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969B1 - 날실을 세척하기 위한 탱크 - Google Patents

날실을 세척하기 위한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969B1
KR102492969B1 KR1020187000856A KR20187000856A KR102492969B1 KR 102492969 B1 KR102492969 B1 KR 102492969B1 KR 1020187000856 A KR1020187000856 A KR 1020187000856A KR 20187000856 A KR20187000856 A KR 20187000856A KR 102492969 B1 KR102492969 B1 KR 10249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rp yarns
cylindrical geometry
washing
wash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137A (ko
Inventor
리날도 론치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쉬톨 알앤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쉬톨 알앤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쉬톨 알앤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1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2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with means to improve the circulation of the treat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 D06B3/201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with means to improve the circulation of the treat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the treating material being forced through the textil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06B1/16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the treating material being supplied from inside the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1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combined with squeezing, e.g. in padd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정된 세척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제공된 날실을 세척하기 위한 탱크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장치는 장치의 원통형 측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종방향 바아를 포함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본체로 구성된다. 인접한 바아의 각 쌍 사이에는 종방향 슬릿이 한정된다.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본체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 요소를 또한 포함하고,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고 바아를 지지하고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본체의 대향하는 베이스를 형성한다.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본체는 또한 단부 요소의 각각의 외부 표면 상에 얻어지고 축방향을 따라 바아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회전 핀을 포함한다.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본체는 최종적으로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장치의 회전 중에 종방향 슬릿을 통해 세척액과 날실 사이의 상호 교환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된 접선 터보 다이나믹 유동 발생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날실을 세척하기 위한 탱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직물 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warps) 및/또는 패브릭용 얀의 사슬의 연속 처리에 특히 적합한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얀 및 패브릭을 염색하고 고급화하기(ennobling) 위한 연속 공정이 있는 단일 기계 및 라인에는 항상 다양한 고온 세척 작업을 수행하는 탱크가 있다. 이 모든 작업에는 물과 열에너지가 많이 소모된다. 물과 열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환경 및 경제적 요건과, 다양한 소비자 보호 에코 라벨의 표준뿐만 아니라 패브릭의 새로운 습식 마무리 공정에서 요구되는 보다 효율적인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필요성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중간 작업으로서, 그리고 주어진 직물 사이클의 최종 작업으로서의 세척 효율은 저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실제로, 세척의 효율은 제품의 품질을 위해 그리고 후속 공정의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 결정적인데, 왜냐하면 세척 공정이 공정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얀의 일반적인 고급화 적용은 일반적으로 "데님(denim)"이라고 불리는 패브릭을 생산하기 위한 연속적인 머서화(mercerization) 및 염색이다. 데님은 일반적으로 청바지와 "스포츠 웨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패브릭이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패브릭이다. 클래식한 데님은 미리 염색된 면사를 짜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특히, 경사는 인디고 또는 다른 염료와 함께 연속적으로 염색되는 반면, 씨실은 처리되지 않은 채로 사용된다.
인디고 데님 패브릭을 위한 경사의 사슬을 염색하기 위한 연속 라인에서, 스커링(scouring), 예비 염색 또는 머서화의 준비 작업 이후의 고온 세척 작업은 많으며, 처리 조의 제형에 사용되는 물질 및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실의 불순물을 가능한 한 많이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머서화의 경우, 이는 중화 작업의 사용을 피하기 위해, 또는 적어도 목적에 필요한 산의 양을 줄이기 위해, 얀에 의해 흡수된 수산화 나트륨을 제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한편, 염색 후의 세척은 섬유에 적절히 고정되지 않은 염료의 부분을 제거하는 목적을 갖고, 얀의 염색 품질 및 패브릭의 후속 마무리 공정에 필수적으로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일반적으로 줄지어 배치된 하나 이상의 탱크가 사용되며, 각 탱크는 세척조에 잠긴 하나 이상의 복귀 및 안내 실린더를 포함하며, 탱크로부터의 섬유 재료의 출구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링잉 실린더 또는 "풀라드(foulards)"를 포함한다. 때로는 물을 세이브하기 위해, 탱크는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서로 역류로 작동한다. 이는 매우 특별한 고급화 공정이지만, 경사 또는 날실의 사슬과 같이 수천 개의 쌍을 이룬 실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패브릭용 일반적인 세척 탱크는 항상 사용되었지만, 불량한 세척 효과와 물 및 열에너지의 높은 소비율이 있다.
