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032B1 -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032B1
KR102493032B1 KR1020220087303A KR20220087303A KR102493032B1 KR 102493032 B1 KR102493032 B1 KR 102493032B1 KR 1020220087303 A KR1020220087303 A KR 1020220087303A KR 20220087303 A KR20220087303 A KR 20220087303A KR 102493032 B1 KR102493032 B1 KR 10249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ust
gravel
unit
dust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87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032B1/ko
Priority to PCT/KR2022/020417 priority patent/WO202401463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8Granu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콘 제조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아스콘의 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나 기타 유해분진을 코로나 방전을 통해 제거하기 위한 하나의 일괄된 장치로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버킷 엘리베이터(100)를 이용하여 아스콘의 재료 중에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재생골재를 이송하여 골고루 혼합, 가열, 건조하는 건조부(S1)와 상기 건조부(S1)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을 상측에 구비된 배관을 통해 강제흡입하여 집진 정화하는 제1 집진정화부(S2)와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를 거친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은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되면서 나머지 미세먼지는 호퍼의 하단에 구비된 스크류(S)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2 집진정화부(S3)와 상기 제2 집진정화부(S3)를 거친 신선한 공기를 터보팬(T)으로 강제 흡입하여 배출구(400)로 배출토록 하는 배출부(S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는,
상부 일측에는 진입구(200)가 타측에는 송풍팬(201)이 구비되어 있으며, 내주벽면에는 자갈이 수용되어 있는 자갈수용부(20)와 상기 자갈수용부(20) 하단에는 자갈을 교체하기 위한 배출밸브(210)가 구비되어 있는 자갈포집부(21)와 상부 내주부 중앙에 구비된 코로나 반응부(22)와 상기 자갈수용부(20) 일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진출하는 진출부(23)로 구성되며,
상기 코로나 반응부(22)는,
다수개의 집진파이프(221)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집진부(220)와 상기 집진부(220)의 집진파이프(221) 내측에 수용되는 방전봉(230)과 상기 방전봉(230) 전단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방전팁(240)과 상기 방전봉(230)의 끝단에 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장치(250)가 구비된 방전부(260)로 구성되고,
상기 방전봉(230)에 고정홈(231)을 형성하여 고정링(232)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링(232) 사이에 방전팁(240)을 안착시켜 결과적으로 방전팁(240)이 방전봉(230)에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방전팁(240)은 방전봉(230) 전단부에서 부터 75mm간격으로 4개 설치하고,
상기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측은 톱니산(242)과 톱니골(243)로 이루어진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니산(242) 및 톱니골(243)이 일정간격으로 12개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산(242)의 직경은 16mm 톱니골(243)의 직경은 11mm 전체 두께는 0.8mm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41)에는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게 보조관통공(244)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건조부(S1)를 거쳐 건조된 재생골재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은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로 강제 흡입되고 나머지 재생골재는 별도로 건조부(S10)에 의해 건조된 신골재와 함께 혼합부(M)에 일정 비율로 혼합후 트럭(T)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파이프(221)는 외경 76.3mm 내경 74.5mm 두께 0.9mm 길이 497mm로 구성하고,
