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785B1 - 난연성 염료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염료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785B1
KR102494785B1 KR1020210102362A KR20210102362A KR102494785B1 KR 102494785 B1 KR102494785 B1 KR 102494785B1 KR 1020210102362 A KR1020210102362 A KR 1020210102362A KR 20210102362 A KR20210102362 A KR 20210102362A KR 102494785 B1 KR102494785 B1 KR 10249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flame retardant
dyes
atp
adenosine tri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437A (ko
Inventor
이정헌
허준혁
박철현
정순환
송혜원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018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9Est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not representing cyclic 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8Polymer particles coated by inorganic and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 C08J9/42Impregnation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401/00 or C08J2403/00
    • C08J240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9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the composition being defined by the absence of a certain addi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명 활동을 위해 에너지를 공급하는 유기 화합물인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이용하여 난연성을 향상시킨 난연성 염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염료는 염료, 및 난연제로서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연성 염료 및 이의 제조 방법{Flame-retardant dy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생명 활동을 위해 에너지를 공급하는 유기 화합물인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이용하여 난연성을 향상시킨 난연성 염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연성 염료는 의류, 수건, 침대, 시트 등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면섬유에 코팅 시 불에 닿아 발화되어 연소가 멈추지 않고 화재의 번짐 현상에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가연성 염료는 건물 및 내장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페인트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화재 발생시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물감, 페인트 등 다양한 제품 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나연 염료가 개발 중에 있으나, 인계 난연제의 경우 난연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 너무 많은 양이 첨가되므로 각각의 염료 색 발현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난연제로 포함하는 난연성 염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난연성 염료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염료는 염료, 및 난연제로서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연성 염료는 염료 0.00137 내지 0.00274 g/ml, 및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0.25 g/ml 이상 1.0 g/ml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연성 염료는 가연성 면직물에 염색될 수 있다. 이때, 난연성 염료가 염색된 가연성 면직물의 산소한계지수는 26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연성 염료는 연소 시에 유리 파편 형태의 차르(char)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연성 염료는 연소 시에 초기 부피 대비 10배 이상의 부피 팽창이 일어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염료는 직접염료, 염기성염료 및 식품착색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염료 제조 방법은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염료의 농도는 1 내지 2 mM 이고, 상기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농도는 0.25 g/ml 이상 1.0 g/ml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해시키는 단계는 30분 내지 1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염료는 직접염료, 염기성염료 및 식품착색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성 염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난연성 염료는 연소 시에 유리 파편 형태의 차르(char)를 형성하고, 연소 시에 초기 부피 대비 10배 이상의 부피 팽창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염료에 포함된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분자 자체에 난연 소재에서 필수적인 3대 구성 요소인 인(P), 질소(N) 및 탄소(C)를 포함하기 때문에, 다른 첨가제의 존재 없이도, 삼인산기, 리보오스 및 질소 함유 염기 각각의 멀티 시너지 효과를 통해 우수한 난연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면직물에 코팅되어 면직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난연성 염료는, 친환경 난연제인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총 중량 대비 0.25 g/ml 이상 1.0 g/ml 미만으로 포함하여, 색 발현의 저해없이 우수한 난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생물의 세포 호흡에 관여하는 생체 유기 화합물이므로, 생체 친화적이면서 무독성이기 때문에, 셀룰로오스 기반 면제품, 의류, 및 각종 가정의 제품 등에 친환경 난연성 염료로 적용 가능하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를 셀룰로오스 기반의 면섬유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한 모습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가 코팅된 면섬유의 연소 후의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적색 염료 코팅 면섬유의 난연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청록색 염료 코팅 면섬유의 난연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청색 염료 코팅 면섬유의 난연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염료는 염료, 및 난연제로서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염료에 포함되는 염료는 공지된 청색, 청록색, 적색 등 다양한 색을 발현하는 염료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염료는 일반적으로 가연성이기 때문에, 의류, 수건, 침대, 시트 등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면섬유에 염색되는 경우 불에 닿아 발화되어 연소가 멈추지 않고 화재의 번짐 현상에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친환경 난연제 물질인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첨가제로 적용하였으며, 이로 인해 염료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난연성 염료에 포함되는 염료는 직접염료, 염기성염료 및 식품착색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Direct Red 80 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난연성 염료에 포함되는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흥분, 근육 수축 및 화학 합성의 신경 전도를 포함하여 살아있는 유기체의 다양한 생화학적 과정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생체 분자이다.