동일한 출원인에 대한 이탈리아 특허 01276825 및 01298448에 예시된 세척 장치에 의해 특정 개선점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세척 장치의 장점은 국소적으로 차단될 수 있어 실의 조직화된 구성의 파괴를 일으켜 해로운 주름 및 파괴를 생성하는 스프레잉 시스템에 의해 야기된 문제점을 포함하여 일련의 문제점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쇄된다.
패브릭 재료용의 추가 세척 장치는 예를 들어 문헌 GB 922 302 A 및 US 897 133 A에 기술되어 있다. 특히, 문헌 GB 922 302 A는 패브릭을 세척하기 위해 독점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를 예시한다. 회전 도중 및 다각형 모양으로 인해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이러한 장치는 패브릭을 간헐적으로 휨, 장력 및 비팅(beating) 작용에 노출시킨다. 날실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이것은 실이 겹쳐진 날실의 조직된 구성의 분해를 포함하고, 그 결과로 고르지 않은 링잉(wringing), 염색 및 스타칭(starching)이 발생되고 실 파괴의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문헌 GB 922 302 A에 예시된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한 장치는 얀을 세척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문헌 GB 922 302 A에 예시된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한 장치에서, 세척 효율은 천공된 중앙 튜브 내부의 압력에 이른다. 압력은 그러한 튜브의 단부에 각각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된다. 프로펠러는 반대 방향으로 천공된 중앙 튜브 내부로 세척수를 밀어 넣는다. 일반적인 세척 탱크의 실린더의 최대 외경이 150/160 mm임을 고려할 때, 천공된 중앙 튜브는 120/130 mm의 최대 직경을 갖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연속 염색된 얀에 대한 세척의 경우, 작동 속도는 분당 25/30 미터이므로 직경 120/130 mm인 프로펠러는 최대 65/70 회전/분으로 회전하고, 무시할만한 유속으로 확실히 천공된 튜브에 내부 압력을 생성할 수는 없다. 저속 처리의 경우, 프로펠러의 유속은 실질적으로 제로가 되어, 이러한 이유로 GB 922 302A에 기술된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한 장치의 세척 효율은 제한적이고 일정하지 않다.
문서 GB 922 302 A에 예시된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한 장치는 내부 스포크, 중앙 격막, 분할 링을 갖는 외측 블레이드, 셀, 공간, 측면 프로펠러 등을 통해 천공된 중앙 튜브와 일체인 회전 샤프트가 제공되어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인디고의 연속 염색 라인에서, 얀으로부터의 섬유에 고정되지 않은 안료를 제거하는 것과 관련하여, 많은 리세스가 제공되는 이러한 구조는 안료, 모피 및 기타 잔류물의 침전물 형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또한 중앙 튜브의 구멍이 막히거나 차단될 수도 있다. 문헌 GB 922 302 A에 예시된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한 장치의 복잡성은 세척 작업을 어렵게 한다.