상기 방전부(260)의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측은 톱니산(242)과 톱니골(243)로 이루어진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니산(242) 및 톱니골(243)이 일정간격으로 12개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산(242)의 직경은 16mm 톱니골(243)의 직경은 11mm 전체 두께는 0.8mm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오목부(24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245)의 양끝단은 접촉되어 산(246) 형상을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코로나 반응부(22)에는 악취제거촉매제인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코로나 방전시 발생되는 전자 및 광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산화라디칼(hyd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악취제거촉매제에는 촉매지지체인 스코리아(scoria)가 혼합되어 제공되어 상기 악취제거촉매제가 상기 촉매지지체에 흡진 또는 담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양한 산업현장의 소각로, 보일러, 탈황설비 기타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설비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분진, 유해성분 등은 물론이고 특히, 아스콘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이나 기타 유해분진을 하나의 일괄된 장치로 제거 또는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가능하며 또한 전기 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온, 라디칼, 오존 등이 대기오염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다이옥신 등의 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대기오염물질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방전전압 및 방전전류 값을 최적화하기 위해 방전팁의 형상 및 방전팁을 방전봉에 배치하는 간격 등을 실험을 통해 최적화 함으로서, 집진효율과 전력효율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최적의 사양을 도출하여 집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크 발생을 크게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작동의 신 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파크 발생의 감소로 파워 서플라이의 수명 또한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파이프 각각은 낱개로 분리가 가능하여 브러시를 이용한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척 작업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측면에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Gravel circulation dry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아스콘 제조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아스콘의 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나 기타 유해분진을 코로나 방전을 통해 제거하기 위한 하나의 일괄된 장치로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콘(asphalt-concrete)은 자갈 또는 쇄석 등과 같은 골재와, 첨가제, 그리고 원유를 분류함에 따라 분류시에 남는 찌꺼기인 아스팔트를 일정한 조건하에서 가열하고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각종 도로 포장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아스콘을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스콘 제조공정은 콜드빈(Cold Bin)에서 컨베이어벨트(Conveyer Belt)로 이송된 골재가 드라이어(Dryer)를 통과하면서 골재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AP유(Asphalt oil)와 골재를 혼합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골재를 가열하는 공정을 거친 후 상기 가열된 골재는 핫엘리베이터(Hot Elevator)와 핫스크린(Hot Screen), 핫빈(Hot Bin)을 거치면서 적합한 입도를 맞추는 조절공정을 거친 후, 입도가 조절된 골재는 믹서(Mixer)에 투입되고 AP유 저장소에서 가열된 AP유가 계량조를 통해 적정량의 믹서로 투입되어 골재와 혼합되는 공정을 거쳐 아스콘(Ascon)이 생산 제조되는 것이다.
생산된 아스콘은 곧바로 트럭에 실려 포설현장으로 출하되는데 상기 아스콘의 제조공정은 크게 골재 및 석분의 '저장설비'와 드라이어(Dryer)와 같은 '건조설비', 가열된 골재가 아스팔트와 혼합되는 '혼합설비',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집진설비', '아스콘 상차설비'등으로 구분되며, 상기 주요 5개 공정 중에서 '저장설비'를 제외한 4개 공정 모두 악취 오염물질 배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아스콘 제조공정에서 주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크게 처리되는 과정별로 분류해서 관거배출(Ducted Emission)과 자유배출(Fugitive Emission)의 두가지로 나누어지며,
관거배출이란 오염물질이 일정의 오염처리 설비를 통해 정화 후 배출되는 방식으로 주로 드라이어, 핫엘리베이터, 핫스크린, 핫빈, 혼합시설에서 배출된다.
반면에 자유배출이란 트럭에 아스콘 상차 과정과 콜드빈등 골재의 저장, 이송 등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가 포함된다.
즉, 주요오염물질은 먼지와 AP유가 휘발하여 발생하는 유기증발가스(Organic Fume)이며, 악취유발물질인 유기증발가스가 배출되는 공정은 재생골재 건조시설, AP유 저장탱크, 고온 혼합시설(Hot Mixer)에서 골재와 AP유를 혼합하는 공정, 제조된 아스콘을 트럭에 적재하는 공정이다.
상기 주요오염물질로는 유기증발가스(고온의 골재와 AP유가 혼합될 때에 VOCs를 포함한 미세방울)와 AP유가 고온에서 증발하여 생성되는 암모니아류, 알데히드류, 방향족류등으로 구체적으로 표 1로 나타내면,
표 1
Figure 112022073841696-pat00001
이며,
또한, 악취 오염물질별 탈취방법을 표 2로 나타내면,
표 2
Figure 112022073841696-pat00002
이며,
또한, 악취물질의 최소감지농도를 표 3으로 나타내면,
표 3
Figure 112022073841696-pat00003
와 같다.
