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867B1 - 건성 안 치료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건성 안 치료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867B1
KR102493867B1 KR1020197017112A KR20197017112A KR102493867B1 KR 102493867 B1 KR102493867 B1 KR 102493867B1 KR 1020197017112 A KR1020197017112 A KR 1020197017112A KR 20197017112 A KR20197017112 A KR 20197017112A KR 102493867 B1 KR102493867 B1 KR 102493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detachable member
reservoir
heating mean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531A (ko
Inventor
에드먼드 토마스 퓰러
Original Assignee
라보라뚜와르 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뚜와르 떼아 filed Critical 라보라뚜와르 떼아
Publication of KR2019008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2Steam baths for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2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4Eyes or part of the face surround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9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9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 A61F2007/00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 A61F2007/0062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the gas being steam or water vap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7Details of power supply
    • A61F2007/0078Details of power supply with a batt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using a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4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 및 눈꺼풀을 덮도록 구성된 아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스크는, 전기 가열 수단(14) 및 전기 가열 수단(14)에 전기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15)를 포함하는 본체(1)와,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착탈형 부재(2)를 포함한다. 착탈형 부재는 보유용 오리피스가 마련된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을 포함하고, 보유용 오리피스는 액체, 특히 물을 상기 액체와 오리피스의 벽 사이의 표면 장력의 효과 하에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성 안 치료용 마스크
본 발명은 눈의 각막을 덮는 눈물 막의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눈의 건조에 대해 작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 및 눈꺼풀을 덮도록 구성된 아이 마스크(eye mask)에 관한 것이다.
눈의 각막 상에 존재하는 눈물 막은 눈꺼풀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분비샘, 즉 마이봄샘(meibomian gland)에 의해 분비된 복합 지질(마이봄; meibum)에 의해 구성되는 수성 지질층 또는 유층으로 지칭되는 층을 비롯하여 여러 개의 연속 층을 포함한다.
지질층은 눈물 막의 최외부층을 구성하고 눈물에 함유된 물의 빠른 증발을 방지한다. 마이봄샘의 기능 장애는 분비샘을 차단하는 정상보다 두꺼운 분비물을 초래하여 이들 분비물이 눈물 막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눈의 건조 느낌, 이물질의 존재 느낌("모래알" 느낌), 눈꺼풀의 염증, 분비샘의 부종, 및/또는 시야 장애가 유발된다.
마이봄샘의 차단 해제는 열의 영향 하에 획득될 수 있고, 지질 분비물은 열의 영향 하에 유체 및 액체로 된다. 최적의 결과는 수증기로 포화된 고온 공기(약 50℃)의 영향 하에 달성된다. 더욱이, 양호한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포화된 고온 공기에서 10분 정도의 충분한 지속 시간이 요구된다.
문헌 EP 2961363호는 치료 지속 시간 동안 디바이스에 충분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상-변화 재료, 및 물 저장조를 포함하는 아이 마스크 유형의 치료 디바이스를 제시한다.
그러나, 그러한 디바이스는 특정 개수의 사용 제약을 제시한다. 디바이스는 상-변화 재료를 액화시키도록 사용 전에 가열되어야 하는데, 이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다. 게다가, 마스크의 적용 전체에 걸쳐 온도의 제어가 불완전하다. 담고 있는 물이 또한 가열되어야 하며, 그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가 클 수 있다. 게다가, 다공성 부재를 채용하여 디바이스를 물로 채우는 것은 간소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디바이스는 차폐되어, 사용자가 그 적용 중에 볼 수 없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해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 및 눈꺼풀을 덮도록 구성된 아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전기 가열 수단 및 전기 가열 수단에 전기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착탈형 부재를 포함한다. 착탈형 부재는 보유용 오리피스가 마련된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을 포함하고, 보유용 오리피스는 액체, 특히 물을 상기 액체와 오리피스의 벽 사이의 표면 장력의 효과 하에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은 유리하게는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눈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마스크는 용이하고 자주적인 방식으로 마이봄샘의 충혈 완화에 의해 눈의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배터리의 사용은, 마스크가 외부 에너지원에 연결되는 일 없이, 특히 사용자에 의한 마스크의 착용 중에 마스크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가열 및/또는 온도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표면 장력의 효과 하에 물을 유지함으로써 저장조를 형성하는 착탈형 부재는, 용이한 충전 후에, 마스크 내에 충분한 양의 물(또는 다른 액체 또는 용액)을 담아 적용 지속 시간 동안 마스크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증기로 포화 가능하게 한다. 물과 오리피스의 벽 사이의 표면 장력의 효과 하에 물을 보유하는 오리피스를 채용하는 액체(일반적으로 물)용 저장조의 특별한 구성은, 적용 시작 시에 마스크에 담긴 물의 양의 정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의 구성은 사용자의 눈 주위에 액체(일반적으로 물)의 양호한 저장 분포를 제공하고, 균일하게 포화된 공기가 마스크 내에 획득되게 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또한 사용자의 눈 앞에서 클리어런스를 증가시켜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눈을 깜박거리게 한다.
착탈형 부재는,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을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얼굴과 기밀성을 제공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별개의 피스들에 의해 구성되고, 제1 부분은 소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며 제2 부분은 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착탈형 부재 또는 부분은 유리하게는 공기에 대해 밀봉되는 사용자의 눈 앞에 체적을 형성하도록 본체의 내벽에 대해 기밀성이다.
더욱이, 착탈형 부재의 제2 부분은 본체의 내벽에 대해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마스크의 실시예에서, 보유용 오리피스는 크기 및 개수에 관하여 0.5 g 내지 1.5 g의 물, 바람직하게는 0.7 g 내지 1 g의 물을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착탈형 부재가 본체에 연결된 경우,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은 본체의 내부면과 접촉하며, 가열 수단은 상기 내부면을 가열시키도록 구성된다.
