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245B1 -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245B1
KR102493245B1 KR1020200143603A KR20200143603A KR102493245B1 KR 102493245 B1 KR102493245 B1 KR 102493245B1 KR 1020200143603 A KR1020200143603 A KR 1020200143603A KR 20200143603 A KR20200143603 A KR 20200143603A KR 102493245 B1 KR102493245 B1 KR 102493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arvedilol
skin
present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8159A (ko
Inventor
장성은
송영섭
유한주
최명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엑스
Priority to KR102020014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245B1/ko
Priority to JP2021140084A priority patent/JP2022073954A/ja
Priority to US17/507,413 priority patent/US20220133614A1/en
Publication of KR20220058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245B1/ko
Priority to JP2023107248A priority patent/JP202311531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카베디롤(carvedil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국소제제 혹은 화장료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인간 멜라닌 세포(normal human melanocytes, NHMs)에서 CREB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MITF를 감소시켜 멜라닌 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세포 티로시나제 활성을 약화시켜 색소침착의 부작용 위험성이 낮은 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의 소재 개발 및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carvedilol}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카베디롤(carvedil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색소성 피부 질환이 늘어나고 있으며, 전신 및 국소 제제를 포함한 다양한 치료 방법 및 레이저 요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색소침착(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PIH))과 같이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흔하고 치료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한편,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으로 구성된 카테콜아민은 신경 전달 물질과 내분비 호르몬으로 작용하는 신호 분자로서, 피부에서 카테콜아민의 생합성과 분해는 인간 각질 세포에서 발생하지만 멜라닌 세포에서 카테콜아민이 합성되는 것은 잘 알려져있지 않다. 카테콜아민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를 통해 작동하며, 카테콜아민과 GPCR의 결합은 ATP로부터 3’, 5’- 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를 합성하는 세포 내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의 활성화를 유발하고, cAMP는 단백질 키나제 A(PKA)의 R- 서브 유닛을 결합하여 활성을 발휘하여 cAMP 반응 요소 결합 단백질(CREB)의 인산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PCR은 글루카곤, 부갑상선 호르몬, 세크레틴 및 칼시토닌을 포함한 아민과 펩티드에 의해 활성화된다.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길항제는 α-수용체 및 β-수용체 길항제로 구성되며, α- 수용체 길항제는 비 선택적, α1- 선택적 및 α2- 선택적 제제로 세분되는 반면, β- 수용체 길항제는 비 선택적, β1- 선택적 및 β2-로 세분화된다. 프로프라놀롤, 티몰롤, 나돌롤과 같은 1 세대 비 선택적 β- 수용체 길항제와 달리, 카베디롤(Carvedilol)은 α1-를 차단하여 혈관 확장 작용도 있는 3 세대 비 선택적 β- 차단제로 알려져 있다. 카베디롤은 다른 β- 차단제와 유사하게 고혈압과 울혈성 심장 질환을 조절하기 위한 경구 약물로 사용되어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피부과 분야에서는 모세혈관 확장 억제, 항산화, 항염증 작용이 알려져있어 종종 홍반 모세혈관 확장성 주사(erythematotelangiectatic rosacea)를 치료하기 위해 경구 제제에 사용되어지고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68827호).
그러나, 카베디롤이 피부 질환 또는 미백 효능을 확인한 연구는 미미하며, 특히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억제하는 것이 아닌 다른 신호전달 과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카베디롤을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 신호전달을 연구한 결과, 카베디롤이 인간 멜라닌 세포에서 CREB(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를 감소시키고 멜라닌 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카베디롤(Carvedil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카베디롤(Carvedil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6055532-pat00001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MITF 발현 및 티로시나제 활성을 포함하는 MITF 하부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CREB(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인산화의 억제를 통해 MITF의 발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국소 피부 연고제 조성물, 화장품 원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인간 멜라닌 세포(normal human melanocytes, NHMs)에서 CREB(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를 감소시켜 멜라닌 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는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세포 티로시나제 활성을 약화시켜 색소침착의 부작용 위험성이 낮은 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의 소재 개발 및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인간 멜라닌 세포(NHMs)에서 농도별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도 1a는 농도별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세포생장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농도별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것이고, 도 1c는 농도별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를 확인한 것이고, 도 1d는 카베디롤 처리 시간에 따른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마우스 멜라닌 세포(mel-ab)에서 카베디롤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도 2a는 농도별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세포생장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농도별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FSK로 자극된 인간 멜라닌 세포에서 카베디롤의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도 3a는 시간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FSK 처리에 따른 MITF mRNA 발현을 나타낸 것이고, 도 3c는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MITF mRNA 발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ex-vivo 피부 모델의 변화를 확인한 것으로, 도 4a는 Fontana masson 염색을 통해 멜라노좀의 수준을 확인한 것이고, 도 4b는 카베디롤 처리 여부에 따른 멜라닌 지수를 비교한 것이고, 도 4c는 멜라닌 합성 관련 효소의 변화를 확인한 것이고, 도 4d는 멜라노사이트 수의 변화를 확인한 것이고, 도 4e는 멜라노사이트의 활성을 의미하는 HMB45(+) 멜라노사이트의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카베디롤을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 신호전달을 연구한 결과, 카베디롤이 인간 멜라닌 세포에서 CREB(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를 감소시켜 멜라닌 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카베디롤(Carvedil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국소 피부 연고제 조성물, 화장품 원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베디롤(Carvedilol)”은 화학식 C24H26N2O4으로 구성되고,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6055532-pat00002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백"은 