상기와 같이 아스콘 제조공정시 발생되는 악취나 오염물질은 매우 심각한 환경오염의 주범으로서 이와 같은 오염물질은,
첫째 대부분 육안 식별이 곤란하고,
둘째, 악취오염물질은 단일 배출원을 통해서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대기에 개방된 장치설비 및 야외 현장 조업 등의 운전하에서 연속적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산발적으로 배출되므로 발생원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다른 대기오염물질과는 달리 제거 투자비에 대한 개선효과의 기대치도 상당히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세째, 악취오염물질은 대단히 많은 종류의 물질이 대기에 방출됨으로써 발생되는 환경오염으로 여러 측면에서 복잡한 특성을 나타내어 악취오염의 결과도 단일 물질에 의하기 보다는 많은 종류의 화합물들의 복합적 성질에 기인한 문제점이 있고,
네째, 인간의 냄새감각에 의해 ppb 단위로 감지되는 많은 악취오염물질을 분석기기를 사용하여 객관성 있게 측정하기는 대단히 어려운 일이며, 악취의 감지는 동일인이라 하여도 시간, 장소, 농도 및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허나, 상기 표 2에 나타난 탈취방법은 각기 장단점이 있어 완벽할 수 없고 악취제거현장의 악취원인 물질 및 농도, 공정변화, 설치면적, 작업동선, 온도, 습도, 풍량, 2차 오염처리대책, 사용연료 등을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여야 하나 과도한 시설비용 및 관리운영비용, 유지관리 등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특허출원 제10-2007-37310호 발명의 명칭 '아스콘 플랜트의 드라이어를 이용한 분진 및 악취제거장치'가 2007년 4월 17일자로 출원하여 등록받았으며, 이에 대한 기술적 요지를 살펴보면,
"청구항 1
콜드빈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가열하는 드라이어와, 그 드라이어에서 가열된 골재를 이송하는 핫 엘리베이터와, 첨가제공급장치 및 더스트 공급장치로 부터 공급되는 첨가제와 더스트(dust)와 상기 핫엘리베이터에서 선별 이송 및 계량되어 투입되는 골재를 혼합한 상태의 아스콘을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믹서로 이루어지는 아스콘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믹서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강제흡입하여 상기 드라이어에서 소각되도록 배출하는 백필터용 흡기팬과, 상기 믹서와 백필터용 흡기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믹서 내부의 분진을 집진하여 상기 핫 엘리베이터로 투입하는 백 필터와, 상기 믹서의 배출구를 통해 아스콘을 배출시에 발생되는 악취를 강제흡입하여 상기 드라이어로 배출하는 후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플랜트의 드라이어를 이용한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는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이 구비되며, 그 흡기팬은 상기 후드를 통해 악취가 혼합된 공기를 강제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플랜트의 드라이어를 이용한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등록 기술은 아스콘으로 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 등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을 수는 있으나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르캅탄, 아민류,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다이옥신 등의 대기오염물질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어 있다.
현재 탈황 공정으로 가장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 기술은 석회석 슬러리를 이용한 습식 석회/석고 법이고, 그 밖에 건식 흡수제, 활성탄 등을 이용한 건식 공정이 일부 상용화되어 있다.
한편, 질소산화물 제거방법으로는 원천적으로 질소산화물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화석연료의 연소방법을 개선하거나, 연소 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탈질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배기가스 탈질 방법은 질소산화물을 수용액에 흡수시키는 지의 여부에 따라 습식법과 건식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중 습식법은 건식법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지고 수질 오염 등의 2차 오염물질 처리가 요구되므로 건식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등한 방법이다. 건식법의 대표적인 상용화공정으로는 선택적 촉매 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SCR)이 있다. 선택적 촉매 환원법은 배기가스와 환원제를 촉매 층에 동시에 통과시키면서 배기가스 내의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선택적으로 환원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대기오염물질 처리 방법에서는 대량의 배기가스가 성격이 전혀 다른 탈황 및 탈질 두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오염물질이 처리됨에 따라 초기 투자비 및 운전비가 상승하고, 탈황 및 탈질 공정의 최적 공정결합이 요구 될 뿐만 아니라 습식법에서의 폐수 배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에는 종래의 대기오염물질 처리 방법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들이 개시되고는 있다
그러나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종래 장치 및 방법들은 대부분 전체적인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최적의 방전 조건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실행되어 배기가스 내에서 대기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73329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7-37310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7291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8577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것으로서,
다양한 산업현장의 소각로, 보일러, 탈황설비 기타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설비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분진, 유해성분 등은 물론이고 특히, 아스콘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이나 기타 유해분진을 하나의 일괄된 장치로 제거 또는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온, 라디칼, 오존 등이 대기오염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다이옥신 등의 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대기오염물질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버킷 엘리베이터(100)를 이용하여 아스콘의 재료 중에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재생골재를 이송하여 골고루 혼합, 가열, 건조하는 건조부(S1)와 상기 건조부(S1)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을 상측에 구비된 배관을 통해 강제흡입하여 집진 정화하는 제1 집진정화부(S2)와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를 거친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은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되면서 나머지 미세먼지는 호퍼의 하단에 구비된 스크류(S)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2 집진정화부(S3)와 상기 제2 집진정화부(S3)를 거친 신선한 공기를 터보팬(T)으로 강제 흡입하여 배출구(400)로 배출토록 하는 배출부(S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는,