아데노신 삼인산(ATP)는 삼인산기(three phosphate groups), 리보오스(Ribose) 및 아데닌(Adenine)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 자체에 난연 소재에서 필수적인 3대 구성 요소인 인(P), 질소(N) 및 탄소(C)를 포함하고 있어서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연소 시에 유리 파편 형태의 차르(char)를 형성하여 염료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연소 시에 초기 부피 대비 최소 10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배의 부피 팽창이 일어나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아데노신 삼인산(ATP)에 함유된 삼인산기, 아데닌 염기 및 리보오스가 멀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삼인산기는 산 공급원(acid source)으로 작용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약 160 내지 200℃)에서 방출되어 유리 파편 형태의 차르(char)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리보오스는 차르 공급원(char source)으로 작용하며, 연소 시에 유리 파편 형태의 차르(char)를 형성할 수 있다.
아데닌은 질소를 함유하는 염기로, 발포제(blowing agent)로 작용하여 연소 시에 암모니아 등의 불연성 가스를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삼인산기, 리보오스 및 아데닌 염기 각각의 멀티 시너지 효과를 통해 우수한 난연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염료와 혼합되어 염료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난연성 염료에 함유된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세포에서 다양한 생명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매일 생성되는 유기 화합물이기에 무독성으로서 의류 및 각종 가정의 제품 등에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난연성 염료는 염료 0.00137 내지 0.00274 g/ml, 및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0.25 g/ml 이상 1.0 g/ml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총 중량 대비, 0.25g/ml 이상 1.0g/ml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데노신 삼인산(ATP)이 0.25 g/ml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난연 효과가 저하되어 연소 시에 불이 꺼지지 않게 된다. 또한, 아데노신 삼인산(ATP)이 1.0g/ml 이상인 경우 난연 효과는 향상되나 염료의 색 자체가 변화가 생겨 염료의 색 발현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총 중량 대비, 0.25wt% 이상 1.0wt%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데노신 삼인산(ATP)이 위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된 난연성 염료는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고, 색 발현 또한 기존 염료와 동일한 색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성 염료는 아데노신 삼인산(ATP)이 지니는 우수한 난연성으로 인해, 연소 시에 유리 파편 형태의 차르(char)를 형성하여 면섬유 또는 물감, 페인트 등 다양한 제품들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성 염료는 연소 시에 초기 부피 대비 최소 10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배의 부피 팽창이 일어나기에, 우수한 난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염료는 가연성 면직물에 염색될 수 있고, 혹은 물감, 수성 및 유성 페인트, 건축 도료, 혹은 플라스틱 모델 등의 도색 등 다양한 제품 군에서 첨가되어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면섬유의 경우 열분해 과정에서 탈수 및 해중합의 두 가지 과정이 일어나며, 이 중에서 중합체가 분해하며 단위체를 생성하는 해중합 과정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해중합 과정에서 면섬유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가 분해되며, 일부는 휘발성 물질로 방출되게 된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난연성 염료를 기반으로 한 면직물의 경우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탈수 과정 진행 중 아데노신 삼인산으로부터 나온 삼인산기(phosphate group)(acid source 역할), 리보오스당(ribose sugar)(char source 역할) 그리고 아데닌(adenine)(blowing agents 역할)에 의해 셀룰로오스가 인산화가 되어 열분해 과정이 기존 면섬유만 있을 경우와 다르게 진행된다.
