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292B1 -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 Google Patents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292B1
KR102498292B1 KR1020210075259A KR20210075259A KR102498292B1 KR 102498292 B1 KR102498292 B1 KR 102498292B1 KR 1020210075259 A KR1020210075259 A KR 1020210075259A KR 20210075259 A KR20210075259 A KR 20210075259A KR 102498292 B1 KR102498292 B1 KR 102498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ell
food waste
cell block
coupled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478A (ko
Inventor
구성호
유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파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파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파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7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2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장치; 및 상기 투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슈트(chute)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측정장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적재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트레이로부터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중량을 전달하는 제1 로드셀 블록; 상기 제1 로드셀 블록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로드셀 블록과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로드셀 블록으로부터 전달된 힘에 따라 변형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셀에 타단이 결합되는 제2 로드셀 블록-상기 로드셀과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은 상기 제1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 블록이 결합된 위치의 반대 위치에서 결합됨-; 및 상기 제1 로드셀 블록, 상기 로드셀,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INDOOR APPARATUS FOR INPUTT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와 함께 폐기 처분될 경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토양에 스며들어 지하수 오염 및 악취발생 등의 환경오염을 야기하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별도로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리수거 작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리수거 작업을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이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방식은, 음식물 전용 수거 용기를 이용한 문전수거 방식과, 납부필증을 통한 종량제 실시, 단독주택일 경우 배출자가 지정된 요일의 지정된 시간에 음식물 쓰레기를 전용 수거용기에 담아 주택 앞에 내놓으면 다음날 새벽에 수거 요원이 거두어가는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다. 연립주택, 빌라,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수거용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에 따른 비용을 책정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 측정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공동주택 전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발생 총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중량을 정확히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옥내에서 사용이 편리하고 음식물 쓰레기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를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옥내에서 사용이 편리한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장치; 및 상기 투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슈트(chute)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측정장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적재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트레이로부터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중량을 전달하는 제1 로드셀 블록; 상기 제1 로드셀 블록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로드셀 블록과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로드셀 블록으로부터 전달된 힘에 따라 변형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셀에 타단이 결합되는 제2 로드셀 블록-상기 로드셀과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은 상기 제1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 블록이 결합된 위치의 반대 위치에서 결합됨-; 및 상기 제1 로드셀 블록, 상기 로드셀,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중량측정장치와 상기 슈트 사이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중간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와 상기 케이스는 탄성을 갖는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형성된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셀 블록과 상기 케이스는 점접촉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의 하부에 금속볼이 결합되고, 상기 금속볼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점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옥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의 표시부와 인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투입구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중량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중량측정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도 10의 중량측정장치의 중량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중량측정장치의 중량측정부의 제2 로드셀 블록의 바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중량측정장치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은 도 13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다이어프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C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을 구성하는 많은 요소 중 가장 첫단에 위치하여 사용자(음식물 쓰레기 배출자)의 편의성을 결정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는 집 안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투입구(10), 하우징(H), 슈트(chute)(1), 중간통로(2), 중량측정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10)는 하우징(H)에 수납되고, 투입구(10)는 중간통로(2)를 경유하여 슈트(1)로 이어질 수 있다. 즉, 투입구(10)의 후측에 중간통로(2)가 결합되고, 중간통로(2)의 후측에 슈트(1)가 결합될 수 있다. 슈트(1)는 수직으로 연장되고, 중간통로(2)는 슈트(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중간통로(2)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중력에 의해 잘 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중간통로(2)는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는 주택 내에 설치될 수 있고, 공동주택의 경우 각 주택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주택에서 연장되는 슈트(1)는 집하지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투입구(10)는 읍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10)는 전면부(11)를 구비하고, 전면부(11)에는 디스플레이 커버(C), 도어(12)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C) 내부에는 표시부(13)와 인식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13)와 스피커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투입과 관련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표시부(13)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는 도어(12)의 개폐,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 배출 완료 등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인식부(14)는 특정 신호를 인식하고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인식부(14)가 특정 신호를 인식하면 제어부에 의해 도어(12)가 열릴 수 있다. 사용자의 소지하는 물품(예를 들어, 카드키, 핸드폰) 등은 인식부(14)와 통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NFC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인식부(14)와 도어(12) 개방은 RFID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부(14)는 RFID 코일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드키를 소지하고, 카드키를 인식부(14) 가까이에 위치시키면 인식부(14)가 카드키를 인식하고 제어부는 도어(12)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측정장치(20) 상에 음식물 쓰레기(W)가 적재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측정장치(20)가 후측으로 젖혀지면서 음식물 쓰레기(W)가 중간통로(2) 및 슈트(1)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10)의 표시부(13)와 인식부(14)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투입구(10)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부(11)와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의 도어(12)가 개방되면 투입구(10)의 공간부 내의 내부수용공간(S)이 노출되고, 그 안에 있는 중량측정장치(2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부수용공간(S)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삽입되는데, 음식물 쓰레기는 중량측정장치(20)의 트레이(200) 상에 적재될 수 있다.
