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687B1 -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687B1
KR102494687B1 KR1020200105469A KR20200105469A KR102494687B1 KR 102494687 B1 KR102494687 B1 KR 102494687B1 KR 1020200105469 A KR1020200105469 A KR 1020200105469A KR 20200105469 A KR20200105469 A KR 20200105469A KR 102494687 B1 KR102494687 B1 KR 102494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ffle
extract
delete delete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113A (ko
Inventor
정해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2010893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438912A/zh
Publication of KR2021002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FOXO3 또는 SIRT1의 활성을 촉진하여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products of truffle mushroom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표면의 형태인 피부결은 미세한 선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미세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연령별 또는 부위별로 유의하게 다르다. 피부결은 선의 깊이에 따라 1차(약 20-100 ㎛), 2차(약 5-40 ㎛), 3차(약 0.5 ㎛) 라인으로 구분되며, 좋은 피부일수록 각 라인들이 그물형태의 네트워크구조를 이루며 선들이 만나서 생기는 다각형과 별 모양(star formation)이 뚜렷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비특허문헌 1).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또는 피부가 손상됨에 따라 촘촘하던 미세라인의 네트워크 구조가 무너져 미세 라인(2차, 3차 등)은 사라지고 1차 라인은 더욱 깊어져 주름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3). 즉,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나타나는 대표적인 징후인 주름은 이미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는 미세한 변화의 축적이다.
화장품 용도로서 다양한 항노화 효능을 가지는 물질을 찾는 노력은 현재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다.
FOXO3 유전자는 대표적 장수 인자이자 노화의 마스터 유전자(master gene)로 알려진 인자이다(비특허문헌 4).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서, 손상된 DNA의 수선 및 디톡스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비특허문헌 5).
장수하는 사람들은 대표적으로 이 유전자가 활성화되어 있으며(비특허문헌 6), 또한 피부세포를 통한 연구에서 세포가 노화할수록 FOXO3의 발현이 감소하고, 인위적으로 FOXO3의 발현을 억제할 경우 세포의 노화가 가속화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비특허문헌 7).
FOXO3는 현재까지 연구되어 오면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밝혀지고 있다. 그 기능들 중 대표적으로, DNA 돌연변이 생성 방지 효과 (비특허문헌 8), 노화 촉진 염증 억제 작용 (비특허문헌 9), 여성호르몬의 정상 조절 작용과 폐경기 지연(비특허문헌 10), 활성산소 제거 효과(비특허문헌 11), 근육 생성 및 발달 작용(비특허문헌 12),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비특허문헌 13)등이 있다.
SIRT1은 FOXO3와 더불어 핵심 장수 유전자이다. 효모의 수명이 증가하는 현상의 핵심 매개체로 밝혀지면서, '생명 연장'의 핵심 조절인자로 알려졌으며(비특허문헌 14), 세포생존, 줄기세포, 대사 등 거의 모든 생체작용에 관여한다(비특허문헌 15). 피부에서는 염증반응, 상처재생 과정 및 피부장벽 기능을 조절한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6, 17). 또한 SIRT1은 FOXO3의 발현량 및 활성을 증진시킴으로써 FOXO3의 항노화 효과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비특허문헌 18).
진피층에서는 콜라겐, 엘라스틴 등이 단단함과 탄력성을 부여하지만 표피층에는 탄력섬유가 부족하여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의 세포골격이 표피층의 물리적 성질을 담당한다(비특허문헌 19).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는 다른 세포에 비해 60~70배 뻣뻣하며, 케라티노사이트를 구성하는 세포골격(actin, keratin)이 강도와 탄력도에 큰 역할을 하며 피부를 보호한다(비특허문헌 20). 자외선은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골격을 변형시키고 세포사멸을 유발한다(비특허문헌 21, 22). SIRT1 유전자는 F-actin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골격 강화에 기여한다(비특허문헌 23, 24).
