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040B1 -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040B1
KR102500040B1 KR1020210031709A KR20210031709A KR102500040B1 KR 102500040 B1 KR102500040 B1 KR 102500040B1 KR 1020210031709 A KR1020210031709 A KR 1020210031709A KR 20210031709 A KR20210031709 A KR 20210031709A KR 102500040 B1 KR102500040 B1 KR 102500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ing
area
base plate
shaft member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7433A (ko
Inventor
이해만
Original Assignee
(주)다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다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03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04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는, 내부에 스토퍼 홈이 마련된 하우징부; 스토퍼 홈에 맞물리는 토출 돌출부가 구비된 복수의 스프링부; 및 양측부가 헤드레스트의 베이스 바디와 사이드 윙에 결합되어 하우징부와 복수의 스프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스프링부에는 축 부재와 접촉되며 폭이 서로 다른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가 마련되어 사이드 윙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 나머지 하나의 방향보다 회전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HINGE FOR SIDE WING OF HEADREST}
본 발명은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사이드 윙을 베이스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백 상단에는 탑승자가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여 탑승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함과 더불어 후방 추돌 사고시 탑승자의 경추 상해를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헤드레스트의 윙아웃 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중간 부분(베이스 바디)과 양측 사이드부(사이드 윙)가 분할되어(내부 구조의 분할을 의미하며 겉모습은 하나의 외피로 감싸질 수 있다.) 양측 사이드부가 중간 부분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양측 사이드부를 전방으로 회동시켜서 탑승자의 머리 옆 부분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헤드레스트 윙아웃 장치는 중간 부분과 사이드부가 단순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서 회동은 가능하지만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다시 후방으로 젖혀지기 때문에 탑승자가 원하는 각도로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었다.
또한, 사이드부의 각도를 조절할 때도 각도 조절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않아 불편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31261호(주식회사 우보테크, 주식회사 덕양정밀) 2019. 10. 0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이드 윙이 베이스 바디에 대해 각도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사이드 윙의 각도 조절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스토퍼 홈이 마련된 하우징부; 상기 스토퍼 홈에 맞물리는 토크 돌출부가 구비된 복수의 스프링부; 및 양측부가 헤드레스트의 베이스 바디와 사이드 윙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스프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에는 상기 축 부재와 접촉되며 폭이 서로 다른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가 마련되어 상기 사이드 윙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 나머지 하나의 방향보다 회전이 용이한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하우징 바디;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벽에 상기 하우징 바디의 중앙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내부 바디; 상기 내부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상기 스토퍼 홈;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사이드 윙에 지지되어 상기 사이드 윙을 상기 하우징 바디와 같이 회전시키는 회전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는, 상기 축 부재가 관통되는 중앙홀이 마련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홈에 걸리는 상기 토크 돌출부; 및 상기 토크 돌출부가 마련된 영역의 베이스판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신축을 가이드하는 절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부는 상기 제2 영역부보다 폭이 좁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영역부에서 상기 제2 영역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에 탈착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스프링부에는 축 부재와 접촉되며 폭이 서로 다른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가 마련되어 사이드 윙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 나머지 하나의 방향보다 회전이 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이드 윙이 베이스 바디에 대해 각도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사이드 윙의 각도 조절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의 베이스판으로 텐션을 유지시켜 축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회전시에도 토크 값을 유지할 수 있고, 3 포인트 분할 마찰로 진동으로 인한 위치 변동 등 흔들림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프링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의 회전 경로와 마찰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작동도로써 하우징부와 스프링부의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의 원활 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프링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의 회전 경로와 마찰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작동도로써 하우징부와 스프링부의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의 원활 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1)는, 헤드 레스트(10)의 사이드 윙(12)에 연결되어 사이드 윙(12)과 같이 회전되는 하우징부(100)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하우징부(100)와 같이 회전되는 복수의 스프링부(200)와, 양측부가 헤드 레스트(10)의 베이스 바디(11)와 사이드 윙(12)에 결합되어 하우징부(100)와 복수의 스프링부(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부재(300)와, 하우징부(100)에 탈착 결합되는 커버 부재(400)를 구비한다.
하우징부(100)는, 헤드 레스트(10)의 사이드 윙(12)에 연결되어 사이드 윙(12)과 같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하우징부(100)의 회전 시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부(200)도 하우징부(10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바디(110)의 외벽에 마련되어 사이드 윙(12)에 걸려 하우징 바디(110)를 사이드 윙(12)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 가이드 돌출부(120)와, 하우징 바디(110)의 내벽에 마련되며 스프링부(200)의 토크 돌출부(220)가 삽입되는 복수의 스토퍼 홈(131)이 마련된 내부 바디(130)와,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버 부재(400)가 탈착 결합되는 커버 결합홈(140)을 포함한다.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바디(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부(100)의 복수의 회전 가이드 돌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의 외벽에 마련되며 사이드 윙(12)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 사이드 윙(12)의 회전력을 하우징 바디(11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회전 가이드 돌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회전 가이드 돌출부(120)는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회전 가이드 돌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의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의 내부 바디(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의 내벽에 마련되어 하우징 바디(110)의 회전력을 복수의 스프링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바디(130)는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내부 바디(130)의 내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홈(131)이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 홈(13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200)의 토크 돌출부(22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바디(130)가 마련된 하우징 바디(110)가 회전되면 스토퍼 홈(131)과 토크 돌출부(220)가 서로 맞물려 복수의 스프링부(200)는 하우징부(10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 홈(1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스토퍼 홈(131)은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의 커버 결합홈(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 결합홈(140)에는 커버 부재(400)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부(100)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며 축 부재(300)와의 마찰력으로 사이드 윙(12)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스프링부(200)는 판스프링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프링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210)과, 베이스판(210)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복수의 스토퍼 홈(131)에 걸리는 복수의 토크 돌출부(220)와, 베이스판(210)에 서로 폭이 다르게 마련되는 제1 영역부(230) 및 제2 영역부(240)를 포함한다.