문헌 US 897 133 A에 예시된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는 최소한의 구조적인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헌 GB 922 302 A에 예시된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와 세척 효과의 비효율성 및 일관성의 결여의 점에서 동일한 단점을 갖는다. 특히, 문헌 US 897 133 A에 설명된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가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유체 역학 원리에 기초하여 작동한다는 사실로 구성된 기능적 모순이 있다. 실제로, US 897 133 A는 실린더 내에서 각각의 프로펠러를 통해 액체의 흐름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발생하고, 액체는 그러한 실린더의 표면 상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실린더 내부로 쉽게 유동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전술한 결점을 극복할 수 있는, 직물 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탱크, 특히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를 매우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특히 기능적인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유형의 세척 탱크에 적용 가능하고, 자율적으로, 즉 모터, 펌프, 노즐, 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물/실 교환을 생성하여, 세척 작용을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하며,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장치에 비해 물 및 열에너지의 소비의 철저한 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막히지 않아서 얀의 조직화된 구성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날실의 전체 폭에 대한 그 작용의 완벽한 균일성을 보장하는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력하고 다용도의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제조가 매우 간단하고, 특별히 케어 또는 유지 보수가 필요하지 않은,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은 청구항 제1항에 요약된 바와 같이, 직물 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탱크를 제조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를 제조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본 명세서의 일체 부분인 종속항에 의해 강조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는 직물 및/또는 날실 사슬의 연속 처리에 특히 적합하며, 실질적으로 회전 핀을 보유하는 외부 요소와 일체형인 원형 배열을 갖는 종방향 요소로 구성된 구조로 구성된다. 구조물 내부에는 물과 얀 사이의 상호 교환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접선 방향의 터보 다이나믹 유동 발생기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는 직물 및 얀을 연속적으로 고급화시키기 위한 모든 시스템 및 공정, 특히 각각의 세척 탱크에 적용 가능하다.
임의의 직경과 폭으로 그리고 임의의 단면 및 프로파일로 된 임의의 개수의 종방향 요소로 제조될 수 있는 이 장치는 임의의 세척 탱크 및/또는 다양한 처리를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개수로 위치될 수 있으며, 얀 또는 직물의 잠김을 수반하는 클래식한 실린더를 대체한다.
이 장치 내부에 배치된 접선 터보 다이나믹 유동 발생기는 장치 자체의 각 회전 시 물 또는 그 안에 포함된 욕조의 전체 부피의 배출을 수행하여, 적당한 운동 에너지로 밀어내어, 그 주위에 부분적으로 싸인 날실 또는 직물을 통과하여 종래의 실린더에 비해 얀 및/또는 직물과의 상호 교환을 엄청나게 증가시킨다. 소용돌이 및 얀의 조직화된 구성의 분해 가능성 없이 강제적으로 균일하게 얀 및/또는 직물을 통해 흐르는 이 방대한 양의 물 또는 욕조는 세척의 효율성을 엄청나게 증가시켜, 물, 열에너지 및 이러한 작업에 사용되는 탱크의 개수의 소비의 급격한 감소를 허용한다.
이러한 감소는 세척 탱크의 벌크 및 투자를 크게 절약할 뿐만 아니라 가열하고 또한 탱크에서 배출되는 최종 오염 수를 정화하기 위해, 추가의 물의 비용을 실질적으로 절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인디고 염색의 특정 경우에 있어서, 최종 세척의 소량의 물에서의 염료의 농도가 클수록 세척수로부터 염료를 회수하기 위한 가능한 한외 여과 시스템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감소되고, 투자 및 작동 비용 모두 절감할 수 있도록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탱크 및 이러한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한 장치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고하여 제한적인 목적이 아닌 예로서 주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3개의 장치가 설치된 직물 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일반적인 탱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치의 입체도이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섬유 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일반적인 탱크가 도면 부호 12로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탱크(12)는 평행 육면체 형상이며, 상부가 개방되고 일반적으로 볼록한 바닥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타일 형상이다. 탱크(12)는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액체 또는 세척 조로 채워진다.
세척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급관(14)은 탱크(12)의 바닥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공급관(14)은 제1 조정 밸브(16)에 의해 차단된다. 한편, 탱크(12)의 바로 위에는 날실(22)로 이루어진 직물 재료를 탱크(12) 자체 내부로 운반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18)가 있어, 날실(22)은 그 소정 길이 부분에 대하여 세척액에 잠긴다. 날실(22)은 일반적으로 염색 작업에 부과된 매개 변수를 구성하는 소정의 선형 속도에 기초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날실(22)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20)는 탱크(12) 내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장치(20)는 세척액에 잠긴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본체로 구성된다.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본체라는 용어는 소정의 방향에 평행하고 이 특정한 경우에는 원주로 구성되는 소정의 준선(directrix) 곡선의 단일 지점을 통과하는 모선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즉, 각각의 장치(2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본체로 구성된다. 후술하는 장치(20)는 2개 이상의 링잉 실린더(24)에 의해 이동되는 날실(2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치(20) 주위에 감겨질 때 탱크(12)에 수용된 세척액 내부의 날실(22)에 대한 안내 경로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세척액 내의 전술한 안내 경로 이후에, 날실(22)은 상승하여, 탱크(12) 위에 위치되고 이러한 탱크(12)를 빠져나오는 날실(22)을 함침시키는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풀라드(foulard)"로 불리는 2개 이상의 링잉 실린더(24)를 통과한다. 링잉 실린더(24)는 전동식이고, 날실(22)의 전진 속도를 결정하는 제어된 속도로 작동되며, 날실(22)에 조절 가능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탱크(12)는 링잉 실린더(24)에서 그 상부 에지의 카운터 싱크부(26)가 제공되어, 링잉 실린더(24) 자체에 의해 링잉된 세척액이 탱크(12)로 되돌아가서 재사용될 수 있게 한다.