즉, 변화된 열분해 메커니즘(mechanism)에 의해 아데노신 삼인산 염료 기반의 셀룰로오스는 탈수가 진행되면서 차르 층을 형성하고 가연성 가스의 방출을 줄여 해중합 과정과 셀룰로오스의 추가 연소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형성되는 차르 층의 두께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계 난연제보다 두꺼워 면섬유에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난연성 염료의 난연 효과로 인해, 난연성 염료가 염색된 가연성 면직물의 산소한계지수는 26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염료는,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총 중량 대비 0.25g/ml 이상 1.0g/ml 미만으로 포함하여 기존 염료와 동일한 색채를 나타내면서 난연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생물의 세포 호흡에 관여하는 생체 유기 화합물이므로, 생체 친화적이면서 무독성이기 때문에 기존의 염료가 활용되었던 다양한 생활용품 및 산업계에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염료 제조 방법은,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염료의 농도는 1 내지 2 mM 이고, 상기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농도는 0.25g/ml 이상 1.0g/ml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료의 농도가 1 내지 2 mM 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염료가 면섬유에 충분히 흡착하지 못하거나 과하게 흡착하여 요구되는 색채를 얻지 못하게 된다.
상기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농도가 0.25g/ml 미만인 경우, 생성된 염료의 난연 효과가 저하되어 연소 시에 불이 꺼지지 않게 된다. 또한, 아데노신 삼인산(ATP)이 1.0 g/ml 이상인 경우 난연 효과는 향상되나 염료의 색 자체가 변화가 생겨 염료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용해시키는 단계는 아데노신 삼인산(ATP)이 수용액에 완전히 녹을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분 내지 1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료는 직접염료, 염기성염료 및 식품착색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Direct Red 80 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성 염료는, 연소 시에 유리 파편 형태의 차르(char)를 형성할 수 있고, 연소 시에 초기 부피 대비 10배 이상의 부피 팽창이 일어나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난연성 염료는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난연제로 포함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불길의 번짐, 면섬유에 염색 시 면섬유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산소 유입의 차단으로 자체 진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연성 염료는 난연성이 요구되는 각종 산업계나 생활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pH 의 영향을 받지 않는 Direct red 80 염료를 정제수에 2mM 농도로 완전히 녹인 후, 이 용액에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양을 0.01 - 1g/mL 농도로 다양하게 첨가한 후 아데노신 삼인산(ATP)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혼합하였다.
이후, 아데노신 삼인산 염료액에 면섬유를 적셔 염색되도록 하였다. 충분히 적셔진 면섬유는 다른 물질과 접촉할 경우 변색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와 격리시킨 후 매달아서 건조시켰다. (샘플 1 - 6)
대조군으로는 아데노신 삼인산이 포함되지 않은 염료로 코팅된 면섬유 샘플을 사용하였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를 셀룰로오스 기반의 면섬유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한 모습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가 코팅된 면섬유의 연소 후의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1의 (a)-(b)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는 면섬유의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되며, 연소 후에는 표면에 차르를 형성하며 추가적인 구조의 붕괴를 막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난연성 고분자 소재의 난연 특성 평가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함량을 0.01 - 1g/ml로 달리하여 제조된 염료를 면직물에 염색한 샘플 1 - 6 과, 대조군을 ASTM D6413 규격에 따라 300 x 76 mm 크기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시편들을 수직으로 배치한 후 수직 화염 테스트 및 산소한계지수(limiting oxygen index test)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냈다.
대조군 시편1 시편2 시편3 시편4 시편5 시편6
ATP (g/ml) 0 0.01 0.1 0.25 0.5 0.75 1
Total burning time (s) 122 116 85 46 23 6 2
Char length (mm) - - 300 85 65 63 65
Visual damage Yes Yes Yes No No No No
LOI (%) 17 19 24 26 28 30 32
도 2 및 표 1을 참조하면, 대조군의 경우 불에 닿으면 발화하면서 연소가 멈추지 않으며, 시편 전체가 타버리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아데노신 삼인산이 0.25g/ml 미만으로 포함된 시편 1, 2의 경우 연소 시 불이 꺼지지 않고 면직물에 번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아데노신 삼인산이 0.25g/ml - 0.75g/ml 로 포함된 시편 3 - 5 는 연소 시에 존재하는 리보오스, 인산기, 그리고 아데닌에 의해 차르가 형성되고, 질소 가스 발생으로 인한 추가적인 산소 유입의 차단으로 자체 진화가 진행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난연 ASTM 규격 평가를 통과하는 동시에 산소 한계지수도 26 - 30%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아데노신 삼인산이 1g/ml로 포함된 시편 6의 경우, 난연성은 증대되지만 면직물 염색 시 색깔이 바래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보아, 본 발명의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0.25g/ml 이상 1g/ml 미만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기존 염료와 동일한 색채를 나타내면서도 높은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염료 종류에 따른 난연 특성 평가
염료 종류에 따른 난연 특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청록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각각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고, 난연 특성을 평가하였다. 난연 특성 평가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청록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0.25g/ml 이상 1g/ml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 기존 염료와 동일한 색채를 나타내면서도 높은 난연성을 확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염료, 및 난연제로서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포함하는 난연성 염료.