복수의 스프링부(200)의 베이스판(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판(210)의 중앙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홀(211)이 마련되고, 이 중앙홀(211)의 가장자리에는 축 부재(300)의 외벽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판(2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절개홀(212)이 마련되어 베이스판(210)의 신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개홀(212)은 세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절개홀(212)은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절개홀(2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 가이드 돌출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판(21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스프링부(200)의 토크 돌출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홀(212)이 마련된 영역의 베이스판(210)에 마련되며 하우징부(100)의 내부 바디(130)에 마련된 스토퍼 홈(131)에 삽입되어 하우징부(100)의 회전력을 베이스판(2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크 돌출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토크 돌출부(220)는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토크 돌출부(220)는 후술하는 제2 영역부(240)에 가압력을 인가 시킬 수 있다. 토크 돌출부(220)는 절개홀(212)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제2 영역부(240)에 가압력을 인가 시킬 수 있다.
스프링부(200)의 제1 영역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절개홀(212) 사이의 베이스판(210) 중 가장 폭이 좁게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부(240)는 제1 영역부(230)가 마련된 베이스판(210)의 영역 중 가장 폭이 넓게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판(210)은 세개의 절개홀(212)에 의해 세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에 제1 영역부(230)와 제2 영역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판(210)의 제1 영역부(230)에서 제2 영역부(240)로 갈수록 베이스판(210)의 폭은 점차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제2 영역부(240)는 축 부재(300)를 가압할 수 있다. 제2 영역부(240)의 내주면의 가상선(C1)은 축 부재(300)의 외주면의 가상선(C2) 보다 더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부(240)의 내주면이 축 부재(300)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부(240)는 토크 돌출부(220)에서 제공하는 가압력을 전달받아 축 부재(300)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영역부(230)는 축 부재(300)에 슬라이딩된다. 즉, 제1 영역부(230)의 내주면의 가상선(C2)은 축 부재(300)의 외주면의 가상선(C2)에 일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부(230)의 내주면이 축 부재(3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부(230)는 축 부재(300)에 접촉 마찰력을 제공하지 않거나 미세하게 제공하며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부(200)가 제1 영역부(230)에서 제2 영역부(240)의 방향으로 축 부재(300)에서 회전(도 5의 (b)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되는 경우, 사이드 윙(12)은 축 부재(300)와 베이스판(210)의 접촉 마찰력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토크 돌출부(220)가 절개홀(212)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제2 영역부(240)가 축 부재(300)를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부(240)가 축 부재(300)를 강하게 가압하므로, 베이스판(210)의 회전이 어렵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은 사용자가 사이드 윙(12)을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사이드 윙(12)과 베이스 바디(11)가 일치되는 방향일 수 있다.
반대로 하우징부(100)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부(200)가 제2 영역부(240)에서 제1 영역부(230)의 방향으로 축 부재(300)에서 회전(도 5의 (a)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되는 경우 축 부재(300)와 베이스판(210)의 접촉 마찰력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부(230)는 축 부재(300)에 접촉 마찰력을 제공하지 않거나 미세하게 제공하며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 윙(12)의 회전이 전술한 방향에 비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은 사용자가 사이드 윙(12)을 사용자의 머리 방향으로 당기는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5(a) 방향은 시계방향, 도 5(b) 방향은 반시계방향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시계방향은 사용자가 사이드 윙(12)을 사용자의 머리 방향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실시되고, 반시계방향은 사용자가 사이드 윙(12)을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사이드 윙(12)과 베이스 바디(11)가 일치되는 방향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A 영역은 축 부재(300)와 베이스판(210)이 상시 접촉되는 슬라이딩부 영역을 나타낸 것이고, B 영역은 베이스판(210)이 축 부재(300)의 외주면을 상기 가압하는 토크 전달부의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C1은 제2 영역부(240)의 내주면의 가상선을 나타낸 것이고, C2는 축 부재(300)의 외주면을 나타낸 선이고, C3는 하우징 바디(110)의 내주면을 나타낸 선이다.
