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758B1 - 낚시용 스위블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위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758B1
KR102493758B1 KR1020207018900A KR20207018900A KR102493758B1 KR 102493758 B1 KR102493758 B1 KR 102493758B1 KR 1020207018900 A KR1020207018900 A KR 1020207018900A KR 20207018900 A KR20207018900 A KR 20207018900A KR 102493758 B1 KR102493758 B1 KR 10249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wivel
contact portion
connection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906A (ko
Inventor
유키오 오키시마
고오헤이 우에타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4Lea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위블은, 원줄과 목줄을 접속하는 낚시용 스위블이며, 당해 원줄과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당해 목줄과 접속되는 제2 접속부와, 당해 제1 접속부와, 당해 제2 접속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부를 구비한다.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당해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속부는, 당해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본체부는, 당해 제1 접촉부 및 당해 제2 접촉부와 접촉하는 본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2 접촉부의 표면, 및 상기 본체부 접촉부의 표면에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도금층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스위블
본 발명은, 낚시용 스위블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스위블은, 자유 회전 고리 또는 꼬임 방지구라고도 불린다.
종래부터 원줄과 목줄을 연결하는 낚시용 접속구로서, 스위블이 사용되고 있다. 스위블의 일종으로서, 동체가 배럴형의 형상을 갖는 배럴형 스위블이 알려져 있다. 배럴형 스위블은, 배럴 형상의 동체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1세트의 링을 갖는다. 당해 링은 스토퍼편에 의해 동체로부터 빠짐 방지되어 있다. 당해 1세트의 링의 한쪽에 원줄이 접속되고, 다른 쪽에 목줄이 접속된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종래의 스위블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스위블은, 스위블 본체와, 당해 스위블 본체의 일단에 마련된 원줄용 링과, 당해 스위블 본체의 타단에 마련된 목줄용 링을 구비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스위블은, 원줄에 연결된 제1 연결부와, 목줄에 연결된 제2 연결부와, 양단이 이들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끈 형상의 장착부와, 이들 사이에 마련된 2개의 컵을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평9-17292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000088호 공보
스위블에 있어서는, 리그의 사용 중에 원줄과 목줄이 꼬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줄 및 목줄이 스위블 본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위블에서는, 스위블 본체의 내주면과 원줄 또는 목줄이 설치되는 금속제의 링의 외주면의 마찰로 인해, 회전 성능이 충분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스위블에 있어서는,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스위블에서는, 2개의 컵에 의해 회전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지만, 당해 2개의 컵의 내주면과, 금속제의 링 및 장착부의 외주면의 마찰로 인해, 회전 성능이 여전히 충분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회전 성능이 높으면서 내구성도 우수하고, 또한 제조 코스트도 저감된 낚시용 스위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목적은, 본 명세서 전체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위블은, 원줄과 목줄을 접속하는 낚시용 스위블이며, 당해 원줄과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당해 목줄과 접속되는 제2 접속부와, 당해 제1 접속부와, 당해 제2 접속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부를 구비한다.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당해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속부는, 당해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본체부는, 당해 제1 접촉부 및 당해 제2 접촉부와 접촉하는 본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2 접촉부의 표면, 및 상기 본체부 접촉부의 표면에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도금층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2 접촉부의 표면, 및 상기 본체부 접촉부의 표면에는 산 세척이 실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접촉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제1 접속부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속부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당해 내주면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당해 본체부 접촉부가, 당해 본체부의 각 단부에 형성되고, 당해 각 단부는, 당해 제1 접촉부 또는 당해 제2 접촉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제1 접촉부 이외의 표면, 상기 제2 접속부의 상기 제2 접촉부 이외의 표면,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본체부 접촉부 이외의 표면에 불소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상기 제1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2 접촉부의 표면, 및 상기 본체부 접촉부의 표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이들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두껍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당해 제1 접속부 또는 당해 제2 접속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당해 제1 접촉부 또는 당해 제2 접촉부는, 당해 볼록부의 부분이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당해 도금층에 함유되는 상기 불소 수지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사불화에틸렌 수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당해 제1 접속부와, 당해 제2 접속부와, 당해 본체부가, 금속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당해 제1 접속부와, 당해 제2 접속부와, 당해 본체부가, 놋쇠 또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위블은, 원줄과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본체부와, 목줄과 접속되는 제2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접속하는 중간 접속부를 구비한다.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갖고, 상기 중간 접속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3 접촉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4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3 접촉부와 접촉하는 제1 본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접촉부 및 상기 제4 접촉부와 접촉하는 제2 본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2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3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4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1 본체부 접촉부의 표면, 및 상기 제2 본체부 접촉부의 표면에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도금층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의해, 회전 성능이 높으면서 내구성도 우수한 낚시용 스위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시용 스위블(1)의 사용이 상정되는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시용 스위블(1)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시용 스위블(1)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시용 스위블(1)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시용 스위블(1)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시용 스위블의 단면도이다.