멜라닌 등의 색소의 과다로 인하여 명도가 감소된 피부의 명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피부의 명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법,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명도가 증가된 피부 등을 포괄하여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피부 미백을 의미할 수 있다. "피부 미백"은 멜라닌의 생성이 저해됨에 따른 결과로서 이해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멜라닌의 생성이 저해됨에 따라 멜라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증상, 예컨대 기미, 주근깨 개선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또는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고, 구체적으로 CREB(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인산화 억제 기전을 통해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저감시킴으로써 미백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카베디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멜라닌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간 멜라닌 세포에 카베디롤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나제 활성이 억제되며, 멜라닌 합성관련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카베디롤의 미백효과가 cAMP/PKA/CREB 신호전달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phospho-ERK 및 phospho-CREB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 phospho-ERK는 변화가 없으나 phospho-CREB가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카베디롤이 CREB을 억제함으로써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CREB 억제를 통해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를 감소시키고, 멜라닌 세포의 활성억제 및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피부 국소 연고약제 조성물, 화장품 원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 이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인 카베디롤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 피부 미백 효과를 상승 또는 보강시킬 수 있도록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백 효과가 있다고 공지된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로서는 멀캅토숙신산, 멀캅토덱스트란, 테프레논, 디하이드 록시-이소퀴놀린, 인도메타신, 3-하이드록시마뉼, 비타민 K, 티아졸리돈, 키누레닌, 레몬 추출물, 오이 추출물, 오디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아세로라 체리 추출물, 은행 추출물, 제라늄(geranium) 추출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은 피부 미백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중량 % 내지 99.99중량 %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미백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발명의 피부 국소제 혹은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연고,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으로,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 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피부 국소제 혹은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피부 국소제제 혹은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부 국소제제 혹은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미백용 피부 국소제제 혹은 화장료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중량 % 내지 약 99.99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중량% 내지 약 99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국소제제 혹은 화장료의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형태에 따라 또한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 형태로도 이용될 수 있고, "피부 외용제"는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에 사용하는 물질 전반을 포함하는 포괄하는 개념으로, 피부 외용제 제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경고제(PLASTER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연질, 경질 젤라틴 캅셀, 첩부제, 또는 서방화제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제제화된 비경구 투여제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패취, 스프레이, 현탁제 및 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이용되는 경우, 피부에 침착된 색소를 치료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과다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 색소침착 질환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색소 침착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환자의 상태 및 체중, 환자의 성별, 연령,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 배설 속도, 반응 감응성 등과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투여량 및 횟수는 어떠한 면에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이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피부 미백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특정보건용 식품,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및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은 경우에 따라,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으로 혼용될 수 있으며,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디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 톨루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카베디롤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 대상의 상태, 구체적인 병증의 종류, 진행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식품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멜라닌 세포에서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미백 효과 확인
1-1. 인간 멜라닌 세포(nomal human melanocytes, NHMs)에서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미백효과 확인
인간 멜라닌 세포(normal human melanocytes, NHMs)에 카베디롤을 2μM, 4μM, 6μM, 8μM 및 10μM 각 농도별로 처리하고 5일간 배양한 후, 세포생장율, 멜라닌 생성 활성, 티로시나제 활성,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세포생장율의 경우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베디롤의 농도 8μM 까지는 영향이 없으며, 10μM 처리한 경우에서만 세포생장율이 소폭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멜라닌 생성 및 티로시나제 활성의 경우 도 1b 및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베디롤 처리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고, 티로시나제 활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 발현의 경우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1-2. 마우스 멜라닌 세포(mel-ab)에서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확인
인간 멜라닌 세포에서의 미백활성을 나타낸 실시예 1의 결과에 더하여, 마우스 멜라닌 세포인 mel-ab세포에 카베디롤을 처리하고 멜라닌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a 및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 멜라닌 세포에서도 카베디롤의 농도 8μM 까지는 세포생장율에 영향이 없으며,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FSK로 자극된 인간 멜라닌 세포에서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미백 효과 확인
