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229B1 -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 - Google Patents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229B1
KR101910229B1 KR1020150080727A KR20150080727A KR101910229B1 KR 101910229 B1 KR101910229 B1 KR 101910229B1 KR 1020150080727 A KR1020150080727 A KR 1020150080727A KR 20150080727 A KR20150080727 A KR 20150080727A KR 101910229 B1 KR101910229 B1 KR 10191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pindle assembly
spindle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216A (ko
Inventor
정주옥
Original Assignee
정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옥 filed Critical 정주옥
Priority to KR102015008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22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04Spindl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16Framework; Casings; Coverings ; Removal of heat; Means for generating overpressure of air against infiltration of dust; Ducts for electric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링 상에 보빈(B)을 수용하면서 일측에 회전대(2)를 구비하는 브라켓(3)과, 회전대(2)를 삽설할 수 있게 관통공(4)을 구비하는 스핀들조립체(1)를 구비하는 스핀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의 관통공(4) 상에 삽설 또는 스핀들조립체(1)의 회전대(2) 상에 브라켓(3)과 스핀들조립체(1)의 접착면의 마모를 방지하면서 관통공(4) 내부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하게 수평부(10a)와 수직부(10b)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분리형(12), 와셔형(13)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커버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브라켓으로부터 스핀들조립체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윤활제가 없이도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여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 보빈에 권취된 실의 오염을 줄이며, 브라켓과 스핀들조립체의 접착면에 마모를 방지하면서 관통공 내부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cover for spindle device}
본 발명은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라켓으로부터 스핀들조립체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윤활제가 없이도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여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 보빈에 권취된 실의 오염을 줄이며, 브라켓과 스핀들조립체의 접착면에 마모를 방지하면서 관통공 내부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커버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사를 서로 트위스트(twist)하여 꼬아줌으로서 하나의 원사로 장치로 커버링에서 연사를 제조함과 동시에 통상의 스핀장치를 통해 권취하게 된다. 이러한 스핀들장치는 브라켓과 스핀들조립체로 이루어져 보빈을 장착함에 있어 회전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서로 맞물릴 시 접착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접착면은 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빠른 마모가 발생하고, 하부에 형성된 브라켓의 관통공 내부에는 쇳가루 등의 불순물이 유입됨에 따라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5-0003781호는 ‘스판덱스사 관통용 수직통로(401)가 중앙에 관통되고 외연 상부에는 보빈(200)이 축설되었으며 하부에는 벨트(5)접지부가 구비된 공지의 연사기용 스핀들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회전축(400) 외부에 결합된 외통(403)의 상면과 회전축사이에 스프링(431)에 탄지된 허브(432)와 체결너트(430)로 조립된 구성과, 상기 외통 내부에 삽설되는 내통(412)에는 상, 하 베어링(3)과 윤활유(7)로 고정축(410)과 회전축(400)의 마찰을 방지하는 공지의 기술을 구비하여 상면의 윤활유흡수재(700)와 밀폐링(710)으로 충진한 구성과, 상기 내통과 일체인 고정축(410)의 중앙에 축삽된 실 안내봉(413)은 회전축의 통로 내면과 일정간격을 두며 허브의 위치까지 연장되게한 구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져서 됨을 특징으로 한 연사기용 스핀들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스핀들장치는 윤활유를 사용함에 따라 원활한 작업을 이루나 시간이 지날수록 회전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고, 윤활유의 유출이 발생하여 실의 오염을 막을 수 없고, 마모에 따른 스핀들장치의 파손 및 부정확한 회전을 통한 연사의 제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468823호는 ‘커버링 상에 보빈(B)을 수용하는 스핀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상에 장착하여 고정되고, 일측에 수용홈(11)을 구비하는 브라켓(10); 상기 브라켓(10)의 수용홈(11) 상에 핀(21)을 통해 삽설되어 고정되면서 브라켓(10)으로부터 회전이 가능하게 핸들(22)을 구비하고, 보빈(B)을 안착한 상태로 함께 회전하여 연사 가능하게 스핀들(23)을 구비하는 스핀들조립체(20); 상기 브라켓(10)과 스핀들조립체(20)의 하부에 스핀들조립체(20)의 회전을 지지하게 구비하는 탄성체(30); 및 상기 브라켓(10)의 수용홈(11) 상에 삽설하여 핀(21)과의 마찰 저항을 통한 마모를 줄이게 구비하는 마모방지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용 스핀들 장치.’를 제시한다.
이는,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것으로 브라켓으로부터 스핀들조립체의 회전이 용이하면서 마모를 줄임으로 써 교체기간이 늘여 비용을 줄이고, 코팅층으로 인해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보빈에 권취된 실의 오염을 줄이는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브라켓과 스핀들조립체의 접착면에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5-0003781호 “연사기용 스핀들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468823호 “커버링용 스핀들 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으로부터 스핀들조립체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윤활제가 없이도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여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 보빈에 권취된 실의 오염을 줄이며, 브라켓과 스핀들조립체의 접착면에 마모를 방지하면서 관통공 내부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커버링 상에 보빈을 수용하면서 일측에 회전대를 갖는 스핀들조립체와, 회전대를 삽설할 수 있게 관통공을 