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196B1 - 원단 장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장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196B1
KR102500196B1 KR1020210029753A KR20210029753A KR102500196B1 KR 102500196 B1 KR102500196 B1 KR 102500196B1 KR 1020210029753 A KR1020210029753 A KR 1020210029753A KR 20210029753 A KR20210029753 A KR 20210029753A KR 102500196 B1 KR102500196 B1 KR 102500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abric
support roller
sli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911A (ko
Inventor
이강영
조영환
이영배
정철
Original Assignee
(주)삼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삼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2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1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 B65H2404/1521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원단 공급 중 원단에 고르게 장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는 원단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원단 장력 조절 장치는 지지롤러, 클램프 그리고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 지지롤러는 원단의 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며,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클램프는 지지롤러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일단부에는 지지롤러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1관통홀과 평행한 제2관통홀이 형성된다. 가이드 롤러는 한 쌍의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지지롤러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공급되는 원단을 가압한다. 제1관통홀의 내측지름은 지지롤러의 외측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지지롤러의 외주면 및 제1관통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지지롤러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클램프는 회전 및 틸팅 가능하며, 클램프가 회전 및 틸팅되면, 가이드 롤러는 지지롤러와 평행하지 않도록 틸팅 가능하다.

Description

원단 장력 조절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ENSION OF FABRIC}
본 발명은 원단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 공급 중 원단에 고르게 장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는 원단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또는 부직포 등의 원단을 기계적으로 직조하기 위하여 자동생산라인에 공급하거나, 제품의 생산을 위해 섬유 또는 부직포 등의 원단을 공급하는 공정상에는 원단의 공급상태가 올바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일정한 장력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원단은 롤 형태로 감겨 공급되는데, 처음에 원단을 균일하게 롤 형태로 잘 감더라도, 원단 롤을 공급하는 과정이나, 원단 롤을 보관하는 과정 등에서 원단 롤을 세우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중력에 의해 세워진 원단 롤의 하측으로 하중이 가해져서 세워진 원단 롤의 하측이 늘어나게 될 수 있다.
도 1은 하측이 늘어난 원단 롤이 풀리면서 공급되는 원단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원단 장력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도 1의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부분(12)이 늘어간 원단 롤(10)을 제조 공정에 적용하게 되는 경우, 원단 롤(10)에서 풀리면서 공급되는 원단(11)은 공급방향(20)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일측 모서리 부분(12)이 느슨한 형태가 된다. 그런데, 종래의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롤러(30)는 수평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원단(11)의 타측 부분(13)은 롤러(30)에 의해 잘 가압되면서 장력 유지가 잘 되는 반면, 원단(11)의 느슨한 부분(12)은 롤러(30)에 의해 잘 가압되지 못하게 되면서 장력 유지가 덜 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원단(11)이 제품으로 제작되었을 때, 장력 유지가 되지 않는 부분은 주름진 형태로 제작되게 될 수 있어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25353호(2009.12.07.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단 공급 중 원단에 고르게 장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는 원단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원단의 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며,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롤러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과 평행한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클램프;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롤러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공급되는 원단을 가압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홀의 내측지름은 상기 지지롤러의 외측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상기 지지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1관통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롤러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클램프는 회전 및 틸팅 가능하고, 상기 클램프가 회전 및 틸팅되면,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지지롤러와 평행하지 않도록 틸팅 틸팅 가능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의 몸체를 형성하며, 일단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일단부 중앙에서 상기 제1관통홀의 중심으로 연장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1슬릿과, 상기 블록 몸체의 일단부에 상기 제1관통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슬릿을 관통하는 제1조절홀과, 상기 제1조절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릿의 폭을 좁힘으로써 상기 제1관통홀의 내측지름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와, 상기 블록 몸체의 타단부 중앙에서 상기 제2관통홀의 중심으로 연장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3슬릿과, 상기 블록 몸체의 타단부에 상기 제2관통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슬릿을 관통하는 제2조절홀과, 상기 제2조절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3슬릿의 폭을 좁힘으로써 상기 제2관통홀의 내측지름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1슬릿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블록 몸체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슬릿을 가질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2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3슬릿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블록 몸체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4슬릿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지지롤러의 사이에 구비되는 인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의 내측지름은 상기 지지롤러의 외측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롤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롤러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클램프가 회전 및 틸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롤러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한 쌍의 클램프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관통홀의 내측에서 회전 및 틸팅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되는 일측이 느슨한 원단이 공급되더라도 클램프에 의해 회전 및 틸팅되는 가이드 롤러는 공급되는 원단을 폭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공급되는 원단에는 균일한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하측이 늘어난 원단 롤이 풀리면서 공급되는 원단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원단 장력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도 1의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클램프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클램프를 중심으로 인서트가 포함되는 예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에 의해 원단의 장력이 조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클램프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단 장력 조절 장치는 지지롤러(100), 클램프(200) 그리고 가이드 롤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롤러(100)는 원단의 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100)는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Free End)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롤러(100)의 일단부는 원단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의 프레임(90)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200)는 지지롤러(100)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200)는 블록 몸체(210), 제1관통홀(220), 제2관통홀(225), 제1슬릿(230), 제1조절홀(240) 및 제1조절부재(250)를 가질 수 있다.