이하,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반드시 정확한 축척으로 기재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시용 스위블(1)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스위블(1)은, 사용 시에 있어서, 낚싯대(10)로부터 연장되는 원줄(낚싯줄)(11)의 끝에 설치된다. 당해 낚시용 스위블(1)에는, 스냅(14)을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리그(12)가 설치된다. 리그(12)로서, 공지의 다양한 리그를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스위블(1)은, 원줄(11)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스냅(14)을 통해 목줄(13)에 설치되어 있다. 낚시용 스위블(1)은, 원줄(11)과 목줄(13)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한다. 낚시용 스위블(1)에 의해, 리그(12)의 사용 중에 원줄(11)과 목줄(13)의 꼬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낚시용 스위블(1)에 대해 더 설명한다. 낚시용 스위블(1)은, 원줄(11)과 접속되는 제1 접속부(2)와, 목줄(13)과 접속되는 제2 접속부(3)와, 당해 제1 접속부(2)와 당해 제2 접속부(3)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본체부(4)를 구비한다. 제1 접속부(2)는 원줄(11)과 직접 접속되어도 되고,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2 접속부(3)는, 목줄(13)과 직접 접속되어도 되고, 다른 부재(예를 들어, 스냅(14))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접속부(2)는, 원줄이 결삭되는 링 형상의 헤드(2a)와, 본체부(4)에 수용되는 스토퍼(2c)와, 헤드(2a)와 스토퍼(2c)를 연결하는 연결부(2b)를 갖는다. 제2 접속부(3)는, 목줄이 결삭되는 링 형상의 헤드(3a)와, 본체부(4)에 수용되는 스토퍼(3c)와, 헤드(3a)와 스토퍼(3c)를 연결하는 연결부(3b)를 갖는다. 제1 접속부(2)의 헤드(2a) 및 제2 접속부(3)의 헤드(3a)는 링 형상을 갖는다. 제1 접속부(2)의 헤드(2a) 및 제2 접속부(3)의 헤드(3a)의 형상은, 링 형상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접속부(2)의 스토퍼(2c)는, 제1 접속부(2)가 본체부(4)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본체부(4)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2 접속부(3)의 스토퍼(3c)는, 제2 접속부(3)가 본체부(4)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본체부(4)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1 접속부(2)는, 원줄(11)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본체부(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제2 접속부(3)는, 목줄(13)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본체부(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속부(2)와 제2 접속부(3)는,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를 갖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접속부(2)와 제2 접속부(3)는, 서로 다른 형상 및/또는 서로 다른 치수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접속부(2), 제2 접속부(3) 및 본체부(4)는, 놋쇠, 스테인리스, 또는 이들 이외의 금속제여도 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체부(4)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는, 제1 접속부(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제2 접속부(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체부(4)는, 제1 접속부(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접속부(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한, 임의의 구조, 형상, 및 치수를 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속부(2)는, 제1 접촉부(5)에 있어서 본체부(4)와 접촉한다. 제2 접속부(3)는, 제2 접촉부(6)에 있어서 본체부(4)와 접촉한다. 본체부(4) 중 제1 접촉부(5)와 접촉하는 부위 및 제2 접촉부(6)와 접촉하는 부위를 총칭하여 본체부 접촉부(7)라고 칭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체부(4)는, 본체부 접촉부(7)에 있어서 제1 접속부(2) 및 제2 접속부(3)와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위블(1)에 있어서, 제1 접속부(2)의 제1 접촉부(5)의 표면, 제2 접속부(3)의 제2 접촉부(6)의 표면, 및 본체부(4)의 본체부 접촉부(7)의 표면에는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도금층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위블(1)의 제조 시에는, 제1 접속부(2), 제2 접속부(3) 및 본체부(4)의 기재를 준비하고, 이들 기재의 표면을 산 세척함으로써 당해 기재의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기재에 대한 산 세척 처리(산세 처리)는, 산성 용액(황산이나 염산 등)에 당해 기재를 소정 시간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기재에는, 산 세척 외에도, 배럴 등에 의한 디버어링(배럴 가공), 산 세척 이외의 화학 연마, 및/또는 이들 이외의 평활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 산 세척 처리 및 그 밖의 평활화 처리는 생략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산 세척이 행해진 기재에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이 마련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은, 불소 수지의 미립자를 도금 용액 내에 분산 공석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복합 도금층이다. 도금 용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니켈 도금 용액이 사용된다. 이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에 포함되는 불소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다.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은, 무전해 니켈 도금으로 형성된 무전해 니켈 도금층 및 전해 니켈 도금으로 형성된 전해 니켈 도금층의 2층을 포함해도 된다. 전해 도금층에 의해, 제1 접속부(2), 제2 접속부(3), 및 본체부(4)의 표면을 더 평활하게 할 수 있다. 무전해 니켈 도금층의 두께는 1 내지 2㎛가 되고, 전해 니켈 도금층의 두께는 1 내지 2㎛ 정도가 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은, 경면 도금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욕에 바나듐을 혼합해도 된다. 도금욕에 바나듐을 혼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도금층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제1 접속부(2)와 본체부(4)의 접촉 부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도 2b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일부를 더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스위블(1)은, 본체부(4)의 내주면에 본체부 접촉부(7)를 갖고, 제1 접속부(2)의 스토퍼(2b)의 외주면(9)에 제1 접촉부(5)를 갖고, 제2 접속부(3)의 스토퍼(3b)의 외주면(10)에 제2 접촉부(6)를 갖는다. 제1 접속부(2)가 회전할 때, 제1 접속부(2)의 제1 접촉부(5)가 본체부(4)의 본체부 접촉부(7)에 접하고, 제2 접속부(2)가 회전할 때, 제2 접속부(3)의 제2 접촉부(6)가 본체부(4)의 본체부 접촉부(7)에 접한다.
