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135A -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135A
KR20080112135A KR1020080057703A KR20080057703A KR20080112135A KR 20080112135 A KR20080112135 A KR 20080112135A KR 1020080057703 A KR1020080057703 A KR 1020080057703A KR 20080057703 A KR20080057703 A KR 20080057703A KR 20080112135 A KR20080112135 A KR 20080112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lide
intermediate body
bas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마사 도즈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덮개체(4)를 중간체(3)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제1 개방 위치와 제1 폐색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덮개체와 중간체를 일체로 하여 베이스체(2)에 대해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제2 개방 위치와 제2 폐색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적어도 한쪽 방향을 원호 운동이 행해지는 방향으로 하고, 덮개체가 제1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2 조작부(20)를 개방하고, 덮개체가 제1 폐색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2 조작부를 폐색하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조작부(7)를 개방하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폐색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조작부를 폐색하도록 했다.
베이스체, 중간체, 덮개체, 조작부, 규제부

Description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SLIDE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에 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덮개체가 이동되는 적어도 한쪽 방향이 원호 운동이 행해지는 방향으로 하여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정보 단말이나 휴대 전화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는,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 상태나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갖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는, 제1 조작부를 갖는 베이스체와 제2 조작부를 갖는 중간체와 표시부를 갖는 덮개체를 갖고, 중간체가 덮개체와 베이스체 사이에 배치되고, 덮개체가 중간체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2 조작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2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일체로 되어 베이스체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조작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따라서, 사용자에 있어서는, 용도에 따라서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에 대해 각각 별도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용도의 폭이 넓어진다는 이점 을 갖는다.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245251호 명세서
그런데, 상기한 종래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덮개체 및 중간체가 베이스체에 대해 이동하는 제2 방향과 덮개체가 중간체에 대해 이동하는 제1 방향이 2차원 평면에 있어서 직교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제1 조작부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배향과 제1 조작부의 배향이 동일하고, 또한 제2 조작부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배향과 제2 조작부의 배향이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있어서는, 조작부의 조작 키에 대한 조작 방향(압박 방향)과 표시부를 육안으로 보는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되고,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표시부를 조작부에 대해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없고, 또한 전화기와 같이 표시부와 조작부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는 상태에서 전자 기기를 사용할 수 없어 사용 편의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는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덮개체를 중간체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제1 개방 위치와 제1 폐색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덮개체와 중간체를 일체로 하여 베이스체에 대해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제2 개방 위치와 제2 폐색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적어도 한쪽 방향을 원호 운동이 행해지는 방향으로 하고, 덮개체가 제1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2 조작부를 개방하고(노출시키고), 덮개체가 제1 폐색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2 조작부를 폐색하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조작부를 개방하고(노출시키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폐색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조작부를 폐색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덮개체가 제1 개방 위치 또는 제2 개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중간체 또는 베이스체에 대해 덮개체가 경사진 상태로 된다.