  2. 제1항에 있어서,
    염료 0.00137 내지 0.00274g/ml; 및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0.25g/ml 이상 1.0g/ml 미만으로 포함하는,
    난연성 염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염료는 가연성 면직물에 염색되는 것인 난연성 염료.
  4. 제3항에 있어서,
    난연성 염료가 염색된 가연성 면직물의 산소한계지수는 2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염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염료는 연소 시에 유리 파편 형태의 차르(char)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염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염료는 연소 시에 초기 부피 대비 10배 이상의 부피 팽창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염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직접염료, 염기성염료 및 식품착색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염료.
  8.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염료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의 농도는 1 내지 2mM 이고,
    상기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농도는 0.25g/ml 이상 1.0g/ml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염료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시키는 단계는 30분 내지 1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염료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직접염료, 염기성염료 및 식품착색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염료 제조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성 염료로서,
    연소 시에 유리 파편 형태의 차르(char)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염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염료는 연소 시에 초기 부피 대비 10배 이상의 부피 팽창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염료.
KR1020210102362A 2020-08-06 2021-08-04 난연성 염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4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10 2020-08-06
KR20200098510 2020-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437A KR20220018437A (ko) 2022-02-15
KR102494785B1 true KR102494785B1 (ko) 2023-02-06

Family

ID=80325539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53A KR102546707B1 (ko) 2020-08-06 2021-04-27 비할로겐계 인계 난연제, 이를 적용한 난연성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10101463A KR102559916B1 (ko) 2020-08-06 2021-08-02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210101426A KR102559919B1 (ko) 2020-08-06 2021-08-02 아데노신 삼인산 및 에폭시 수지에 기반한 난연성 플라스틱
KR1020210101854A KR20220018432A (ko) 2020-08-06 2021-08-03 아데노신 삼인산 및 폴리에틸렌에 기반한 난연성 플라스틱
KR1020210101828A KR20220018431A (ko) 2020-08-06 2021-08-03 난연성 고분자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10101871A KR102632538B1 (ko) 2020-08-06 2021-08-03 아데노신 삼인산 및 폴리젖산에 기반한 난연성 플라스틱
KR1020210102362A KR102494785B1 (ko) 2020-08-06 2021-08-04 난연성 염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40039631A KR20240040718A (ko) 2020-08-06 2024-03-22 난연성 고분자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53A KR102546707B1 (ko) 2020-08-06 2021-04-27 비할로겐계 인계 난연제, 이를 적용한 난연성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10101463A KR102559916B1 (ko) 2020-08-06 2021-08-02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210101426A KR102559919B1 (ko) 2020-08-06 2021-08-02 아데노신 삼인산 및 에폭시 수지에 기반한 난연성 플라스틱
KR1020210101854A KR20220018432A (ko) 2020-08-06 2021-08-03 아데노신 삼인산 및 폴리에틸렌에 기반한 난연성 플라스틱
KR1020210101828A KR20220018431A (ko) 2020-08-06 2021-08-03 난연성 고분자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10101871A KR102632538B1 (ko) 2020-08-06 2021-08-03 아데노신 삼인산 및 폴리젖산에 기반한 난연성 플라스틱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9631A KR20240040718A (ko) 2020-08-06 2024-03-22 난연성 고분자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8) KR102546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506B1 (ko) 2022-12-26 2024-01-03 김미양 생체 정보를 이용한 심리 분석 및 빅데이터 구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5763B1 (ko) * 2023-08-24 2024-02-14 서진케미칼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33054A (zh) 2016-09-28 2017-02-22 华南理工大学 一种阻燃生物可降解树脂/核苷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758261A (zh) 2016-11-29 2017-05-31 江南大学 一种生物酶法蛋白质纤维制品阻燃整理方法
