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335U -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335U
KR20110009335U KR2020100003114U KR20100003114U KR20110009335U KR 20110009335 U KR20110009335 U KR 20110009335U KR 2020100003114 U KR2020100003114 U KR 2020100003114U KR 20100003114 U KR20100003114 U KR 20100003114U KR 20110009335 U KR20110009335 U KR 201100093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mask pack
heat generating
she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885Y1 (ko
Inventor
박우람
황정환
이창근
황윤균
김진웅
신태홍
박창만
노호식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00003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88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8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부에 발열부를 설치하고 어플리케이터를 연결하여 시트부의 온도를 올릴 수 있도록 된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눈, 코 및 입과 대응되는 위치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며 전기의 인가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Mask pack having an applicator}
본 고안은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부에 발열부를 설치하고 어플리케이터를 연결하여 시트부의 온도를 올려 모공이 열리므로 팩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된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은 보습제, 미백제 등과 같이 피부에 유용한 여러 성분이 함유된 활성물질이나 화장품 등이 시트에 함침된 상태로 얼굴에 부착되므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를 탄력 있게 가꾸어준다.
이러한 마스크 팩은 유용한 성분을 피부깊이 흡수시키기 위해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마스크 팩을 일정시간 얼굴에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하지만 마스크 팩은 유효한 성분의 단순 흡수만으로 만족할 만한 효능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마스크 팩 자체를 가열하여 피부의 온도를 높혀 모공이 열리도록함으로서 유효성분의 흡수량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상기 마스크 팩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온도를 높이기 위한 스팀시설 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스팀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야외나 사무실 등에서는 사용이 매우 어려웠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열장치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마스크 팩이 개발되었으나 전원공급이 불편할 뿐더러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전기부품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전기부품은 일회 사용 후 폐기해야 하므로 제품의 가격이 급격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 팩의 전기부품을 폐기하게 되면 환경오염이 발생하며 아울러 마스크 팩의 전기부품을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가의 부품인 어플리케이터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어플리케이터를 반복하여 재사용하므로 마스크 팩의 제품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마스크팩의 전기부품인 어플리케이터를 재사용하므로 이를 폐기하거나 다시 생산하기 위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눈, 코 및 입과 대응되는 위치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며 전기의 인가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시트부와 이격되어 별도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은 상기 발열부와 접지되어 상기 발열부에서 이온이 방사되도록 하는 이온공급IC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발열부는 안면 혈위 집중 분포 구획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전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시트부의 전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은 고가의 부품인 전원공급수단과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터를 별도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므로 마스크 팩의 생산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팩은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터를 재사용함으로서 이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부직포를 제거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시트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안면 혈위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안면 혈위 집중 분포 구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부직포를 제거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팩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마스크 팩은 시트부(10)와, 상기 시트부(10)에 설치된 발열부(20)와, 상기 발열부(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어플리케이터(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부(10)는 피부에 유용한 활성물질이 함침된 상태로 내측면이 얼굴과 접촉되는 것으로서, 내측은 하이드로겔층(12)으로 이루어지고 외측은 부직포층(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부(10)는 사용자의 눈, 코 및 입에 대응하는 개구(16)가 형성되어 시트부(10)가 얼굴에 밀착되도록 한다.
발열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10)의 하이드로겔층(12)과 부직포층(14) 사이에 설치되며 전기를 인가하여 발열하면 주변의 시트부(10)로 열이 전달된다. 따라서 발열부(20)의 열이 전달된 시트부(10)는 온열효과로 인해 열굴의 모공이 열리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이 피부깊숙이 침투할 수 있어 마스크 팩의 성능이 배가된다. 상기 발열부(20)는 안면 혈위 집중 분포 구획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면 혈위 집중 분포 구획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마 영역(22a), 눈가 영역(22b), 뺨 영역(22c) 및 팔자주름 영역(22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마 영역(22a)은 본신(本神), 양백(陽白), 곡차(曲差) 및 미충(眉衝)으로 이루어지고, 눈가 영역(22b)은 사죽공(絲竹空), 동자료 및 상관(上關)으로 이루어지고, 뺨 영역(22c)은 사백(四白), 거료, 관료 및 하관(下關)으로 이루어지고, 팔자주름 영역(22d)은 영향(迎香),화료 및 지창(地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안면 혈위 집중 분포 구획에 온열치료를 할 경우 그 효과에 대하여 2008년 6월 대한침구학회지에 발표된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의 <밀초성 안면신경마비의 취혈부위에 따른 구치료 효과 비교>라는 논문에 상세히 실려 있다. 또한 2008년 4월 대한 침구학회지에 발표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응용의학과의 <구법의 표준화를 위한 온도 측정 연구>라는 논문에 뜸치료의 온도에 따른 효과를 기재하면서 그 적정온도가 40℃ 내지 52℃사이에서 뜸치료의 효과가 우수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부(20)는 얇은 동선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PCB로 이루어지며 어플리케이터로(30)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게 된다. 여기서 발열부(20)로서 플렉시블 PCB를 사용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니크롬선 등 다양한 발열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발열부(20)는 상기 2008년 4월 대한 침구학회지에서 발표된 바에 의해 그 발열온도가 시트부(10)의 열손실을 고려하여 45℃ 내지 55℃ 인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부(20)의 일단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수전인터페이스(24)가 설치된다.