상부 일측에는 진입구(200)가 타측에는 송풍팬(201)이 구비되어 있으며, 내주벽면에는 자갈이 수용되어 있는 자갈수용부(20)와 상기 자갈수용부(20) 하단에는 자갈을 교체하기 위한 배출밸브(210)가 구비되어 있는 자갈포집부(21)와 상부 내주부 중앙에 구비된 코로나 반응부(22)와 상기 자갈수용부(20) 일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진출하는 진출부(23)로 구성되며,
상기 코로나 반응부(22)는,
다수개의 집진파이프(221)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집진부(220)와 상기 집진부(220)의 집진파이프(221) 내측에 수용되는 방전봉(230)과 상기 방전봉(230) 전단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방전팁(240)과 상기 방전봉(230)의 끝단에 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장치(250)가 구비된 방전부(260)로 구성되고,
상기 방전봉(230)에 고정홈(231)을 형성하여 고정링(232)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링(232) 사이에 방전팁(240)을 안착시켜 결과적으로 방전팁(240)이 방전봉(230)에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방전팁(240)은 방전봉(230) 전단부에서 부터 75mm간격으로 4개 설치하고,
상기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측은 톱니산(242)과 톱니골(243)로 이루어진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니산(242) 및 톱니골(243)이 일정간격으로 12개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산(242)의 직경은 16mm 톱니골(243)의 직경은 11mm 전체 두께는 0.8mm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41)에는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게 보조관통공(244)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건조부(S1)를 거쳐 건조된 재생골재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은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로 강제 흡입되고 나머지 재생골재는 별도로 건조부(S10)에 의해 건조된 신골재와 함께 혼합부(M)에 일정 비율로 혼합후 트럭(T)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파이프(221)는 외경 76.3mm 내경 74.5mm 두께 0.9mm 길이 497mm로 구성하고,
상기 방전부(260)의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측은 톱니산(242)과 톱니골(243)로 이루어진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니산(242) 및 톱니골(243)이 일정간격으로 12개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산(242)의 직경은 16mm 톱니골(243)의 직경은 11mm 전체 두께는 0.8mm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오목부(24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245)의 양끝단은 접촉되어 산(246) 형상을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코로나 반응부(22)에는 악취제거촉매제인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코로나 방전시 발생되는 전자 및 광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산화라디칼(hyd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악취제거촉매제에는 촉매지지체인 스코리아(scoria)가 혼합되어 제공되어 상기 악취제거촉매제가 상기 촉매지지체에 흡진 또는 담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양한 산업현장의 소각로, 보일러, 탈황설비 기타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설비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분진, 유해성분 등은 물론이고 특히, 아스콘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이나 기타 유해분진을 하나의 일괄된 장치로 제거 또는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가능하며 또한 전기 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온, 라디칼, 오존 등이 대기오염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다이옥신 등의 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대기오염물질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방전전압 및 방전전류 값을 최적화하기 위해 방전팁의 형상 및 방전팁을 방전봉에 배치하는 간격 등을 실험을 통해 최적화 함으로서, 집진효율과 전력효율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최적의 사양을 도출하여 집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크 발생을 크게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작동의 신 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파크 발생의 감소로 파워 서플라이의 수명 또한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파이프 각각은 낱개로 분리가 가능하여 브러시를 이용한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척 작업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측면에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재생골재의 집진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제1 집진정화부의 상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다른실시예로서 제2 집진정화부가 먼저 집진 정화처리후 제1 집진정화부가 집진 정화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코로나 반응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코로나 반응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방전봉 및 방전팁을 표현한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디양한 실시예의 방전팁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재생골재의 집진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제1 집진정화부의 상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다른실시예로서 