갖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스핀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 상에 삽설 또는 스핀들조립체의 회전대 상에 브라켓과 스핀들조립체의 접착면의 마모를 방지하면서 관통공 내부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하게 수평부와 수직부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분리형, 와셔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커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브라켓으로부터 스핀들조립체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윤활제가 없이도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여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 보빈에 권취된 실의 오염을 줄이며, 브라켓과 스핀들조립체의 접착면에 마모를 방지하면서 관통공 내부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과 스핀들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상에 커버체가 삽설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과 스핀들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상에 커버체가 삽설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커버링 상에 보빈(B)을 수용하면서 일측에 회전대(2)를 구비하는 브라켓(3)과, 회전대(2)를 삽설할 수 있게 관통공(4)을 구비하는 스핀들조립체(1)를 구비하는 스핀들 장치에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에 관련되며, 커버체(1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제10-2014-0150923호의 구성을 토대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즉, 브라켓(3)은 상기 커버링 상에 장착하여 고정되고, 일측에 수용홈(4)을 구비하는 구조로 연상기 상에 후술하는 스핀들조립체(1)와 함께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브라켓(3)은 일정두께를 유지한 판형의 상태로 일측에 스핀들조립체(1)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핀들(5)의 하부를 감싸면서 삽설되게 수용홈(4)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핀들조립체(1)는 상기 브라켓(3)의 수용홈(4) 상에 회전대(2)를 통해 삽설되면서 브라켓(3)으로부터 회전이 가능하게 핸들(6)을 구비하고, 보빈(B)을 안착한 상태로 함께 회전하여 연사 가능하게 스핀들(5)을 구비하는 구조로 2가닥의 원사를 서로 트위스트(twist)하여 꼬아주는 역할을 시행한다. 스핀들조립체(1)의 스핀들(5)의 상부에는 보빈(B)이 실을 권취한 상태로 안착되고, 스핀들(5)의 내부가 관통된 통공(5a)을 통해 하나의 원사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그 원사의 외주를 보빈(B)에 권취된 원사가 회전하여 연사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체(10)는 상기 브라켓(3)의 관통공(4) 상에 삽설 또는 스핀들조립체(1)의 회전대(2) 상에 브라켓(3)과 스핀들조립체(1)의 접착면의 마모를 방지하면서 관통공(4) 내부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한다. 커버체(10)는 브라켓(3)의 관통공(4) 상에 스핀들조립체(1)의 회전대(2)가 삽설하여 회전할 때, 스핀들조립체(1)와 브라켓(3)의 접착면과 관통공(4)에 삽설된 회전대(2)에 마모가 반드시 발생하게 된다. 커버체(10)는 이러한, 조립체(1)와 브라켓(3)의 접착면 또는 관통공(4)에 삽설된 회전대(2)와, 조립체(1)와 브라켓(3)의 접착면과 회전대(2) 둘다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는, 상기와 같이 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브라켓(3) 상에 안착된 스핀들조립체(1)는 수평을 이루지 못해 스핀들(5)에 장착된 보빈(B)이 기울어지기 때문에 연사가 불가능하게 된다.
[마모된 실제제품 사진]
Figure 112015055063065-pat00001
상기 실제 제품을 살펴보면 브라켓(3)과 스핀들조립체(1)의 접착면에는 심각한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마모를 통해 브라켓(3)과 스핀들조립체(1)는 서로 수평되어 있지 않아 회전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진동의 발생을 통해 마모도 발생할 수 있어 원사의 불량률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체(10)는 브라켓(3)과 스핀들조립체(1)의 접착면의 마모 방지와 관통공(4) 내부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하게 수평부(10a)와 수직부(10b)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일체형(11), 분리형(12), 와셔형(13)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체(10)는 수평부(10a) 또는 수직부(10b)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거나 수평부(10a)와 수직부(10b)를 둘 다 구성하여 브라켓(3)과 스핀들조립체(1)의 접착면과 회전대(2)와 관통공(4) 내부에 마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버체(10)는 일체형(11), 분리형(12), 와셔형(13)로 구분되는 바, 일체형(11)은 수평부(10a)와 수직부(10b)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부(10b)가 브라켓(3)의 관통공(4)에 삽설된 상태로 회전대(2)와 관통공(4)을 보호하고, 수평부(10a)가 스핀들조립체(1)와 브라켓(3)의 접착면을 보호하게 되고, 분리형(12)은 수평부(10a)와 수직부(10b)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억지끼움 고정되어 회전대(2)와 관통공(4) 및 스핀들조립체(1)와 브라켓(3)의 접착면을 보호하며, 와셔형(13)은 링 형태로 스핀들조립체(1)의 회전대(2)에 삽설되어 스핀들조립체(1)와 브라켓(3)의 접착면 만을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본원발명의 커버체(10)는 폴리아세탈(polyacetal) 60∼80wt%와, MC 나일론(Mono Cast Nylon) 20∼40wt%를 서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바, 폴리아세탈 70wt%와, MC 나일론 30wt%를 서로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나, 폴리아세탈 또는 나일론 하나로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일명 아세탈(acetal)이라고 불리는 수지로서 내구도, 낮은 마찰계수를 지니며, 전기전열성과 내마모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역할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폴리아세탈은 낮은 마찰계수를 통해 회전대(2), 관통공(4) 및 스핀들조립체(1)와 브라켓(3)의 접착면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MC 나일론의 경우에도 내마모성이 우수한 장점을 지니게 됨으로 MC 나일론의 재질 자체가 윤활성을 가지고 있어 별도의 윤활류가 없이도 회전대(2)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브라켓으로부터 스핀들조립체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윤활제가 없이도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여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 보빈에 권취된 실의 오염을 줄이며, 브라켓과 스핀들조립체의 접착면에 마모를 방지하면서 관통공 내부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스핀들조립체 2: 회전대
3: 브라켓 4: 관통공
5: 스핀들 6: 핸들
10: 커버체 10a: 수평부
10b: 수직부 11: 일체형
12: 분리형 13: 와셔

