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856B1 - 사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856B1
KR102495856B1 KR1020220040771A KR20220040771A KR102495856B1 KR 102495856 B1 KR102495856 B1 KR 102495856B1 KR 1020220040771 A KR1020220040771 A KR 1020220040771A KR 20220040771 A KR20220040771 A KR 20220040771A KR 102495856 B1 KR102495856 B1 KR 10249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unit
rolling
suppor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김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환 filed Critical 김용환
Priority to KR102022004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21B39/165Guides or guide rollers for rods, bars, rounds, tubes ; Align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203Balanc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22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mechanically, e.g. by thrust blocks, inserts fo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2031/206Horizontal offset of work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압연할 수 있는 압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압연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상 시스템{SYSTEM FOR FINISHING MILL}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지지하면서 압연롤러로 가이드 함으로써, 사상 작업 과정에서 피가공물이 사상롤러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 판재의 기초 원료인 핫 코일을 제조하는 열간 압연 공정은 크게 조압연 공정과 사상압연 공정으로 구분된다.
조압연 공정은 슬라브를 강판의 형태로 1차 압연하는 공정이고, 사상압연 고정은 조압연된 강판을 최종 목표 두 께로 압연 공정이다.
일반적인 사상압연 설비는 조압연기의 출측에 다수의 롤 스탠드들로 구성된 사상압연기, 냉각기 및 권취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압연 설비에서 슬라브를 사상압연 작업에 적합하도록 그 두께를 감소시켜 강판의 형태로 압연하고, 코일 형태로 권취한 후 이를 이송하는바, 사상압연기에서 연속적으로 압연함으로써 최종 목표 두께 압연하는 것이다.
사상압연기를 거친 강판은 냉각기에서 냉각되고, 고속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후 권취기에 코일 형태로 권취된다.
한편, 조압연기와 사상압연기의 사이에는 압연되는 강판의 후단과 압연하고자 진입되는 강판의 선단을 상호 연결하는 접합장치가 설치되어 연속 압연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종래의 압연기는 압연롤러로 철강 판재를 압연하는 과정에서 철강 판재와 압연롤러간의 물리적 마찰로 인해 철강 판재가 압연롤러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철강 판재를 압연하는 과정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7339호
본 발명은, 이탈방지롤러로 피가공물을 지지하면서 압연롤러로 가이드 함으로써, 사상 작업 과정에서 피가공물이 사상롤러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탈방지롤러 간의 간격을 피가공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가변하면서 피가공물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탈방지롤러에 가해지는 피가공물의 하중이나 외력을 흡수하면서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상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사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상 작업이 완료된 피가공물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복수의 공정을 거쳐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피가공물을 제공할 수 있는 사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은,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압연할 수 있는 압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압연롤러를 포함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연롤러의 상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롤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반부에 수직설치되는 설치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롤러가 각각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가공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이탈방지롤러간의 간격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대에 서로 간격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설치대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마주하는 면에 상기 이탈방지롤러가 각각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롤러가 상기 피가공물에 의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반부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하부 수직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부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제1 지지유닛;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일측에 배치되고, 에어가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에어포켓; 상기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에어포켓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공급 또는 흡입하는 가변부; 상기 에어포켓을 지지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면에 지지되는 제2 지지유닛; 상측과 하측이 상기 상부 수직부재의 일측면과 제2 지지유닛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되,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는 다수개의 곡선형 산부와 곡선형 돌부를 포함하여 싸인파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제3 지지유닛; 및 상기 제3 지지유닛의 산부들의 사이 공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고정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메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연롤러에 의해 사상압연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타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분리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세로로 세워져 투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부;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피가공물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내부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 각각 다수개로 채움되는 금속재질의 타격알; 상기 