본 발명 슬라이드 기구는, 표시부를 갖는 덮개체와 제1 조작부를 갖는 베이스체 사이에 제2 조작부를 갖는 중간체가 위치되는 동시에 덮개체가 중간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중간체가 베이스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슬라이드 기구이며, 덮개체가 중간체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제1 개방 위치와 제1 폐색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덮개체와 중간체가 일체로 되어 베이스체에 대해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제2 개방 위치와 제2 폐색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적어도 한쪽 방향이 원호 운동이 행해지는 방향으로 되고, 덮개체가 제1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2 조작부가 개방되고, 덮개체가 제1 폐색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2 조작부가 폐색되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조작부가 개방되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폐색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조작부가 폐색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덮개체가 베이스체에 대해 원호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덮개체의 표시부가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에 대한 조작시에 표시부가 육안으로 보기 쉬워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베이스체에 지지 베이스를 설치하고, 덮개체에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중간체에, 지지 베이스에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슬라이더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지지 베이스를 베이스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배치하고, 슬라이더를 덮개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배치하고, 슬라이드 부재를 중간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배치했으므로, 슬라이드 기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슬라이드 기구에 상처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덮개체 및 중간체의 슬라이드 동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덮개체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덮개체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를 설치하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덮개체 및 중간체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를 설치했으므로 덮개체 및 중간체의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덮개체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덮개체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를 설치하고, 덮개체 및 중간체 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덮개체 및 중간체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를 설치하고, 제1 규제부와 제2 규제부를 지지 베이스에 설치했으므로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제1 규제부와 제2 규제부를 모두 돌기 형상으로 형성하여 베이스체에 일체로 설치했으므로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 전자 기기는, 표시부를 갖는 덮개체와 제1 조작부를 갖는 베이스체와 제2 조작부를 갖는 중간체를 구비하고, 중간체가 덮개체와 베이스체 사이에 위치되는 동시에 덮개체가 중간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중간체가 베이스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전자 기기이며, 덮개체가 중간체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제1 개방 위치와 제1 폐색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덮개체와 중간체가 일체로 되어 베이스체에 대해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제2 개방 위치와 제2 폐색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적어도 한쪽 방향이 원호 운동이 행해지는 방향으로 되고, 덮개체가 제1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2 조작부가 개방되고, 덮개체가 제1 폐색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2 조작부가 폐색되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조작부가 개방되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폐색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조작부가 폐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덮개체가 베이스체에 대해 원호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어서, 덮개체의 표시부가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에 대한 조작시에 표시부가 육안으로 보기 쉬워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낸 최량의 형태는 본 발명 전자 기기를 휴대 정보 단말에 적용한 것이며, 본 발명 슬라이드 기구를 이 휴대 정보 단말에 설치된 슬라이드 기구에 적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휴대 정보 단말 및 이것에 설치된 슬라이드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와 조작부를 갖는 각종 전자 기기 및 이것에 설치된 슬라이드 기구, 예를 들어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트워크 단말, 워크스테이션, 음악 플레이어, 기록 재생 장치, 촬상 장치 등의 각종 전자 기기 및 이것에 설치된 슬라이드 기구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휴대 정보 단말)는 덮개체, 중간체, 베이스체가 차례로 적층 형상으로 배치되고 덮개체 및 중간체가 일체로 되어 베이스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덮개체가 위치하는 쪽을 상측, 베이스체가 위치하는 쪽을 하측, 덮개체 및 중간체가 베이스체에 대해 이동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의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에 관해서는 이들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기기(휴대 정보 단말)(1)는 베이스체(2)와 중간체(3)와 덮개체(4)가 적층 형상으로 배치되고(도1 내지 도3 참조), 덮개체(4)가 상측에 위치되고, 베이스체(2)가 하측에 위치되고, 중간체(3)가 베이스체(2)와 덮개체(4) 사이에 위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체(2)는 본체(5)와 상기 본체(5)의 상면에 장착된 지지 베이스(6)를 갖고 있다. 베이스체는 원호 형상의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한쪽에 인접하고 상기 제1면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 제2면과, 상기 제1면의 다른 쪽에 인접하고 상기 제1면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제3면으로 이루어진다. 제2면과, 제3면에는 제1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2 및 도3 참조)
본체(5)는 편평한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5a)이 하방으로 볼록한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5)의 상면(5a)에 있어서의 후반부에는 얕은 배치 오목부(5b)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5)에는 상면(5a)의 대략 전반부에 제1 조작부(7)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작부(7)는 복수의 조작 키(7a, 7a,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 키(7a, 7a, …)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1)의 키보드에 설치되는 조작 키와 같은 배치(쿼티 배열)로 되어 있다.
지지 베이스(6)는 베이스 부재(8)와 상기 베이스 부재(8)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9, 9)로 이루어진다. 지지 베이스(6)는 배치 오목부(5b)에 배치된 상태로 본 체(5)에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8)는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기부(基部)(10)와, 상기 기부(10)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부(11)와, 기부(10)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안내 돌기부(12)를 갖고 있다. 기부(10)는 본체(5)의 상면(5a)에 대응한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10a)이 본체(5)의 상면(5a)과 동일면 형상으로 위치되어 있다. 돌기 형상부(11)는 후단부(11a)가 기부(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후단부(11a)에 상방으로 돌출된 규제부(13)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9, 9)는 각각 베이스 부재(8)의 기부(10)의 상면(10a)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9)는 피장착면부(9a)와 상기 피장착면부(9a)의 외측의 측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측면부(9b)와 상기 측면부(9b)로부터 피장착면부(9a)의 상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압박면부(9c)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부재(9, 9)는 베이스 부재(8)의 기부(10)의 곡률에 대응하여 완만하게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9, 9)는 피장착면부(9a, 9a)가 각각 베이스 부재(8)의 기부(10)에 장착되고, 각각 돌기 형상부(11) 또는 안내 돌기부(12)의 내측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로 위치된다.
