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140B1 -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140B1
KR102089140B1 KR1020180036756A KR20180036756A KR102089140B1 KR 102089140 B1 KR102089140 B1 KR 102089140B1 KR 1020180036756 A KR1020180036756 A KR 1020180036756A KR 20180036756 A KR20180036756 A KR 20180036756A KR 102089140 B1 KR102089140 B1 KR 10208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rface
base member
holding device
rotating memb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656A (ko
Inventor
미츠루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8011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과제) 전자 기기의 유지장치를 간소하면서도 소형화한다.
(해결수단) 전자 기기(11)를 위한 유지장치(2)로서, 제 1 지지면(21B)을 갖는 베이스 부재(15)와, 베이스 부재에 소정의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해서, 제 1 지지면에 대향하는 수납 위치와, 제 1 지지면에 대해 기립한 사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에 얹어놓아지는 상기 전자 기기에 맞닿는 제 2 지지면을 갖는 회동 부재(16)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지장치{HOLDING DI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전자 기기를 위한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콘솔 패널에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유지장치를 설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유지장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공통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하측 홀더 및 상측 홀더를 갖는다. 수납 상태에서는 하측 홀더 및 상측 홀더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사용 상태에서는 하측 홀더 및 상측 홀더가 오목부로부터 돌출해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고 전자 기기의 모서리부를 지지한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7-11507호 공보
상기한 유지장치는 하측 홀더를 갖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함과 함께 부품수가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은 상측 홀더 및 하측 홀더의 2개의 부품을 수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사이즈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배경을 감안해 본 발명은 유지장치를 간소하면서도 소형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전자 기기(11)를 위한 유지장치(2)로서, 제 1 지지면(21B)을 갖는 베이스 부재(15)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소정의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제 1 지지면에 대향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제 1 지지면에 대해 기립한 사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에 얹어놓아지는 상기 전자 기기에 맞닿는 제 2 지지면(31A)을 갖는 회동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태양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와 회동 부재에 의해서 전자 기기의 유지가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유지장치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유지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회동축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을 사이에 두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 1 지지면에 얹어놓아지는 상기 전자 기기의 상기 회동축을 따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벽(22 또는 32)을 가지면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제 1 지지면 및 제 2 지지면에 지지되는 전자 기기의 회동축을 따른 방향으로의 이동이나 쓰러짐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오목부(18)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면은, 한 쌍의 상기 규제벽(22)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 1 지지면(21B)을 형성하면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규제벽이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규제벽이 베이스 부재의 외면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지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수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어 개구단을 폐쇄하면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에 있어서 오목부를 폐쇄하기 때문에, 수납 상태에서는 오목부가 가려져 오목부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에 있어서 오목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회동 부재의 베이스 부재로부터의 돌출이 억제되어 유지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규제벽(32)은, 상기 회동 부재에도 설치되며, 상기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회동 부재에 설치된 한 쌍의 상기 규제벽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면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회동 부재에 설치된 규제벽이 전자 기기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자 기기를 안정성 좋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위치에 있어서 회동 부재에 설치된 규제벽을 오목부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은, 상기 회동축측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제 1 지지면에 얹어놓아진 전자 기기는 회동 부재측으로 이동해서 제 2 지지면에 맞닿기 때문에, 제 1 지지면과 제 2 지지면에 의해서 전자 기기를 안정성 좋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2 지지면은 상기 제 1 지지면에 대해서 90도의 각도를 이루면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제 1 지지면과 제 2 지지면이 전자 기기의 모서리부에 확실히 맞닿을 수 있기 때문에, 제 1 지지면과 제 2 지지면에 의해서 전자 기기를 안정성 좋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 근방에 있을 때에 상기 회동 부재를 수납 위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회동 부재가 사용 위치 근방에 있을 때에 상기 회동 부재를 사용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장치(40, 44)를 가지면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회동 부재의 수납 위치 및 사용 위치간의 이동이 원활해진다.