링잉 실린더(24)에서, 더욱 정확하게는 그러한 링잉 실린더(24)의 상류에는, 세척액을 위한 제2 공급관(30)에 유압식으로 연결된 날실(22)의 스프레잉 그룹(28)이 있을 수 있다. 제2 공급관(30)은 제2 조절 밸브(32)에 의해 차단된다.
탱크(12)의 제1 공급관(14) 및 스프레잉 그룹(28)의 제2 공급관(30)으로의 유입구 내의 세척액은 유량계(34)를 통해 측정될 수 있지만, 유량의 조정은 조정 밸브(16, 32)를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제1 조정 밸브(16) 및 제2 조정 밸브(32) 모두는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34)에 종속되어 있다. 스프레잉 그룹(28)으로 도입된 세척액은 링잉 실린더(24)를 향하여 상승하는 날실(22)의 진행 방향에 대해 역류로 흐른다.
탱크(12)는 그 상단 가장자리에 탱크(12) 자체에 포함된 세척액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오버 플로우 덕트(36)를 최종적으로 갖추고 있다. 오버 플로우 덕트(36)는 유량계(34)로 공급될 수 있는 최대 유량보다 큰 양의 세척액을 탱크(12)로부터 배출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날실(22)의 세척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각 장치(20)는 장치(20) 자체를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의 모선에 평행한 복수의 종방향 바아(38)를 포함한다. 즉, 바아(38)는 장치(20)의 원통형 측면을 따라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바아(38)는 유리하게는 날실(22)의 조직화된 구성을 무너뜨리지 않도록 각 단면의 중첩을 피하면서 단면이 원형 인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바아(38)의 각 쌍 사이에는 이러한 바아(38)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종방향 슬릿이 형성된다.
각각의 장치(20)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 요소(40)를 포함하여, 장치(20) 자체를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의 대향하는 기부를 형성한다.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로 제조된 단부 요소(40)는 종방향 바아(38)를 지지하고 둘러싸며, 이에 의해 이러한 외부 요소(40)는 일체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바아(38)는 이러한 단부 요소(40)의 원주 방향 에지에 인접한 각각의 단부 요소(40)에 결합된다.
각각의 단부 요소(40)는 또한 각각의 외부 표면 상에 축방향(도 3)을 따라 연장되고 바아(38)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대응 회전 핀(42)을 지지한다. 두 대향 핀(42)은 날실(22)의 이동에 의해 유도되어 각 장치(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원통형 본체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탱크(12)의 소정 부분에 작동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장치(20)를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 내부에는, 장치(20) 자체의 종방향 슬릿을 통한 장치(20)의 회전 중에 세척액과 날실(22) 사이의 상호 교환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접선 터보 다이나믹 유동 발생기(44)가 배치된다. 접선 터보 다이나믹 유동 발생기(44)는 장치(20)를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 내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형상화된 블레이드(46)가 제공된 로터로 구성된다. 각각의 블레이드(46)는 각각의 종방향 바아(38)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로터는 장치(20)의 단부 요소(40)와 일체로 제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레이드(46)는 세척액 상에 소정의 추력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원주의 아크와 같은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장치(20)를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 가능한 한 많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폭을 갖는데, 즉 장치(20)를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의 준선(directrix) 원주 둘레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 방향의 폭을 갖는다. 도 2의 비-한정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레이드(46)는 단면이 원주의 아크와 같은 형상일 수 있지만, 이는 단면이 다른 형상을 갖는 블레이드(46)를 제조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평면 형상, 개략적으로 만곡된 형상 또는 개방된 파선의 형상일 수 있다.