도 2b 및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위블(1)은 본체부 접촉부(7)가 본체부(4)의 상단 부위(4a) 및 하단 부위(4b)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의 상단 부위(4a)는 제1 접촉부(5)를 둘러싸도록(감싸도록) 형성되고, 본체부(4)의 하단 부위(4b)는 제2 접촉부(6)를 둘러싸도록(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의 상단 부위(4a)는, 제1 접속부(2)의 회전축을 향해 경사져 있다. 본체부(4)의 상단 부위(4a)의 선단에 의해 관통 구멍(4a1)이 획정된다. 이 관통 구멍(4a1)의 직경은, 스토퍼(2b)의 직경보다 대경이 된다. 본체부(4)의 하단 부위(4b)의 선단에 의해 관통 구멍(4b1)이 획정된다. 이 관통 구멍(4b1)의 직경은, 스토퍼(3b)의 직경보다 대경이 된다. 본체부(4)의 상단 부위(4a) 및 하단 부위(4b)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접속부(2) 및 제2 접속부(3)가 본체부(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접속부(2)의 외주면 및 본체부(4)의 내주면에는, 하지 도금층(20)이 마련되고, 이 하지 도금층(20) 상에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 도금층(20)은, 예를 들어 니켈 도금층이다.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PTFE 등의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도금층이다. 하지 도금층(20) 및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은, 제1 접속부(2)의 외주면의 일부에만 마련되어도 되고 전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하지 도금층(20) 및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은, 본체부(4)의 내주면의 일부에만 마련되어도 되고 전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제2 접속부(3)의 내주면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하지 도금층(20) 및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이 마련되어도 된다. 하지 도금층(20)은 생략될 수 있다.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은, 그 전체가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그 일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은, 제1 접속부(2)의 제1 접촉부(5)에 있어서의 두께가, 그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제2 접속부(3)에 마련되는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은, 제2 접속부(3)의 제2 접촉부(6)에 있어서의 두께가, 그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본체부(4)에 마련되는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은, 본체부(4)의 본체부 접촉부(7)에 있어서의 두께가, 그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마모가 일어나기 쉬운 제1 접촉부(5), 제2 접촉부(6)가 형성, 및 본체부 접촉부(7)에 있어서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낚시용 스위블(1)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위블(1)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1)은, 제1 접속부(2)의 스토퍼(2b)의 형상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1)에 있어서, 제1 접속부(2)의 스토퍼(2b)는 2개의 볼록부(15)(또는 단차부)를 갖는다.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1)에 있어서, 제2 접속부(3)의 스토퍼(3b)도, 제2 스토퍼(2b)와 마찬가지로, 2개의 볼록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접속부(2)의 외주면(9)에 형성되는 볼록부(15)의 수 및 제2 접속부(3)의 외주면(10)에 형성되는 볼록부(15)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볼록부(15)의 수는 하나 이상이면 된다.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1)에서는, 제1 접속부(2)는, 그 볼록부(15)의 코너부에 있어서 본체부(4)와 접한다. 이 때문에, 제1 접속부(2)에 마련된 볼록부(15)의 일부분이 제1 접촉부(5)가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접속부(3)가 볼록부(15)와 마찬가지의 볼록부를 갖는 경우에는, 그 볼록부의 코너부에 있어서 본체부(4)와 접한다. 이 때문에, 제2 접속부(3)에 마련된 볼록부(15)의 일부분이 제2 접촉부(6)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접속부(2) 또는 제2 접촉부(6)와, 본체부(4)의 접촉 면적을 저감함으로써, 회전 저항을 낮출 수 있어, 회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은, 제1 접속부(2)의 볼록부(15)에 있어서의 두께가, 그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제2 접속부(3)에 마련되는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은 볼록부에 있어서의 두께가, 그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마모가 일어나기 쉬운 부위에 있어서의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위블(100)의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낚시용 스위블(100)은, 제1 본체부(104a)와, 이 제1 본체부(104a)와 직렬로 접속된 제2 본체부(104b)를 구비한다. 제1 본체부(104a)는, 원줄과 접속되는 제1 접속부(102)와 중간 접속부(106)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본체부(104b)는, 목줄과 접속되는 제2 접속부(103)와 중간 접속부(106)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 접속부(102)는, 상기한 제1 접속부(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제2 접속부(103)는, 상기한 제2 접속부(3)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속부(102)는, 원줄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헤드(102a)와, 제1 본체부(104a)에 수용되는 스토퍼(102c)와, 헤드(102a)와 스토퍼(102c)를 연결하는 연결부(102b)를 갖는다. 