합 시스템
KR101646524B1 (ko) 이동식 음압 격리 병실
JP5320902B2 (ja) 感染症対応型施設
KR102164518B1 (ko) 음압병동 컨테이너
KR101674482B1 (ko) 감염 방지용 무인 객담 채취 부스
KR102249264B1 (ko) 패시브 음압/양압 컨테이너
AU2003278675B2 (en) Mobile containerized autopsy facility
US5236390A (en) Entryway system for mobile medical unit
CN110141441A (zh) 具备负压换气防疫医疗功能的隔离舱装置
JP7205935B2 (ja) 移動拡張型陰圧病棟モジュール
KR101030195B1 (ko)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CN111485738A (zh) 一种ccn整体式模块化负压隔离病房
US20160333569A1 (en) Mobile home care unit
KR102519199B1 (ko) 이동식 음압격리병실
CN111395813A (zh) 常规医院与传染病医院平疫结合医院及其建造方法
JP2011025727A (ja) 感染症対策車
CN213038961U (zh) 一种可移动模块化医疗诊查单元
CN213898280U (zh) 一种移动式防疫厕所
EP4026530A1 (en) Facility
KR102317996B1 (ko) 소독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JP2006000145A (ja) 病室ユニット
CN107753973A (zh) 消除载人航天器ait期间人体微生物的控制装置
Sönmez et al. Transformation of Hospital Areas in the world after Covid-19 Pandemy
CN116472388A (zh) 隔离室
KR102502213B1 (ko) 거주자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공동주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