중간체(3)는 슬라이드 부재(14)와 연결판(15)과 조작판(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14)는 베이스체(2)의 상면(5a)에 대응한 하방으로 볼록한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단부에 피가이드부(14a, 14a)를 갖고, 전후 양단부에 가이드부(14b, 14b)를 갖고 있다. 우측의 피가이드부(14a)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가이드부(14b, 14b)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스토퍼 돌기부(14c, 14c)로서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14)는 피가이드부(14a, 14a)가 각각 지지 베이스(6)의 가이드 부재(9, 9)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 베이스(6)에 원호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판(15)은 피장착판부(17)와 장착판부(18)와 피안내 돌기부(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피장착판부(17)는 슬라이드 부재(14)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볼록한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판부(18)도 하방으로 볼록한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장착판부(17)의 우측에 위치되어 있다.
피안내 돌기부(19)는 피장착판부(17)와 장착판부(18) 사이에 위치되고, 양자를 연결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피안내 돌기부(19)는 단면 형상이 하방으로 개구된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장착판부(17)와 장착판부(18)의 후단측의 부분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판(15)에는 피안내 돌기부(19)의 전방측에 전방으로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고, 이 슬릿이 삽입용 슬릿(15a)으로 되어 있다.
조작판(16)은 상면(16a)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16a)에는 제2 조작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조작부(20)는 복수의 조작 키(20a, 20a,…)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조작 키(20a, 20a,…)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의 조작부에 설치되 는 조작 키와 같은 배치로 되어 있다. 조작판(16)의 전후 양단부에는 각각 좌측으로 돌출된 이동 규제 돌기부(16b, 16b)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체(3)는 슬라이드 부재(14)의 우측 단부에 상측으로부터 연결판(15)의 피장착판부(17)가 장착되고, 연결판(15)의 장착판부(18)에 상측으로부터 조작판(16)이 장착됨으로써 구성된다.
중간체(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4)의 피가이드부(14a, 14a)가 각각 지지 베이스(6)의 가이드 부재(9, 9)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베이스체(2)에 본체(5)의 상면(5a)을 따르는 원호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중간체(3)가 베이스체(2)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베이스체(2)의 베이스 부재(8)에 있어서의 안내 돌기부(12)가 중간체(3)의 연결판(15)에 있어서의 삽입용 슬릿(15a) 또는 피안내 돌기부(19)에 하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덮개체(4)는 덮개 본체(21)와 슬라이더(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덮개 본체(2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 및 크기가 베이스체(2)의 본체(5)의 상방에서 본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덮개 본체(21)의 외주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화상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대략 직사각형의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 모서리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피규제편(22a)을 갖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전방 모서리와 후방 모서리의 대략 우측 절반부에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피가 이드편(22b, 22b)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체(4)는 슬라이더(22)가 덮개 본체(21)의 하면에 장착됨으로써 구성된다.
덮개체(4)는 슬라이더(22)의 피가이드편(22b, 22b)이 각각 중간체(3)의 슬라이드 부재(14)에 있어서의 가이드부(14b, 14b)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간체(3)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덮개체(4)의 중간체(3)에 대한 이동 방향인 좌우 방향은 제1 방향으로 되고, 덮개체(4)는 중간체(3)에 대해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우측의 이동 단부인 제1 폐색 위치(도1 참조)와 좌측의 이동 단부인 제1 개방 위치(도4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덮개체(4)는 중간체(3)가 상기한 원호 방향으로 베이스체(2)에 대해 슬라이드될 때에, 중간체(3)와 일체로 되어 베이스체(2)에 대해 원호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중간체(3) 및 덮개체(4)의 베이스체(2)에 대한 이동 방향인 원호 방향은 제2 방향으로 되고, 중간체(3) 및 덮개체(4)는 베이스체(2)에 대해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이동 단부인 제2 폐색 위치(도1 참조)와 후방측의 이동 단부인 제2 개방 위치(도5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2 폐색 위치는 제1 폐색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다(도1 참조).