트러플 추출물의 발효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개발된 적이 있다. 그러나, 트러플 및 이들 조성물에서 FOXO3, SIRT1과 같은 항노화 유전자의 효능 증진효과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12:103-114, 1999. The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10:129-138, 1984. Skin research and technology., 5:189-194, 1999. Gerontol A Biol Sci Med Sci., 67(11):1132-1139, 2012. Medecine Sciences, 20, 10:856-859. 2004. Proc Natl Acad Sci U S A. 2009 Feb 24; 106(8): 2700-2705.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5 Jan;60(1):4-9. Science 296: 530-534, 2002. Immunity. 2004 Aug;21(2):203-13. Science. 2003 Jul 11;301(5630):215-8. Cell 128, 325-339, January 26, 2007 Exp Gerontol. 2010 February ; 45(2): 138-148. J Invest Dermatol Symp Proc 2009; 14:60-2. Science. 2000 Sep 22;289(5487):2126-8. Annu. Rev. Pathol. Mech. Dis. 2010. 5:253-95. Scientific Reports, 26 Oct 2017, 7(1):14110. J Allergy Clin Immunol. 2015 Apr;135(4):936-45.e4. J Neurosci. 2015 Feb 18; 35(7): 3100-3111. Geerlings, M. : In vitro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human skin layers: stratum corneum, epidermis and hypodermis, Technical University Eindhoven, The Netherlands 2006. Ultramicroscopy (2010) 110: 1435-1442. Ultrastruct Pathol. 2013 Aug;37(4):241-8. Cell Death & Differentiation volume 9, pages598-608(2002). J Am Soc Nephrol 26: 1939-1959, 2015. Sci Rep. 2017; 7: 14110.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이 대표적인 장수 인자인 FOXO3와 장수 유전자인 SIRT1를 활성화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은 FOXO3 또는 SIRT1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러플 버섯을 추출하여 트러플 버섯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추출된 트러플 버섯 추출물을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및 초산균(Acetobacter acet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발효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트러플 버섯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 제조를 위한,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 성분이 실제 피부에 적용 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에서 고활성의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하고,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휘발성이 낮고, 조성물이나 피부 상에서 활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의약, 화장료 또는 식품 등으로의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피부에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지의 성분 중 상기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성분은 흔치 않다. 예를 들어, 몇몇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성분들은 시험관 내 실험 시 저 농도에서도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 활성은 우수하나,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떨어져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엔 어렵다. 또 다른 활성 성분들은 친수성이 낮아 의약이나 화장품, 식품으로 제형화가 어렵다. 또한, 몇몇 피부 재생 및 피부결 개선 성분들은 열, 광, 또는 산소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활성 성분이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로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이미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러플 버섯 추출물 및 추출물의 발효물은 저 농도에서 월등히 우수한 FOXO3(실험예 1) 및 SIRT1(실험예 2) 활성 효과를 나타내므로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 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러플 버섯(이하, 트러플이라 할 수 있다)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은 트러플 버섯을 효모와 초산균으로 발효한 추출물의 발효물일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은 FOXO3 또는 SIRT1의 활성을 촉진하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트러플(truffle)"은 송로버섯(西洋松露)이라고도 불리며, 식용 버섯의 하나로, 고급 식재료로 꼽힌다. 자낭균류 Tuber 속에 속한다. 트러플의 종류로는, 블랙 트러플(프랑스로부터 페리고르드(Perigord) 트러플로서도 공지되어 있음, 학명: 투버 멜라노스포룸(Tuber melanosporum)), 이탈리아 화이트 트러플(학명: 투버 마그나툼 피코(Tuber magnatum pico)), 버건디(Burgundy) 트러플(투버 운시나툼(Tuber uncinatum)), 칼라하리(Kalahari) 트러플(테르페지아 페일리이(Terfezia pfeilii)), 라이온(Lion) 트러플(트레페지아 레오니스(Trefezialeonis)), 썸머 트러플(투버 애스티붐(Tuber aestivum)), 윈터 트러플(투버 브루말레(Tuber brumale)), 중국 트러플(투버 시넨시스(Tuber sinensis) 또는 투버 인디쿰(Tuber indicum)) 및 비안케토(Bianchetto) 또는 화이티시(whitish) 트러플(투버 보르키이(Tuber borchii))등이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예방,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탄력 증진"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지방조직의 부피를 증가시켜 늘어진 피부조직을 수축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피부의 탱탱함을 유지 혹은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선"이란 상태의 완화 또는 치료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증진"이란 힘, 능력, 상태 따위가 이전보다 좋아지고 나아지면서 늘어나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더해지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트러플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트러플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또는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트러플을 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조된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에 대해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고, 농축은 감압 농축기 등을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건조는 동결건조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된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에 대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또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의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또는 "발효물"은 미생물(예, 유산균)이 가지고 있는 효능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 또는 이에 따른 생성물을 의미한다. 발효와 부패는 비슷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분해 결과 우리의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고 하고, 악취가 나거나 유해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부패라고 한다. 