축 부재(300)는, 양단부가 헤드 레스트(10)의 베이스 바디(11)와 사이드 윙(12)에 결합되어 하우징부(100)와 복수의 스프링부(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축 부재(30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지만 하우징부(100)와 스프링부(200)는 사이드 윙(12)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커버 부재(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에 결합되어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400)는 도 2에 도시된 커버 결합홈(14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스프링부에는 축 부재와 접촉되며 폭이 서로 다른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가 마련되어 사이드 윙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 나머지 하나의 방향보다 회전이 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이드 윙이 베이스 바디에 대해 각도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사이드 윙의 각도 조절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의 베이스판으로 텐션을 유지시켜 축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회전시에도 토크 값을 유지할 수 있고, 3 포인트 분할 마찰로 진동으로 인한 위치 변동 등 흔들림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부 110 : 하우징 바디
120 : 회전 가이드 돌출부 130 : 내부 바디

Claims (5)

  1. 내부에 스토퍼 홈이 마련되고, 헤드 레스트의 사이드 윙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 윙과 같이 회전되는 하우징부; 상기 스토퍼 홈에 맞물리는 토크 돌출부가 구비된 복수의 스프링부; 및 양측부가 상기 헤드 레스트의 베이스 바디와 상기 사이드 윙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는, 상기 축 부재가 관통되는 중앙홀이 마련되고, 판스프링으로 실시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홈에 걸리는 상기 토크 돌출부; 및 상기 토크 돌출부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베이스판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신축을 가이드하는 절개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에는 상기 축 부재와 접촉되며 폭이 서로 다른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가 마련되어, 상기 사이드 윙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 나머지 하나의 방향보다 회전이 용이하고,
    상기 제1 영역부는 상기 절개홀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 중 폭이 좁게 마련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부는 상기 제1 영역부가 마련된 상기 베이스판의 영역 중 폭이 넓게 마련되는 영역이고,
    상기 토크 돌출부는 상기 절개홀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2 영역부에 가압력을 인가시켜, 상기 제2 영역부의 내주면은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상기 제1 영역부의 내주면은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는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하우징 바디;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벽에 상기 하우징 바디의 중앙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내부 바디;
    상기 내부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상기 스토퍼 홈;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사이드 윙에 지지되어 상기 사이드 윙을 상기 하우징 바디와 같이 회전시키는 회전 가이드 돌출부;
    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31709A 2021-03-11 2021-03-11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 KR102500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09A KR102500040B1 (ko) 2021-03-11 2021-03-11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09A KR102500040B1 (ko) 2021-03-11 2021-03-11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433A KR20220127433A (ko) 2022-09-20
KR102500040B1 true KR102500040B1 (ko) 2023-02-15

Family

ID=8344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709A KR102500040B1 (ko) 2021-03-11 2021-03-11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0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127Y1 (ko) 1999-10-18 2000-03-15 정진수 클립형 토션 스프링을 사용한 마찰 힌지 장치
KR102031262B1 (ko) * 2018-03-27 2019-10-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윙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6096A1 (en) * 2009-09-25 2011-03-3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Rencol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olerance ring control of slip interface sliding forces
KR102547204B1 (ko) * 2015-03-16 2023-06-22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마찰 모듈, 마찰 힌지, 및 마찰 모듈 및/또는 마찰 힌지를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
KR102031261B1 (ko) 2018-03-27 2019-10-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윙 조절 장치
KR20200005049A (ko) * 2018-07-05 2020-01-15 황재윤 비대칭 토크 힌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127Y1 (ko) 1999-10-18 2000-03-15 정진수 클립형 토션 스프링을 사용한 마찰 힌지 장치
KR102031262B1 (ko) * 2018-03-27 2019-10-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윙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433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9250B2 (ja) ヒンジ
US8121658B2 (en) Torsion spring, elastic device and sliding apparatus and portable appliance utilizing the device
KR20110014963A (ko) 로터리 전기 면도기
JP2004239972A (ja) ディスプレイの方向調整装置
JPH09131240A (ja) 内歯式リクライニングデバイス
US6845706B2 (en) Bread maker with bar code scanner
KR102500040B1 (ko) 헤드레스트 사이드윙용 힌지
JP2004536740A (ja) 自動車のサイドミラー用のヒンジ構造およびヒンジアクチュエータ
JP6823281B2 (ja) リングとじ具及びリングファイル
JP4287132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4347198A1 (en) Adjusting a relative position in an exposure direction of two pivotably arranged members of a shaving unit
JP2595784B2 (ja) ディスクの回転駆動装置
KR20190016566A (ko)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JP5866647B2 (ja) ペーパーホルダーの取付構造
JPH0117006B2 (ko)
US20100170098A1 (en) Kitchen slicer
JPH0610556A (ja) 開閉蓋体用ヒンジ装置
JP4348736B2 (ja) ロール紙ホルダ
JP3774409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2089140B1 (ko) 유지장치
JP7425154B1 (ja) ヒンジ
KR830001806B1 (ko) 가루반죽 회전식 절단기
JPS5934447Y2 (ja) 電気かみそり
US722950A (en) Adjustable head-rest.
JP3098617B2 (ja) 無段階調整式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