또한,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의 한쪽에 설치된 캠(44)과,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의 다른 쪽에 설치되며, 상기 캠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판스프링(40)을 가지면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간소한 구성에 의해 회동 부재를 수납 위치 및 사용 위치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회동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편(48)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편을, 간극을 두고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49)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가 돌출편을 파지하고 회동 부재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위치에 있어서 돌출편이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로부터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맞닿는 제 1 스토퍼(36)와, 상기 회동 부재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맞닿는 제 2 스토퍼(21C)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회동 부재의 수납 위치 및 사용 위치의 위치가 안정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유지장치를 간소하면서도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장치를 구비한 센터 콘솔의 사시도(수납 상태)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장치를 구비한 센터 콘솔의 사시도(사용 상태)
도 3은 유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베이스 부재의 평면도
도 5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유지장치의 단면도
도 6의 (A)는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의 유지장치의 단면도, 도 6의 (B)는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와 사용 위치의 중간에 있는 상태의 유지장치의 단면도
도 7의 (C)는 회동 부재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의 유지장치의 단면도
도 8은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유지장치의 사시도
도 9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유지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장치를 구비한 센터 콘솔의 사시도(사용 상태)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장치를 구비한 센터 콘솔의 사시도(사용 상태)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장치의 단면도(사용 상태)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유지장치를 자동차의 센터 콘솔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대시보드의 일부를 이루는 센터 콘솔(1)은 전후로 연장되어 있다. 센터 콘솔(1)의 상면에는 유지장치(2)의 부착부(3)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 콘솔(1)의 상면에 있어서의 부착부(3)의 측방에는 전자 기기(11) 등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5)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5)에는 오목부(5) 내를 향해서 회동 가능한 덮개체(6)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3)는 위쪽을 향해서 돌출한 중공 형상의 볼록부이며, 상판부(7)와, 상판부(7)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측판부(8)를 갖는다. 상판부(7)의 상면은 뒤쪽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상판부(7)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착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9)에는 전자 기기(11)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장치(2)가 유지하는 전자 기기(11)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PC 등을 포함한다. 전자 기기(11)의 외형은 장방형의 판 형상(편평한 직방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장치(2)는, 베이스 부재(15)와, 베이스 부재(1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부재(16)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15)는,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부재이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8)를 갖는다. 오목부(18)는, 베이스 부재(15)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저벽부(21)와, 저벽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한 쌍의 측벽부(22)와, 저벽부(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에 설치된 제 1 끝벽부(23)와, 저벽부(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측에 설치된 제 2 끝벽부(2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부(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을 구성하는 저벽 일단부(21A)는, 저벽부(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를 구성하는 저벽 중간부(21B)에 대해서 깊이가 한단 더 깊게 형성되어 있다. 저판 일단부와 저판 중간부의 경계에는, 저벽 일단부(21A) 및 저벽 중간부(21B)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며, 면이 일단측을 향한 저벽 단차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저벽 일단부(21A)와 제 1 끝벽부(23)의 경계부(21D)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계부(21D)의 오목부(18)측을 향한 내면은 한 쌍의 측벽부(22)와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 대략 90°의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을 구성하는 저벽 타단부(21E)는, 저벽부(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를 구성하는 저벽 중간부(21B)에 비해서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있다. 저벽 중간부(21B)와 저벽 타단부(21E)는, 저벽 중간부(21B)로부터 저벽 타단부(21E)에 걸쳐서 깊이가 점차 줄어들도록 경사진 경사부(21F)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는 판 형상의 체결부(2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체결부(26)는 제 1 끝벽부(23) 및 제 2 끝벽부(24)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체결부(26)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6)는, 기단에서부터 선단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기판부(基板部)(31)와, 기판부(31)의 뒷면(31A)의 기단부로부터 돌출한 한 쌍의 지지벽(32)을 갖는다. 한 쌍의 지지벽(32)은 회동 부재(1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해 있다. 한 쌍의 지지벽(32)의 서로 상반되는 측의 측면에는 각각 원주 형상의 회동축(3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33)은 회동 부재(16)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서로 동일축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5)의 한 쌍의 측벽부(22)의 일단측의 부분에는, 각각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구멍(34)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15)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서로 동일축에 배치되어 있다.