이하에, 전자 기기(1)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도6 내지 도14 참조).
우선, 덮개체(4)의 제1 방향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도6 내지 도8 참조).
덮개체(4)가 제1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4)에 의해 중간체(3)의 제2 조작부(20)가 폐색되는 동시에 덮개체(4) 및 중간체(3)에 의해 베이스체(2)의 제1 조작부(7)가 폐색되어 있다. 제1 폐색 위치에 있어서는, 덮개체(4)는 도시하지 않은 제1 토글 스프링에 의해 우측으로 압박되고, 덮개체(4)에 있어서의 슬라이더(22)의 피가이드편(22b, 22b)이 각각 중간체(3)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부재(14)의 스토퍼 돌기부(14c, 14c)에 좌측으로부터 압박되어 있다.
제1 폐색 위치에 있어서는, 슬라이더(22)는 베이스체(2)에 있어서의 지지 베이스(6)의 돌기 형상부(11)의 우측에 위치되고, 슬라이더(22)의 좌측면이 돌기 형상부(11)의 바로 우측에 위치되어 있다.
덮개체(4)가 좌측으로 압박되면, 덮개체(4)는 슬라이더(22)의 피가이드편(22b, 22b)이 각각 슬라이드 부재(14)의 가이드부(14b, 14b)로 안내되어 중간체(3)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되어 간다. 이때 덮개체(4)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2)가 돌기 형상부(11)에 설치된 규제부(13)의 전방측을 통해 좌측으로 이동되어 간다. 따라서, 덮개체(4)에 후방(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부여되었다고 해도, 슬라이더(22)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부(13)에 의해 규제되고, 덮개체(4)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덮개체(4)의 의도하지 않은 방향(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규제부(13)는 덮개체(4)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덮개체(4)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1 토글 스프링의 압박 방향이 변환되고, 덮개체(4)가 제1 토글 스프링에 의해 좌측으로 압박된다.
좌측으로 압박된 덮개체(4)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의 피가이드편(22b)이 베이스체(2)에 있어서의 지지 베이스(6)의 돌기 형상부(11)에 우측으로부터 압박되고, 덮개체(4)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정지되어 제1 개방 위치에 이른다. 덮개체(4)가 제1 개방 위치에 이름으로써 제2 조작부(20)가 개방되고, 상기 제2 조작부(20)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조작부(20)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전자 기기(1)를 휴대 전화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조작이 행해진다.
한편, 제1 개방 위치에 있는 덮개체(4)가 우측으로 압박되면, 덮개체(4)는 슬라이더(22)의 피가이드편(22b, 22b)이 각각 슬라이드 부재(14)의 가이드부(14b, 14b)로 안내되어 우측으로 이동되어 간다. 덮개체(4)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1 토글 스프링의 압박 방향이 변환되고, 덮개체(4)가 제1 토글 스프링에 의해 우측으로 압박된다.
우측으로 압박된 덮개체(4)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2)의 피가이드편(22b, 22b)이 각각 슬라이드 부재(14)의 스토퍼 돌기부(14c, 14c)에 좌측으로부터 압박되고, 덮개체(4)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정지되어 제1 폐색 위치에 이른다. 덮개체(4)가 제1 폐색 위치에 이름으로써 제2 조작부(20)가 폐색된다.
다음에, 덮개체(4) 및 중간체(3)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도9 내지 도14 참조).