접선 터보 다이나믹 유동 발생기(44)의 블레이드(46)의 프로파일 및 치수 덕분에, 핀(42)에 대한 장치(20)의 각각의 완전한 회전을 위해, 블레이드(46)는 그러한 장치(20)를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 내부에 포함된 세척액의 전체 부피의 배출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46)는 적당량의 운동 에너지로, 전술한 부피의 세척액을 밀어내어, 장치(20) 주위에 부분적으로 감싸는 날실(22)을 통과시켜, 종래의 실린더에 비해 날실(22) 자체와 세척액의 상호 교환을 엄청나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는 앞서 요약된 목적을 달성하는데, 특히 하기 장점을 얻는다:
- 세척 효율;
- 색소 염료의 완전한 제거;
- 얀의 완전한 세정;
- 물 소비의 상당한 감소;
- 동일한 시스템에서 세척 탱크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
- 환경 적 및 경제적 이익;
- 직물의 최종 처리에서 기술적 장점;
- 상업적 장점(직물의 더 나은 시각적 외관, 흰 씨실);
- 얀에 필터, 막힘 및 스트레스의 부존재.
이렇게 고안된 본 발명의 직물 재료의 세척 효과를 강화시키는 장치는 어떠한 경우에도 동일한 발명 개념에 의해 커버되는 많은 변경 및 변형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모든 세부 사항은 기술적으로 동등한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사용된 재료뿐만 아니라 형상과 크기도 기술적 요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1)

  1. 세척액을 통해 날실(22)을 세척하기 위한 탱크(12)로서, 상기 날실(22)의 세척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장치(20)는 상기 탱크(12)의 내부에서 회전 설정되도록 구성되고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본체로 이루어지며,
    - 각각의 장치(20)의 원통형 측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종방향 바아(38) - 각각의 인접한 바아(38) 쌍 사이에 종방향 슬릿이 한정됨 - ;
    -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상기 본체의 대향하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한 쌍의 단부 요소(40) - 상기 단부 요소(40)는 상기 바아(38)를 지지하고 둘러싸도록 구성됨 - ;
    - 상기 단부 요소(40)의 각각의 외부 표면 상에 얻어지는 한 쌍의 대향 회전 핀(42) - 상기 회전 핀(42)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바아(38)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함 - ; 및
    -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각각의 장치(20)의 회전 중에 상기 종방향 슬릿을 통해 상기 세척액과 상기 날실(22) 사이의 상호 교환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된 접선 터보 다이나믹 유동 발생기(44)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12)는 각 장치(20)의 각각의 바아(38)가 원형 단면을 가짐으로써, 날실(22)의 조직화된 구성을 파괴하지 않고, 각 실의 중첩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12).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종방향 슬릿은 상기 바아(38)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1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요소(40)는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12).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38)는 상기 단부 요소(40)의 원주 방향 에지에 근접한 각각의 단부 요소(4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12).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선 터보 다이나믹 유동 발생기(44)는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46)가 제공된 로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는 상기 단부 요소(40)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12).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블레이드(46)는 상기 바아(38) 각각의 길이와 동일한 종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12).