따라서, 생약재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면 추출물의 독성이 감소되거나, 저분자화되어 소화가 용이하거나, 피부에 도포시 경피 흡수 등이 용이하게 되어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다. 또한, 천연성분들은 그 자체로도 약리 작용을 나타낼 수 있지만, 발효를 통해 약리효과가 더욱 강화되거나 미생물의 대사에 의해 기존 발효 전의 추출물에 없던 약리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발효에는 유산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및 초산균(Acetobacter acet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모는 트러플 추출물을 기질로 발효하는 효모이며, 효모의 종류로는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boulardii, Schizosaccharomyces pombe, Zygosaccharomyces rouxii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초산균은 트러플 추출물의 효모 발효물을 기질로 발효하는 초산균이며, 초산균의 종류로는 acetobacter aceti, Gluconacetobacter liquefaciens, Gluconobacter oxydans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cetobacter aceti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추출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트러플을 용매에 침지하여 추출물을 제조함과 동시에 발효균주를 첨가하여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효물은 효모와 초산균 발효물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1차 발효한 다음, 상기 1차 발효물을 초산균(Acetobacter aceti)으로 2차 발효한 것일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발효한 발효물이, 트러플 추출물, 트러플 추출물의 효모 발효물 및 트러플 추출물의 초산균 발효물 보다 우수한 FOXO3 또는 SIRT1 활성 효과를 보였다(실험예 1 내지 2).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있어, 상기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양태로서,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은 FOXO3 또는 SIRT1의 활성 촉진에 따른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세정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항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인간, 가축, 쥐 등을 포함하는 포유류 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로서,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은 FOXO3 또는 SIRT1의 활성 촉진에 따른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 조성물"이란 '의약외품' 또는 '의약품'의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의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추출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일 투여량은 상기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기준으로 0.1 내지 500 mg/kg이며, 하루 1 내지 6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제제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이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신남산, 아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및 베타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용 연고, 로션 등과 같은 반고형 제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발효물은 FOXO3 또는 SIRT1의 활성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이란, 대상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빈도 또는 양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FOXO3의 활성은, 상기 추출물의 발효물이 FOXO3 단백질의 정량이 증가하는 것을 측정하여 활성이 촉진됨을 확인하였고, SIRT1 (NAD 의존성 히스톤디아세틸라아제)이 기질 펩티드를 절단하면 형광이 방출되는데, 형광빛의 세기를 측정하여, 세기가 강하면 sirt1의 활성이 촉진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하나의 양태로서, 트러플 버섯을 추출하여 트러플 버섯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추출된 트러플 버섯 추출물을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및 초산균(Acetobacter acet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발효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트러플 버섯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단계 추출은, 물, C1-C4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150시간 내지 180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70, 더욱 바람직하게는 168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 발효는,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및 초산균(Acetobacter acet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발효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효모를 이용한 1차 발효 후 초산균을 이용한 2차 발효할 수 있다. 발효는 60시간 내지 120시간일 수 있으며, 1차 발효는 효모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60시간 내지 8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66시간 내지 78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72시간 동안 발효 할 수 있으며, 2차 발효는 초산균을 이용하여 72 시간 내지 12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84시간 내지 108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96시간 동안 발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트러플 추출물의 발효물은 FOXO3 또는 SIRT1의 활성을 촉진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 값은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균등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트러플 버섯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하여 제조함으로써, 더욱 뛰어난 피부 노화 억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트러플 발효물의 F-actin 발현 증진 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트러플 추출물의 제조
트러플에 물을 추가하여 168시간 동안 침지한 후, 버섯 원물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트러플 추출물의 효모 발효물의 제조(트러플+효모)
트러플에 물을 추가하고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여과 과정을 통해 버섯 원물과 균체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트러플+효모' 추출물의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트러플 추출물의 초산균 발효물의 제조(트러플+초산균)
트러플에 물을 추가하고 초산균(Acetobacter aceti KCTC 12290)을 접종하여 96시간 동안 배양한 후, 여과 과정을 통해 버섯 원물과 균체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트러플+효모'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트러플 추출물의 효모 발효물의 초산균 발효물의 제조(트러플+효모+초산균)
트러플에 물을 추가하고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다시 초산균(Acetobacter aceti KCTC 12290)을 접종하여 9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물을 여과 과정을 통해 버섯 원물과 균체를 제거하여 '트러플+효모+초산균' 추출물의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FOXO3 활성 촉진 효과 실험
본 발명에서는 FOXO3 활성 촉진을 평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1) 방법
Human dermal fibroblast에 자외선을 25mJ 조사하고, 상기 시료를 각 농도 별로 48시간 처리하였다. Human FOXO3/FOXO3A ELISA Kit(Sandwich ELISA)법을 이용하여 FOXO3 활성을 평가하였고, 하기의 공식을 이용하여 FOXO3 활성을 계산하였다.