블록 몸체(210)는 클램프(2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관통홀(220)은 블록 몸체(210)의 일단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홀(220)에는 지지롤러(100)가 관통 될 수 있다.
제2관통홀(225)은 블록 몸체(210)의 타단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홀(225)의 중심축은 제1관통홀(220)의 중심축과 평행할 수 있다. 제2관통홀(225)에는 가이드 롤러(300)가 관통 될 수 있다.
제1슬릿(230)은 블록 몸체(210)의 일단부 중앙에서 제1관통홀(220)의 중심으로 연장되도록 블록 몸체(210)의 일단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록 몸체(210)의 일단부에는 제1슬릿(230) 및 제1관통홀(220)에 의해 두 개로 나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클램퍼(211,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절홀(240)은 블록 몸체(210)의 일단부에 제1관통홀(22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절홀(240)은 제1슬릿(2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절부재(250)는 제1조절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조절부재(250)는 제1조절홀(24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조절부재(250)가 제1조절홀(240)에 깊이 결합되면, 한 쌍의 제1클램퍼(211,212) 중 제1조절부재(250)에 의해 가압되는 제1클램퍼(211)는 다른 제1클램퍼(212) 방향으로 벤딩되게 된다. 그러면, 제1슬릿(230)의 폭이 좁혀지게 되고 제1관통홀(220)의 내측지름이 작아질 수 있다.
한편, 클램프(200)는 제2슬릿(231)을 가질 수 있으며, 제2슬릿(231)은 제1관통홀(220)을 기준으로 제1슬릿(230)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도록 블록 몸체(210)에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슬릿(231)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제1조절부재(250)가 조여지면 제1클램퍼(211,212)는 제1지점(P1)을 중심으로 벤딩되게 된다. 그런데, 제2슬릿(231)이 형성되게 되면, 제1클램퍼(211,212)는 제2지점(P2)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좀 더 적은 힘으로도 제1조절부재(250)는 제1클램퍼(211,212)가 벤딩되도록 할 수 있고, 제1조절홀(240)의 내측 지름 조절이 좀 더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200)는 제3슬릿(235), 제2조절홀(245), 제2조절부재(255) 및 제4슬릿(236)을 가질 수 있다.
제3슬릿(235)은 블록 몸체(210)의 타단부 중앙에서 제2관통홀(225)의 중심으로 연장되도록 블록 몸체(210)의 타단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록 몸체(210)의 타단부에는 제3슬릿(235) 및 제2관통홀(225)에 의해 두 개로 나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클램퍼(213,2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조절홀(245)은 블록 몸체(210)의 타단부에 제2관통홀(225)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조절홀(245)은 제3슬릿(235)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조절부재(255)는 제2조절홀(245)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조절부재(255)는 제2조절홀(245)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조절부재(255)가 제2조절홀(245)에 깊이 결합되면, 한 쌍의 제2클램퍼(213,214) 중 제2조절부재(255)에 의해 가압되는 제2클램퍼(213)는 다른 제2클램퍼(214) 방향으로 벤딩되게 된다. 그러면, 제3슬릿(235)의 폭이 좁혀지게 되고 제2관통홀(225)의 내측지름이 작아질 수 있다.
제4슬릿(236)은 제2관통홀(225)을 기준으로 제3슬릿(235)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도록 블록 몸체(210)에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슬릿(236)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제2조절부재(255)가 조여지면 제2클램퍼(213,214)는 제3지점(P3)을 중심으로 벤딩되게 된다. 그런데, 제4슬릿(236)이 형성되게 되면, 제2클램퍼(213,214)는 제4지점(P4)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좀 더 적은 힘으로도 제2조절부재(255)는 제2클램퍼(213,214)가 벤딩되도록 할 수 있고, 제2조절홀(245)의 내측 지름 조절이 좀 더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롤러(300)는 한 쌍의 제2관통홀(225)을 관통하여 지지롤러(100)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00)가 제2관통홀(225)을 관통하여 구비되면, 가이드 롤러(300)는 지지롤러(100)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00)의 외주면은 제2관통홀(225)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300)가 제2관통홀(2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조절부재(255)를 적절하게 조임으로써, 가이드 롤러(300)는 클램프(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관통홀(220)의 내측지름은 지지롤러(100)의 외측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롤러(100)의 외주면과 제1관통홀(2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클램프(200)는 지지롤러(10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및 틸팅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지지롤러(10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클램프(200)는 회전 및 틸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조절부재(250)에 의해 제1관통홀(220)의 지름이 조절되면 지지롤러(100) 및 제1관통홀(2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간격의 조절을 통해 클램프(200)가 틸팅되는 범위는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관통홀(220)의 내측지름이 작아지도록 조절되어 지지롤러(100)의 외주면 및 제1관통홀(22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클램프(200)의 틸팅 각도 범위는 작아질 수 있다.