착탈형 부재는 본체의 내부면과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의 외부면 사이의 형상 합치에 의해 본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및 배터리에 의한 가열 수단의 전기 공급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온도 센서와 조절 수단은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본체를 수용하고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여 본체의 배터리를 재충전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세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세트는, 상기 본체가 베이스 상에 수용된 경우, 상기 본체의 전기 공급이, 가열 수단이 배터리에 의해 전기 공급되는 일 없이 가열 수단의 가열을 추가로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는 마스크의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공부는, 착탈형 부재가 상기 본체에 연결된 경우, 마스크의 본체가 상기 베이스 상에 수용되지 못하게 하는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는 착탈형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세트는 저장조를 형성하는 상기 벽의 충전을 위해 착탈형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는 상기 리셉터클이 비워져 있을 때에 리셉터클을 수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마스크의 본체 또는 베이스는 원격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법은,
-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의 오리피스를 액체로 충전하는 단계;
- 착탈형 부재를 본체에 연결하는 단계;
- 배터리에 의해 가열 수단에 전기 공급하는 단계;
- 소위 적용 시간의 전체 또는 일부 동안에 가열 수단의 전기 공급을 조절하여, 마스크의 내부 공간 내에 수용된 공기를 적용 시간의 전체 또는 일부 동안에 미리 정해진 온도 범위 내에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성 및 이점은 아래의 설명에서 나타날 것이다.
비-제한적인 예로 제공되는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3차원의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의 착탈형 부재의 상세도를 3차원의 제1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마스크의 착탈형 부재의 상세도를 3차원의 제2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마스크 및 베이스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트의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세트의 3차원 개략도를 도시하고, 베이스는 특히 마스크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수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다. 마스크는 본체(1)를 포함한다. 마스크가 아이 마스크이기 때문에, 본체(1)는 착용자의 눈을 포함하는 안면 구역의 형상에 정합하고 안면 구역을 덮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체는 전방 구역(12)을 둘러싸는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구역은 투명할 수 있다. 전방 구역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유리로 형성되어, 마스크의 사용자가 그 적용 동안 볼 수 있게 한다. 프레임(11)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코의 통과를 위한 하부 컷아웃(13)을 가질 수 있다. 본체는 마스크의 내부 체적에 대응하는 내부 체적을 형성하며, 이 내부 체적 내에서 액체(통상적으로 물)의 증기가 포화된 공기의 획득이 마스크의 사용 중에, 즉 적용 기간 중에 추구된다.
본체는, 본체가 포함하는 배터리(15)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통상적으로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 수단(14)을 포함한다. 배터리는 특히 프레임(11)의 상부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수단(14)과 배터리(15)가 본체의 내측에 있기 때문에, 이들은 본 발명의 적절한 이해를 위해 도 1에서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배터리는, 충전된 배터리 또는 예를 들어 오작동의 경우에 새로운 배터리에 의해 필요하다면 교체될 수 있도록 본체(1)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배터리는, 예를 들어 본체(1)의 표면 상에 제공된 트랩 도어를 통해 접근 가능할 수 있다.
가열 수단(14)은 유리하게는 본체(1)의 내부면의 주변부에 분포된다. 마스크에 포함된 공기가 충분한 시간 동안(예를 들어, 10분 정도) 포화될 수 있게 하는 양의 물을 기화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로 가열 수단이 가열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재충전 가능한 리튬 배터리가 채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체는 또한 마스크 내의 공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 또는 센서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온도 조절 시스템을 통해 가열 수단에 연결되어 치료 중에 온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본체(1)는 또한 마스크가 사용 중에 적소에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지탱 수단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스트랩이 그러한 목적을 위해 성공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탄성 스트랩은 마스크가 사용될 때에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지나도록 치수 결정된다.
마스크는 또한 착탈형 부재(2)를 포함한다. 착탈형 부재(2)는 본체(1)에 부착되거나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에서, 착탈형 부재는 밀봉 및 액체 저장조의 이중 기능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 예에서, 착탈형 부재(2)는 저장조의 기능을 갖는 제1 부분(3), 및 밀봉 기능 또는 기능들을 제공하는 제2 부분(4)을 포함한다. 제1 부분(3)과 제2 부분(4)은 서로 연결된 별개의 피스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부분(4)은 제1 부분(3) 상에 몰딩될 수 있다.
저장조 기능은 착탈형 부재(2)의 벽(31)에 의해 제공된다. 벽(31)에는 구멍(32)이 마련된다. 구멍(32)은 제시된 실시예에서 벽(31)을 통해 연장되는 관통 홀이다. 이들 오리피스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원통형 중실체의 형상을 갖는 벽(31) 내의 오리피스(32)를 형성하는) 원형 홀이 유리하게 채용될 수 있다. 그러한 오리피스는 산업적 규모의 제조의 맥락에서, 특히 직접 몰딩 또는 보링(boring)에 의해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다. 게다가, 원형 홀은 세척이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원형 홀은 (다른 기하학적 형태의 홀과 비교하여) 이 원형 홀이 보링되는 부재의 강성 손실을 제한한다.