도어(12) 닫힘 시기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2)가 열린 후 기설정시간이 지난 후에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또는 음식물 쓰레기가 슈트(1) 측으로 투입된 후에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또는 도어(12)의 닫힘은 수동으로 또는 특정 버튼 누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투입구(10)의 전면부(11)의 일측면에는 표시부(13)와 인식부(14)가 구비될 수 있도록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홈부 내에는 PCB가 삽입될 수 있다. PCB에는 표시부(13)와 인식부(14)가 실장될 수 있다. 표시부(13)는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인식부(14)는 코일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PCB에는 칩, 커패시터 등의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신호 전달에 필요한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PCB가 삽입된 홈부 상에는 디스플레이 커버(C)가 결합될 수 있다. 표시부(13)는 디스플레이 커버(C)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C)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투입구(10)의 후면은 개방되되, 틸트커버(15)가 결합될 수 있다. 틸트커버(15)의 상측에는 힌지구조가 마련되어 틸트커버(15)는 상측의 힌지구조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여 투입구(10)의 후면을 개폐할 수 있다.
중량측정장치(20)가 뒤로 젖혀져 음식물 쓰레기를 후측으로 배출(도 3)할 시,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에 따라, 및/또는 트레이(200)의 가압에 의해 투입구(10)의 틸트커버(15)는 힌지운동하여 투입구(10) 후면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틸트커버(15)는 음식물 쓰레기나 악취가 슈트(1) 측에서 투입구(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틸트커버(15)는 구동부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중량측정장치(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중량측정장치(20)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도 10의 중량측정장치(20)의 중량측정부(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는 중량측정장치(20), 다이어프램(300),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중량측정장치(20)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10)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중량측정장치(20)는 트레이(200)와 중량측정부(100)를 포함하고, 중량측정부(100)는 제1 로드셀 블록(110), 제2 로드셀 블록(120), 로드셀(130), 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음식물 쓰레기가 적재되는 구성으로 바닥부를 구비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바닥부 상에 적재된다. 트레이(200)는 바닥부를 구비한 바스켓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바스켓 안에 수용될 수 있다. 바스켓의 둘레벽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한 쌍의 측벽부(21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각 측벽부(210)는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곡면의 엣지를 가질 수 있다. 측벽부(210)는 바스켓의 둘레벽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중량측정부(100)는 트레이(200)에 적재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00)는 제1 로드셀 블록(110), 제2 로드셀 블록(120), 로드셀(130), 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00)는 투입구(10)-슈트(1)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로드셀(130)은 제1 로드셀 블록(110)의 하단에, 그리고 제2 로드셀 블록(120)의 상단에(즉, 제1 로드셀 블록(110)과 제2 로드셀 블록(1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제1 로드셀 블록(110), 로드셀(130), 제2 로드셀 블록(120)이 하측으로 가압되면 로드셀(130)은 비틀림 변형된다.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로드셀(130)이 변형되면 변형된 정도에 따라 음식물 쓸레기의 중량이 산출될 수 있다.