제2 접속부(103)는, 목줄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헤드(103a)와, 제2 본체부(104b)에 수용되는 스토퍼(103c)와, 헤드(103a)와 스토퍼(103c)를 연결하는 연결부(103b)를 갖는다. 제1 본체부(104a) 및 제2 본체부(104b)는, 상기한 본체부(4)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중간 접속부(106)는, 제1 본체부(104a)에 수용되는 제1 스토퍼(106a)와, 제2 본체부(104b)에 수용되는 제2 스토퍼(106b)와, 이 제1 스토퍼(106a)와 제2 스토퍼(106b)를 연결하는 연결부(106c)를 갖는다. 연결부(106c)는 제1 본체부(104a)의 관통 구멍 및 제2 본체부(104b)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스토퍼(106a)의 직경은, 제1 본체부(104a)의 직경보다 대경이고, 제2 스토퍼(106b)의 직경은, 제2 본체부(104b)의 직경보다 대경이다. 이에 의해, 제1 스토퍼(106a) 및 제2 스토퍼(106b)는 각각, 제1 본체부(104a) 및 제2 본체부(104b)에 빠짐 방지되어 있다. 중간 접속부(106)의 제1 스토퍼(106a) 및 제2 스토퍼(106b)는, 제1 접속부(2)의 스토퍼(2b)(또는 제2 접속부(3)의 스토퍼(3b))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토퍼(106a)는, 제1 본체부(104a)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제2 스토퍼(106b)는, 제2 본체부(104b)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다. 이들 접촉부는, 제1 접속부(2)의 제1 접촉부(5)(또는 제2 접속부(3)의 제2 접촉부(6))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스토퍼(106a)의 접촉부 및 제2 스토퍼(106b)의 접촉부에는,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이 마련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스위블(100)과 같이, 본체부가 2개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스위블은, 2연 스위블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연 스위블에 적용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스위블(100)은, 본 발명을 2연 스위블에 적용한 실시 형태의 일례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본체부가 3개 이상 직렬로 접속된 다연 스위블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연 스위블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본체부끼리가 중간 접속부(106)와 유사한 접속 부재에 의해 접속된다. 다연 스위블은, 접속되어 있는 본체부의 수에 따라서, 3연 스위블, 4연 스위블, 5연 스위블 등이라고 불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낚시용 스위블(1)은, 원줄(11)과 목줄(13)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것이며, 리그(12)의 사용 중에 원줄(11)과 목줄(13) 사이의 꼬임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기존의 스위블에서는, 회전 성능, 내구성의 점에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 방법이 요구되고 있던 중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다양한 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당해 과제를 해결할 본 발명을 발견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하에, 이러한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먼저, 스위블에 요구되는 회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양태로 시험을 행하였다. 회전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시험에서는, 스위블의 상부를 적절하게 고정한 후, 스위블의 하부에 40호(약 150g)의 추를 매달아, 매분 450회전의 전동 드릴로 추를 돌려 매분 450회전까지 스위블을 회전시킨 후, 당해 전동 드릴을 빼고 나서 스위블의 회전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의 회전 횟수를 측정하였다. 시험에는, 이하의 스위블을 사용하였다. 먼저, 본 출원인이 시판하고 있는 D 스위블 SS 롤링 스위블의 놋쇠제의 8호 사이즈(JAN 코드: 003049), 5호 사이즈(JAN 코드: 003063), 및 1호 사이즈 기재(JAN 코드: 003124)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재를 각각 준비하였다. 표 1에는, 이하의 (1-1) 내지 (1-7)의 7개의 스위블의 회전 횟수의 시험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1-1) 8호 사이즈의 스위블의 기재의 표면에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을 마련한 스위블(실시예 1-1)
(1-2) 8호 사이즈의 스위블의 기재의 표면을 황산으로 약 60초간 산 세척 처리한 스위블(참고예 1-1)
(1-3) 8호 사이즈의 스위블의 기재의 표면에 니켈 도금층을 마련한 스위블(비교예 1-1)
(1-4) (1-3)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된 2연 스위블(비교예 1-2)
(1-5) (1-3)의 스위블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된 3연 스위블(비교예 1-3)
(1-6) (1-3)의 스위블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된 5연 스위블(비교예 1-4) 및
(1-7) 종래의 볼 베어링형 스위블(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교구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인터로크를 갖는 BB 자유 회전 고리 0호)(비교예 1-5)
스위블의 호수는 제조업자마다 정해져 있으므로, 다른 제조업자의 자유 회전 고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호수라도 동일한 치수라고 할 수는 없다. 상기한 예에 있어서는, 비교예 1-5의 인터로크를 갖는 BB 자유 회전 고리 0호는, 실시예 1-1의 8호의 스위블과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갖고 있다.