오리피스(32)는, 착탈형 부재(2) 또는 오리피스(32)를 포함하는 착탈형 부재(2)의 적어도 제1 부분(3)이 침지될 때에 물이 오리피스 안에 쉽게 침투할 수 있고, 착탈형 부재가 물에서 나올 때에 오리피스(32)의 벽에 의해 생성된 표면 장력의 효과 하에 물(또는 다른 액체)이 보유되게 할 수 있도록 치수 결정된다. 원형 홀의 경우에, 오리피스(32)의 직경은 1.00 내지 1.50 mm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리피스들 모두가 1.30 m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오리피스의 개수는, 액체의 양이 과도하여 증발을 어렵게 만들고 에너지를 크게 소비하는 일 없이, 마스크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전체 적용 시간 동안 마스크 내에 해당 액체의 증기로 포화된 공기의 존재를 보장하기에 충분한 액체(일반적으로 물)를 저장조가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에 충분한 용량의 배터리를 갖추는 것이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물 보유 오리피스의 크기 및 개수는, 예를 들어 0.3 g 내지 2.5 g의 물, 바람직하게는 0.5 g 내지 1.5 g의 물,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7 g 내지 1 g의 물(또는 특히 그 질량 및 오리피스에 대해 생성된 표면 장력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다른 액체)을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보유할 물의 양은 사용 중에 마스크 내에 유지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좌우되므로, 마스크의 내부 체적에 따라 구성되게 된다. 마스크 내에 포획된 150 ml 정도의 공기의 내부 체적이 고려된다면, 50℃의 온도에서 포화에 필요한 물의 양은 완전히 건조한 공기에서 시작하여 0.0125 g이다. 따라서, 필요한 물의 양은 적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스크의 사용 중에 증발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양의 물이 담겨야 한다. 테스트에 따르면, 0.5 g 미만의 물의 양을 사용하면, 대략 10분간 지속되는 마스크의 적용 전체에 걸쳐 증발을 제어하기가 어려워, 저장조를 형성하는 부분이 적용 시간의 종료 시에 완전히 비워져 건조될 수 있고, 이는 최적의 결과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마스크는 1.10 내지 2.15 ㎜로 구성되는 평균 두께의 벽에 제공된 1.30의 평균 직경을 갖는 510개의 오리피스(32)를 포함한다.
더욱이, 담을 물의 최대 양은 본질적으로 그 증발에 필요한 에너지의 양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150 ml 정도의 사용 중인 마스크의 내부 체적에 대해 구상 중인 0.5 g의 질량보다 현저히 많은 물, 예를 들어 최대 1.5 g을 담을 수 있는 저장조를 형성하는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게다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저장조를 형성하고, 최대 1.5 g의 물의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오리피스(32)를 포함하는 부재는, 저장조를 형성하는 상기 부재가 천천히 그리고 거친 동작 없이 조작되는 경우, 임의의 특별한 예방책 없이 조작되거나 드립-드라이될(drip-dried) 때에 0.7 g 내지 1 g의 물을 보유할 수 있고, 이는 150 ml 정도의 내부 체적을 갖는 마스크에 대해 담을 물(또는 액체)의 이상적인 양에 상응한다는 것을 알았다.
마스크에 존재하는 물의 증발 및 공기의 포화를 위해 마스크의 사용 중에 제공할 에너지에 관하여, 제공된 에너지의 3/4이 주변에 대한 열 손실로서 사라진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0.5 g의 물이 증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대략 8 와트에서 10분의 가열은 4.8 kJ을 제공하고, 이는 0.5 g의 물의 증발에 필요한 에너지의 대략 4배이다. 이는 예상 손실을 보상한다.
물론, 마스크 내에 유지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좌우되는 증발할 물의 양에 따라, 요구되는 에너지는 유사한 방식으로 근사치로 계산되고, 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실제로, 마스크 내에 수용된 공기를 마스크의 적용 전체에 걸쳐서 적절한 온도로 또는 예를 들어 3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8℃로 구성되는 적절한 온도 범위 내에 유지하도록 온도 조절이 수행된다. 각막 수 밀리미터 앞에서의 내부 증기/공기 온도는 치료 중에 이상적으로는 약 40℃이다. 치료의 효능은 증기/공기 온도뿐만 아니라 시스템 내부의 공기의 포화 및 이동 수준(증기/공기 혼합물의 이동)에 따라 좌우된다.
온도 조절은 가열 수단(14)에 대한 공급 전력의 조절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전력의 조절은 적절한 전력을 인가하는 것,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가열 수단(14)의 주기적 활성화 및 턴오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예를 들어, 임의의 화상 위험을 피하기 위해) 조절과는 관계없이 가열 전력이 제한된다.
착탈형 부재(2)는 사용자의 눈을 둘러싸도록 정합된다. 특히, 착탈형 부재(2)의 벽(31)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도록 정합될 수 있다. 착탈형 부재(2)는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형상 또는 삽입 피팅의 합치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본체(1)의 내부 형상의 부분과 합치하는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형상 합치를 갖는 부분은 오리피스(32)를 포함하는 벽(31)의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리피스(32)를 포함하는 착탈형 부재(2)의 이 부분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먼 쪽인 부분(33)에 대응한다.
착탈형 부재(2)의 제1 부분(3)은,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의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강성이고, 즉 마스크가 사용자의 얼굴에 적용될 때에 거의 변형되지 않는 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예에서, 액체가 사용자의 눈 주위에 분포되는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32)가 벽(31)에 걸쳐 분포된다. 특히, 오리피스(32)는 벽(31)에 걸쳐서 4개의 오리피스 그룹, 즉 착탈형 부재(2)의 상부에 있는 상부 그룹, 착탈형 부재(2)의 하부에 있는 하부 그룹, 착탈형 부재(2)의 우측 측방향 부분(즉,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우측)에 위치된 제1 측방향 그룹, 및 착탈형 부재(2)의 좌측 측면 부분(즉, 마스크 착용한 사용자의 좌측)에 위치된 제2 측방향 그룹으로 분포될 수 있다.
사용자의 눈 주위에서 오리피스의 분포는 여러 개의 장점을 갖는다. 이 구성은 사용자의 눈 앞에서 클리어런스를 증가시켜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눈을 깜박거리게 한다. 깜박거림은 마이봄샘을 차단 해제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포화된 고온 공기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한 마스크의 벽이 저장조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 벽은 다른 기능에 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벽이 마스크의 사용 중에 선명한 시야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가열 수단은 본체(1)의 내부면의 주변부에 분포되어 오리피스(32) 내에 수용된 액체를 열 전도에 의해 가열한다. 프레임(11)의 상부 구역 내의 배터리의 위치뿐만 아니라 마스크의 이러한 구성은 마스크의 외팔보 중량(바꿔 말해서, 마스크의 대부분의 중량은 마스크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의 얼굴 근처에 있음)을 감소시킨다. 이는 마스크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몇 개의 그룹으로,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오리피스 그룹으로의 분포는 착탈형 부재(2)의 제조 시에 오리피스가 그룹별로 생성되게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동일한 그룹의 오리피스는 서로 평행한 축선들과 일직선 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배향은 오리피스의 일반적인 연장 방향, 즉 오리피스가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경우에 원통의 주축에 대응한다.
