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993A -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993A
KR20180075993A KR1020160180023A KR20160180023A KR20180075993A KR 20180075993 A KR20180075993 A KR 20180075993A KR 1020160180023 A KR1020160180023 A KR 1020160180023A KR 20160180023 A KR20160180023 A KR 20160180023A KR 20180075993 A KR20180075993 A KR 20180075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loor
inlet
foo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우
이원익
Original Assignee
베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993A/ko
Publication of KR2018007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9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rom arrangements i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입상관과 연계하여 각 층에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중량을 계측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간결한 구성에 의해 각 층에서 음식물쓰레기 배출과 동시에 처리비용을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층건물에서도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과금처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 각 층을 경유하면서 각 층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지정된 곳에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입상관과; 건물 각 층에 설치되어 해당 층의 투입구와 연결되고 해당 층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일시 수용하였다가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용부재에 일시 수용되면 그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INDOOR TYPE FOOD-GARBAGE METER-RATE TREATING SYSTEM WITH FLOOR MEASUR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상관과 연계하여 각 층에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중량을 계측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간결한 구성에 의해 각 층에서 음식물쓰레기 배출과 동시에 처리비용을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층건물에서도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과금처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 등에서 발생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 및 소각, 미생물 분해를 통해 직접 처리하거나, 단순히 외부 업체에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수거 또는 집하하는 장치 모두를 일컫는다.
과거에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던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마련된 거름망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물과 분리한 후, 남은 음식물쓰레기를 매립 또는 소각하거나 가축의 사료로 이용함으로써 처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를 매립하는 경우, 거름망을 통해 걸러진 음식물쓰레기에는 상당한 양의 수분이 여전히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부패되어 심한 악취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고, 음식물쓰레기를 소각하는 경우,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상당양의 수분으로 인하여 소각이 곤란하거나, 소각한다 하더라도 소각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는 경우, 음식물쓰레기의 이동, 관리, 및 그 사용에 있어 매우 불편하다는 것과, 이러한 이동 및 관리에 있어 해당인력이 요구되므로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는 한국공개특허 2009-0065789에 개시된 것처럼 음식물쓰레기를 가정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지만, 한국공개특허 2011-0123156, 한국공개특허 2008-0114189 등에 개시된 것처럼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담아 배출하여 공동으로 사용하는 음식물 수거함에 수거한 후, 음식물쓰레기 처리 업체에서 이를 처리하고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보다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의 직매립 금지, 생활패턴 변화 등으로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현 추세에 맞춰 환경부에서는 음식물쓰레기 수수료 종량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전국적인 주민부담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수수료의 현실화를 유도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배출자 부담원칙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에 맞추어 집하를 위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는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여 과금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과금처리하겠다는 단순히 방법론적인 이야기는 많았으나 실제로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구성은 거의 없었다.
특히 고층건물의 각 층에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신속하게 계측하고 과금할 수 있도록 해주는 현실적인 기술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었다.
한국공개특허 2011-0123156(2011.11.14) 한국공개특허 2008-0114189(2008.12.3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상관과 연계하여 각 층에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중량을 계측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간결한 구성에 의해 각 층에서 음식물쓰레기 배출과 동시에 처리비용을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층건물에서도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과금처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은, 건물 각 층으로부터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투입 직후 중량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으로서, 건물 각 층을 경유하면서 각 층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지정된 곳에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입상관과; 건물 각 층에 설치되어 해당 층의 투입구와 연결되고 해당 층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일시 수용하였다가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용부재에 일시 수용되면 그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의 하부를 여닫이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개폐를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셀은 상기 디스크의 개폐동작 및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수용조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와 상기 수용조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수용조로 안내하는 가이드슈트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건물 각 층에서 상기 입상관에 설치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입상관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입상관에 대응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연결배관의 측부와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슈트 및 수용부재를 수용하면서 상기 수용부재의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연결배관으로 안내하여 이송시켜주는 연결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하우징의 저면은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자중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연결배관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배관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하우징에서 상기 가이드슈트 및 수용부재를 수용하는 부위는 사각의 공간을 갖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수용조 외벽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되 설치공간이 절약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하우징의 모서리 쪽을 향하는 대각방향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은, 입상관과 연계하여 각 층에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중량을 계측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간결한 구성을 갖는다. 이로써 각 층에서 음식물쓰레기 배출과 동시에 처리비용을 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고층건물에서도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과금처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종량 처리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에 의해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이 공간집약적으로 콤팩트하게 모듈화되며 건물의 입상관에 투입구 사이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 영역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의 주요부 평면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을 옥내 투입구 쪽에서 바라본 주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주요 구성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 영역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의 주요부 평면도이며,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을 옥내 투입구 쪽에서 바라본 주요부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주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은, 건물의 각 층을 경유하여 수직하게 설치된 입상관(110)과 상기 입상관(110)을 통해 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집하장까지 안내하는 횡주관(210)을 구비하며, 건물 각 층에서 상기 입상관(110)과 연계하여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중량을 계측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건물 각 층에서 음식물쓰레기 배출과 동시에 처리비용을 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고층건물에서도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과금처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종량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은, 입상관(110)과, 연결부재(120)와, 수용부재(수용조(130), 디스크(170), 실린더(180))와, 가이드슈트(150)와, 투입구용 개폐도어(160)와, 디스플레이(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상관(110)은 건물 각 층을 경유하면서 각 층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지정된 곳에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부재는 로드셀(140)과 더불어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기 위한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상기 연결부재(120)의 연결하우징(120b) 내부에 설치되어 건물의 해당 층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일시 수용하였다가 로드셀(140)에 의한 중량 측정이 완료되면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조(13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조(130)의 개방된 하부를 여닫이 개폐할 수 있도록 디스크(170)가 설치된다.