어플리케이터(30)는 발열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미도시)과 전원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터(30) 케이싱(32)의 내부에 설치되며 축전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터(30) 케이싱(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터(30)의 작동을 지시하도록 입력버튼(6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터(30)는 상기 전원공급수단 일측에 상기 어플리케이터(30)의 수전인터페이스(24)와 결합되는 송전인터페이스(32)가 형성된다.
상기 어플리케이터(32)는 목걸이(34) 또는 헤어밴드(미도시)에 연결설치하여 그 중량감을 사용자가 느낄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마스크 팩은 시트부(10)와, 상기 시트부(10)에 설치된 발열부(20)와, 상기 발열부(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어플리케이터(30)와, 상기 발열부에서 이온이 방사되도록 하는 이온공급IC(70)와, 상기 어플리케이터(30)의 전면부에 형성된 발광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부(10)는 피부에 유용한 활성물질이 함침된 상태로 내측면이 얼굴과 접촉되는 것으로서, 내측은 하이드로겔층(12)으로 이루어지고 외측은 부직포층(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부(10)는 사용자의 눈, 코 및 입에 대응하는 개구(16)가 형성되어 시트부(10)가 얼굴에 밀착되도록 한다.
발열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10)의 하이드로겔층(12)과 부직포층(14) 사이에 설치되며 전기를 인가하여 발열하면 주변의 시트부(10)로 열이 전달된다. 따라서 발열부(20)의 열이 전달된 시트부(10)는 온열효과로 인해 열굴의 모공이 열리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이 피부깊숙이 침투할 수 있어 마스크 팩의 성능이 배가된다. 상기 발열부(20)는 안면 혈위 집중 분포 구획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면 혈위 집중 분포 구획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마 영역(22a), 눈가 영역(22b), 뺨 영역(22c) 및 팔자주름 영역(22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마 영역(22a)은 본신(本神), 양백(陽白), 곡차(曲差) 및 미충(眉衝)으로 이루어지고, 눈가 영역(22b)은 사죽공(絲竹空), 동자료 및 상관(上關)으로 이루어지고, 뺨 영역(22c)은 사백(四白), 거료, 관료 및 하관(下關)으로 이루어지고, 팔자주름 영역(22d)은 영향(迎香),화료 및 지창(地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안면 혈위 집중 분포 구획에 온열치료를 할 경우 그 효과에 대하여 2008년 6월 대한침구학회지에 발표된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의 <밀초성 안면신경마비의 취혈부위에 따른 구치료 효과 비교>라는 논문에 상세히 실려 있다. 또한 2008년 4월 대한 침구학회지에 발표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응용의학과의 <구법의 표준화를 위한 온도 측정 연구>라는 논문에 뜸치료의 온도에 따른 효과를 기재하면서 그 적정온도가 40℃ 내지 52℃사이에서 뜸치료의 효과가 우수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부(20)는 얇은 동선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PCB로 이루어지며 어플리케이터로(30)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게 된다. 여기서 발열부(20)로서 플렉시블 PCB를 사용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니크롬선 등 다양한 발열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발열부(20)는 상기 2008년 4월 대한 침구학회지에서 발표된 바에 의해 그 발열온도가 시트부(10)의 열손실을 고려하여 45℃ 내지 55℃ 인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부(20)의 일단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수전인터페이스(24)가 설치된다.
어플리케이터(30)는 발열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전원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터(30) 케이싱(32)의 내부에 설치되며 축전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터(30) 케이싱(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터(30)의 작동을 지시하도록 입력버튼(6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터(30)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일측에 상기 어플리케이터(30)의 수전인터페이스(24)와 결합되는 송전인터페이스(32)가 형성된다.