CN106978720A (zh) 2017-04-25 2017-07-25 江南大学 一种基于酶促接枝含磷壳寡糖的蛋白质纤维制品阻燃整理方法
CN109400957A (zh) 2018-07-19 2019-03-01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生物碱磷酸盐阻燃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012A (ko) * 2012-12-12 2014-06-20 자동차부품연구원 난연재, 그 제조 방법, 및 그 발포 방법
CN106233539B (zh) 2014-07-31 2019-03-0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基座连接器
EP3255100B1 (en) * 2015-02-06 2021-08-18 Adeka Corporation Flame-retardant polypropylene composition
US10752840B2 (en) 2016-11-22 2020-08-25 Chestnut Springs Llc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33054A (zh) 2016-09-28 2017-02-22 华南理工大学 一种阻燃生物可降解树脂/核苷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758261A (zh) 2016-11-29 2017-05-31 江南大学 一种生物酶法蛋白质纤维制品阻燃整理方法
CN106978720A (zh) 2017-04-25 2017-07-25 江南大学 一种基于酶促接枝含磷壳寡糖的蛋白质纤维制品阻燃整理方法
CN109400957A (zh) 2018-07-19 2019-03-01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生物碱磷酸盐阻燃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437A (ko) 2022-02-15
KR102546707B1 (ko) 2023-06-22
KR20220018404A (ko) 2022-02-15
KR102559919B1 (ko) 2023-07-26
KR20220018432A (ko) 2022-02-15
KR102632538B1 (ko) 2024-02-02
KR20220018426A (ko) 2022-02-15
KR20240040718A (ko) 2024-03-28
KR102559916B1 (ko) 2023-07-26
KR20220018433A (ko) 2022-02-15
KR20220018431A (ko) 2022-02-15
KR20220018428A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785B1 (ko) 난연성 염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273295B (zh) 一种纤维素纤维用阻燃抗菌植酸铵整理剂及其整理方法
KR101575299B1 (ko) 목재 함유 건축재용 친환경 난연성 조성물을 이용한 목재 함유 건축재용 친환경 난연 처리 방법 및 난연 코팅 목재 함유 건축재
JPS6328985A (ja) アラミド類の染色及び難燃性付与処理方法
Carosio et al. Influence of layer by layer coatings containing octapropylammonium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and ammonium polyphosphate on the thermal stability and flammability of acrylic fabrics
WO2012060491A1 (ko) 수용성 난연제 조성물
Li et al. Durable flame retardant finishing of PET/cotton blends using a Novel PVA‐based phosphorus‐nitrogen polymer
KR101980366B1 (ko) 목재용 방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목재의 방염 처리 방법
KR100929346B1 (ko) 인쇄용 방염 원단의 제조방법
KR101350975B1 (ko) 방염 조성물
Bertelli et al. Structural studies on chars from fire retardant intumescent systems
US3877952A (en) Flame-proofing agents, especially for use with cellulosic materials
KR20080086294A (ko) 수용성 난연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난연제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 처리 방법
RU2670229C1 (ru) Рецептура состава для огнезащит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лиэфирной ткани декоратив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CN113061394A (zh) 一种阻燃天然生漆膜及其制备方法
Li et al. Flame retardance and antibacterial performance of wooden wallpaper treated with composite modifying agent
RU225434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х целлюло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DE2247036A1 (de) Verwendung von bromiertem sulfuriertem lignin zum feuerfestmachen von brennbaren stoffen und zur herstellung von feuerfesten gebundenen gegenstaenden
CA1077203A (en) Flame resistant substrates
KR20080000550A (ko) 수성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E4339078C2 (d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Flammbeständigkeit von faserigen Materialien unter gleichzeitiger Verbesserung der Beständigkeit gegen Pilz-, Schädlings- und Bakterienbefall
KR20010110512A (ko) 방염제
US3497454A (en) Flame retardant
KR20090076149A (ko) 목재 방화문 및 그 제작방법
Alam A critical study of the effects of flame retardancy on different knit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