상기 수용부재의 실린더(180)는 상기 수용조(130)의 외측벽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조(13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디스크(17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린더(180)는 공압을 이용하는 공압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80)의 구성과 관련하여 주목할 수 있는 점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투입구용 개폐도어(160)가 위치한 전방 정면에 설치되는 대신 연결하우징(120b)의 모서리 쪽을 향하는 대각방향에 설치되었다는 점이다. 이같이 간단한 변화를 통해 투입구가 구비된 옥내 벽체로부터 입상관(110)에 이르는 전체 설치공간의 폭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로드셀(140)은 상기 연결하우징(120b)의 내측벽 브래킷(122)과 상기 수용조(130)의 외측벽 브래킷(13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하우징(120b)에 대하여 상기 수용조(130)를 지지하면서 상기 수용조(130)에 수용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로드셀(14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 브래킷들과의 사이에서 갑작스러운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갖는 스페이서(141a, 141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드셀(140)은 수용조(13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수용조(1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이같은 구성을 위한 최소의 조건으로 두 개의 로드셀(140)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같은 로드셀(140)의 구성에서 주목할 점은 수용조(130)의 하부에 인근에 배치되지 않고 외측벽에 주변에 배치되었다는 점이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로드셀(140)에 의해 지지된 수용조(130)가 하방으로 변위되면서 그 하중 모두를 로드셀(140)에 인가하여 정확한 중량 측정이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처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즉각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수용조(130) 하부에 설치된 디스크(170)에 대한 상호간섭이나 음식물쓰레기의 이동경로를 간섭하는 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이들 문제들을 고려한 복잡한 설계 없이 간결하게 구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건물 각 층에서 상기 입상관(110)에 설치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수용조(130)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입상관(11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20)는 입상관(110)에 대응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연결배관(120a)과, 상기 연결배관(120a)의 측부와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며 가이드슈트(150) 및 수용부재(수용조(130), 디스크(170), 실린더(180))를 수용하면서 상기 수용부재의 수용조(130)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연결배관(120a)으로 안내하는 연결하우징(120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하우징(120b)의 저면(121)은 상기 수용조(130)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낙하하는 가속도와 자중만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배관(120a)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급격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은 매우 단순하지만 상기 수용조(130)에서 중량 계측 직후 배출된 음식물쓰레기가 별도의 동력 없이 입상관(110)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하우징(120b)의 저면(121)이 연결배관(120a)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면 상기 디스크(170)가 하방으로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 기울어지는 방향과 일치하게 되어 공간집약적인 구성이 가능해지는 부수적인 장점도 있다.
전술된 연결부재(120)는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을 하나로 모듈화하고 있으므로 이같은 연결부재(120)를 고층건물의 입상관에 간단히 연결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복잡한 구성요소들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커다란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은, 건물 각 층에서 사용자가 접근하면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허용하면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고 과금처리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기를 비롯하여 리더기, 도어락, 도어센서 충만센서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센서는 개폐도어(16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어기의 제어를 통해 개폐도어(16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도어락도 함께 설치된다.