<식 1>
Figure 112020088161718-pat00001
X 100
무처리군: 일반세포
음성대조군: 일반세포에 자외선 조사 (25mJ)
(2) 결과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FOXO3 활성(% of control)
일반세포(무처리군) 100.0
자외선 조사 세포(음성 대조군) 74.4
자외선 조사 세포 + 비교예 1(0.1 중량%) 76.1
자외선 조사 세포 + 비교예 2(0.1 중량%) 80.9
자외선 조사 세포 + 비교예 3(0.1 중량%) 81.5
자외선 조사 세포 + 실시예 1(0.1 중량%) 92.7
자외선 조사 세포 + Resveratrol(양성 대조군, 10ppm) 98.7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FOXO3 활성이 크게 감소하며, 자외선 조사 세포에 트러플 및 트러플 추출물의 발효물을 처리하면 FOXO3 활성은 증가한다.
이때, 트러플에 효모와 초산균을 모두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FOXO3 활성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실험예 2. SIRT1 활성 촉진 효과 실험
본 발명에서는 SIRT1 활성 촉진을 평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1) 방법
Human dermal fibroblast에 자외선을 25mJ 조사하고, 상기 시료를 각 농도 별로 48시간 처리하였다. SIRT1 Activity Assay Kit (Fluorometric) 법을 이용하여 SIRT1 활성을 평가하였고, 하기의 공식을 이용하여 SIRT1 활성을 계산하였다.
<식 2>
SIRT1
Figure 112020088161718-pat00002
X 100
무처리군: 일반세포
음성대조군: 일반세포에 자외선 조사 (25mJ)
(2) 결과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SIRT1 활성(% of control)
일반세포(무처리군) 100.0
자외선 조사 세포(음성 대조군) 80.8
자외선 조사 세포 + Resveratrol(양성 대조군, 10ppm) 97.8
자외선 조사 세포 + 비교예 1(0.1중량%) 83.3
자외선 조사 세포 + 비교예 2(0.1 중량%) 85.7
자외선 조사 세포 + 비교예 3(0.1 중량%) 83.5
자외선 조사 세포 + 실시예 1(0.1 중량%) 87.9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SIRT1 활성이 크게 감소하며, 자외선 조사 세포에 트러플 및 트러플 추출물의 발효물을 처리하면 SIRT1 활성은 증가한다. 이때 트러플에 효모와 초산균을 모두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SIRT1 활성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실험예 3.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실험
(1) 방법
Human dermal fibroblast에 시료를 각 농도 별로 48시간 처리하였다. procollagen type I C-peptide(PIP) EIA kit 법을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률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콜라겐합성 효능은 음성 대조군(serum 0% 함유 DMEM) 대비로 계산하여 수치를 측정하였다.
(2) 결과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콜라겐 합성률(% of control)
일반세포(음성 대조군) 0
일반세포 + TGF-β(양성 대조군, 10ppb) 27.60
일반세포 + 비교예 1(0.1중량%) 6.52
일반세포 + 비교예 2(0.1 중량%) 13.84
일반세포 + 비교예 3(0.1 중량%) 8.37
일반세포 + 실시예 1(0.1 중량%) 22.56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세포에 트러플 및 트러플 발효물을 처리시 콜라겐 합성률은 증가한다. 이때 트러플에 효모와 초산균을 모두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콜라겐 합성률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실험예 4. F-Actin 발현 증진 효과 실험
(1) 방법
keratinocyte에 자외선을 25mJ 조사하고, 상기 시료를 각 농도 별로 48시간 처리하였다. 세포골격 filament(actin)을 염색(ActinRedTM 555 ReadyProbesTM Reagent, ThermoFisher Scientific, USA)으로 시각화하여 Fluorescent microscope(CELENATM S Digital Imaging System, Logos Biosystems, 한국) 기기로 세포골격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2) 결과
상기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보면, 일반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세포골격이 크게 약화하며, 자외선 조사 세포에 트러플 및 트러플 발효물을 처리시 세포골격이 개선된다. 이때 트러플에 효모와 초산균을 모두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세포골격이 가장 큰 개선율을 보였다.