제1 로드셀 블록(110)은 트레이(200)의 하단에 위치하며 트레이(200)로부터의 음식물 쓰레기 중량을 전달할 수 있다. 트레이(200) 상에 음식물 쓰레기가 적재되면 트레이(200)는 하강한다. 트레이(200)는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만큼 제1 로드셀 블록(110)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로드셀 블록(110)은 로드셀(13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로드셀 블록(110)과 로드셀(130)은 한쪽으로 편향된 일부 면적에서만 접촉 결합될 수 있다.
제2 로드셀 블록(120)은 로드셀(130)의 하단에 위치하며 로드셀(13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로드셀 블록(120)은 로드셀(130)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로드셀 블록(120)과 로드셀(130)은 한쪽으로 편향된 일부 면적에서만 접촉되되, 제1 로드셀 블록(110)과 로드셀(130)의 결합 위치는, 제2 로드셀 블록(120)과 로드셀(130)의 결합 위치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로드셀 블록(110), 로드셀(130), 제2 로드셀 블록(120)은 한글 자음 'ㄹ'과 같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로드셀 블록과 로드셀(130)의 결합은 볼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을 기준으로 보면, 제1 로드셀 블록(110)은 로드셀(130)의 우측 상단에서만 결합되고, 제2 로드셀 블록(120)은 로드셀(130)의 좌측 하단에서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로드셀 블록(110)은 로드셀(130)의 우측 상단에서 결합부위(P)를 가지고 좌측 상단에는 서로 간의 갭(Q)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로드셀 블록(120)은 로드셀(130)의 좌측 하단에서 결합부위(P)를 가지고 우측 하단에는 서로 간의 갭(Q)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로드셀 블록(110), 로드셀(130), 제2 로드셀 블록(120)은 한글 자음 'ㄹ'과 같은 형상을 이룬다.
로드셀(130)은 제1 로드셀 블록(110)에 의해 힘을 전달받아 변형될 수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가 트레이(200)에 적재되면 트레이(200)가 하강하여 제1 로드셀 블록(110)을 가압할 수 있고, 제1 로드셀 블록(110)은 로드셀(130)을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제1 로드셀 블록(110), 로드셀(130), 제2 로드셀 블록(120)의 결합관계에 따라, 로드셀(130)에는 비틀림 변형이 일어난다. 로드셀(130)의 변형 정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이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의 산출은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40)는 제1 로드셀 블록(110), 제2 로드셀 블록(120), 로드셀(130)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40)는 제1 로드셀 블록(110), 제2 로드셀 블록(120), 로드셀(130)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를 구비한다. 제1 로드셀 블록(110), 제2 로드셀 블록(120), 로드셀(130)은 중공부 내에 위치하고, 제2 로드셀 블록(120)은 케이스(140)의 바닥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로드셀 블록(110)의 상단은 케이스(140)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140)에는 플랜지(140F)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로드셀 블록(110)의 상단은 케이스(140)의 플랜지(140F)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 로드셀 블록(120)은 케이스(140)에 점접촉 결합될 수 있다. 제2 로드셀 블록(120)이 케이스(140)에 점접촉되면, 로드셀 블록(110, 120)과 로드셀(130)이 하중을 받아 변형될 때 수평이 유지되기 용이하다.
제2 로드셀 블록(120)에는 점접촉을 위한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복수(예를 들어,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드셀 블록(120)의 하부에는 금속볼(150)이 결합되고, 제2 로드셀 블록(120)의 금속볼(150)은 케이스(140)에 점접촉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중량측정장치(20)의 중량측정부(100)의 제2 로드셀 블록(120)의 바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로드셀 블록(120)의 바닥에는 홈(120S)이 형성되고, 홈(120S) 내에 금속볼(15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홈(120S)과 금속볼(150)은 제2 로드셀 블록(120)의 바닥의 네 귀퉁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금속볼(150)의 하단은 제2 로드셀 블록(120)의 바닥보다 돌출된다. 돌출된 금속볼(150)은 케이스(140)의 바닥에 점접촉될 수 있다. 홈(120S)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볼(150)과 홈(120S)의 크기는 서로 대응되며, 금속볼(150)은 홈(120S)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중량측정장치(20)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은 도 13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로드셀 블록(120)과 케이스(140)는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볼트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는 케이스(14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로드셀 블록(120)은 케이스(140)에 결합되기는 하지만, 볼트(120B)와 너트(120N)에 의해 완전히 결합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140) 하면과 너트(120N) 사이에는 이격갭(G)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로드셀 블록(120)은 케이스(140)와 일체로 거동하지 않고, 케이스(140)와 독립적으로 거동할 수 있다. 특히, 로드셀 블록(110, 120)과 로드셀(130)이 하중을 받아 변형될 때 케이스(140)는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로드셀 블록(110, 120)과 로드셀(130)만 변형될 수 있다.