위에서 정의된 4개의 그룹의 경우, 상부 및 하부 그룹의 오리피스는 제1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측방향 그룹의 오리피스는 제2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방향은 서로 직각일 수 있다.
제1 부분(3)을 몰딩할 때에 획득되는 오리피스(32)의 경우, 오리피스의 배향은 몰드의 체적을 통과하는 원통형 핀에 의해 정해진다. 산업적 맥락에서, 이들 핀은 동일한 오리피스 그룹에 대해 서로 평행한다. 오리피스 그룹은 중실 구역(38)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중실 구역은 증발할 물의 마스크 내의 분포를 너무 많이 저하시키는 일 없이 제1 부분(3)을 몰딩할 때에 툴링(tooling) 대신에 퍼팅(putting)을 용이하게 한다.
오리피스의 방향이 모든 오리피스에 대해 벽(31)에 엄밀히 수직일 필요는 없기 때문에, 오리피스(32)는 오리피스의 주축에 따라 배향된 직선형 원통과 벽(31)의 복잡한 형상의 교차에 의해 원형 오리피스에 대해 정해진 약간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3)은 공동으로 저장조를 형성하는 오리피스(32) 이외에 다른 주목할만한 기능 부재를 갖는다. 오리피스(32)는 착탈형 부재(2)가 본체에 연결될 때에 본체(1)의 가열 수단(14)에 대면하게 또는 가열 수단에 붙여 위치 결정되어야 하는 반면, 상기 가열 수단(14)은 액체의 증발을 위해 가열 수단(14)에 의해 발생된 열이 마스크의 사용에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사용자의 피부 및 눈으로부터 충분한 거리에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부분(3)은 사용자의 얼굴과 관련하여 근위 부분(34)으로 지칭되는, 사용자의 얼굴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 큰 크기의 개구(35)를 포함한다. 그 부분은 일반적으로 제1 부분(3)과 제2 부분(4) 사이의 결합부 근처의 부분이다.
개구(35)는 유리하게는 제1 부분(3)이 마스크의 사용 시에 쉽게 손상되거나 쭈그러지지(변형되지) 않는 충분한 강도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면서 가능한 한 큰 치수를 갖는다. 바꿔 말해서, 이러한 강도 특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재료 스트립(36)이 유지된다.
개구(35)는 유리하게는 착탈형 부재의 내부 공간(벽(31)에 의해 획정됨)을 향해 배향된 각도를 갖는 크고 작은 영역(각각 재료 스트립(36)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대응함)을 가짐으로써, 액체가 마스크의 적용 중에 해당 구역에서 응축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향하게 한다.
제1 부분(3)의 벽(31)은, 또한 제1 부분(3)의 상기 벽(31)이 착탈형 부재(2)가 상기 본체에 연결될 때에 본체(1)에 의해 구성되는 온도 센서(또는 센서들)를 차단하지 않아서 상기 온도 센서가 가능한 최상으로 마스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게 하도록 치수 및 위치 결정되는 구멍(37)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의 내부 공간의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의 온도 측정은 마스크의 사용 중에 가열 수단(14)의 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착탈형 부재(2)의 밀봉 기능은 사용자의 얼굴에 관한 착탈형 부재(2)의, 그리고 이에 따라 보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자의 얼굴에 관한 마스크의 밀봉에 관한 것이다. 착탈형 부재의 밀봉 기능은, 또한 액체(일반적으로 물)의 증기로 포화된 공기가 마스크의 적용 중에 사용자의 눈 앞에서 유지되는 밀봉된 내부 체적을 마스크 내에 형성하도록 본체(1)에 대해 착탈형 부재(2)를 밀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밀봉에 의해, 주위 대기로의 상당한 누출 없이 마스크의 내부 체적 내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기밀이 생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시스템은 특히 마스크 내에 수용된 공기의 온도 2℃(또는 그 이하)의 온도 강하를 발생시키는 공기 누출을 보상하도록 치수 결정될 수 있다.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착탈형 부재(2)의 제2 부분(4)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인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예를 들어, 고무 기반 또는 실리콘 기반)가 채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에 관한 밀봉과 관련하여, 이 밀봉은 제2 부분(4)의 사용자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획득된다. 접촉은 사용자의 눈을 둘러싸는 폐쇄된 선 또는 스트립을 따라 실질적으로 형성된다. 피부와의 양호한 접촉을 위해, 제2 탄성 부분(4)은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맞도록 변형될 수 있다. 물론, 가능한 한 많은 사용자에게 완벽하게 맞도록, 제2 부분(4)의 형상은 얼굴의 형태 또는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 형상에 가장 잘 맞는 착탈형 부재(2)를 선택하고 사용하게 할 수 있도록, 제2 부분(4),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얼굴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구역과 관련하여 상이한 형상을 갖는 착탈형 부재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부분(4)은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마스크의 유일한 부분일 수 있다. 착탈형 부재(2)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가장 잘 부합하도록 뿐만 아니라 위생상의 문제를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사실상, 환자는 의료 전문가의 처소에서 치료를 받거나 또는 가능하게는 디바이스를 빌리거나 대여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손상된 눈물 막 및 때로는 후속 사용자에게 전달할 전염성 상태를 갖는 개인에 의한 위험이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사용자들 사이에 디바이스를 세척하고 오염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디바이스 공급업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것의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고 임의의 경우에 일관성이 없고 불편하게 된다. 마스크는 사용자들 사이에 효과적으로 오염 제거하기가 어렵다. 내부 전기 회로 등을 갖는 다중 부품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마스크를 고압 살균하거나 또는 살균액에 담글 수 없다.