상기 어플리케이터(32)는 목걸이(34) 또는 헤어밴드(미도시)에 연결설치하여 그 중량감을 사용자가 느낄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공급IC(70)는 상기 어플리케이터(30)에 연결설치되며 발열부(20)에 접지되어 이온을 발생시킨다. 상기 이온공급IC(70)는 갈바닉 이온(Galvanic ion)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IC로서 필요에 따라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온공급IC(70)가 필요에 따라 양이온과 음이온을 발생시킴에 따라 화장품을 피부깊숙이 침투시킬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극성을 바꾸어서 피부에 잔존해 있는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갈바닉 이온은 이탈리아 의학자 갈바닉(Galvanic)이 개구리 해부실험 중 불꽃방전과 동시에 개구리의 다리가 움직이는 것을 보고 체내의 신경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발견한 것으로서, 이후 학자들에 의해 각질층 아래의 배리어존(Barrier Zone) 이하로 침투가 어려운 이온성 물질을 직류전류를 이용해서 피부또는 점막을 통해 신체 안으로 침투시키는 이온도입법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개발된 이온도입법은 표피층에 존재하는 수분저지막을 뚫고 약물 또는 화장품 등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약물 또는 화장품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발광부(80)는 어플리케이터(30) 케이싱(32)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빛을 발생시켜 조명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80)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분위기를 살릴 수 있다. 특히 발광부(80)가 설치된 마스크 팩은 수면에 들어가기 전 불을 끈 어두운 방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마스크 팩은 시트부(10)와, 상기 시트부(10)에 설치된 발열부(20)와, 상기 발열부(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어플리케이터(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시트부(10)와 발열부(20)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시트부(10)와 발명부(20)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인 어플리케이터(40)와 수전인터페이스(9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발열부(2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수전인터페이스(90)는 상기 시트부(10) 상부 중앙에 설치된다. 상기 수전인터페이스(90)는 상기 어플리케이터(40)를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요부(92)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92)에 수전할 수 있는 접점(94)이 형성된다.
어플리케이터(40)는 발열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미도시)과 전원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터(40) 케이싱(42)의 내부에 설치되며 축전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터(40) 케이싱(4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어플리케이터(40)는 상기 수전인터페이스(90)의 접점(94)에 대응되는 접점(44)이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40)는 상기 수전인터페이스(90)의 요부(92)에 끼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터(40)의 접점(44)과 상기 수전인터페이스(90)의 접점(94)과 서로 접촉되어 전기를 인가한다.
상기 어플리케이터(40)는 케이싱(42)의 전면부에 발광부(46)가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므로 조명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46)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분위기를 살릴 수 있다. 특히 발광부(46)가 설치된 마스크 팩은 수면에 들어가기 전 불을 끈 어두운 방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 시트부 20 : 발열부
30 : 어플리케이터 70 : 이온공급 IC
80 : 발광부

Claims (6)

  1. 눈, 코 및 입과 대응되는 위치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며 전기의 인가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시트부와 이격되어 별도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와 접지되어 상기 발열부에서 이온이 방사되도록 하는 이온공급IC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안면 혈위 집중 분포 구획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시트부의 전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KR2020100003114U 2010-03-26 2010-03-26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KR200460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14U KR200460885Y1 (ko) 2010-03-26 2010-03-26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14U KR200460885Y1 (ko) 2010-03-26 2010-03-26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35U true KR20110009335U (ko) 2011-10-05
KR200460885Y1 KR200460885Y1 (ko) 2012-06-13

Family

ID=4660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114U KR200460885Y1 (ko) 2010-03-26 2010-03-26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8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572B1 (ko) * 2019-01-21 2021-01-19 (주)비엔피코스메틱 미용 팩용 미세전류 공급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011B1 (ko) * 1998-09-16 2001-06-01 전병헌 미용마사지마스크
KR20050019188A (ko) * 2003-08-18 2005-03-03 (주)살루스 테크놀로지 미용 마스크
KR200396456Y1 (ko) * 2005-06-07 2005-09-22 이송자 안면 피부 리쥬브네이트.
KR20090011177A (ko) * 2007-07-25 2009-02-02 최승관 안면 미용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885Y1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6042B2 (ja) 頭皮用施療装置
JP5394985B2 (ja) 目元用美容器具
KR102275479B1 (ko) 독립적인 전류 관리를 갖는 이온토포레틱 디바이스
KR101687583B1 (ko) 개인 얼굴 맞춤형 피부관리 마스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JP2020192386A (ja) 皮膚美容機器
JP2011041705A (ja) 美容装置
KR20180000661A (ko) 패턴 형상의 전극이 배치된 마스크팩형 피부 미용 기기
JP2016533212A (ja) マスクパックを利用した携帯用イオン導入システム
KR20090120116A (ko) 광미용장치
KR101960880B1 (ko) 피부마사지 패드와 롤러가 구비되는 피부마사지기
JP5925512B2 (ja) 温熱式の美容器具
KR102209529B1 (ko) 피부 미용 장치
JP2000225141A (ja) 電池温熱式アイマスク
JP5395741B2 (ja) 目元用美容器具
KR101533718B1 (ko) 피부미용장치
KR200460885Y1 (ko)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KR20090011177A (ko) 안면 미용 마스크
KR20100000861U (ko) 마사지기
KR20080067423A (ko) 얼굴 피부 개선 및 노화 방지용 마스크 및 이러한 마스크의제조방법
JP5922455B2 (ja) 美容器具
KR20130017149A (ko) 엘이디를 이용한 피부미용기구
KR20170099261A (ko) 피부용 마스크
JP5739050B2 (ja) 美容器具
JP5739049B2 (ja) 美容器具
JP5925520B2 (ja) 美容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