표 2에는, 이하의 (2-1) 내지 (2-7)의 7개의 스위블의 회전 횟수의 시험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2-1) 5호 사이즈의 스위블의 기재의 표면에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을 마련한 스위블(실시예 2-1)
(2-2) 5호 사이즈의 스위블의 기재의 표면을 황산으로 약 60초간 산 세척 처리한 스위블(참고예 2-1)
(2-3) 5호 사이즈의 스위블의 기재의 표면에 니켈 도금층을 마련한 스위블(비교예 2-1)
(2-4) (2-3)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된 2연 스위블(비교예 2-2)
(2-5) (2-3)의 스위블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된 3연 스위블(비교예 2-3)
(2-6) (2-3)의 스위블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된 5연 스위블(비교예 2-4)
(2-7) 종래의 볼 베어링형 스위블(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 교구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인터로크를 갖는 BB 자유 회전 고리 3호)(비교예 2-5)
표 3에는, 이하의 (3-1) 내지 (3-6)의 7개의 스위블의 회전 횟수의 시험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3-1) 1호 사이즈의 스위블의 기재의 표면에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21)을 마련한 스위블(실시예 3-1)
(3-2) 1호 사이즈의 스위블의 기재의 표면을 황산으로 약 60초간 산 세척 처리한 스위블(참고예 3-1)
(3-3) 1호 사이즈의 스위블의 기재의 표면에 니켈 도금층을 마련한 스위블(비교예 3-1)
(3-4) (3-3)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된 2연 스위블(비교예 3-2)
(3-5) (3-3)의 스위블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된 5연 스위블(비교예 3-3)
(3-6) 종래의 볼 베어링형 스위블(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 교구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인터로크를 갖는 BB 자유 회전 고리 5호)(비교예 3-4)
Figure 112020067624573-pct00001
Figure 112020067624573-pct00002
Figure 112020067624573-pct00003
표 1 내지 표 3에는, 상기한 자유 회전 고리 각각에 대해 행한 회전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각 표에는, 각 자유 회전 고리에 대해, 각 시험마다의 회전수, 이들 중 최소 회전수, 최대 회전수, 평균 회전수를 각각 차례로 나타낸다. 표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작한 실시예 1-1, 참고예 1-1, 비교예 1-1 내지 비교예 1-5의 7종의 스위블에 대해, 최소 회전수, 최대 회전수, 평균 회전수를 각각 나타낸다. 표 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작한 실시예 2-1, 참고예 2-1, 비교예 2-1 내지 비교예 2-5의 7종의 스위블에 대해, 최소 회전수, 최대 회전수, 평균 회전수를 각각 나타낸다. 표 3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작한 실시예 3-1, 참고예 3-1, 비교예 3-1 내지 비교예 3-4의 7종의 스위블에 대해, 최소 회전수, 최대 회전수, 평균 회전수를 각각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의 1 스위블의 평균 회전수가 12.4회이고, 참고예 1-1의 스위블의 평균 회전수가 11.3회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스위블은, 불소 함유 수지 도금층을 최외층에 구비함으로써, 접촉 부분을 더 평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의 스위블에 대해서도, 양호한 회전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 및 참고예 1-1을 비교예의 스위블의 회전 성능과 비교한다. 비교예 1-1의 스위블의 평균 회전수는 1.7회이며, 실시예 1-1의 스위블 평균 회전수 12.4회보다 대폭 적다. 참고예 1-1의 스위블의 평균 회전수는 11.3회이며, 참고예 1-1의 스위블도, 비교예 1-1의 스위블보다 회전 성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2의 스위블(2연 스위블)의 평균 회전수는 8.7회이고, 비교예 1-3의 스위블(3연 스위블)의 평균 회전수는 7.3회이고, 비교예 1-4의 스위블(5연 스위블)의 평균 회전수는 7.5회였다. 이와 같이,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을 최외층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종래의 스위블이라도 다연 스위블로 하면, 회전 성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의 스위블의 평균 회전수는 12.4회이며, 실시예 1-1의 스위블은, 다연 스위블로서 구성된 종래의 스위블보다 회전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블은, 우수한 회전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고예 1-1의 스위블도 우수한 회전 성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5의 볼 베어링형 스위블은 높은 회전 성능을 나타내지만, 후술하는 코스트가 고액으로 되어 버린다.