타격알이 상기 확산부를 통해 확산배출되면서 상기 피가공물을 타격하도록 상기 확산부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공급부; 상기 박스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양측면이 개방된 간격유지틀; 상기 간격유지틀의 내부공간에 각각 배치되고, 일면이 상기 간격유지틀의 내부공간 일측 끝단에서 상기 피가공물과 마주하는 형태로 노출되며, 상기 피가공물을 타격한 타격알이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수집판; 상기 수집판에 상기 타격알이 부착될 시 상기 수집판을 당겨 사각틀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실린더; 상기 간격유지틀의 외부로 인출된 수집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크래퍼; 상기 수집판에 부착된 타격알이 제거되도록 상기 스크래퍼를 하강시키는 하강실린더; 및 상기 함체부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수집판에서 분리된 타격알을 수집하는 수집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분리부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피가공물의 상면에 진동을 가해 피가공물의 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측면에 상기 피가공물이 가로로 눕혀진 상태로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투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내부 양측벽에 상기 피가공물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형성된 부가 함체부; 상기 부가 함체부의 수용공간에 투입된 피가공물의 상측에 배치되며, 저면에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과 마주하는 상기 부착부가 부착되고, 상면에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타격판; 상기 타격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피가공물에 타격력이 가중되도록 상기 고정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중량부; 상기 타격판의 상면에 고정되며,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맞물림부; 상기 제1 맞물림부와 맞물리도록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맞물림부; 상기 제2 맞물림부를 상기 제1 맞물림부에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타격판이 소정의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제1 맞물림부에 맞물린 상기 제2 맞물림부를 상승시키는 상승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기 상승실린더가 상기 제2 맞물림부를 상승시킬 시, 상기 타격판의 타격력이 상기 피가공물에 가해지도록 상기 제2 맞물림부를 상기 제1 맞물림부에서 이격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부착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작동될 시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부착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이탈방지롤러로 피가공물을 지지하면서 압연롤러로 가이드 함으로써, 사상 작업 과정에서 피가공물이 사상롤러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탈방지롤러 간의 간격을 피가공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가변하면서 피가공물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탈방지롤러에 가해지는 피가공물의 하중이나 외력을 흡수하면서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상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상 작업이 완료된 피가공물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복수의 공정을 거쳐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피가공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에 이탈방지롤러와 설치대 및 간격조절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에 이탈방지롤러와 설치대 및 간격조절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에 적용된 이물질 분리부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에 적용된 이물질 분리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에 적용된 이물질 제거부를 도시한 단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에 이탈방지롤러와 설치대 및 간격조절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에 이탈방지롤러와 설치대 및 간격조절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1)은, 피가공물(2)을 사상압연 할 수 있고, 사상압연 과정에서 피가공물(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1)은 선반부(10)와, 안착부(20)와, 이탈방지롤러(30)와, 설치대(40) 및 간격조절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1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업다이(11) 및 작업다이(11)의 저면 각 모서리부분에 수직설치되어, 작업다이(11)를 지면으로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지지다리(12)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다이(11)에는 사상압연 대상인 피가공물(2)을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통과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작업다이(11)의 상면에는 대략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13)가 형성된다.
회전가이드(13)의 상면 양측에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회전가이드편(131)이 각각 형성된다.
회전가이드편(131)에는 후술되는 압연롤러(21)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피가공물(2)은 강판이나 슬라브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1)에서 피가공물(2)은 강판이나 슬라브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대상물을 압연할 수 있다.
피가공물(2)은 통과홀을 통해 작업다이(1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며, 그 과정에서 안착부(20)에 의해 압연된다.
부가적으로, 작업다이(11)의 상면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대(40)가 수직설치된다.
수직설치대(40)에는 후술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롤러(30)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50)가 설치된다.
안착부(20)는 작업다이(11)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압연롤러(21)를 포함한다.
압연롤러(21)는 양측에 회전축이 각각 형성된다.
회전축은 회전가이드편(131)에 설치된다. 따라서, 압연롤러(21)는 회전가이드편(131) 상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압연롤러(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모터와 같은 구동원을 통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피가공물(2)을 압연한다.
압연롤러(21)는 서로 이격됨으로 인해 피가공물(2)을 압연할 수 있는 압연공간을 형성한다.
즉, 피가공물(2)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압연롤러(21)의 사이 압연공간 및 통과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그 과정에서 압연롤러(21)에 의해 압연된다.