회동 부재(16)의 각 회동축(33)은, 베이스 부재(15)의 대응하는 각 지지 구멍(34)에 삽입되며, 각 지지 구멍(3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동 부재(16)는, 저벽 중간부(21B)에 대향하며 선단부가 베이스 부재(15)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와, 저벽 중간부(21B)에 대해 기립한 사용 위치의 사이에서, 베이스 부재(15)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판부(31)의 뒷면(31A)의 선단부가 제 2 끝벽부(24)의 오목부(18)측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볼록부(36)(제 1 스토퍼)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회동 부재(16)의 수납 위치가 규정되고, 지지벽(32)의 하측 가장자리가 저벽 단차부(21C)(제 2 스토퍼)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회동 부재(16)의 사용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볼록부(36) 및 저벽 단차부(21C)는, 회동 부재(16)의 수납 위치 및 사용 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볼록부(36)에 맞닿는 기판부(31)의 뒷면(31A)에는 완충재(55)가 첩부(貼付)되고, 저벽 단차부(21C)에는 완충재(56)가 첩부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벽(32)의 기단측의 가장자리부는 지지벽(3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벽(38)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기단벽(38)은 기판부(31)에도 결합되어 있으며, 기판부(31)의 기단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벽(32) 및 기단벽(38)의 외측면에는 판스프링(40)을 로크하기 위한 스프링 로크부(41)가 설치되어 있다. 판스프링(40)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중앙부(40A)와, 스프링 중앙부(40A)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스프링 단부(40B)를 가지고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단부(40B)의 각각은 선단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로크부(41)는, 각 지지벽(32)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로크홈(41A)과, 기단벽(38)에 돌출 형성된 제 1 로크 볼록부(41B) 및 제 2 로크 볼록부(41C)를 갖는다.
판스프링(40)은,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한 쌍의 스프링 단부(40B)의 사이에 한 쌍의 지지벽(32)을 끼워 지지함과 함께, 스프링 단부(40B)의 각각이 대응하는 로크홈(41A)에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지지벽(32)에 대하여 고정된다. 판스프링(40)의 중간부는, 기단벽(38)의 외측면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며, 또한 제 1 로크 볼록부(41B) 및 제 2 로크 볼록부(41C)에 의해서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판스프링(40)은, 스프링 중앙부(40A)가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스프링 중앙부(40A)가 기단벽(38)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5)의 경계부(21D)의 오목부(18)측을 향한 면에는 캠(4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캠(44)은, 제 1 끝벽부(23)로부터 저벽 일단부(21A)를 향해서 연장되는 높이가 일정한 캠 중간부(44A)와, 캠 중간부(44A)의 양단에 설치되며 각각의 던부측을 향해서 돌출량(높이)이 점차 줄어드는 캠 경사 단부(44B)를 갖는다. 캠(44)은, 판스프링(40)의 스프링 중앙부(40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스프링 중앙부(40A)를 탄성 변형시키고, 회동 부재(16)를 지지 구멍(34)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 구멍(34) 및 회동축(33)간의 래틀링(rattling)을 억제한다. 또한, 캠(44)은, 캠 경사 단부(44B)에 있어서 판스프링(40)의 스프링 중앙부(40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스프링 중앙부(40A)를 탄성 변형시켜, 회동 부재(16)를 수납 위치측 및 사용 위치측으로 가압한다. 이렇게, 캠(44) 및 판스프링(40)은 회동 부재(16)를 수납 위치측 및 사용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장치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44)은 2개 설치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캠(44)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로크 볼록부(41B)는 2개의 캠(4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로크 볼록부(41C)와 캠(44)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며, 제 2 로크 볼록부(41C)는 2개의 캠(44)을 가로질러서 회동축(33)과 편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기판부(31)의 뒷면(31A)에는 각 지지벽(32)을 선단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벽(46)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벽(32) 및 연장벽(46)은 서로 동일면으로 되는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부(31)의 뒷면(31A), 끝벽부의 내측면, 지지벽(32) 및 연장벽(46)의 내측면은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며 서로 직교해 있다. 