클램프(200)가 회전 및 틸팅 시에 가이드 롤러(300)는 클램프(200)와 일체로 회전 및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한 쌍으로 구비되는 클램프(200)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및 틸팅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롤러(300)는 지지롤러(100)와 평행하지 않도록 틸팅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클램프를 중심으로 인서트가 포함되는 예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인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단 장력 조절 장치는 인서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400)는 제1관통홀(220) 및 지지롤러(1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인서트(400)는 제1관통홀(2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인서트(400)의 내측에는 지지롤러(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인서트(400)는 절개부(410)를 가질 수 있다. 절개부(410)는 인서트(400)의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관통홀(220)이 지름이 작아지도록 조절되어 제1관통홀(220)이 인서트(400)를 가압하게 되면, 인서트(400)는 절개부(410)를 기준으로 양측의 일단부(420) 및 타단부(4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서트(400)의 내측 지름은 작아질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400)는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관통홀(220)이 지름이 커지도록 조절되면, 인서트(400)는 절개부(410)를 기준으로 양측의 일단부(420) 및 타단부(43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서트(400)의 내측 지름은 커질 수 있다.
또한, 인서트(400)는 지지롤러(100)의 외측지름보다 큰 내측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400)의 외주면은 제1관통홀(22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지만, 인서트(400)의 내주면과 지지롤러(10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롤러(10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클램프(200)는 회전 및 틸팅이 가능할 수 있다.
제1관통홀(220)의 내측지름과 지지롤러(100)의 외측지름 간의 차이가 너무 큰 경우, 지지롤러(100)의 외주면과 제1관통홀(22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지지롤러(100)의 외주면과 제1관통홀(22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제1조절부재(250, 도 4 참조)를 더욱 많이 조여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인서트(400)가 사용되면, 인서트(400)의 내주면과 지지롤러(10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1조절부재(250)를 조금만 조여도 간격을 좁힐 수 있으며, 좀 더 정밀하게 간격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인서트(400)의 내주면과 지지롤러(10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지지롤러(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클램프(200)의 틸팅 범위가 작아지기 때문에, 클램프(200)와 일체로 동작하는 가이드 롤러(300)의 틸팅 범위도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300)에 의한 원단의 가압량이 적어지게 되어 원단의 장력은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 반면, 인서트(400)의 내주면과 지지롤러(10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지지롤러(10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클램프(200)의 틸팅 범위가 커지기 때문에, 클램프(200)와 일체로 동작하는 가이드 롤러(300)의 틸팅 범위는 커지게 되고, 가이드 롤러(300)는 원단을 좀 더 많이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롤러(300)에 의해 가압되는 원단의 장력은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즉, 인서트(400)의 내주면과 지지롤러(10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원단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롤러(300)의 회전 및 틸팅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의 측면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장력 조절 장치에 의해 원단의 장력이 조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단(11)의 공급방향(20)에 교차하도록 지지롤러(100) 및 가이드 롤러(3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원단(11)은 지지롤러(100)의 상측을 지나면서 가이드 롤러(300)의 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원단 롤에서 풀리면서 공급되는 원단(11)은 비교적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공급되게 되는데, 가이드 롤러(300)는 클램프(200a,200b) 및 가이드 롤러(300)의 하중에 의해 원단(11)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단(11)의 장력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원단(11)의 일측 부분(12)이 늘어나 느슨한 상태가 된 경우, 원단(11)의 일측 부분(12)의 장력은 원단(11)의 타측(13) 부분의 장력보다 작게 된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장력이 작은 원단(11)의 일측 부분(12)은 타측(13)보다 가이드 롤러(300)를 지지하는 힘이 작게 된다. 그러면, 지지롤러(100)를 기준으로, 원단(11)의 일측 부분(12)에 인접한 클램프(200a)는 원단(11)의 타측 부분(13)에 인접한 클램프(200b)보다 더 하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동시에, 가이드 롤러(300)가 원단(11)을 자연스럽게 가압할 수 있도록, 각각의 클램프(200a,200b)는 틸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300)는 가이드 롤러(300)의 중심축(CL)이 가상의 수평축(HL)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A)를 이루도록 틸팅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원단(11)을 폭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원단(11)에서 가이드 롤러(300)를 지난 원단(11)의 일측 부분(14)은 느슨함이 없어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단(11)의 일측 부분(14) 및 타측 부분(13)에는 균일한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원단 100: 지지롤러
200: 클램프 211,212: 제1클램퍼
213,214: 제2클램퍼 220: 제1관통홀
225: 제2관통홀 230: 제1슬릿
231: 제2슬릿 235: 제3슬릿
236: 제4슬릿 240: 제1조절홀
245: 제2조절홀 250: 제1조절부재
255: 제2조절부재 300: 가이드 롤러
400: 인서트

Claims (6)