제2 집진정화부가 먼저 집진 정화처리후 제1 집진정화부가 집진 정화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코로나 반응부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코로나 반응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방전봉 및 방전팁을 표현한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에서 디양한 실시예의 방전팁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S1), 제1 집진정화부(S2), 제2 집진정화부(S3), 배출부(S4)로 구성된 재생골재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을 제거하는 장치와 더불어 건조부(S10), 제1 정화부(S20), 제2 정화부(S30), 배출부(S40)로 구성된 신골재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을 제거하는 장치가 일괄적으로 시계열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골재의 경우는 재생골재와 달리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이 상대적으로 적어 버킷 엘리베이터(101)를 이용하여 건조부(S10)로 이송한 후 가열, 건조한 후 건조된 신골재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은 제1 정화부(S20)와 제2 정화부(S30)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배출부(S40)를 통해 터보팬(F)을 이용하여 외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며 남아있는 신골재 즉 ,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이 제1 정화부(S20)로 강제 흡입으로 이송된 후 건조된 신골재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재생골재와 함께 혼합부(M)에서 일정비율로 혼합 후 트럭(T)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S1)는 일측에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이 발생되는 재생골재를 버킷 엘리베이터(100)를 이용하여 이송한 후 골고루 혼합하고 가열한 후 건조하는 곳이며,
이와 같이 건조한 후 건조된 재생골재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1 집진부(S2)로 강제 흡입되고 나머지 건조된 재생골재는 별도로 건조부(S10)에 의해 건조된 신골재와 함께 혼합부(M)에서 일정비율로 혼합 후 트럭(T)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다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S1)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을 상측에 구비된 배관을 통해 강제흡입하여 제1 집진정화부(S2)로 이송되며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는,
상부 일측에는 진입구(200)가 타측에는 송풍팬(201)이 구비되어 있으며, 내주벽면에는 자갈이 수용되어 있는 자갈수용부(20);
상기 자갈수용부(20) 하단에는 자갈을 교체하기 위한 배출밸브(210)가 구비되어 있는 자갈포집부(21);
상부 내주부 중앙에 구비된 코로나 반응부(22);
상기 자갈수용부(20) 일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진출하는 진출부(23); 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와 같이 건조부(S1)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을 상측에 구비된 배관을 통해 제1 집진정화부(S2)으로 강제흡입 즉, 상기 진입구(200)을 통해 진입되면 상기 코로나 반응부(22)에서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등을 1차적으로 제거되는데 상기 송풍팬(201)은 상기 코로나 반응부(22)의 구성요소인 하기에서 방전팁, 방전봉에 이물질의 부착으로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등의 제거에 방해되지 아니하도록 세척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상기 코로나 반응부(22)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로나 반응부(22)는,
다수개의 집진파이프(221)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집진부(220);
상기 집진부(220)의 집진파이프(221) 내측에 수용되는 방전봉(230)과 상기 방전봉(230) 전단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방전팁(240)과 상기 방전봉(230)의 끝단에 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장치(250)가 구비된 방전부(260); 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파이프(221)는 외경 76.3mm 내경 74.5mm 두께 0.9mm 길이 497mm로 구성하고, 상기 방전부(260)의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측은 톱니산(242)과 톱니골(243)로 이루어진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니산(242) 및 톱니골(243)이 일정간격으로 12개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산(242)의 직경은 16mm 톱니골(243)의 직경은 11mm 전체 두께는 0.8mm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방전봉(230)에 고정홈(231)을 형성하여 고정링(232)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링(232) 사이에 방전팁(240)을 안착시켜 결과적으로 방전팁(240)이 방전봉(230)에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방전팁(240)은 방전봉(230) 전단부에서 부터 간격으로 4개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측은 톱니산(242)과 톱니골(243)로 이루어진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니산(242) 및 톱니골(243)이 일정간격으로 12개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산(242)의 직경은 16mm 톱니골(243)의 직경은 11mm 전체 두께는 0.8mm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41)에는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게 보조관통공(244)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오목부(24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245)의 양끝단은 접촉되어 산(246)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상기 코로나 반응부(22)에는 악취제거촉매제인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코로나 방전시 발생되는 전자 및 광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악취원인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산화라디칼(hyd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악취제거촉매제에는 촉매지지체인 스코리아(scoria)가 혼합되어 제공되어 상기 악취제거촉매제가 상기 촉매지지체에 흡진 또는 담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우선, 아래 그림 1은 다양한 형태의 방전팁(240) 형상을 나타낸 것이며, 표 1은 상기 다양한 방전팁(240) 형상에 따른 집진효율을 실험한 결과이다.