회동 부재(16)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끝벽부의 내측면은,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과 접속해 동일면으로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부(31)의 선단부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회동축(33)과 평행한 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으로 돌출한 돌출편(48)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5)의 측벽부(22)에는, 회동 부재(16)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돌출편(48)을 간극을 두고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49)는 측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체결부(26)가 각각 체결 부재(51)에 의해서 상판부(7)의 뒷면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유지장치(2)가 부착부(3)에 부착된다. 체결 부재(51)는 나사나 파스너(클립) 등이어도 된다. 상판부(7)의 뒷면의 부착 구멍(9)의 주위에는 체결판의 체결구멍(27)을 통과한 체결 부재(51)가 결합되는 암나사 구멍 등의 결합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장치(2)는, 베이스 부재(15)의 일단측이 타단측보다도 하위에 위치하도록(회동 부재(16)의 기단측이 선단측보다도 하위에 위치하도록), 부착부(3)에 부착되어 있다. 유지장치(2)가 부착부(3)에 부착된 상태에서,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오목부(18)측의 면)은 일단측이 타단측에 대해 하위에 위치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유지장치(2)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6)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회동 부재(16)의 기판부(31)는 오목부(18)의 개구단을 폐쇄하고, 기판부(31)의 표면은 부착부(3)의 상판부(7)의 표면과 동일면으로 되는 평면을 형성한다. 이때, 연장벽(46)은 오목부(18)에 배치된다. 또한,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40)은, 스프링 중앙부(40A)에 있어서 캠(44)의 일측의 캠 경사 단부(44B)에 맞닿아, 회동 부재(16)를 수납 위치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회동 부재(16)는 수납 위치에 유지된다.
회동 부재(16)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돌출편(48)에 손가락을 걸고 회동 부재(16)를 사용 위치측으로 당겨 일으킨다. 이때, 사용자는 판스프링(4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스프링 중앙부(40A)를 캠 경사 단부(44B)에 대해 슬라이딩시킨다. 스프링 중앙부(40A)가 일측의 캠 경사 단부(44B)로부터 캠 중간부(44A)로 이동할 때에는, 판스프링(40)이 캠(44)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회동 부재(16)에 절도감이 생긴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중앙부(40A)가 일측의 캠 경사 단부(44B)를 통과해서 캠 중간부(44A)에 올라탄 상태에서는, 스프링 중앙부(40A)가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캠 중간부(44A)에 밀어붙여져, 회동 부재(16)의 회동에 대해 마찰 저항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회동 부재(16)의 회동 거동에 중후감이 부여되어 상품성이 향상된다.
회동 부재(16)가 사용 위치 근방으로 이동하면, 스프링 중앙부(40A)는 캠 중간부(44A)로부터 타측의 캠 경사 단부(44B) 위로 이동한다. 스프링 중앙부(40A)가 캠 중간부(44A)로부터 일측의 캠 경사 단부(44B)로 이동할 때에는, 판스프링(40)이 캠(44)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회동 부재(16)에 절도감이 생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중앙부(40A)가 타측의 캠 경사 단부(44B)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복원력에 의해서 스프링 중앙부(40A)는 타측의 캠 경사 단부(44B) 위에서 내려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에 따라, 회동 부재(16)는 판스프링(40)에 의해서 사용 위치측으로 가압된다. 이렇게 해서, 회동 부재(16)는 사용 위치에 다가가면 사용 위치로 인입된다.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회동 부재(16)는 판스프링(40)에 의해서 사용 위치측으로 가압되어 위치가 유지된다.
회동 부재(16)를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되돌릴 때에도, 회동 부재(16)가 수납 위치 근방으로 이동하면, 스프링 중앙부(40A)가 일측의 경사단부 위에서 슬라이딩해, 회동 부재(16)는 판스프링(40)에 의해서 수납 위치측으로 가압되어 수납 위치로 인입된다.