덮개체(4)가 제2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4)에 의해 중간체(3)의 제2 조작부(20)가 폐색되는 동시에 중간체(3)에 의해 베이스체(2)의 제1 조작부(7)가 폐색되어 있다. 제2 폐색 위치에 있어서는, 덮개체(4) 및 중간체(3)는 도시하지 않은 제2 토글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되고, 중간체(3)에 있어서의 조작판(16)의 후방측의 이동 규제 돌기부(16b)가 베이스체(2)에 있어서의 지지 베이스(6)의 안내 돌기부(12)에 전방으로부터 압박되고 있다.
제2 폐색 위치에 있어서는, 도9 및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2)의 피규제편(22a)이 지지 베이스(6)의 안내 돌기부(12)의 전방에 위치되고, 피규제편(22a)의 후방면이 안내 돌기부(12)의 바로 전방측에 위치되어 있다.
덮개체(4) 또는 중간체(3)가 후방으로 압박되면, 덮개체(4) 및 중간체(3)는 슬라이드 부재(14)의 피가이드부(14a, 14a)가 각각 지지 베이스(6)의 가이드 부재(9, 9)로 안내되어 베이스체(2)에 대해 후방 경사 상방으로 원호 운동하면서 이동되어 간다(도11 참조). 이때 슬라이더(22)의 피규제편(22a)이,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6)의 안내 돌기부(12)의 우측을 통행 후방 경사 상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따라서, 덮개체(4) 및 중간체(3)에 좌측(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부여되었다고 해도, 슬라이더(22)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안내 돌기부(12)에 의해 규제되고, 덮개체(4) 및 중간체(3)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덮개체(4) 및 중간체(3)의 의도하지 않은 방향(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내 돌기부(12)는 덮개체(4) 및 중간체(3)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후방 경사 상방으로 원호 운동하면서 이동되어 갈 때에는, 중간체(3)는 연결판(15)의 피안내 돌기부(19)가 베이스체(2)에 있어서의 지지 돌기부(6)의 안내 돌기부(12)로 안내된다.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2 토글 스프링의 압박 방향이 변환되고,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제2 토글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압박된다.
후방으로 압박된 덮개체(4) 및 중간체(3)는, 도13 및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판(16)의 전방측의 이동 규제 돌기부(16b)가 베이스체(2)에 있어서의 지지 베이스(6)의 안내 돌기부(12)에 전방으로부터 압박되고, 덮개체(4) 및 중간체(3)의 후방 경사 상방으로의 이동이 정지되어 제2 개방 위치에 이른다.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제2 개방 위치에 이름으로써 제1 조작부(7)가 개방되고, 상기 제1 조작부(7)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제2 개방 위치에 이른 상태에 있어서는, 덮개체(4)에 설치된 표시부(21a)가 제2 조작부(20)에 대해 180°미만의 소정의 각도(α)로 경사진 상태로 된다(도14 참조). 제1 조작부(7)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전자 기기(1)를 퍼스널 컴퓨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조작이 행해진다.
한편, 제2 개방 위치에 있는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전방으로 압박되면, 덮개체(4) 및 중간체(3)는 슬라이드 부재(14)의 피가이드부(14a, 14a)가 각각 지지 베이스(6)의 가이드 부재(9, 9)로 안내되어 베이스체(2)에 대해 전방 경사 하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2 토글 스프링의 압박 방향이 변환되고,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제2 토글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된다.