이탈방지롤러(30)는 피가공물(2)이 압연롤러(21)에 의해 압연되는 과정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탈방지롤러(3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이탈방지롤러(30)는 압연롤러(21)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어느 하나의 이탈방지롤러(30)는 피가공물(2)의 일측면을 지지하고, 다른 하나의 이탈방지롤러(30)는 피가공물(2)의 타측면을 지지함으로써, 피가공물(2)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압연롤러(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탈방지롤러(30)는 피가공물(2)과의 마찰을 최소화 하면서 피가공물(2)을 압연롤러(21)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5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간격조절부(50)는 피가공물(2)의 두께에 대응되게 이탈방지롤러(30)간의 간격을 가변할 수 있도록 설치대(40)에 서로 간격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간격조절부(50)는 이탈방지롤러(30)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부(51)와, 슬라이딩부(52) 및 이동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부(51)는 설치대(40)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레일부(51)는 슬라이딩부(52)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대(40)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52)는 가이드레일부(51)를 따라 각각 슬라이딩된다.
이동부(53)는 슬라이딩부(52)에 각각 결합된다.
이동부(53)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이탈방지롤러(30)가 각각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수직부재(531)와, 상부 수직부재(53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재(532) 및 수평부재(532)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 수직부재(533)를 포함할 수 있다.
피가공물(2)의 두께에 따라 슬라이딩부(52)를 가이드레일부(51)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이탈방지롤러(30)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60)는 이탈방지롤러(30)가 피가공물(2)에 의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50)를 각각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60)는, 하우징(61)과, 제1 지지유닛(62)과, 에어포켓(63)과, 가변부(64)와, 제2 지지유닛(65)과, 제3 지지유닛(66) 및 메꿈부(67)를 포함한다.
하우징(61)은 선반부(10)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수용공간에 상기 하부 수직부재(533)가 수용된다.
이때, 하부 수직부재(533)는 하우징(61)의 수용공간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 지지유닛(62)은 하우징(61)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제1 지지유닛(62)은 하부 수직부재(53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일정 중량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포켓(63)은 하우징(6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제1 지지유닛(62)을 지지한다.
에어포켓(63)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거나 또는 배출됨에 따라 크기가 가변된다.
가변부(64)는 작업다이(11)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또는 지지다리(12)가 안착되는 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부(64)는 에어포켓(63)의 부피를 축소 또는 팽창시키는 구성으로써, 에어포켓(63)에 에어를 주입 또는 흡입하기 위한 연결호스(641)(641)를 포함한다.
일 예로, 가변부(64)는 에어를 주입 또는 흡입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가변부(64)는 에어포켓(63)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콤프레셔 및 에어포켓(63)의 내부공간에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변부(64)는 피가공물(2)의 두께에 따라 이동부(53)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에어포켓(63)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흡입한다.
즉, 피가공물(2)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가변부(64)를 통해 에어포켓(63)에서 에어를 흡입하여 이동부(53) 및 이동부(53)에 설치된 이탈방지롤러(30) 간의 간격을 멀어지게 하면되고, 피가공물(2)의 두께가 얇을 경우 가변부(64)를 통해 에어포켓(63)에 에어를 주입하여 이동부(53) 및 이동부(53)에 설치된 이탈방지롤러(30) 간의 간격을 가깝게 하면 된다.
제2 지지유닛(65)은 하우징(6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에어포켓(63)을 지지한다.
제2 지지유닛(65)은 에어포켓(63)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일정 중량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1)은, 제1 지지유닛(62)이 하부 수직부재(533)를 지지하고, 에어포켓(63)이 제1 지지유닛(62)을 지지하며, 제2 지지유닛(65)이 에어포켓(63)을 지지하는 3중 지지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이탈방지롤러(30) 및 이동부(53)가 피가공물(2)에 의해 밀리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에어포켓(63)이 피가공물(2)의 두께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면서 제1 지지유닛(62)을 지지하기 때문에 다양한 두께의 피가공물(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유닛(62)과 에어포켓(63) 및 제2 지지유닛(65) 하부 수직부재(533)로 집중 전달되는 피가공물(2)의 하중을 지지한다면 제3 지지유닛(66)은 상부 수직부재(531)에 집중되는 피가공물(2)의 하중을 지지한다.
제3 지지유닛(66)은 상측과 하측이 상부 수직부재(531)의 일측면과 제2 지지유닛(65)의 상면에 볼팅 결합된다.
제3 지지유닛(66)은 강성이 우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곡선형 산부(661)와 곡선형 돌부(662)를 포함하여 싸인파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지지유닛(66)은 곡선형 산부(661)와 곡선형 돌부(662)에 의해 자체 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피고정물의 하중을 흡수하면서 상부 수직부재(531)를 지지할 수 있다.