또한, 사적인 개인 요법을 이유로 중고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환자의 저항이 인지되고 있다. 특히 어떤 다른 사람에 의해 이미 사용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전문가들로부터의 추가의 인지된 저항이 존재한다.
착탈형 부재(2)는 각 사용자 사이에 변경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간단한 구성(예를 들어, 고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제1 부분(3)과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제2 부분(4)이 있는)을 갖는 착탈형 부재는 고압 살균 오염 제거 또는 살균액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오염 제거될 수 있다.
본체(1)에 관한 밀봉과 관련하여, 밀봉은 여기서 제시된 예에서 착탈형 부재(2)의 제2 부분(4)에 의해 제공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별개의 시일이 채용되어 이러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2부품 착탈형 부재(2)를 사용하는 다른 이점은 강성의 제1 부분(2)이 연질 또는 가요성의 제2 부분에 강성을 제공하고 강성 부분으로서 작용한다는 것이다. 착탈형 부재(2)는 탄성 부분을 마스크의 본체에 끼우도록 신장시키는 일 없이 한번의 용이한 동작으로 사용을 위해 마스크에 끼워질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가 필요에 따라 규칙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와 관련하여 중요하다. 마스크의 적용 시작 시에, 저장조를 함께 형성하는 오리피스(32)는 액체, 예를 들어 물로 충전된다. 충전은, 예를 들어 액체로 채워진 용기 내에 착탈형 부재(또는 오리피스(32)를 포함하는 착탈형 부재(2)의 적어도 일부)를 침지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착탈형 부재(2)는 본체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착탈형 부재(2)는 본체에 클립 체결되거나 또는 본체와 삽입 끼워맞춤을 갖는다.
착탈형 부재(2)를 갖는 다른 이점은 착탈형 부재(2)가 본체(1)에 끼워지지 않은 경우에 마스크가 사용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착탈형 부재가 없을(그리고 본체(1)의 주요 부분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상에 있지 않을) 때에, 가열 수단(14)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고 및/또는 본체의 형상은 마스크가 착탈형 부재(2) 없이 착용될 수 없도록 될 수 있다. 이는 물 캐리어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로 디바이스를 사용할 가능성을 제거하여 사용 안전과 마스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체는 착탈형 부재를 제위치에 놓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외부 에너지원에 의해 예열되었을 수 있어, 마스크의 적용 동안 배터리(15)에 의한 가열 수단(14)의 전기 공급은 오직 마스크 내의 공기를 원하는 온도, 예를 들어 38℃ 내지 48℃의 온도 범위에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단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면, 배터리가 가열을 위한 역할을 했을 때보다 작은 크기 및 중량의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게 되어, 마스크가 착용될 때에 사용자에게 장치의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착탈형 부재(2)가 본체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예열은 마스크가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되기 전에 액체 증발을 피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마스크를 자신의 얼굴에 위치시킨다. 마스크의 내부 공간은 저장조를 형성하는 오리피스(32)로부터 나오는 증기(예를 들어, 물)로 빠르게 포화된다.
최적의 적용 시간은 10분 정도이다. 이 시간은 마이봄샘에 의해 축적된 분비물을 유체로 될 수 있게 하고, 분비물의 충혈 완화(decongestion)를 시작하게 할 수 있다. 충혈 완화는 유리하게는 마스크의 적용 후에 눈꺼풀의 마사지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전술한 마스크 및 베이스(5)를 포함하는, 본 발명이 또한 관련된 세트의 2개의 도면을 나타낸다.
베이스(5)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 마스크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특히, 베이스(5)는 유리하게는 착탈형 부재 없이 본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5)는 본체(1)의 내부 형상과 실질적으로 합치하는 형상의 중공부(51)를 갖지만, 착탈형 부재(2)가 본체(1)에 연결된 경우에는 본체를 중공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없게 한다.
베이스(5)는 착탈형 부재(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5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는 또한 착탈형 부재(2)의 오리피스(32)의 액체로 충전하도록 된 리셉터클(6)용 수용 수단(53)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6)은 착탈형 부재(2)의 오리피스(32)를 침지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갖는다. 리셉터클의 형상은 리셉터클의 충전에 필요한 액체의 양을 제한하도록 착탈형 부재(2)의 벽(31)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공동을 갖도록 되어 있다.
2개의 부재로서 마스크뿐만 아니라 리셉터클(6)을 수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베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세트를 구성하는 부재들(본체(1)와 착탈형 부재(2)를 포함하는 마스크, 베이스(5) 및 리셉터클(6))이 특히 디바이스가 사용 사이에 보관될 때에 집중화될 수 있게 한다.
베이스(5)는 본체의 전기 공급이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5)는 적합한 변압기를 통해 전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54)를 적절한 곳에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의 전기 공급은 본체(1)의 배터리가 재충전될 수 있게 한다. 이 재충전은 중공부(51) 내의 전기 접점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체는 대응하는 접점을 포함한다. 재충전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유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기 접점을 통해 재충전하는 경우, 시스템은, 예를 들어 30분 내지 1시간 범위의 시간 내에 배터리의 재충전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의 전기 공급은 또한 본체의 가열 수단(14)이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즉, 그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터리(15)를 채용하는 일 없이). 이는 베이스에 의한 본체의 전기 공급이 물리적 접촉에 의해 제공될 때에 가능하다. 이는 마스크의 사용 전에 가열 수단이 일정 온도로 되게 할 수 있어, 저용량의 배터리의 사용 및 빠른 온도 상승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온도 상승은 상기 온도 상승이 빠르게 되도록 높은 전력으로 전달되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그러한 전력은 자주적 사용을 위해 수용 가능한 체적과 질량의 마스크에 구비된 배터리에 의해 전달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예열은 18 와트 정도의 전력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일례로 20℃ 정도의 주변 온도로부터 시작하여 3 내지 5분 이내에 원하는 온도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마스크 내에 원하는 온도가 달성된 후에, 사용자가 마스크를 베이스(5)로부터 취출하기를 기다리면서 마스크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가열 수단의 공급 전력이 (예를 들어, 대략 6 와트로) 감소된다. 임의로, 온도 유지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취출하여 치료를 수행하도록 이용 가능한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량 동안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그 시간이 경과되면, 가열 전력은 남용되거나 원하지 않은 에너지의 소비를 피하고 가열 수단의 수명을 최적화하도록 차단된다.