전방으로 압박된 덮개체(4) 및 중간체(3)는, 도9 및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판(16)의 후방측의 이동 규제 돌기부(16b)가 베이스체(2)에 있어서의 지지 베이스(6)의 안내 돌기부(12)에 후방으로부터 압박되고, 덮개체(4) 및 중간체(3)의 전방 경사 하방으로의 이동이 정지되어 제2 폐색 위치에 이른다.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제2 폐색 위치에 이름으로써 제1 조작부(7)가 폐색된다.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에 있어서는, 중간체(3) 및 표시부(21a)를 갖는 덮개체(4)가 제1 조작부(7)를 갖는 베이스체(2)에 대해 원호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제2 개방 위치에 있어서 표시부(21a)가 제1 조작부(7)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되고, 제1 조작부(7)에 대한 조작시에 표시부(21a)가 육안으로 보기 쉬워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덮개체(4)의 슬라이드 방향을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용도에 따라서 제1 조작부(7) 또는 제2 조작부(20)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어 기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에 있어서는, 덮개체(4)를 중간체(3)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기구와 덮개체(4) 및 중간체(3)를 베이스체(2)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기구가 모두 전자 기기(1)의 외주면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슬라이드 기구가 외부에 노 출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드 기구에 상처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덮개체(4) 및 중간체(3)의 슬라이드 동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에 있어서는, 덮개체(4)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규제부(13)와 덮개체(4) 및 중간체(3)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안내 돌기부(12)가 동일한 부재인 베이스 부재(8)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부가하여, 안내 돌기부(12) 및 규제부(13)가 베이스 부재(8)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베이스 부재(8)와 가이드 부재(9, 9)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고, 양자가 결합됨으로써 지지 베이스(6)가 구성되는 예를 나타냈으나, 베이스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 베이스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덮개체(4)가 슬라이드되는 제1 방향을 직선 방향으로 하고,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슬라이드되는 제2 방향을 원호 방향으로 한 예를 나타냈으나, 반대로, 덮개체(4)가 슬라이드되는 제1 방향을 원호 방향으로 하고,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슬라이드되는 제2 방향을 직선 방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덮개체(4)가 슬라이드되는 제1 방향과 덮개체(4) 및 중간체(3)가 슬라이드되는 제2 방향을 모두 원호 방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최량의 형태에 있어서 도시한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화의 그저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도1은 도2 내지 도14와 함께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전자 기기를 제1 조작부와 제2 조작부가 폐색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전자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전자 기기를 덮개체와 중간체와 베이스체로 분해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전자 기기를 제2 조작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전자 기기를 제1 조작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도7 내지 도14와 함께 전자 기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덮개체가 제1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7은 덮개체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8은 덮개체가 제1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9는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10은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11은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12는 덮개체 및 중간체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를 도시하 는 확대 사시도.
도13은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14는 덮개체 및 중간체가 제2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 기기
2 : 베이스체
3 : 중간체
4 : 덮개체
6 : 지지 베이스
7 : 제1 조작부
12 : 안내 돌기부(제2 규제부)
13 : 규제부(제1 규제부)
14 : 슬라이드 부재
20 : 제2 조작부
21a : 표시부
22 : 슬라이더

Claims (13)

  1. 표시부를 갖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가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덮개체의 슬라이드 운동에 연동하여 노출되는 제2 조작부를 갖는 중간체와,
    상기 중간체가 상기 제1 방향과 직행하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체의 슬라이드 운동에 연동하여 노출되는 제1 조작부를 갖는 베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의 슬라이드 운동과 상기 중간체의 슬라이드 운동의 적어도 한쪽이 원호 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체는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체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덮개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중간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덮개체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와,
    상기 중간체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중간체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베이스는 상기 제1 규제부와 상기 제2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제1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제1 규제부와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드 운동을 규제하는 피가이드편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는 제2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제2 규제부와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드 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부와 상기 제2 규제부는 모두 돌기 형상이며, 베이스체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의 조작 키의 배열은 쿼티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베이스는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는 원호 형상의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한쪽에 인접하고 상기 제1면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의 다른 쪽에 인접하고 상기 제1면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제3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1 조작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기구.