제3 지지유닛(66)은 메꿈부(67)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메꿈부(67)는 제3 지지유닛(66)의 산부들의 사이 공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된다.
메꿈부(67)는 반원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꿈부(67)는 금속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꿈부(67)는 제3 지지유닛(66)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피가공물(2)의 두께가 두껍거나 무게가 많이 나갈 경우, 그에 대응되게 메꿈부(67)의 개수를 추가하여 제3 지지유닛(66)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피가공물(2)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토록 하면되고, 피가공물(2)의 두께가 얇거나 무게가 적게 나갈 경우, 메꿈부(67)를 미적용하거나 또는 1~3개 정도의 메꿈부(67)를 적용하면 될 것이다.
메꿈부(67)의 적용여부 및 적용개수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1)에 적용된 이물질 분리부(70)와, 이물질 제거부(80) 및 부착부(9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에 적용된 이물질 분리부를 도시한 일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에 적용된 이물질 분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 시스템에 적용된 이물질 제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물질 분리부(70)는 선반부(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압연롤러(21)에 의해 사상압연이 완료된 피가공물(2)을 타격하여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분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이물질 분리부(70)는 함체부(70a)와, 박스부(70b)와, 확산부(71)와, 타격알(72)과, 에어공급부(73)와, 간격유지틀(74)과, 수집판(75)과, 인출실린더(76)와, 스크래퍼(77)와, 하강실린더(78) 및 수집함(79)을 포함할 수 있다.
함체부(70a)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구조로 형성된다.
피가공물(2)은 세로로 세워진 형태로 수용공간에 투입된다.
도 5를 기준으로 함체부(70a)의 전측과 후측에는 체결홀(701a)이 형성된다.
체결홀(701a)은 함체부(70a)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체결홀(701a)에는 수용공간에 투입된 피가공물(2)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볼트(B)가 체결된다.
즉, 볼트(B)는 체결홀(701a)에 체결되면서 그 단부가 피가공물(2)의 일면을 각각 가압한다.
박스부(70b)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수용공간에 투입된 피가공물(2)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피가공물(2)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확산부(71)는 박스부(70b)의 내부공간에 각각 배치된다.
확산부(71)는 후술되는 타격알(72)이 피가공물(2)에 확산되어 발사되도록 호퍼나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확산부(71)의 내부공간은 타격알(72)이 발사되기전 대기하게 되는 대기공간(711) 및 발사되는 타격알(72)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공간(712)으로 분할될 수 있다.
대기공간(711)은 대략 사각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확산공간(712)은 대기공간(711)과 연결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격알(72)은 피가공물(2)을 타격하는 것으로, 확산부(71)의 내부공간에 각각 다수개로 채움된다.
타격알(72)은 후술되는 수집판(75)에 수집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공급부(73)는 타격알(72)이 확산부(71)를 통해 확산배출되면서 상기 피가공물(2)을 타격하도록 확산부(71)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주입한다.
에어공급부(73)는 일 예로, 에어콤프레셔나 에어펌프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공급부(73)가 확산부(71)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면, 대기공간(711)에 위치한 타격알(72)들이 확산공간(712)을 통해 확산되면서 피가공물(2)에 발사된다.
이로 인해, 피가공물(2)에는 타격알(72)들에 의한 진동력이 발생되며, 결국 피가공물(2)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분리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함체부(70a)의 바닥면 내부에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이 매립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에는 타격알(7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흡입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틀(74)은 박스부(70b)의 사이마다 각각 배치된다.
간격유지틀(74)은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박스부(70b) 간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확산부(71)에서 배출되는 타격알(72)끼리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가공물(2)에만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수집판(75)은 피가공물(2)에 발사된 타격알(72)을 수집하는 구성이다.
수집판(75)은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집판(75)은 간격유지틀(74)의 내부공간 끝단에 각각 배치된다.
수집판(75)은 일면이 피가공물(2)과 마주하는 형태로 노출된다.
그리고, 수집판(75)은 타격알(72)이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타격알(72)은 피가공물(2)을 타격한 후 튕겨져 수집판(75)에 부착된다.
이때, 일부 타격알(72)은 수집판(75)에 부착되지 아니하고 함체부(70a)의 바닥면에 낙하될 수 있다.
함체부(70a)에 바닥면에 낙하된 타격알(72)은 작업자가 꺼내서 확산부(71)의 대기공간(711)에 채움하면 된다.