따라서, 베이스(5), 마스크, 및 리셉터클(6)을 포함하는 세트는 이하의 순서로 사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6)은 수용 수단(53)으로부터 분리되고, 액체, 예를 들어 물로 충전된다. 착탈형 부재(2)는 하우징(52)으로부터 인출되어,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 액체 내에 잠겨서, 착탈형 부재(2)의 오리피스(32)가 액체로 충전된다. 착탈형 부재(2)는 리셉터클로부터 취출된다. 마스크의 본체는 가능하게는, 예를 들어 전술한 단계 이전에 그 가열 수단의 활성화에 의해 베이스(5) 상에서 예열될 수 있다.
예열에는 몇가지 이점이 있다. 예열은 특히 차가운 액체, 예를 들어 물에 의한 착탈형 부재의 충전에 의해 유도된 온도 강하를 효율적으로 보상할 수 있게 하며, 착탈형 부재는 이어서 예열된 본체에 연결된다. 예열은 적용 시에 마스크의 빠른 온도 상승을 가능하게 하여 원하는 구역에서 빠른 열 전달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적용 시간 동안 치료 효과를 최적화한다.
부재들이 물로 충전된 착탈형 부재(2)는 가능한 초과 액체를 제거하도록 리셉터클(6) 위에서 임의로 약간 드립-드라이될 수 있다. 착탈형 부재(2)는 본체(1)에 연결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마스크의 착용에 의해 유도된 온도 강하, 및 특히 차가운 액체, 예를 들어 물에 의한 착탈형 부재 - 예열된 본체에 연결됨 - 의 충전에 의해 유도된 온도 강하를 보상하도록 가열 전력이 설정되는 미리 정해진 적용 시간 동안 마스크를 자신의 얼굴에 위치시킨다. 예를 들어, 보상은 구비된 배터리에 의한 9 와트 정도의 전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 전력은 또한, 예를 들어 5 내지 6 와트 정도의 전력을 통해 치료 동안 온도의 유지를 보장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적용 시간이 경과하면, 적용 후에 디바이스를 다시 베이스(5) 상에 배치하도록 간헐적인 독촉을 제공하는 전자 비퍼가 있을 수 있다. 베이스는 본체(1)를 재충전하고 착탈형 부재(2)를 건조시킬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는 베이스 상에서만 다음 작동 사이클을 위해 시작될 수 있다.
적용 시간의 경과 후에,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제거된다. 사용자는 마이봄샘의 차단 해제를 개선하도록 수동으로 눈의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착탈형 부재의 오리피스에 존재하는 물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적용 중에 증발되었다. 착탈형 부재(2)를 빼내고, 예를 들어 세척액에 담궈서 미생물의 성장을 제한함으로써 임의로 세척할 수 있다. 본체(1)는 베이스 상에서 중공부(51) 내에 재위치된다. 이어서, 가열 수단의 임의적 구동 단계가 수행되어, 마스크의 적용 중에 본체 상에 퇴적되거나 형성될 수 있는, 가능한 남아 있는 액체를 본체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이는 마스크 상에서 가능한 미생물 성장을 제한하거나 피한다.
착탈형 부재(2)는, 가능하게는 닦은 후 베이스(5) 상에서 하우징(52) 내에 보관되고, 가능하게는 베이스 상에서 건조될 수 있다. 리셉터클(6)을 비우고 가능하게는 건조시키면, 리셉터클은 또한 베이스(5) 상에서 수용 수단(53) 상에 보관될 수 있다.
베이스 및/또는 마스크에는 마스크의 배터리의 충전 및 가능하게는 가열 수단의 예열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가 마련된다. 마스크에는 적용이 관리될 수 있게 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마련된다. 특히, 수단은 마스크의 적용 지속 시간이 타이밍에 맞게 하고, 원하는 적용 지속 시간의 경과를 (가청 및/또는 가시 신호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일부 변형예에서, 이 적용 지속 시간은 제어될 수 있다. 적용 또는 치료 시간의 제어는 가열 수단의 수명이 최적화되게 할 수 있다.
작동 시간 및 온도는 제조 시에 설정될 수 있지만 임의로 프로그래밍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따라 적용 중에 적용 지속 시간 및 온도를 조정하고 필요하다면 지속 시간 및 온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임의로 재프로그래밍 가능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재프로그래밍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또는 전용 재프로그래밍 유닛과 같은 외부 시스템 상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마스크에서 조절하도록 적용 시간 길이 및 온도 또는 온도 범위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외부 시스템은, 예를 들어 무선 링크(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를 통해 재프로그래밍을 위해 마스크와 통신한다.
마스크(특히, 마스크의 본체(1))는 외측으로부터 및/또는 내측으로부터(즉,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볼 수 있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기반의 하나 이상의 발광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인디케이터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 충전이 되고 있다는 사실, 디바이스의 온 또는 오프 상태, 가열 수단의 활성화, 원하는 적용 시간의 경과 등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 가능할 수 있다.
마스크(특히, 마스크의 본체) 및/또는 베이스(5)는 소위 연결된 대상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및/또는 베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 및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될 수 있다. 베이스는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및/또는 스테이션은 전자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는 마스크의 사용, 유지 등에 관한 정보와 관련될 수 있다.