도 2,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6)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회동 부재(16)와 베이스 부재(15)의 오목부(18)에 의해서, 전자 기기(11)를 유지하기 위한 L자형의 유지부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 1 지지면을 이루는 베이스 부재(15)의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과, 제 2 지지면을 이루는 회동 부재(16)의 기판부(31)의 뒷면(31A)이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이 면들에 전자 기기(11)의 90도를 이루는 서로 인접하는 측면 가장자리가 얹어놓아진다.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과 기판부(31)의 뒷면(31A)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11)는 중력에 의해서 저벽 중간부(21B)와 기판부(31)의 뒷면(31A)의 경계측으로 이동해,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과 기판부(31)의 뒷면(31A)에 확실히 접촉한다. 그 때문에, 유지장치(2)는 전자 기기(11)를 안정성 좋게 유지할 수 있다. 기단벽(38)은 저벽 중간부(21B)와 연속한 면을 형성해 저벽 중간부(21B)를 연장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 부재(15)의 한 쌍의 측벽부(22)와, 회동 부재(16)의 한 쌍의 지지벽(32) 및 연장벽(46)의 사이에 전자 기기(11)의 가장자리부가 배치된다. 측벽부(22), 지지벽(32) 및 연장벽(46)은 전자 기기(11)의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전자 기기(11)의 회동축(33)의 연장 방향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한다. 즉, 측벽부(22), 지지벽(32) 및 연장벽(46)은 전자 기기(11)의 쓰러짐을 억제하는 규제벽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장치(2)는 베이스 부재(15)와 회동 부재(16)에 의해서 전자 기기(11)를 유지하기 때문에, 유지장치(2)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유지장치(2)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의 쓰러짐을 억제하는 규제벽으로서 기능하는 측벽부(22)가 베이스 부재(15)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8)의 벽부에 의해서 구성되기 때문에, 규제벽으로서 기능하는 벽이 베이스 부재(15)의 외면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지장치(2)를 소형화할 수 있다.
회동 부재(16)가 수납 위치에 있어서 오목부(18)를 폐쇄하는 덮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수납 상태에서는 오목부(18)가 가려져 오목부(18)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회동 부재(16)가 수납 위치에 있어서 오목부(18)에 수용되기 때문에, 회동 부재(16)의 베이스 부재(15)로부터의 돌출이 억제되어 유지장치(2)를 소형화할 수 있다.
사용 위치에 있어서 제 1 지지면을 이루는 베이스 부재(15)의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과 제 2 지지벽을 이루는 회동 부재(16)의 기판부(31)의 뒷면(31A)이 90°의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90°를 이루는 전자 기기(11)의 서로 인접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확실히 맞닿을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16)의 회동 범위가 90°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회동 조작량이 작아 조작이 용이하다.
이상으로 구체적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장치(2)는 수평인 면을 이루는 부착부(3)의 상판부(7)에 부착되어도 된다. 또한, 유지장치(2)는 베이스 부재(15)가 부착부(3)의 상판부(7)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해도 된다. 베이스 부재(15)는 상판부(7)의 상면에 결합되어도 되고, 체결부(26)에 있어서 상판부(7)의 뒷면에 결합되고, 본체부가 부착 구멍(9)을 통과해서 위쪽으로 돌출해 있어도 된다.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이 수평으로 배치될 경우에는,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에 전자 기기(11)의 회동축(3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규제 수단은,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 중간부(21B)에 돌출 형성된 규제벽(71)이나,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 중간부(21B)에 첩부된 마찰 계수가 저벽 중간부(21B)보다도 높은 패드(72)여도 된다. 규제벽(71)의 위치는 전자 기기(11)의 크기를 고려해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면 좋다. 패드(72)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전자 기기(11)에 밀착할 수 있는 가요성 부재이면 좋다.
다른 실시형태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이 베이스 부재(15)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회동축측이 하위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사용 위치에 있어서, 회동 부재(16)의 기판부(31)의 뒷면(31A)은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유지장치(2)를 수평인 부착부(3)에 부착할 경우에도 저벽 중간부(21B)의 상면을 경사시킬 수 있다.