인출실린더(76)는 수집판(75)에 부착된 타격알(72)을 제거할 수 있도록 수집판(75)을 당겨 사각틀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스크래퍼(77)는 간격유지틀(74)의 외부로 인출된 수집판(75)의 상측에 배치된다.
스크래퍼(77)는 수집판(75)에 부착된 타격알(72)을 효율적으로 스크래핑하도록 직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강실린더(78)는 스크래퍼(77)의 상면에 결합된다.
하강실린더(78)는 수집판(75)에 부착된 타격알(72)이 제거되도록 스크래퍼(77)를 하강시킨다.
이때, 하강실린더(78)는 수집함(79)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전,후진 실린더에 의해 각각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스크래퍼(77) 및 하강실린더(78)는 복수개의 수집판(75) 상측에 각각 위치되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상시스템은 최하층에 위치된 하강실린더(78)에서부터 최상층에 위치된 하강실린더(78)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프로그래밍 되고, 최하층에 위치된 전,후진 실린더에서부터 최상층에 위치된 전,후진 실린더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하층에 위치된 하강실린더(78)가 작동하여 최하층의 스크래퍼(77)가 수집판(75)을 스크래핑하면 최하층의 전,후진 실린더가 최하층의 하강실린더(78)를 에어공급부(73)에 대해 후진시켜, 중간층에 위치한 수집판(75)에서 스크래핑되는 타격알(72)이 최하층에 위치된 하강실린더(78)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중간층의 스크래퍼(77)가 수집판(75)을 스크래핑하면 중간층의 전,후진 실린더가 중간층의 하강실린더(78)를 에어공급부(73)에 대해 후진시켜, 최상층에 위치한 수집판(75)에서 스크래핑되는 타격알(72)이 중간층에 위치된 하강실린더(78)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최하층과 중간층의 전,후진 실린더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하강실린더(78)를 전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다.
한편, 수집함(79)은 함체부(70a)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수집함(79)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집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래퍼(77)에 의해 수집판(75)에서 분리된 타격알(72)들은 수집함(79)의 수집공간에 수집된다.
한편, 이물질 제거부(80)는 이물질 분리부(70)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피가공물(2)의 상면에 진동을 가해 피가공물(2)의 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이물질 제거부(80)를 통해 이물질 분리부(70)에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보다 청결한 피가공물(2)을 제공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80)는 부가 함체부(81)와, 타격판(82)과, 탄성지지부(60)와, 중량부(83)와, 제1 맞물림부(84)와, 제2 맞물림부(85)와, 공압실린더(86) 및 상승실린더(87)를 포함한다.
부가 함체부(81)는 측면에 피가공물(2)이 가로로 눕혀진 상태로 출입하는 출입구(811)가 형성된다.
부가 함체부(81)는 내부에 피가공물(2)이 투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부가 함체부(81)의 내부 양측벽에는 피가공물(2)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바(812)가 형성된다.
타격판(82)은 부가 함체부(81)의 수용공간에 투입된 피가공물(2)의 상측에 배치된다.
타격판(82)의 저면에는 피가공물(2)의 상면과 마주하는 부착부(90)가 부착된다.
이때, 부착부(90)는 필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90)의 상면에는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타격판(82)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부(90)의 저면에도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피가공물(2)의 상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타격판(82)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중량부(83)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홈(821)이 형성된다.
타격판(82)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 일정형태로 휘어질 수 있도록 금속,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탄성지지부(60)는 부가 함체부(81)의 내부 단턱(813)에 배치된다.
탄성지지부(60)는 대략 'ㅓ'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6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60)는 그 끝단이 타격판(82)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타격판(82)은 탄성지지부(6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중량부(83)는 금속과 같이 일정 중량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중량부(83)는 모든 고정홈(821)에 각각 수용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홈(82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피가공물(2)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 작업자가 중량부(83)의 적용개수를 선정하면 된다.
중량부(83)로 인해 타격판(82)의 중량이 증가됨으로, 타격판(82)이 피가공물(2)에 타격력을 가할 때 피가공물(2)에 가해지는 타격력이 가중된다.