<그림 1>
Figure 112022073841696-pat00004
<표 1>
Figure 112022073841696-pat00005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전팁(240)의 형상 중 F 형상이 집진 효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실험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우선 방전팁(240) 형상은 톱니산(242)과 톱니골(243)로 이루어진 톱니형상으로 하되, 상기 톱니산(242) 및 톱니골(243)이 일정간격으로 12개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산(242)의 직경은 16mm 톱니골(243)의 직경은 11mm 전체 두께는 0.8mm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실험을 통해 방전팁(240) 형상을 F 형상으로 하였지만 상기 A,B,C,D,E 형상의 방전팁(240)도 집진파이프(221) 및 방전봉(230)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방전팁(240)의 형상을 실험을 통해 얻은 후 상기 방전팁(240)을 방전봉(230)에 배치하는 데 있어 집진효율이 가장 우수한 형태를 찾고자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표 2는 방전팁(240)의 수량에 따른 집진효율을 실험한 결과이다.
<표 2>
Figure 112022073841696-pat00006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전팁(240)에 따른 방전전류 및 집진효율 실험결과 수량에 따라서 집진효율이 상승하다가 일정 구간에서 정체하는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본 실험을 통해 방전팁(240)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무한정 집진효율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방전팁(240) 1개와 4개~5개를 설치한 결과의 차이는 매우 크며 반면에 4개와 5개를 설치한 결과값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방전팁(240) 수량 결정에서 우선적으로 방전팁(240)을 4개로 설정하였으며, 이후 실험에서는 방전팁(240)의 간격이 집진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여기서, 방전팁(240) 배열 간격을 30mm, 60mm, 90mm로 설정하여 방전봉(230) 끝단을 시작으로 방전팁(240) 결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본 실험은 오염 입자가 대전되는 방전팁(240) 구간과 집진되는 집진 구간의 길이에 따른 집진효율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한 실험으로 이전 방전팁(240) 수량 및 형상 실험으로 결정된 방전팁(240)의 결합 간격을 결정하게 되며, 아래 표 3 및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다.
<표 3>
Figure 112022073841696-pat00007
<표 4>
Figure 112022073841696-pat00008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전팁(240) 간격에 따른 집진효율을 측정한 결과방전전류값이 가장 높게 측정된 간격 60mm가 집진효율이 가장 높고 간격 30mm가 가장 낮을 것이라고 예상되었지만 실제 실험결과는 60mm가 집진효율이 가장 높고, 90mm 간격의 결과가 가장 낮은 집진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이유는 오염 입자가 대전되는 방전팁(240) 구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이후에 위치한 오염 입자 집진 구간 유효 길이가 짧기 때문에 충분한 집진이 이루어지기 부족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확인된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집진구간 유효 길이에 따른 실험을 진행하여 적절한 방전팁(240)의 간격과 충분한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 구간 유효 길이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방전팁(240)의 간격은 60mm와 90mm의 중간인 75mm로 하는 것이 집진효율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을 코로나 반응부(22)에서 정화한 후 2차적으로 자갈수용부(20)에 수용된 자갈에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이 정화 된 후 진출부(23)으로 정화된 공기가 진출되는 것이다.
상기 자갈수용부(20)에 수용된 자갈에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이 정화되는 방식은 배출부(S4)에 구비된 터보팬(F)에 의해 강제 흡입함으로서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에서 와류현상이 발생되어 결국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이 자갈수용부(20)에 수용된 자갈과 접촉 및 충돌함에 따라 분쇄되거나 자갈에 흡착되어 결국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이 제거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 등에 의해 충돌 및 흡착된 자갈의 교체를 위해서 자갈포집부(21) 하단에 구비된 배출밸브(210)를 통해 배출하면 스크류(S)를 이용하여 배출한 다음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충진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를 거친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은 진출부(23)으로 진출하여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되면서 나머지 미세먼지등은 호퍼의 하단에 구비된 스크류(S)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2 집진정화부(S3)로 유입되어 최종 정화된 다음,
상기 제2 집진정화부(S3)를 거친 신선한 공기를 터보팬(F)으로 강제 흡입하여 배출부(S4)의 배출구(400)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S1)를 기친 후 제2 집진정화부(S3)를 거친 후 제1 집진정화부(S2)를 거쳐 정화 가능하도록 즉, 제2 집진정화부(S3)와 제1 집진정화부(S2)의 순서를 바꿔서 진행하더라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양한 산업현장의 소각로, 보일러, 탈황설비 기타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설비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분진, 유해성분 등은 물론이고 특히, 아스콘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이나 기타 유해분진을 하나의 일괄된 장치로 제거 또는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가능하며 또한 전기 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온, 라디칼, 오존 등이 