1 : 센터 콘솔 2 : 유지장치
3 : 부착부 11 : 전자 기기
15 : 베이스 부재 16 : 회동 부재
18 : 오목부 21B : 저벽 중간부(제 1 지지면)
21C : 저벽 단차부(제 2 스토퍼) 22 : 측벽부(규제벽)
31 : 기판부 31A : 뒷면(제 2 지지면)
32 : 지지벽(규제벽) 33 : 회동축
36 : 볼록부(제 1 스토퍼) 40 : 판스프링
44 : 캠 44A : 캠 중간부
44B : 캠 경사 단부 46 : 연장벽(규제벽)
48 : 돌출편 49 : 수용 오목부

Claims (11)

  1. 제 1 지지면을 갖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소정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제 1 지지면에 대향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제 1 지지면에 대해 기립한 사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에 얹어놓아지는 전자 기기에 맞닿는 제 2 지지면을 갖는 회동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지지면은 상기 회동축측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회동 부재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2 지지면은 상기 제 1 지지면에 대해서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유지장치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회동축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을 사이에 두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면에 얹어 놓아지는 상기 전자 기기의 상기 회동축을 따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면은 한 쌍의 상기 규제벽을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 1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지지면과 상기 제 2 지지면에는 상기 전자 기기의 측면 가장자리가 얹어 놓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수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어 개구단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규제벽은 상기 회동 부재에도 설치되며,
    상기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회동 부재에 설치된 한 쌍의 상기 규제벽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 근방에 있을 때에 상기 회동 부재를 수납 위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회동 부재가 사용 위치 근방에 있을 때에 상기 회동 부재를 사용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의 한쪽에 설치된 캠과,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의 다른 쪽에 설치되며, 상기 캠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판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회동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편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편을, 간극을 두고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회동 부재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맞닿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회동 부재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맞닿는 제 2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KR1020180036756A 2017-03-31 2018-03-29 유지장치 KR102089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1590A JP6646611B2 (ja) 2017-03-31 2017-03-31 保持装置
JPJP-P-2017-071590 2017-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656A KR20180111656A (ko) 2018-10-11
KR102089140B1 true KR102089140B1 (ko) 2020-03-13

Family

ID=6386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56A KR102089140B1 (ko) 2017-03-31 2018-03-29 유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46611B2 (ko)
KR (1) KR1020891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567A (ja) * 1999-02-22 2000-09-05 Piolax Inc 後部座席用カップホルダー
JP2004042818A (ja) * 2002-07-12 2004-02-12 Ohashi Tekko Kk ラゲッジフック
KR200411025Y1 (ko) * 2005-12-27 2006-03-09 (주)정인일렉텍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겸용 휴대 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007B2 (ja) * 1995-07-28 2004-06-14 株式会社ニフコ 容器保持装置
JP6368281B2 (ja) 2015-06-22 2018-08-01 株式会社ニフコ 電子機器の収納式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567A (ja) * 1999-02-22 2000-09-05 Piolax Inc 後部座席用カップホルダー
JP2004042818A (ja) * 2002-07-12 2004-02-12 Ohashi Tekko Kk ラゲッジフック
KR200411025Y1 (ko) * 2005-12-27 2006-03-09 (주)정인일렉텍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겸용 휴대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656A (ko) 2018-10-11
JP2018174455A (ja) 2018-11-08
JP6646611B2 (ja)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76532B2 (ja) 容器用キャップ
US8453297B2 (en) Electronic device and handle structure thereof
KR20080112135A (ko)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
KR101276017B1 (ko) 용기유지장치
KR102089140B1 (ko) 유지장치
US20060266628A1 (en) Key switch device
US93827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ngaging member for holding a cover in an opened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US20210015151A1 (en) Opening-closing assembly for tobacco heater
US8684647B2 (en) Operating member mounting structure
JP4387980B2 (ja) 指紋読取装置
US6545238B2 (en) Key device with a scissors mechanism
KR101098503B1 (ko) 시트 형상물 수납 용기
CA2317224C (en) Clipboard
WO2019188782A1 (ja) たばこ加熱器用開閉機構
US6899504B2 (en) Fastener
KR20190040042A (ko) 캔 뚜껑
US98860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926163B2 (en) Adjustable tray
JP2002293192A (ja) スライドリッドの支持構造
JP2539266Y2 (ja) フアイル用綴込具
CN219506650U (zh) 一种自锁卡扣及容纳箱
JPH0516368Y2 (ko)
JP2019188103A (ja) ネイルカバー
JP4000483B2 (ja) 押し釦装置
JP7037377B2 (ja) 車両の内装部材用の蓋部材の開閉係止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