실험예 5. 눈가 탄력 개선 및 안면 리프팅 효과(인체적용 시험)실험
(1) 방법
하기 표 4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체적용 시험 제품을 제조하였다.
No. 성분명 대조군
(중량비)
시제품
(중량비)
1 세테아릴알코올 2 2
2 수크로오스폴리스테아레이트 2 2
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4 PEG-100 스테아레이트 1 1
5 시어버터 3 3
6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5 5
7 다이메티콘 4 4
8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3 3
       
9 정제수 To 100 To 100
10 글리세린 8 8
11 프로판다이올 6 6
12 부틸렌글라이콜 6 6
       
13 정제수 30 30
14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 0.1
15 카보머 0.2 0.2
       
16 트로메타민 0.3 0.3
17 방부제 적량 적량
18 실시예 1 - 0.1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i) 성분 1~8을 함께 계량하여 80도로 가온한다
ii) 성분 9~12를 함께 계량하여 80도로 가온한다
iii) 성분 13에 14~15를 풀어준다.
iv) ii)와 iii)을 섞어 80도를 유지한다
v) iv)에 i)을 투입하여 10분간 유화한다
vi) 50도까지 냉각하여 성분 16~18을 투입하여 5분간 혼합한다.
vii) 30도까지 냉각하여 배출한다.
상기 표 4에 따라 제조한 시제품 및 대조군으로, 하기와 같은 인체적용 시험을 하였다.
1. 연구 대상자: 22명(최종 20명 시험완료, 평균 51.15 ± 5.01세, 여성)
2. 시험기간: 4주(측정 시점: 제품 적용 전,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3. 시험부위: 안면부
4. 제품 적용 방법: 1일 2회(아침, 저녁) 세안 후 크림 단계에서 적당량(100원 동전 크기만큼)을 취해 피부결을 따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부드럽게 펴 바른 후, 양 손바닥으로 얼굴 전체를 가볍게 누르며 흡수시켰다.
5. 평가 방법
1) Cutometer를 이용한 눈가 부위의 피부탄력 평가
Cutometer (MPA580, Courage+Khazaka electronic, Germany)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 눈가 부위의 피부탄력을 평가하였다. 탄력을 측정하는 장비인 Cutometer는 지속적인 음압으로 측정시간 동안 프로브(probe)속으로 피부가 빨려 들어간 뒤 음압이 제거되면 피부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며 측정방법은 기기에 연결된 2 mm 직경의 프로브를 피부에 밀착시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측정조건으로 Mode 1을 사용하였으며 일정하게 유지되는 450 mbar의 음압, suction time 2초, relaxation time 2초의 조건으로 연속 3번 측정한 뒤 산술평균을 구하여 측정결과를 얻었다. 피부탄력과 관련된 파라미터(parameter)는 R2, R5, R7이며 파라미터의 설명과 증가율은 아래와 같다.