대기오염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다이옥신 등의 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대기오염물질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방전전압 및 방전전류 값을 최적화하기 위해 방전팁의 형상 및 방전팁을 방전봉에 배치하는 간격 등을 실험을 통해 최적화 함으로서, 집진효율과 전력효율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최적의 사양을 도출하여 집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크 발생을 크게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작동의 신 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파크 발생의 감소로 파워 서플라이의 수명 또한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파이프 각각은 낱개로 분리가 가능하여 브러시를 이용한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척 작업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측면에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S1 : 건조부 S2 : 제1 집진정화부
S3 : 제2 집진정화부 S4 : 배출부
20 : 자갈수용부 21 : 자갈포집부
22 : 코로나 반응부 23 : 진출부
100 : 버킷 엘리베이터 200 : 진입구
210 : 배출밸브 220 : 집진부
221 : 집진파이프 230 : 방전봉
231 : 고정홈 232 : 고정링
240 : 방전팁 241 : 관통공
242 : 톱니산 243 : 톱니골
244 : 보조관통공 245 : 오목부
246 : 산 250 : 고전압 인가장치
260 : 방전부 F : 터보팬
M : 혼합부 S : 스크류
T : 트럭

Claims (10)

  1. 버킷 엘리베이터(100)를 이용하여 아스콘의 재료 중에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재생골재를 이송하여 골고루 혼합, 가열, 건조하는 건조부(S1)와 상기 건조부(S1)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을 상측에 구비된 배관을 통해 강제흡입하여 집진 정화하는 제1 집진정화부(S2)와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를 거친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은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되면서 나머지 미세먼지는 호퍼의 하단에 구비된 스크류(S)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2 집진정화부(S3)와 상기 제2 집진정화부(S3)를 거친 신선한 공기를 터보팬(T)으로 강제 흡입하여 배출구(400)로 배출토록 하는 배출부(S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는,
    상부 일측에는 진입구(200)가 타측에는 송풍팬(201)이 구비되어 있으며, 내주벽면에는 자갈이 수용되어 있는 자갈수용부(20)와 상기 자갈수용부(20) 하단에는 자갈을 교체하기 위한 배출밸브(210)가 구비되어 있는 자갈포집부(21)와 상부 내주부 중앙에 구비된 코로나 반응부(22)와 상기 자갈수용부(20) 일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진출하는 진출부(23)로 구성되며,
    상기 코로나 반응부(22)는,
    다수개의 집진파이프(221)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집진부(220)와 상기 집진부(220)의 집진파이프(221) 내측에 수용되는 방전봉(230)과 상기 방전봉(230) 전단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방전팁(240)과 상기 방전봉(230)의 끝단에 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장치(250)가 구비된 방전부(260)로 구성되고,
    상기 방전봉(230)에 고정홈(231)을 형성하여 고정링(232)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링(232) 사이에 방전팁(240)을 안착시켜 결과적으로 방전팁(240)이 방전봉(230)에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방전팁(240)은 방전봉(230) 전단부에서 부터 75mm간격으로 4개 설치하고,
    상기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측은 톱니산(242)과 톱니골(243)로 이루어진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니산(242) 및 톱니골(243)이 일정간격으로 12개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산(242)의 직경은 16mm 톱니골(243)의 직경은 11mm 전체 두께는 0.8mm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41)에는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게 보조관통공(244)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S1)를 거쳐 건조된 재생골재에서 발생되는 악취유발물질 및 유해가스, 분진은 상기 제1 집진정화부(S2)로 강제 흡입되고 나머지 재생골재는 별도로 건조부(S10)에 의해 건조된 신골재와 함께 혼합부(M)에 일정 비율로 혼합후 트럭(T)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파이프(221)는 외경 76.3mm 내경 74.5mm 두께 0.9mm 길이 497mm로 구성하고,
    상기 방전부(260)의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측은 톱니산(242)과 톱니골(243)로 이루어진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니산(242) 및 톱니골(243)이 일정간격으로 12개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산(242)의 직경은 16mm 톱니골(243)의 직경은 11mm 전체 두께는 0.8mm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팁(240)은 상기 방전봉(23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41)이 천공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오목부(24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245)의 양끝단은 접촉되어 산(246) 형상을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반응부(22)에는 악취제거촉매제인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코로나 방전시 발생되는 전자 및 광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산화라디칼(hyd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제거촉매제에는 촉매지지체인 스코리아(scoria)가 혼합되어 제공되어 상기 악취제거촉매제가 상기 촉매지지체에 흡진 또는 담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KR1020220087303A 2022-07-15 2022-07-15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KR10249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303A KR102493032B1 (ko) 2022-07-15 2022-07-15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PCT/KR2022/020417 WO2024014630A1 (ko) 2022-07-15 2022-12-15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303A KR102493032B1 (ko) 2022-07-15 2022-07-15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032B1 true KR102493032B1 (ko) 2023-01-31