  1. 원단의 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며,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롤러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과 평행한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클램프;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롤러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공급되는 원단을 가압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홀의 내측지름은 상기 지지롤러의 외측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상기 지지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1관통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롤러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클램프는 회전 및 틸팅 가능하고,
    상기 클램프가 회전 및 틸팅되면,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지지롤러와 평행하지 않도록 틸팅 가능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의 몸체를 형성하며, 일단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일단부 중앙에서 상기 제1관통홀의 중심으로 연장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1슬릿과, 상기 블록 몸체의 일단부에 상기 제1관통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슬릿을 관통하는 제1조절홀과, 상기 제1조절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릿의 폭을 좁힘으로써 상기 제1관통홀의 내측지름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와, 상기 블록 몸체의 타단부 중앙에서 상기 제2관통홀의 중심으로 연장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3슬릿과, 상기 블록 몸체의 타단부에 상기 제2관통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슬릿을 관통하는 제2조절홀과, 상기 제2조절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3슬릿의 폭을 좁힘으로써 상기 제2관통홀의 내측지름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장력 조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1슬릿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블록 몸체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슬릿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장력 조절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2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3슬릿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블록 몸체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4슬릿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장력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지지롤러의 사이에 구비되는 인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의 내측지름은 상기 지지롤러의 외측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롤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롤러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클램프가 회전 및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장력 조절 장치.
KR1020210029753A 2021-03-05 2021-03-05 원단 장력 조절 장치 KR102500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753A KR102500196B1 (ko) 2021-03-05 2021-03-05 원단 장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753A KR102500196B1 (ko) 2021-03-05 2021-03-05 원단 장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11A KR20220125911A (ko) 2022-09-15
KR102500196B1 true KR102500196B1 (ko) 2023-02-17

Family

ID=8328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753A KR102500196B1 (ko) 2021-03-05 2021-03-05 원단 장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1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9103A (ja) 2014-09-26 2016-05-09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871Y2 (ja) * 1988-01-13 1994-12-07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印刷機のプラウ折り装置
KR101014126B1 (ko) 2008-06-02 2011-02-14 안태영 부직포 제조용 원단의 장력조절 자동화 장치
DE102014111312B3 (de) * 2014-08-07 2016-02-04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Bahnführungsvorrichtung und Vorrichtung zum Verarbeiten einer Materialbah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9103A (ja) 2014-09-26 2016-05-09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11A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5958A1 (en) Fiber spreading apparatus
US37523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ateral spacings of elongated elements
KR102500196B1 (ko) 원단 장력 조절 장치
JP2007107134A (ja) 横編機の糸案内装置
US4920622A (en) Apparatus for the spreading the guiding of a web of flexible material
CN101522356B (zh) 适于向焊线施加可变张力的焊线机送线系统及其操作方法
KR20080041516A (ko) 화상형성장치
JP2009293143A (ja) 紡機のエプロンクレードル
JPH05111769A (ja) ワイヤ送給装置
JPH0849138A (ja) 織機におけるたて糸の張り装置
KR102442926B1 (ko) 웹 가이딩 디바이스 및 소재 웹을 처리하는 디바이스
JP2003341895A (ja) 織布の巻取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273243B1 (en) Device for correcting the course of a belt
JP2000220061A (ja) 織機の経糸張力調整装置
TWI642822B (zh) Yarn density adjusting device for yarn feeding device
JP2000345448A (ja) 経糸張力調整装置
JP7224129B2 (ja) 回転式糸調子装置
JP2006175128A (ja) ミシンの糸案内
CN113123010B (zh) 针织面料防断纱送线盘
JP7484668B2 (ja) 糸調子装置、及び縫製装置
JP3774357B2 (ja) テンプル装置
JPH10202325A (ja) ロール成形機
TW202415825A (zh) 織機用的經紗供給裝置
KR20160105302A (ko) 자수기
KR200256767Y1 (ko)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장력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