연결은, 예를 들어 의사에게 환자가 일마다, 주마다, 월마다 마스크를 얼마나 자주 사용했는지를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어 의사와의 약속 시간마다 사용을 후속 조치한다. 이 연결 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어 치료의 시작과 끝에 기록된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마스크 또는 베이스는 적용 중에, 예를 들어 적용 시간, 가열 온도 또는 온도 프로파일과 관련하여 원격 프로그래밍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은 또한 마스크의 본체와 베이스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마스크와 베이스가 정보를 교환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마스크의 프로그래밍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를 마스크에 전송하는 베이스에 제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사용 중에 마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는 베이스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본 발명은, 마이봄샘이 원하는 적용 시간 동안 통상적으로 수증기로 포화된 고온 공기를 받게 하여 눈의 각막을 덮는 눈물 막의 품질을 개선시킴으로써, 건성 안에 대해 작용되게 할 수 있는 자주적인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마스크는, 마스크의 적용 시간 동안 물이 증발되게 할 수 있는 가열 수단뿐만 아니라 적어도 적용 시간 동안 마스크에 원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 수단이 공급 받게 할 수 있는 에너지원, 즉 전기 배터리를 마스크가 포함한다는 점에서 자주적이다. 더욱이, 물과 오리피스의 벽 사이의 표면 장력의 효과 하에 물을 보유하는 오리피스를 채용하는 액체(일반적으로 물)용 저장조의 특별한 구성은, 적용 시작 시에 마스크에 담긴 물의 양의 정밀한 제어뿐만 아니라 용이한 충전 및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6)

  1. 사용자의 눈 및 눈꺼풀을 덮도록 구성된 아이 마스크이며,
    - 전기 가열 수단(14) 및 상기 전기 가열 수단(14)에 전기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15)를 포함하는 본체(1);
    - 상기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착탈형 부재(2)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형 부재(2)는 보유용 오리피스(32)가 마련된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용 오리피스는 액체를 상기 액체와 오리피스(32)의 벽 사이의 표면 장력의 효과 하에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아이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은, 상기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이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눈을 둘러싸도록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정합되고,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한 마스크의 벽은 저장조로 사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부재(2)는,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을 포함하는 제1 부분(3), 및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얼굴과 기밀성을 제공하는 제2 부분(4)을 포함하고, 제1 부분(3) 및 제2 부분(4)은 일체로 연결되는, 아이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3)과 상기 제2 부분(4)은 별개의 피스들에 의해 구성되고, 제1 부분(3)은 소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며 제2 부분(4)은 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아이 마스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부재(2)는, 공기에 대해 밀봉되는 사용자의 눈 앞에 체적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1)의 내벽에 대해 기밀성인, 아이 마스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부재(2)의 제2 부분은 상기 본체(1)의 내벽에 대해 기밀성을 제공하는, 아이 마스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용 오리피스(32)는 0.5 g 내지 1.5 g의 물, 또는 0.7 g 내지 1 g의 물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아이 마스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부재(2)가 상기 본체(1)에 연결된 경우,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은 상기 본체(1)의 내부면과 접촉하고, 상기 가열 수단(14)은 상기 내부면을 가열시키도록 구성되는, 아이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부재(2)는 상기 본체(1)의 내부면과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의 외부면 사이의 형상 합치에 의해 상기 본체(1)에 연결되는, 아이 마스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및 상기 배터리(15)에 의한 가열 수단의 전기 공급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와 조절 수단은 연결되는, 아이 마스크.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본체(1)를 수용하고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여 배터리(15)를 재충전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5)를 포함하는, 세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가 베이스(5) 상에 수용된 경우, 상기 세트는 상기 본체(1)의 전기 공급이, 가열 수단이 상기 배터리(15)에 의해 전기 공급되는 일 없이 가열 수단의 가열을 추가로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세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5)는 상기 마스크의 본체(1)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51)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51)는, 상기 착탈형 부재(2)가 상기 본체(1)에 연결된 경우, 상기 마스크의 본체(1)가 상기 베이스(5) 상에 수용되지 못하게 하는 형상을 갖는, 세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5)는 상기 착탈형 부재(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52)을 포함하는, 세트.
  14. 제10항에 있어서,
    저장조를 형성하는 상기 벽의 충전을 위해 상기 착탈형 부재(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5)는 상기 리셉터클(6)이 비워져 있을 때에 상기 리셉터클을 수용하는 수단(53)을 더 포함하는, 세트.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본체 또는 베이스는 원격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세트.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이며,
    - 저장조를 형성하는 벽의 오리피스(32)를 액체로 충전하는 단계;
    - 착탈형 부재(2)를 본체(1)에 연결하는 단계;
    - 배터리(15)에 의해 가열 수단에 전기 공급하는 단계;
    - 적용 시간의 전체 또는 일부 동안에 상기 가열 수단(14)의 전기 공급을 조절하여, 마스크의 내부 공간 내에 수용된 공기를 상기 적용 시간의 전체 또는 일부 동안에 미리 정해진 온도 범위 내에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17112A 2016-11-17 2017-11-10 건성 안 치료용 마스크 KR102493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1145A FR3058633B1 (fr) 2016-11-17 2016-11-17 Masque de traitement de la secheresse oculaire
FR1661145 2016-11-17
PCT/EP2017/078956 WO2018091380A1 (en) 2016-11-17 2017-11-10 A mask for treating dry ey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531A KR20190085531A (ko) 2019-07-18
KR102493867B1 true KR102493867B1 (ko) 2023-01-31