Family

ID=8510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303A KR102493032B1 (ko) 2022-07-15 2022-07-15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3032B1 (ko)
WO (1) WO2024014630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310A (ko) 2005-09-30 2007-04-0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배선기판 및 반도체 장치
KR101005516B1 (ko) * 2009-10-01 2011-01-26 미륭이씨오 주식회사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악취처리장치 및 악취처리방법
KR101012657B1 (ko) * 2009-09-24 2011-02-09 대명산업(주) 재생 아스콘용 드라이어
KR101187291B1 (ko) 2012-05-24 2012-10-02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아스콘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239841B1 (ko) * 2011-02-09 2013-03-11 현테크이엔지 주식회사 일체형 백연 및 악취 처리장치
KR101273329B1 (ko) 2013-01-11 2013-06-11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제조된 아스콘 출하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485776B1 (ko) 2014-06-30 2015-01-27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아스콘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2249174B1 (ko) * 2019-11-28 2021-05-10 오메가에너지환경기술 주식회사 자갈 순환식 습식 전기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310A (ko) 2005-09-30 2007-04-0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배선기판 및 반도체 장치
KR101012657B1 (ko) * 2009-09-24 2011-02-09 대명산업(주) 재생 아스콘용 드라이어
KR101005516B1 (ko) * 2009-10-01 2011-01-26 미륭이씨오 주식회사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악취처리장치 및 악취처리방법
KR101239841B1 (ko) * 2011-02-09 2013-03-11 현테크이엔지 주식회사 일체형 백연 및 악취 처리장치
KR101187291B1 (ko) 2012-05-24 2012-10-02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아스콘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273329B1 (ko) 2013-01-11 2013-06-11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제조된 아스콘 출하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485776B1 (ko) 2014-06-30 2015-01-27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아스콘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2249174B1 (ko) * 2019-11-28 2021-05-10 오메가에너지환경기술 주식회사 자갈 순환식 습식 전기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630A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776B1 (ko)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아스콘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1187291B1 (ko) 아스콘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440546B1 (ko) 활성탄 재순환을 통한 다이옥신 저감 설비 및 활성탄 공급기
KR101273329B1 (ko) 제조된 아스콘 출하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CN107617317A (zh) 一种烟气超净净化系统
KR101459572B1 (ko)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아스콘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2011173B1 (ko) 백연 저감을 위한 배기가스의 처리시스템
KR101841019B1 (ko) 소각발전소에서 발생된 미세분진과 유해가스 동시 처리용 배기가스 처리시스템
KR102076356B1 (ko) 폐아스콘 가열시 발생하는 특정 대기유해물질 저감장치
KR101059516B1 (ko) 마이크로파 및 고온발열체의 융합공정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KR20230074669A (ko) 아스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필터링 시스템
KR102493032B1 (ko) 자갈 순환식 건식 전기 집진장치
KR101799948B1 (ko) 전기집진기와 오존 및 촉매를 이용한 일체형 수평식 악취제거장치
CN113587117A (zh) 一种无害化处置污泥的系统及方法
CN210278758U (zh) 一种生活垃圾焚烧炉烟气超净排放处理装置
KR100794236B1 (ko) 마이크로파 주사 발열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배기가스처리장치
KR102004402B1 (ko) 재생아스콘 플랜트에서의 악취제거장치 및 방법
CN204637950U (zh) 一种饲料加工废气的除臭净化装置
KR100947341B1 (ko) 타이어 제조공장의 정련공정에 적용하기 위한 고무냄새 및하이드로카본류를 함유하는 배출공기의 운전처리방법
CN114849434B (zh) 造粒塔系统及尾气治理装置
KR20110070930A (ko) 폐수 슬러지 연료 자원화 시스템
KR102346135B1 (ko) 악취제거 장치
CN209512491U (zh) 循环式固体废弃物烘干处理系统
KR101392643B1 (ko) 반건식 반응탑에서의 다단 원심력을 이용한 배기가스 유도장치
KR102398218B1 (ko) 플라즈마 및 열분해를 이용한 유해가스 제거 아스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해가스 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