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회전 성능의 실험 결과에 있어서도, 이상의 경향이 대개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스위블은, 우수한 회전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스위블에 요구되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양태로 시험을 행하였다. 내구성을 비교하기 위한 시험에서는, 보링 머신에 스위블 상부를 고정하고, 스위블 하부에 150호(약 563g)의 추를 매달아, 추가 회전하지 않도록 측면을 지그로 누르도록 하였다. 추의 중량은, 스위블에 걸린 상태에서 보링 머신을 매분 430회전시킴으로써, 마모로 스위블의 본체부가 접속부로부터 빠질 때까지의 시간인 마모 낙하 시간(초)과, 마모로 스위블의 본체부가 접속부로부터 빠질 때까지의 마모 낙하 회전수를 계측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67624573-pct00004
Figure 112020067624573-pct00005
Figure 112020067624573-pct00006
계속해서, 표 4 내지 표 6을 참조하여, 스위블의 내마모성의 시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표 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작한 실시예 1-1, 참고예 1-1, 비교예 1-1, 비교예 1-2, 및 비교예 1-4의 5종의 스위블에 대해, 마모 낙하 시간(초) 및 마모 낙하 회전수를 각각 나타낸다. 표 5는, 실시예 2-1, 참고예 2-2, 비교예 2-1, 비교예 2-2, 및 비교예 2-4의 5종의 스위블에 대해, 마모 낙하 시간(초) 및 마모 낙하 회전수를 각각 나타낸다. 표 5는, 실시예 3-1, 참고예 3-2, 비교예 3-1, 비교예 3-2, 및 비교예 3-3의 5종의 스위블에 대해, 마모 낙하 시간(초) 및 마모 낙하 회전수를 각각 나타낸다.
표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의 스위블의 평균 낙하 시간은 13622초이고, 평균 회전수는 97627이었다. 참고예 1-1의 스위블 평균 낙하 시간은 393초이고, 평균 회전수는 2814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 1-1의 스위블은,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을 최외층에 구비함으로써, 접촉 부분이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참고예 1-1의 스위블보다 현저하게 양호한 내마모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의 스위블의 내구성을 종래의 스위블과 비교한다.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1의 스위블의 평균 낙하 시간은 369초이고, 평균 회전수는 2645였다. 비교예 1-2의 스위블의 평균 낙하 시간은 393초이고, 평균 회전수는 2814였다. 따라서, 실시예 1-1의 스위블 및 참고예 1-1의 스위블은, 비교예 1-1의 스위블보다 내마모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2의 스위블(2연 스위블)의 평균 낙하 시간은 3125초이고, 평균 회전수는, 22397이었다. 또한, 비교예 1-4의 스위블(5연 스위블)의 평균 낙하 시간은 8809초이고, 평균 회전수는 63131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위블이라도 다연 스위블으로 하면 내마모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다연 스위블은 복수의 본체부를 구비하므로, 회전 시의 마찰력이 복수의 본체부에 분산됨으로써, 각 본체부에 있어서의 마모의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표 4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된 다연 스위블은, 실시예 1-1보다 높은 내마모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5 및 표 6에 나타낸 내마모성의 실험 결과에 있어서도, 이상의 경향은, 대개 적용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스위블은, 높은 내구성을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계속해서, 스위블의 코스트를 비교한다. 표 7에, 실시예 1-1, 참고예 1-1,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4, 및 비교예 1-5의 6종의 스위블의 제조 코스트를 나타낸다. 표 7에 나타나 있는 각 스위블의 코스트는, 비교예 1-1의 스위블 제조 공정수를 1로 한 경우의 각 스위블의 상대적인 제조 공정수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20067624573-pct00007
비교예 1-5의 스위블(볼 베어링형)은 회전 성능이 우수하지만, 코스트가 비교예 1의 스위블의 3배로 매우 고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4의 스위블(5연 스위블)도, 회전 성능이나 내구성이 양호하지만, 코스트가 비교예 1-1의 스위블의 4배로 고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2의 스위블(2연 스위블)의 코스트는 약 2이며, 비교예 1-5의 스위블(볼 베어링형) 및 비교예 1-4의 5연 스위블(스위블 5개를 접속)보다 저코스트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성능이나 내구성의 점에서 충분하지는 않다.