Family

ID=5816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112A KR102493867B1 (ko) 2016-11-17 2017-11-10 건성 안 치료용 마스크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11369519B2 (ko)
EP (1) EP3541335B1 (ko)
JP (1) JP7045375B2 (ko)
KR (1) KR102493867B1 (ko)
CN (1) CN110022805B (ko)
AU (1) AU2017362687B2 (ko)
CA (1) CA3042339A1 (ko)
CL (1) CL2019001312A1 (ko)
DK (1) DK3541335T3 (ko)
ES (1) ES2939946T3 (ko)
FI (1) FI3541335T3 (ko)
FR (1) FR3058633B1 (ko)
HR (1) HRP20230254T1 (ko)
HU (1) HUE061741T2 (ko)
IL (1) IL266635B (ko)
LT (1) LT3541335T (ko)
MX (1) MX2019005721A (ko)
PL (1) PL3541335T3 (ko)
PT (1) PT3541335T (ko)
RS (1) RS64057B1 (ko)
RU (1) RU2749569C2 (ko)
SI (1) SI3541335T1 (ko)
UA (1) UA127113C2 (ko)
WO (1) WO2018091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7410A (zh) * 2020-09-22 2020-12-22 苏州工艺美术职业技术学院 一种带监测功能的治疗视疲劳的眼罩
CA3204135A1 (en) * 2021-01-06 2022-07-14 Carolyn SIT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logged glands of the ey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3534A (ja) * 2011-12-14 2013-06-24 Panasonic Corp 目元用美容器具
JP2015216974A (ja) 2014-05-14 2015-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目元用美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9746B1 (en) * 1999-10-07 2002-06-25 Kao Corporation Eye pillow
JP3667268B2 (ja) * 2001-09-26 2005-07-06 得一郎 長谷川 アイマスク
GB2384430B (en) * 2002-01-24 2003-12-03 John Robert Fuller Therapeutic eye and eyelid cover
JP2003336042A (ja) * 2002-05-20 2003-11-28 Maikooru Kk 吸水性ポリマー入り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JP4019856B2 (ja) 2002-08-21 2007-12-12 花王株式会社 目用水蒸気発生温熱シート
GB0324348D0 (en) * 2003-10-17 2003-11-19 Oxycom Bv Heat exchange laminate
JP4947365B2 (ja) * 2006-12-18 2012-06-06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霧化装置
JP5394985B2 (ja) * 2010-05-25 2014-01-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目元用美容器具
GB201103010D0 (en) 2011-02-22 2011-04-06 Fuller John R A therapeutic eye and eyelid cover
US9271865B2 (en) * 2011-03-09 2016-03-01 Cheng-Chuan YANG Hot and cold eye treatment apparatus
US10376659B2 (en) * 2013-05-08 2019-08-13 Thomas Nichols Personal care vaporizer device for the eye area of the face
CN104510558A (zh) * 2013-09-30 2015-04-15 许加庆 一种眼部热敷装置
RU154162U1 (ru) * 2014-11-05 2015-08-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ая академия Министерства внутренних де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олгоградская академия МВД России) Маска-очки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ик и уф излучения
WO2016176175A1 (en) * 2015-04-30 2016-11-03 John Devine Projection frame eyelid heater
CN204951327U (zh) * 2015-08-27 2016-01-13 天津市山佳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发热式凝胶眼罩
US20170266035A1 (en) * 2016-03-21 2017-09-21 Brian Young Ming Kuo Wireless-controlled therapeutic warming eye wea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3534A (ja) * 2011-12-14 2013-06-24 Panasonic Corp 目元用美容器具
JP2015216974A (ja) 2014-05-14 2015-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目元用美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62687A1 (en) 2019-06-27
PL3541335T3 (pl) 2023-05-08
WO2018091380A1 (en) 2018-05-24
US20190358087A1 (en) 2019-11-28
RU2749569C2 (ru) 2021-06-15
RS64057B1 (sr) 2023-04-28
CL2019001312A1 (es) 2019-07-12
HRP20230254T1 (hr) 2023-04-14
JP2019535428A (ja) 2019-12-12
IL266635B (en) 2021-02-28
PT3541335T (pt) 2023-03-29
US11369519B2 (en) 2022-06-28
HUE061741T2 (hu) 2023-08-28
FR3058633B1 (fr) 2020-10-09
BR112019009314A2 (pt) 2019-07-30
LT3541335T (lt) 2023-06-12
AU2017362687B2 (en) 2023-05-25
DK3541335T3 (da) 2023-03-13
FI3541335T3 (fi) 2023-03-29
ES2939946T3 (es) 2023-04-28
MX2019005721A (es) 2019-07-08
SI3541335T1 (sl) 2023-07-31
RU2019118014A (ru) 2020-12-17
IL266635A (en) 2019-07-31
JP7045375B2 (ja) 2022-03-31
EP3541335A1 (en) 2019-09-25
UA127113C2 (uk) 2023-05-03
EP3541335B1 (en) 2022-12-21
RU2019118014A3 (ko) 2021-01-26
CN110022805B (zh) 2021-08-03
CA3042339A1 (en) 2018-05-24
CN110022805A (zh) 2019-07-16
KR20190085531A (ko) 2019-07-18
FR3058633A1 (fr)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87158U (zh) 热皮肤处理设备
KR102493867B1 (ko) 건성 안 치료용 마스크
WO2020264263A1 (en) Systems and interfaces for ocular therapy
CA2474258A1 (en) A therapeutic eye and eye lid cover
JP3215518U (ja) 多機能のアイマスク
JP2004350803A (ja) アイマスク及び視力矯正治具
EP2686066B1 (en) Cartridge and medical apparatus
US3485244A (en) Eye applicator
US11471680B2 (en) Systems and interfaces for ocular therapy
JP2010063542A (ja) 眼疲労治癒具
KR101248699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안구마사지기
US20160030205A1 (en) Prosthetic Limb Heating Apparatus
KR102138569B1 (ko) 스마트 전자식 뜸기
BR112019009314B1 (pt) Máscara para olho e conjunto compreendendo a mesm
KR102011693B1 (ko) 눈 마사지 장치
CN218413119U (zh) 接触镜保存装置
WO2019067867A1 (en) MOLDABLE HEATING DEVICE WITH MINIATURE HARMONIC RESONANCE FREQUENCY VIBRATION GENERATOR FOR OPHTHALMIC EYE THERAPY
KR102299915B1 (ko) 레이저 뜸 치료기
KR20240011335A (ko) 여성용 마사지기 및 그 거치대
KR20220150494A (ko) 온열 눈 마사지기
JP2024520045A (ja) 涙液刺激装置
KR20110009335U (ko)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IL33537A (en) Eye applicator
ES1144734U (es) Cojín vibrator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