인간 멜라닌 세포를 FSK로 자극하고 카베디롤을 처리한 후 phospho-CREB와 phospho-ERK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MITF 전사를 조절하는 멜라닌 생성의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ospho-ERK는 변화가 없으나, phospho-CREB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카베디롤이 cAMP/PKA/CREB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으며, cAMP를 증가시키는 FSK를 처리한 후 카베디롤의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다시 확인한 결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베디롤이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생존 및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자체 구조 반응 곡선을 갖는 MITF mRNA를 FSK 10μM로 처리 2시간 후 인간 멜라닌 세포에서 MITF의 전사가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베디롤을 처리 후 2시간 후 인간 멜라닌 세포에서 MITF의 mRNA 수준이 가장 많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카베디롤 처리에 따른 ex-vivo 피부 모델 변화 확인
실제 임상에서의 적응을 보기 위해 인간 피부조직 ex-vivo 모델을 활용하여 UV로 자극을 주어 멜라닌 합성을 유도한 후 그 카베디롤을 처리하여 배양한후 절편을 만들어 Fontana-masson 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4a의 나타낸 바와 같이 멜라노좀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Fontana-Masson 염색 영역의 비율을 계산한 결과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베디롤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지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티로시나제, TRP1 및 DCT등의 멜라닌 합성 관련 효소가 UVR에 의해 증가하고 카베디롤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 면역염색 결과를 분석한 결과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베디롤은 UVR 단독과 비교하여 Melan-A (+) 세포 즉 멜라노사이트의 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멜라노사이트 활성을 의미하는 HMB45(+) 멜라노사이트는 UVR 처리에 의해 증가되고, 카베디롤 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카베디롤은 멜라닌 지수와 멜라닌 생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UVR로 자극한 인간 피부에 대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카베디롤(Carvedil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094113950-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MITF 발현 및 티로시나제 활성을 포함하는 MITF 하부신호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REB(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인산화 억제를 통해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의 카베디롤(Carvedil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094113950-pat00018
  5. 하기 화학식 1의 카베디롤(Carvedil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094113950-pat00019

  6. 삭제
KR1020200143603A 2020-10-30 2020-10-30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93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603A KR102493245B1 (ko) 2020-10-30 2020-10-30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21140084A JP2022073954A (ja) 2020-10-30 2021-08-30 カルベジロー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US17/507,413 US20220133614A1 (en) 2020-10-30 2021-10-21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carvedilol
JP2023107248A JP2023115317A (ja) 2020-10-30 2023-06-29 カルベジロー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603A KR102493245B1 (ko) 2020-10-30 2020-10-30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159A KR20220058159A (ko) 2022-05-09
KR102493245B1 true KR102493245B1 (ko) 2023-01-30

Family

ID=8138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603A KR102493245B1 (ko) 2020-10-30 2020-10-30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33614A1 (ko)
JP (2) JP2022073954A (ko)
KR (1) KR1024932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11834C (zh) * 2001-12-05 2007-04-25 坂本生物科技有限公司 麦角甾醇衍生物形成的黑色素生成抑制剂及美白剂、以及含有麦角甾醇衍生物的组合物
US10267796B2 (en) * 2010-10-25 2019-04-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creening methods of modulating adrenergic receptor gene expressions implicated in melanogenesis
EP3405193B1 (en) * 2016-01-19 2022-03-23 AchromaZ Pte. Ltd. A cosmetic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for regulating skin quality
EP3603611B1 (en) * 2017-03-24 2024-01-10 Ajinomoto Co., Inc. Skin whitening agent comprising specific d-amino acid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RECENT PATENTS ON CARDIOVASCULAR DRUG DISCOVERY
논문2: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15317A (ja) 2023-08-18
JP2022073954A (ja) 2022-05-17
US20220133614A1 (en) 2022-05-05
KR20220058159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1441B2 (ja) 皮膚色素沈着の処理方法
EP2109440B1 (fr) Association de composes inhibiteurs de la melanogenese et leurs utilisations en cosmetique et en dermatologie.
US20020141956A1 (en) Skin whiteners containing hydroxytetronic acid derivatives
KR102493245B1 (ko) 카베디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BR102013015070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despigmentante e seu processo de preparação
EP1885323B1 (fr) Utilisation cosmétique d'au moins un tétrapeptide naturel ac-n-ser-asp-lys-pro- ou un de ses analogues en tant qu'agent pour ralentir la chute des cheveux et/ou stimuler leur croissance
WO2010094452A2 (en) Novel composition
US20060257340A1 (en) Formulation for skin-lightening agents
KR20090091505A (ko) 산소수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9692B1 (ko)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56508B1 (ko) 아크레모니딘 e를 포함하는 색소 침착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0823B1 (ko) 아세톡시차비콜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695549B1 (ko) 주글론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30154641A (ko)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787754B2 (ja) メラニン分解促進剤
US8278289B2 (en) Boroxine composition for removal of skin changes
KR101875842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068031A (ko) Bcl-2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노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15212121A (zh) 用于制备美白用组合物的化合物的用途以及利用其的皮肤美白方法
JPH02193918A (ja) 酵素生成抑制剤
KR20240050563A (ko)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30140317A (ko) Ly294002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114392A (ko) 오르틱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114390A (ko)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114391A (ko) 메발로노락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