이에 비해, 실시예 1-1의 스위블은, 코스트가 약 1.6이고, 참고예 1-1의 스위블은, 코스트가 약 1.4가 되었다. 스위블로서의 바람직한 코스트는, 비교예 1-1의 스위블의 1.3배 내지 1.8배 정도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1-1의 스위블은, 비교예 1-1의 스위블의 약 1.6배의 코스트이다. 이와 같이, 각 스위블의 코스트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 1-1의 스위블은, 우수한 회전 성능 및 내구성을 갖는 한편, 비교예 1-4의 5연 스위블이나 비교예 1-5의 스위블(볼 베어링형)과 비교하여 대폭 저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구성 요소의 치수, 재료 및 배치는, 실시 형태 중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각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치수, 재료, 및 배치를 갖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 않은 구성 요소를, 설명한 실시 형태에 부가할 수도 있고,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 요소의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1, 100: 낚시용 스위블
2: 제1 접속부
3: 제2 접속부
4: 본체부
5: 제1 접촉부
6: 제2 접촉부
7: 본체부 접촉부
11: 원줄
12: 리그
13: 목줄
14: 스냅
15: 볼록부
20: 하지 도금층
21: 불소 수지 함유 도금층

Claims (12)

  1. 원줄과 목줄을 접속하는 낚시용 스위블이며,
    당해 원줄과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당해 목줄과 접속되는 제2 접속부와,
    당해 제1 접속부와, 당해 제2 접속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부는, 당해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속부는, 당해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본체부는, 당해 제1 접촉부 및 당해 제2 접촉부와 접촉하는 본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속부의 표면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표면에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도금층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촉부 또는 상기 제2 접촉부는, 당해 볼록부의 부분이며, 상기 볼록부는 코너부를 갖고 있고, 상기 코너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표면 및 상기 제2 접촉부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도금층의 두께는, 이들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도금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낚시용 스위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2 접촉부의 표면, 및 상기 본체부 접촉부의 표면에는 산 세척이 실시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접촉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제1 접속부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속부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당해 내주면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낚시용 스위블.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접촉부는, 상기 본체부의 각 단부에 형성되고,
    당해 각 단부는, 상기 제1 접촉부 또는 상기 제2 접촉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낚시용 스위블.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제1 접촉부 이외의 표면, 상기 제2 접속부의 상기 제2 접촉부 이외의 표면,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본체부 접촉부 이외의 표면에도 마련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상기 본체부 접촉부의 표면에도 마련되어 있는, 낚시용 스위블.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에 함유되는 상기 불소 수지는, PTFE인, 낚시용 스위블.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본체부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낚시용 스위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본체부는, 놋쇠 또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는, 낚시용 스위블.
  12. 원줄과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본체부와,
    목줄과 접속되는 제2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접속하는 중간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갖고,
    상기 중간 접속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3 접촉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와 접촉하는 제4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3 접촉부와 접촉하는 제1 본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접촉부 및 상기 제4 접촉부와 접촉하는 제2 본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2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3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4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1 본체부 접촉부의 표면, 및 상기 제2 본체부 접촉부의 표면에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도금층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 또는 중간 접속부 각각의 외주면에, 각각 코너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촉부 또는 상기 제2 접촉부 또는 상기 제3 접촉부 또는 상기 제4 접촉부는, 당해 볼록부의 부분이며, 상기 코너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2 접촉부의 표면, 상기 제3 접촉부의 표면, 및 상기 제4 접촉부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도금층의 두께는, 이들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도금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낚시용 스위블.
KR1020207018900A 2018-01-05 2019-01-07 낚시용 스위블 KR102493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0867 2018-01-05
JPJP-P-2018-000867 2018-01-05
PCT/JP2019/000103 WO2019135413A1 (ja) 2018-01-05 2019-01-07 釣り用スイ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906A KR20200091906A (ko) 2020-07-31
KR102493758B1 true KR102493758B1 (ko) 2023-02-06

Family