트레이(200)와 케이스(140)는 다이어프램(30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300)은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200)가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하강할 때, 로드셀 블록(110, 120)과 로드셀(130)이 가압되어 변형되되, 케이스(140)는 원래의 위치에서 변하지 않는다. 트레이(200) 하강 시 다이어프램(300)은 신장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30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300)의 외측둘레는 트레이(200)의 하면에 결합되고, 다이어프램(300)의 내측둘레는 케이스(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볼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다이어프램(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이어프램(300)은, 트레이(200)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310); 케이스(140)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320); 및 제1 결합부(310)와 제2 결합부(320)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형성된 중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부(330)의 두께는 제1 결합부(310) 또는 제2 결합부(32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중간부(330)의 두께가 아주 얇게 형성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신장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는 다이어프램(30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고, 제2 결합부(320)는 다이어프램(300)의 내측둘레에 위치하며, 중간부(330)는 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 제2 결합부(320), 중간부(330) 모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와 제2 결합부(320)는 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볼트공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200)-다이어프램(300)이 결합함에 있어 결합링(R1)이 개재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0)-다이어프램(300) 사이에 결합링(R1)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링(R1)은 다이어프램(300)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0)-결합링(R1) 사이에 다이어프램(300)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40)의 플랜지(140F)에 다이어프램(300)이 결합되고, 다이어프램(300)에 결합링(R2)이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링(R2)-케이스(140)(플랜지(140F)) 사이에 다이어프램(300)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링(R1, R2)은 결합 시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합링(R1, R2)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3의 C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310)가 트레이(200)에 볼트로 결합되고, 제2 결합부(320)가 케이스(140)(플랜지)에 볼트로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310)와 제2 결합부(320) 사이에 중간부(330)가 있는데, 중간부(330)의 두께는 현저히 얇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간부(330)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330)는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200)가 하강하면 굴곡진 중간부(330)는 펴지고 신장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300)은 트레이(200)와 케이스(14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면서 트레이(200)가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300)은 패킹 역할을 하며 음식물 쓰레기(또는 그 폐수)가 로드셀(130)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중량측정장치(20)는 구동부(400)에 의해 힌지 회전운동하여 뒤로 젖혀질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로드셀 블록(110, 120), 로드셀(130), 케이스(140), 그리고 트레이(200)는 함께 뒤로 젖혀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구동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구동부(400)는 케이스(140)에 결합되어 케이스(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400)는 모터(M), 브라켓(410), 축(45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M)는 케이스(140)의 측부에 위치하고, 브라켓(410)은 케이스(14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410)은 투입구(10)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축(450)은 케이스(140)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모터(M)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의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시스템에서, 제어부(1000)는 도어(12), 표시부(13), 인식부(14), 로드셀(130), 구동부(400) 각각과 연결되어 정보를 처리하거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0)는 저장부(2000)와 연결되고, 저장부(200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도어(1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어(12)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도어(1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인식부(14)와 연결되며, 인식부(14)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인식부(14)가 사용자의 RFID 신호를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제어부(10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인식부(14)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도어(1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0)는 표시부(13)와 연결되며, 표시부(13)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0)는 인식부(14)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도어(12) 열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로드셀(130)과 연결되며, 로드셀(130)의 변형 정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산출된 중량을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저장부(2000)와 연결되며, 산출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 정보를 저장부(200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구동부(400)와 연결되며,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중량측정장치(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이 완료되면 다시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중량측정장치(20)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 슈트