이러한 중량부(83)로 인해 피가공물(2)에 타격력을 효율적으로 발생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량부(83)의 상면에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를 통해 중량부(83)를 고정홈(821)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또는, 고정홈(821)에서 용이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맞물림부(84)는 타격판(82)의 상면에 고정되며,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맞물림부(85)는 제1 맞물림부(84)와 맞물리도록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공압실린더(86)는 피스톤이 제2 맞물림부(85)에 결합된다.
공압실린더(86)는 제2 맞물림부(85)를 제1 맞물림부(84)에 접촉 또는 이격시는 것으로, 공지의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상승실린더(87)는 부가 함체부(81)의 상측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덮개부(811)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승실리너(87)는 타격판(82)이 소정의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제1 맞물림부(84)에 맞물린 제2 맞물림부(85)를 상승시킨다.
이때, 부가 함체부(81)의 저면 가장자리와 덮개부(811)의 저면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이물질 제거부(8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피가공물(2)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 타격판(82)에 중량부(83)의 적용개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피가공물(2)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모든 고정홈(821)에 중량부(83)를 적용하여 타격력을 가중시키면 되고, 피가공물(2)의 두께가 얇을 경우, 타격판(82)에 의한 타격력에 의해 피가공물(2)이 변형 또는 파손될 수 있으므로, 중량부(83)를 적용하지 않거나 또는 1~2개 정도 적용하면 된다.
이후, 출입구(811)를 통해 피가공물(2)을 부가 함체부(81)의 수용공간에 수용시킨다.
이때, 제1 맞물림부(84)와 제2 맞물림부(85)는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서, 상승실린더(87)가 공압실린더(86)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맞물림부(85)가 제1 맞물림부(84)를 상 방향으로 당기게 되어, 피가공물(2)이 상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때, 상승실린더(87)는 제2 맞물림부(85)가 제1 맞물림부(84)를 약 5cm ~ 20cm 정도 당기도록 설정된다.
피가공물(2)이 상 방향으로 휘어진 다음에는 공압실린더(86)가 제2 맞물림부(85)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맞물림부(84)와 제2 맞물림부(85)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한다.
따라서, 타격판(82)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피가공물(2)의 상면에 타격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결국 피가공물(2)의 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분리되어 부가 함체부(81)의 바닥면으로 낙하된다.
아울러, 타격판(82)의 저면에 부착된 부착부(90)에는 피가공물(2)의 상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된다.
부가 함체부(81)의 바닥면에는 피가공물(2)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장치(88)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집장치(88)는 흡입호퍼 및 흡입호퍼의 하측에 배치되고 공기흡입을 통해 이물질을 수집하여 부가 함체부(81)의 외부로 배출하는 흡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공압실린더(86) 및 상승실린더(87)는 타격판(82)이 피가공물(2)을 약 3회 내지 10회 정도 여러 번 타격하도록 반복 작동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타격판(82)에 제1 맞물림부(84) 및 제2 맞물림부(85)의 당김력이 해제되는 시점, 즉 제2 맞물림부(85)가 공압실린더(86)에 의해 제1 맞물림부(84)에서 이격된 이후에, 상승실린더(87)는 공압실린더(86)를 하강시키고, 이와 동시에 공압실린더(86)는 도 6을 기준으로 제2 맞물림부(85)를 다시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 맞물림부(84)에 제2 맞물림부(85)가 맞물리도록 한다.
이어서, 상승실린더(87)가 공압실린더(86)를 상승시키고, 공압실린더(86)가 제2 맞물림부(85)를 제1 맞물림부(84)에서 이격시킴으로써, 타격판(82)이 피가공물(2)에 타격력을 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피가공물(2)을 꺼내 상,하로 반전시킨 다음, 다시 부가 함체부(81)의 수용공간에 투입한 후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해도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피가공물(2)의 저면이었던 부분이 상면이 되어, 부착부(90)가 피가공물(2)의 상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도 제거하게 된다.