  13. 표시부를 갖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가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덮개체의 슬라이드 운동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2 조작부를 갖는 중간체와,
    상기 중간체가 상기 제1 방향과 직행하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체의 슬라이드 운동에 연동하여 노출되는 제1 조작부를 갖는 베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의 슬라이드 운동과 상기 중간체의 슬라이드 운동의 적어도 한쪽이 원호 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80057703A 2007-06-20 2008-06-19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 KR20080112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62442 2007-06-20
JP2007162442A JP2009003614A (ja) 2007-06-20 2007-06-20 スライド機構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135A true KR20080112135A (ko) 2008-12-24

Family

ID=4013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703A KR20080112135A (ko) 2007-06-20 2008-06-19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30009B2 (ko)
JP (1) JP2009003614A (ko)
KR (1) KR20080112135A (ko)
CN (1) CN101330809B (ko)
TW (1) TWI3909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5992B2 (en) * 2008-12-19 2013-02-26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KR20100033622A (ko) * 2008-09-22 201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AU326872S (en) * 2009-02-12 2009-07-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Arithmetic and control unit
AU326871S (en) * 2009-02-12 2009-07-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Arithmetic and control unit
AU326873S (en) * 2009-02-12 2009-07-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Arithmetic and control unit
US8199487B2 (en) * 2009-03-10 2012-06-12 Nokia Corporation Extendible apparatus
JP2011010142A (ja) * 2009-06-26 2011-01-13 Kyocera Corp スライド式電子機器
JP2011015181A (ja) 2009-07-02 2011-01-20 Funai Electric Co Ltd 携帯端末装置
KR20110058975A (ko) * 2009-11-27 201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USD701862S1 (en) * 2011-02-18 2014-04-01 Lg Electronics Inc. Cart barcode scanner
USD734282S1 (en) * 2013-05-11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USD780706S1 (en) * 2015-02-10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3411B2 (ja) * 2002-04-26 2008-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340088B2 (ja) * 2003-03-26 2009-10-0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7107018B2 (en) * 2003-09-12 2006-09-12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keypads
US20050070348A1 (en) * 2003-09-29 2005-03-31 Inventec Appliances Corp. Hand-held communicatio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wo slidable keypads
CA2545811A1 (en) * 2003-11-19 2005-06-09 Qualcomm Incorporated A portable device with versatile keyboards
KR100724400B1 (ko) * 2003-12-20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석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JP2005216158A (ja) * 2004-01-30 2005-08-11 Kyocera Corp 携帯端末
KR100704031B1 (ko) 2004-04-29 200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06004B1 (ko) * 2004-05-03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63552B1 (ko) * 2004-06-1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성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63542B1 (ko) * 2004-07-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616197B1 (ko) * 2004-08-24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
FR2878678A1 (fr) * 2004-11-26 2006-06-02 Philippe Ifrah Boitier de telephone portable a double ouverture
KR100721337B1 (ko) * 2004-12-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JP4738193B2 (ja) * 2005-06-01 2011-08-03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US20060293093A1 (en) * 2005-06-24 2006-12-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device with text-entry keyboard
KR100678200B1 (ko) * 2005-06-30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KR100788995B1 (ko) * 2005-08-10 2007-12-28 주식회사 팬택 추가 키패드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049650A (ja) * 2005-08-12 2007-02-22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708607B1 (ko) * 2006-01-0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쪽 키패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7778663B2 (en) * 2006-04-24 2010-08-17 Virgin Mobile Usa, L.P. Hinge module for three-step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7385150B1 (en) * 2006-12-28 2008-06-10 Microsoft Corporation Sliding mechanism for device with two keybo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03614A (ja) 2009-01-08
US20080318647A1 (en) 2008-12-25
CN101330809B (zh) 2011-07-13
CN101330809A (zh) 2008-12-24
TWI390941B (zh) 2013-03-21
TW200913637A (en) 2009-03-16
US7930009B2 (en) 201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2135A (ko) 슬라이드 기구 및 전자 기기
KR100998937B1 (ko)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US8126519B2 (en) Hous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construction to slide and pivot into multiple positions
EP2016680B1 (en) Sliding tilt unit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EP1793568B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60252471A1 (en) Tilting and sliding mobile device
US20050113154A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783847B2 (ja) 携帯端末
JP2005210649A (ja)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US8320111B2 (en) Slide/rotation attachment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1515525A2 (en) Slide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9157116A1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
US20110129109A1 (en) Electronic device
US20110051347A1 (en) Mobile terminal
KR100761527B1 (ko)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JP2011007944A (ja) 蓋体の開閉機構及び撮像装置
KR101487470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드 장치
US20090239594A1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61817A (ko) 회전 지지 기구 및 휴대 단말
KR101756141B1 (ko) 슬림 틸팅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2014022097A (ja) スイッチ機構および電子装置
KR100631021B1 (ko) 다방향 슬라이드폰
KR101235940B1 (ko)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
KR20120003131A (ko) 양방향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KR20120136616A (ko)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