상기 충만센서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조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수용된 상태를 감지한다. 이같은 충반센서가 설치되면 수용조(130)에 음식물쓰레기가 가득 채워졌을 때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어기가 사용자에게 경보음 등으로 상태를 안내하면서 더 이상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는 상기 개폐도어(160)의 인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RFID 카드가 접촉되거나 삽입되면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여 제어기에 전달하는 접촉식 리더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FID 카드는 캐시 충전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RFID 카드를 소지한 사용자가 접근하여 RFID 카드를 리더기에 삽입하면 리더기가 카드를 뺄 수 없도록 잡은 상태에서, 상기 RFID 카드를 인식하여 사용자 정보를 제어기로 전달한다.
그러면 N층 제어기는 사용자 정보를 중앙 제어기로 전달하고, 개폐도어(160)를 작동시켜 투입구를 열어주고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허용해 준다.
이후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제어기는 도어락으로 개폐도어(160)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한 상태에서 수용조(130)에 새로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로드셀(140)로부터 중량 정보를 제공받은 중앙 제어기는 N층 제어기로 중량정보를 전달하며, 전달 받은 N층 제어기는 결제를 위하여 과금처리하는 한편, 디스플레이(190)에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일정 기간 투입한 음식물쓰레기 누계중량, 현재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과 향후 과금될 요금을 표시토록 한다.
한편, 전술된 사용자 인증과 사용 요금에 대한 과금처리 방식은 RFID 카드에 의한 캐시 충전식이 아닌 신용카드에 의한 선불제 또는 후불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태의 공지기술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입상관 120 : 연결부재
120a : 연결배관 120b : 연결하우징
130 : 수용조 140 : 로드셀
150 : 가이드슈트 160 : 개폐도어
170 : 디스크 180 : 실린더
190 : 디스플레이 210 : 횡주관

Claims (7)

  1. 건물 각 층으로부터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투입 직후 중량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한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으로서,
    건물 각 층을 경유하면서 각 층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지정된 곳에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입상관과;
    건물 각 층에 설치되어 해당 층의 투입구와 연결되고 해당 층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일시 수용하였다가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용부재에 일시 수용되면 그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의 하부를 여닫이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개폐를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상기 디스크의 개폐동작 및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수용조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상기 수용조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수용조로 안내하는 가이드슈트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건물 각 층에서 상기 입상관에 설치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입상관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입상관에 대응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연결배관의 측부와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슈트 및 수용부재를 수용하면서 상기 수용부재의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연결배관으로 안내하여 이송시켜주는 연결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우징의 저면은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자중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연결배관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배관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우징에서 상기 가이드슈트 및 수용부재를 수용하는 부위는 사각의 공간을 갖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수용조 외벽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되 설치공간이 절약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하우징의 모서리 쪽을 향하는 대각방향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KR1020160180023A 2016-12-27 2016-12-27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KR20180075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023A KR20180075993A (ko) 2016-12-27 2016-12-27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023A KR20180075993A (ko) 2016-12-27 2016-12-27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993A true KR20180075993A (ko) 2018-07-05

Family

ID=6292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023A KR20180075993A (ko) 2016-12-27 2016-12-27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59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478A (ko) * 2021-06-10 2022-12-19 주식회사 유로파이앤씨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478A (ko) * 2021-06-10 2022-12-19 주식회사 유로파이앤씨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027B1 (ko) 투입 쓰레기의 중량 측정 기능을 가지는 쓰레기 투입장치
KR101416264B1 (ko)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65139B1 (ko) 볼밸브를 이용한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종량 투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085901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200485794Y1 (ko)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중량 계량형 투입구 문
KR101685692B1 (ko)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WO2006135296A1 (en) A method of operating a waste collection tank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ame
KR101581944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 및 감량 처리기의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KR20180075993A (ko) 층별 계측 구조를 갖는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KR101277684B1 (ko)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02141B1 (ko) 실시간으로 내부용량 확인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101286740B1 (ko)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KR101702591B1 (ko) 각 세대별 투입설비가 포함되며 진공압과 송풍압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929923B1 (ko) 측정오차를 최소화한 옥내 층별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장치
KR100951477B1 (ko) 공병 수거장치
KR102358780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2498292B1 (ko) 옥내형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KR101929922B1 (ko) 고층건물용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KR100907480B1 (ko) 오수 재활용 장치
KR100958105B1 (ko) 쓰레기 수거장치
CN101942856A (zh) 一种车载移动环保厕所排污方法
KR101545113B1 (ko)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33658B1 (ko) 공동주택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999269B1 (ko) 폐자원 스마트리사이클링 통합관리시스템
CN211319752U (zh) 一种自动计量中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