물론, 피가공물(2)의 상면이었던 부분이 저면이 됨으로, 피가공물(2)에 타격판(82)의 타격력이 인가되면 피가공물(2)의 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부착부(90)는 소모성 구성으로, 부착부(90)에 많은 양의 이물질이 부착된 경우, 작업자는 피가공물(2)에 부착된 부착부(90)를 제거한 후, 새로운 부착부(90)를 부착하면 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사상 시스템 10 : 선반부
11 : 작업다이 12 : 지지다리
13 : 회전가이드 131 : 회전가이드편
20 : 안착부 21 : 압연롤러
30 : 이탈방지롤러 40 : 설치대
50 : 간격조절부 51 : 가이드레일부
52 : 슬라이딩부 53 : 이동부
531 : 상부 수직부재 532 : 수평부재
533 : 하부 수직부재 60 : 지지부
61 : 하우징 62 : 제1 지지유닛
63 : 에어포켓 64 : 가변부
641 : 연결호스 65 : 제2 지지유닛
66 : 제3 지지유닛 661 : 곡선형 산부
662 : 곡선형 돌부 67 : 메꿈부
70 : 이물질 분리부 70a : 함체부
701a : 체결홀 70b : 박스부
71 : 확산부 711 : 대기공간
712 : 확산공간 72 : 타격알
73 : 에어공급부 74 : 간격유지틀
75 : 수집판 76 : 인출실린더
77 : 스크래퍼 78 : 하강실린더
79 : 수집함 80 : 이물질 제거부
81 : 부가 함체부 811 : 출입구
812 : 지지바 813 : 단턱
82 : 타격판 821 : 고정홈
83 : 중량부 84 : 제1 맞물림부
85 : 제2 맞물림부 86 : 공압실린더
87 : 상승실린더 88 : 수집장치
90 : 부착부

Claims (3)

  1. 선반부;
    상기 선반부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압연할 수 있는 압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압연롤러;
    상기 압연롤러의 상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롤러;
    상기 선반부에 수직설치되는 설치대; 및
    상기 이탈방지롤러가 각각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가공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이탈방지롤러간의 간격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대에 서로 간격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사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롤러가 상기 피가공물에 의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선반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연롤러에 의해 사상압연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타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부;
    상기 이물질 분리부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피가공물의 상면에 진동을 가해 피가공물의 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부착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작동될 시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부착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설치대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마주하는 면에 상기 이탈방지롤러가 각각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반부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하부 수직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부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제1 지지유닛;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일측에 배치되고, 에어가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에어포켓;
    상기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에어포켓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공급 또는 흡입하는 가변부;
    상기 에어포켓을 지지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면에 지지되는 제2 지지유닛;
    상측과 하측이 상기 상부 수직부재의 일측면과 제2 지지유닛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되,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는 다수개의 곡선형 산부와 곡선형 돌부를 포함하여 싸인파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제3 지지유닛; 및
    상기 제3 지지유닛의 산부들의 사이 공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고정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메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분리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세로로 세워져 투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부;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피가공물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내부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 각각 다수개로 채움되는 금속재질의 타격알;
    상기 타격알이 상기 확산부를 통해 확산배출되면서 상기 피가공물을 타격하도록 상기 확산부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공급부;
    상기 박스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양측면이 개방된 간격유지틀;
    상기 간격유지틀의 내부공간에 각각 배치되고, 일면이 상기 간격유지틀의 내부공간 일측 끝단에서 상기 피가공물과 마주하는 형태로 노출되며, 상기 피가공물을 타격한 타격알이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수집판;
    상기 수집판에 상기 타격알이 부착될 시 상기 수집판을 당겨 사각틀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실린더;
    상기 간격유지틀의 외부로 인출된 수집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크래퍼;
    상기 수집판에 부착된 타격알이 제거되도록 상기 스크래퍼를 하강시키는 하강실린더; 및
    상기 함체부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수집판에서 분리된 타격알을 수집하는 수집함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측면에 상기 피가공물이 가로로 눕혀진 상태로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투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내부 양측벽에 상기 피가공물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형성된 부가 함체부;
    상기 부가 함체부의 수용공간에 투입된 피가공물의 상측에 배치되며, 저면에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과 마주하는 상기 부착부가 부착되고, 상면에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타격판;
    상기 타격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피가공물에 타격력이 가중되도록 상기 고정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중량부;
    상기 타격판의 상면에 고정되며,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맞물림부;
    상기 제1 맞물림부와 맞물리도록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맞물림부;
    상기 제2 맞물림부를 상기 제1 맞물림부에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타격판이 소정의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제1 맞물림부에 맞물린 상기 제2 맞물림부를 상승시키는 상승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기 상승실린더가 상기 제2 맞물림부를 상승시킬 시, 상기 타격판의 타격력이 상기 피가공물에 가해지도록 상기 제2 맞물림부를 상기 제1 맞물림부에서 이격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사상 시스템.