2: 중간통로
10: 투입구
H: 하우징
11: 전면부
12: 도어
13: 표시부
14: 인식부
15: 틸트커버
20: 중량측정장치
100: 중량측정부
110: 제1 로드셀 블록
120: 제2 로드셀 블록
130: 로드셀
140: 케이스
150: 금속볼
200: 트레이
300: 다이어프램
400: 구동부

Claims (7)

  1.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장치; 및
    상기 투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슈트(chute)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측정장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적재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트레이로부터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중량을 전달하는 제1 로드셀 블록;
    상기 제1 로드셀 블록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로드셀 블록과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로드셀 블록으로부터 전달된 힘에 따라 변형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셀에 타단이 결합되는 제2 로드셀 블록-상기 로드셀과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은 상기 로드셀과 상기 제1 로드셀 블록이 결합된 위치의 반대 위치에서 결합됨-; 및
    상기 제1 로드셀 블록, 상기 로드셀,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의 하부에 금속볼이 결합되고,
    상기 금속볼의 하단부는,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점접촉되고,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의 하면과 상기 케이스의 바닥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금속볼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장치와 상기 슈트 사이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중간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케이스는 탄성을 갖는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형성된 중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제1 결합링과 상기 트레이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제2 결합링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셀 블록의 하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볼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KR1020210075259A 2021-06-10 2021-06-10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KR102498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59A KR102498292B1 (ko) 2021-06-10 2021-06-10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59A KR102498292B1 (ko) 2021-06-10 2021-06-10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78A KR20220166478A (ko) 2022-12-19
KR102498292B1 true KR102498292B1 (ko) 2023-02-09

Family

ID=8453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259A KR102498292B1 (ko) 2021-06-10 2021-06-10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620B1 (ko) * 2023-07-13 2023-09-25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쓰레기 수거차량용 중량 측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923B1 (ko) * 2017-10-16 2018-12-18 베솜 주식회사 측정오차를 최소화한 옥내 층별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장치
KR102130588B1 (ko) * 2019-08-12 2020-07-06 엔백 주식회사 스윙 앤 슬라이드 타입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58Y2 (ja) * 1989-02-28 1995-03-06 株式会社寺岡精工 台秤装置
KR20180075993A (ko) * 2016-12-27 2018-07-05 베솜 주식회사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923B1 (ko) * 2017-10-16 2018-12-18 베솜 주식회사 측정오차를 최소화한 옥내 층별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장치
KR102130588B1 (ko) * 2019-08-12 2020-07-06 엔백 주식회사 스윙 앤 슬라이드 타입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78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85115B (zh) 一种垃圾分类回收系统
EP3789319B1 (en) Ai integrated system for optimizing waste management by self-guided robot
KR102498292B1 (ko)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CN207192043U (zh) 智能垃圾桶
KR10085901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105827954A (zh) 用于容器的图像获取装置及图像处理系统
CN105205921A (zh) 一种智能废品回收机装置及方法
TWI740185B (zh) 回收裝置
CN110002158A (zh) 一种自动货柜及其发货方法
KR200485794Y1 (ko)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중량 계량형 투입구 문
KR200463876Y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장치
KR20090039939A (ko) 중량측정 요금부과방식 슈트 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08442652B (zh) 医院垃圾分类收集系统
KR20220166477A (ko) 음식물 쓰레기 중량측정장치
CN203186951U (zh) 用于垃圾分类收集的电子计量系统
KR101798412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CN204926282U (zh) 一种智能废品回收机装置
CN112863064A (zh) 一种用于中小学校园的寄存系统及方法
CN107610336A (zh) 一种公共卫生间售货装置
KR101929923B1 (ko) 측정오차를 최소화한 옥내 층별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장치
KR100951477B1 (ko) 공병 수거장치
CN101014984A (zh) 非接触式卡片堆放容器及包括这种容器的卡片回收模块
KR20220006388A (ko) Ict기반 쓰레기통
KR20110124593A (ko)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장치
CN202736155U (zh) 带有计量显示的投币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