Claims (2)

  1. 커버링 상에 보빈(B)을 수용하면서 일측에 회전대(2)를 갖는 스핀들조립체(1)와, 회전대(2)를 삽설할 수 있게 관통공(4)을 갖는 브라켓(3)을 구비하는 스핀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의 관통공(4) 상에 삽설 또는 스핀들조립체(1)의 회전대(2) 상에 브라켓(3)과 스핀들조립체(1)의 접착면의 마모를 방지하면서 관통공(4) 내부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하게 수평부(10a)와 수직부(10b)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분리형(12), 와셔형(13)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커버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
  2. 삭제
KR1020150080727A 2015-06-08 2015-06-08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 KR10191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27A KR101910229B1 (ko) 2015-06-08 2015-06-08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27A KR101910229B1 (ko) 2015-06-08 2015-06-08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16A KR20160144216A (ko) 2016-12-16
KR101910229B1 true KR101910229B1 (ko) 2018-10-19

Family

ID=5773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727A KR101910229B1 (ko) 2015-06-08 2015-06-08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2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337A (ja) * 2000-07-28 2002-02-06 Toyota Industries Corp 紡機のスピンドル
JP2002038338A (ja) 2000-07-28 2002-02-06 Toyota Industries Corp 紡機における単錘駆動用スピンドル装置のスピンドル
KR101468823B1 (ko) * 2013-12-23 2014-12-03 정주옥 커버링용 스핀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10827U1 (de) 1993-07-06 1993-09-23 Balcke Duerr Ag Waermetauscher aus mehreren parallel zueinander angeordneten austauscherrohr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337A (ja) * 2000-07-28 2002-02-06 Toyota Industries Corp 紡機のスピンドル
JP2002038338A (ja) 2000-07-28 2002-02-06 Toyota Industries Corp 紡機における単錘駆動用スピンドル装置のスピンドル
KR101468823B1 (ko) * 2013-12-23 2014-12-03 정주옥 커버링용 스핀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16A (ko)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543B2 (en) Cage unit and tapered roller bearing equipped with cage unit
JP3066118U (ja) 給油ボ―ルスクリュ―
US10130083B2 (en) Line roller and spinning reel for fishing having same
KR101910229B1 (ko) 스핀들 장치용 커버체
US9961888B2 (en) Line roller
KR101530829B1 (ko) 마모율을 줄이는 커버링용 스핀들 장치
KR101468823B1 (ko) 커버링용 스핀들 장치
CN207569045U (zh) 高稳定性的轮毂轴承
CN208417245U (zh) 一种轻窄薄壁深沟球轴承
CN209212782U (zh) 一种超薄大型双列球面轴承
KR20160071617A (ko) 커버링용 스핀들 장치
US2565389A (en) Textile spindle
US3298757A (en) Spindle bearing arrangement for a textile machine
CN208764144U (zh) 带储油结构的深沟球轴承
CN207227632U (zh) 一种耐磨损的筒子架
JPWO2016166994A1 (ja) 計量機用流状指示器
CN205446422U (zh) 一种机械轴承座装置
CN210765646U (zh) 一种带可换刀片、滑动轴承的锭子自动清纱装置
CN218294235U (zh) 一种具有注油结构的轴承外套
CN217531911U (zh) 低阻尼外挂型3d打印机耗材支架
CN214888390U (zh) 一种带有润滑结构的转轴内套
CN220037255U (zh) 一种电机用开口型直线轴承
DE959533C (de) Spindel fuer Spinnmaschinen
US2758895A (en) Textile spindle support
CN211812759U (zh) 用于纺织机械的环形零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53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01

Effective date: 201808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