KR1020220040771A 2022-03-31 2022-03-31 사상 시스템 KR10249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771A KR102495856B1 (ko) 2022-03-31 2022-03-31 사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771A KR102495856B1 (ko) 2022-03-31 2022-03-31 사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856B1 true KR102495856B1 (ko) 2023-02-06

Family

ID=8522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771A KR102495856B1 (ko) 2022-03-31 2022-03-31 사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48488A (zh) * 2024-01-08 2024-02-13 沈阳珀菲克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有色金属合金的压延加工设备及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919A (ja) * 1991-09-20 1993-03-30 Kotobuki Sangyo Kk 圧延材の誘導方法
JPH08281315A (ja) * 1995-04-14 1996-10-29 Kotobuki Sangyo Kk ローラガイド装置
KR200224968Y1 (ko) * 2000-12-21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생산라인용 가이더의 롤러갭 세팅 장치
KR20020074576A (ko) * 2001-03-20 2002-10-04 주식회사 월드비씨 동선 압연기 및 그 압연방법
KR101387339B1 (ko) 2012-12-12 2014-04-29 (주)포스코 불활성가스 커튼을 이용한 무산화 사상압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0804B1 (ko) * 2013-12-12 2015-04-1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이탈 방지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5626A (ko) * 2014-11-10 2016-05-18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용 정밀압연기의 롤 갭 측정 장치
JP7016698B2 (ja) * 2014-12-23 2022-02-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2系統硬化のポリチオエーテル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919A (ja) * 1991-09-20 1993-03-30 Kotobuki Sangyo Kk 圧延材の誘導方法
JPH08281315A (ja) * 1995-04-14 1996-10-29 Kotobuki Sangyo Kk ローラガイド装置
KR200224968Y1 (ko) * 2000-12-21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생산라인용 가이더의 롤러갭 세팅 장치
KR20020074576A (ko) * 2001-03-20 2002-10-04 주식회사 월드비씨 동선 압연기 및 그 압연방법
KR101387339B1 (ko) 2012-12-12 2014-04-29 (주)포스코 불활성가스 커튼을 이용한 무산화 사상압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0804B1 (ko) * 2013-12-12 2015-04-1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이탈 방지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5626A (ko) * 2014-11-10 2016-05-18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용 정밀압연기의 롤 갭 측정 장치
JP7016698B2 (ja) * 2014-12-23 2022-02-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2系統硬化のポリチオエーテ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48488A (zh) * 2024-01-08 2024-02-13 沈阳珀菲克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有色金属合金的压延加工设备及方法
CN117548488B (zh) * 2024-01-08 2024-04-02 沈阳珀菲克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有色金属合金的压延加工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856B1 (ko) 사상 시스템
US20120027558A1 (en) Tire storage system
EP0252084B1 (de) Fertigungssystem für die automatische bearbeitung metallischer werkstücke
US20130160229A1 (en) Worktable Apparatus
JPH0885637A (ja) 板状部材取出し装置
CN108382823B (zh) 一种轴承整列装置
CN112850226B (zh) 一种适用于辊轴生产中的自动装载装置及其应用方法
CN115611008A (zh) 一种自动上料装置及其工作方法
CN211545077U (zh) 一种带有吸盘的上板翻板机
CN210526621U (zh) 螺旋输送机的管件储存推车
CN111959836A (zh) 一种圆柱销自动落料装箱系统及其装箱方法
KR101198740B1 (ko) 석재가공장치
JP4079496B2 (ja) 遊技機設置島
JP6995218B2 (ja) ワークストッカ
CN115557000A (zh) 一种侧边梁套筒成品检验包装设备
CN112827841A (zh) 一种用于滚柱检测及清洗的装置
CN210939220U (zh) 一种机械加工用可拆卸物料架
CN210793282U (zh) 一种机械设备转运装置
GB2330829A (en) Chute
NL1025142C2 (nl) Schroefapparaat voor het vastschroeven van dakbedekking.
CN210791767U (zh) 一种双色发泡成型机的中模平移机构
CN105618605A (zh) 具有扩口机构的电力铝管扩口机
JP2006159032A (ja) 除塵装置
CN214086147U (zh) 一种可调间距的吸塑托盘出料滑台
CN114274342B (zh) 一种高韧性轻质纸面石膏板生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