R2: Ua / Uf (gross elasticity)
R5: Ur / Ue (net elasticity)
R7: Ur / Uf (biological elasticity)
탄력 변수(R2, R5, R7) 중 1개 이상의 측정값이 증가하면 피부탄력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피부탄력 측정값(R2, R5, R7)의 증가율(%)=
Figure 112020088161718-pat00003
적용전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R2 R5 R7 R2 R5 R7 R2 R5 R7
대조군 0 0 0 0.628 0.503 0.336 0.647 0.514 0.349
시제품 0 0 0 1.186 1.879 2.483 3.147 2.188 3.820
Cutometer를 이용한 눈가 부위의 피부탄력 변수 별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R2값은 제품 적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으로 적용 2주 후 및 적용 4주 후 증가하였으며 각각 1.186%, 3.147%의 증가율을 나타냈고 R5값은 제품 적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적용 2주 후 및 적용 4주 후 증가하였으며 각각 1.879%, 2.188%의 증가율을 나타냈고 R7값은 제품 적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으로 적용 2주 후 및 적용 4주 후 증가하였으며 각각 2.483%, 3.820%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2) Moire 방법 측정기기를 이용한 입가 볼 부위의 안면 리프팅 평가
Moire 방법을 이용하여 입가 볼 부위의 안면처짐 각도(R) 측정값을 평가하였다. Moire 방법 측정기기 및 조명세트와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조명의 밝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화상사진을 촬영하였다. 표준화를 위하여 사진 촬영은 동일 연구자가 시행하였으며 특수 제작된 장비를 통하여 촬영 조건(측정방향 및 위치)을 고정하여 측정하였다. 시험 부위 중에서도 피부의 처짐 현상이 관찰되는 입가 볼 부위를 분석 부위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Moire 방법을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입가 볼 부위의 경우 입술이 끝나는 부위에서 수평선을 그리고 입술이 끝나는 부위와 만나는 등고선의 수직교차선(접선)을 그리며 이들이 이루는 각도(R)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Image-Pro Plus,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값의 감소율(%) =
Figure 112020088161718-pat00004
Moire 방법 측정기기와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가 볼 부위의 안면처짐 각도(R)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R값은 제품 적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으로 적용 4주 후 감소하였고 0.396%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트러플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품 제품은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눈가 부위의 피부탄력 개선 및 적용 4주 후 입가 볼 부위의 안면처짐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적용전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R값의 감소율 R값의 감소율 R값의 감소율
대조군 0 0.002 0.004
시제품 0 0.148 0.396
3) 연구 대상자에 의한 주관적 설문평가
연구 대상자들을 통한 설문조사 결과 연구기간 동안 피부 이상반응과 관련된
특별한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4)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에 의한 피부 이상반응 평가
연구자에 의한 이상반응 평가 결과 연구기간 동안 피부 이상반응과 관련된 특별한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23)

  1. 트러플 버섯 추출물을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및 초산균(Acetobacter aceti)으로 발효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의 추출물인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FOXO3 또는 SIRT1 의 활성을 촉진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트러플 버섯 추출물을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및 초산균(Acetobacter aceti)으로 발효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의 추출물인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FOXO3 또는 SIRT1 의 활성을 촉진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7. 트러플 버섯을 추출하여 트러플 버섯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추출된 트러플 버섯 추출물을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및 초산균(Acetobacter aceti)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제 2단계;
    를 포함하고,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발효는 60 내지 90시간 동안, 및
    초산균(Acetobacter aceti) 발효는 70 내지 120시간 동안 수행되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트러플 버섯 발효물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제 1단계의 추출은,
    물, C1-C4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150시간 내지 180시간동안 침지시켜 추출하는 것인,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트러플 버섯 발효물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200105469A 2019-08-30 2020-08-21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4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893636.9A CN112438912A (zh) 2019-08-30 2020-08-31 含有松露蘑菇提取物的发酵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7148 2019-08-30
KR1020190107148 2019-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13A KR20210027113A (ko) 2021-03-10
KR102494687B1 true KR102494687B1 (ko) 2023-02-02

Family

ID=7514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469A KR102494687B1 (ko) 2019-08-30 2020-08-21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6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8412A1 (en) * 2016-12-20 2018-06-28 Mitani Group, Inc. Cytomimetic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080A (ko) * 2006-12-28 2008-07-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트러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A2954271C (en) * 2014-07-08 2020-08-18 Isp Investments Llc Aqueous extract of truffle and cosmetic composition thereof
KR20170062584A (ko) * 2015-11-27 2017-06-08 예랑영농조합법인 천연 생약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8412A1 (en) * 2016-12-20 2018-06-28 Mitani Group, Inc. Cytomimetic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13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CN106821948B (zh) 将利用银耳菌丝体的松萝发酵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5708B1 (ko) 해삼 유래 사포닌 함유 화장료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한 화장료조성물
KR20150078868A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8986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30114502A (ko)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8029B1 (ko) 라파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4179B1 (ko) 더위지기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보습 및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102494687B1 (ko)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818303B2 (ja) 抗酸化剤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R101560526B1 (ko) 동백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의 오염 방지용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5737A (ko) 산성 이온수를 이용한 새싹 발효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0153B1 (ko) 백강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강잠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1590B1 (ko) 유리딘 함량이 증가된 적채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8979B1 (ko)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US20230270660A1 (en) Silybum marianum (L.) Gaertn. oil for reinforcing the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KR101897570B1 (ko) 한드로안수스 임페티기노수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추출방법
KR20160055118A (ko) 대두, 겨우살이, 모근의 혼합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8657B1 (ko)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4720B1 (ko)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2438912A (zh) 含有松露蘑菇提取物的发酵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