ID=6714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900A KR102493758B1 (ko) 2018-01-05 2019-01-07 낚시용 스위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82320B2 (ko)
EP (1) EP3753403A4 (ko)
JP (1) JP7060621B2 (ko)
KR (1) KR102493758B1 (ko)
CN (1) CN111601504B (ko)
WO (1) WO2019135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62641A (ja) * 2021-10-21 2023-05-08 謙治 大浦地 ボールベアリングスイベルを使用した吊り下げ式方位磁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410A (ja) * 2001-02-21 2002-08-2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CN1427986A (zh) 2001-03-05 2003-07-02 后藤格特有限公司 弦乐器的绕弦器具
JP2014155470A (ja) * 2013-02-18 2014-08-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及びそれを備えた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7016A (en) * 1937-01-11 1938-11-15 Franzen Hjalmar Swivel for preventing the twisting of fishing lines of spinning tackles and the like
US3427691A (en) * 1965-09-08 1969-02-18 James R Johnston Coupling device
USRE31096E (en) * 1965-09-08 1982-12-07 Coupling device
JPS5327419B1 (ko) * 1970-10-27 1978-08-08
JPS51122095U (ko) * 1975-03-28 1976-10-02
JPS51122095A (en) 1975-04-14 1976-10-25 Teijin Ltd A process for preparing imidazobenzenediazepine derivatives
JPS5756711Y2 (ko) * 1980-07-07 1982-12-06
JPS5992671A (ja) 1982-11-18 1984-05-28 Sanyo Electric Co Ltd 回転ドラムの用紙装着装置
JPS5992671U (ja) * 1982-12-13 1984-06-23 小野 孝 釣糸用撚り戻し
US4552481A (en) * 1984-07-23 1985-11-12 Bluett Thomas J Environmental impervious swivel
JPS61234727A (ja) 1986-04-17 1986-10-20 株式会社小野金属工業所 釣糸用錘付撚り戻しの製造方法
JPH0618461Y2 (ja) * 1989-08-08 1994-05-18 富士工業株式会社 釣り用遊動子
JP2577850B2 (ja) 1992-09-09 1997-02-05 株式会社小野金属工業所 撚り戻し用縄ずれ防止具
JP2807673B2 (ja) * 1992-10-05 1998-10-08 良和 古田 釣 針
US5381650A (en) 1993-11-22 1995-01-17 The Crosby Group, Inc. Swivel hardware assembly
US5461820A (en) 1994-06-01 1995-10-31 Sorola; Bret S. Swivel construction
JPH0992009A (ja) * 1995-07-20 1997-04-04 Hiroshi Otani 葬儀用装飾灯
JP3549651B2 (ja) 1995-12-22 2004-08-04 株式会社釣研 釣り用サルカン
JPH1188A (ja) * 1997-06-09 1999-01-06 Marukin:Kk 釣り用接続具
JP2000345384A (ja) 1999-06-01 2000-12-12 Ricoh Co Ltd めっき装置
KR200399528Y1 (ko) 2005-08-08 2005-10-25 주식회사 센트로 볼 베어링 회전 고리
CN2860096Y (zh) * 2005-11-07 2007-01-24 吴江松 改进的钓线组连结件结构
TWM311261U (en) * 2006-12-04 2007-05-11 Woei Co Ltd Rotational ring structure for fishing
JP5395760B2 (ja) * 2010-07-15 2014-01-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用サルカンおよびサルカン用カバー
TWI451841B (zh) 2011-05-20 2014-09-11 yu chun Chen 具有線環之釣具配件及其成型模具與成型方法
US20140255722A1 (en) * 2013-03-06 2014-09-11 Integran Technologies Inc. Structural multi-layer cobalt coatings for polymer articles
JP6209418B2 (ja) * 2013-10-02 2017-10-04 株式会社シマノ 摺動部材、摺動部材を用いた自転車用部品、及び摺動部材を用いた釣り具用部品
TWM488869U (en) * 2014-07-14 2014-11-01 Jie-Li Lin Improvement of fishing wire group connection component
CN204733782U (zh) * 2015-06-23 2015-11-04 李敬畅 一种渔具8字环
JP6718830B2 (ja) * 2017-02-22 2020-07-08 フジック釣具工業株式会社 釣り用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410A (ja) * 2001-02-21 2002-08-2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CN1427986A (zh) 2001-03-05 2003-07-02 后藤格特有限公司 弦乐器的绕弦器具
JP2014155470A (ja) * 2013-02-18 2014-08-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及びそれを備えた両軸受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82320B2 (en) 2022-07-12
US20200367481A1 (en) 2020-11-26
JPWO2019135413A1 (ja) 2021-02-18
WO2019135413A1 (ja) 2019-07-11
CN111601504B (zh) 2022-08-26
KR20200091906A (ko) 2020-07-31
CN111601504A (zh) 2020-08-28
EP3753403A1 (en) 2020-12-23
EP3753403A4 (en) 2021-06-16
JP7060621B2 (ja)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543B2 (en) Cage unit and tapered roller bearing equipped with cage unit
KR102493758B1 (ko) 낚시용 스위블
JP5809666B2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清掃装置
US3162493A (en) Reinforcing graphite and plastic separators by electroformed metallic shells
CN104685234A (zh) 球形接头
US3441327A (en) Roller bearing
JP2003021145A (ja) ころ軸受
JP2011185315A (ja) 転がり軸受および保持器
JP2013145052A (ja) 滑り軸受
JP6631784B2 (ja) 旋回リング
KR100925770B1 (ko) 로드앤드용 베어링
KR200436907Y1 (ko) 간이 회전 의자
JP5080604B2 (ja) 同軸コネクタ用回転機構部品および同軸コネクタ
JP6424296B2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JP6897802B2 (ja) アンギュラ玉軸受
JP6550711B2 (ja) 転がり軸受用冠型保持器
JP2021181809A (ja) 軸受
CN112648294A (zh) 一种用于全陶瓷轴承的碳纤维保持架
FR3094048B1 (fr) Elément de liaison,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bague pour un tel élément de liaison
JP2007278418A (ja) 冠型保持器及び玉軸受
CN218090292U (zh) 一种用于钢丝绳加工的成股盘
JP2001355636A (ja) 転がり運動部品
KR101973943B1 (ko) 볼 베어링
JPS63167125A (ja) ころがり軸受
KR101910229B1 (ko)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