  7.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블레이드(46)는 상기 세척액에 소정의 추력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원주의 아크와 같은 단면 형상 프로파일을 가지며,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상기 본체의 준선(directrix) 원주 둘레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 방향의 폭을 가짐으로써, 각각의 회전 핀(42) 둘레의 각각의 장치(20)의 각각의 완전한 회전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46)는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상기 본체 내부에 포함된 세척액의 전체 부피를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12).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22)이 소정 길이 부분에 대해 상기 세척액에 잠기도록 상기 날실(22)을 상기 탱크(12) 내부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18);
    - 상기 탱크(12) 위에 위치되고 상기 날실(22)이 통과하는 2개 이상의 전동식 링잉(wringing) 실린더(24)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전동식 링잉 실린더(24)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날실(2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의 장치(20) 주위로 감길 때, 각각의 장치(20)는 세척액에 잠기고, 상기 세척액 내부의 날실(22)을 위한 안내 경로를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12).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전동식 링잉 실린더(24)는 상기 날실(22)에 조절 가능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탱크(12)로부터 나오는 상기 날실(22)을 함침시키는 상기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12).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링잉 실린더(24)의 상류에 배치되고 세척액용 공급 파이프(30)에 유압식으로 연결되는, 날실(22)을 스프레잉하기 위한 스프레잉 그룹(28)을 또한 포함하는 것인, 탱크(12).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12)의 상부 에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오버 플로우 덕트(36) 및 유량계(34)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버 플로우 덕트(36)는 상기 탱크(12)에 포함된 세척액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량계(34)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최대 유속보다 큰 양의 세척액을 상기 탱크(12)로부터 배출하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것인, 탱크(12).
KR1020187000856A 2015-06-11 2016-06-10 날실을 세척하기 위한 탱크 KR102492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51106 2015-06-11
IT102015000022918 2015-06-11
PCT/IB2016/053437 WO2016199089A1 (en) 2015-06-11 2016-06-10 Tank for washing a warp thre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137A KR20180017137A (ko) 2018-02-20
KR102492969B1 true KR102492969B1 (ko) 2023-01-30

Family

ID=5419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856A KR102492969B1 (ko) 2015-06-11 2016-06-10 날실을 세척하기 위한 탱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72756B2 (ko)
EP (1) EP3307935B1 (ko)
JP (1) JP6759250B2 (ko)
KR (1) KR102492969B1 (ko)
CN (1) CN107735523B (ko)
BR (1) BR112017026326B1 (ko)
ES (1) ES2858579T3 (ko)
WO (1) WO2016199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8112B2 (en) * 2017-10-31 2020-05-12 Mircoson Co. Ltd. Cloth washing device
ES2968466T3 (es) * 2018-09-12 2024-05-09 Master Srl Máquina polivalente y procedimientos para teñir telas e hilos de urdimbre
CN111549465A (zh) * 2020-04-28 2020-08-18 东丽酒伊织染(南通)有限公司 一种液力驱动的低张力节能平幅水洗槽
CN116099812B (zh) * 2023-04-11 2023-11-21 山东劳动职业技术学院(山东劳动技师学院) 一种滚筒式全自动工件清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3200A (ja) 2006-01-13 2009-06-18 マスター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インディゴ染料のための染色装置及び方法
GB0922302D0 (en) 2009-12-22 2010-02-03 Imp Innovations Ltd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133A (en) 1907-06-26 1908-08-25 Isaac E Palmer Fluid-circulating roll.
US2940288A (en) 1956-11-26 1960-06-14 Cocker Machine And Foundry Com Apparatus for treating sheet or strand materials with liquids
FR392479A (fr) * 1959-10-26 1908-11-27 Isaac Emerson Palmer Rouleau pour faire circuler les fluides
BE611948A (fr) * 1960-12-28 1962-04-16 Edouard Marie Joseph Larcher Perfectionnements aux rouleaux de détour pour les machines à laver et teindre au large
DE1935615A1 (de) * 1969-07-14 1971-02-11 Canon Kk Mit einer Entwicklerfluessigkeit gefuellter Behaelter
DE2533264A1 (de) 1975-07-25 1977-02-17 Guillot Textil 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assbehandlung fluessigkeitsdurchlaessiger, vorzugsweise textiler flaechengebilde
ES441823A1 (es) * 1975-10-04 1977-06-16 Valls Forne Conrado Una maquina para el tratamiento de articulos textiles al an-cho y a la continua.
JPS52135675U (ko) * 1976-04-02 1977-10-15
US4479276A (en) * 1981-08-10 1984-10-30 Paul Ziegler Process for continuous wet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JPS641991Y2 (ko) * 1985-03-13 1989-01-18
ES2120703T3 (es) * 1994-01-28 1998-11-01 Solipat A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tratar una banda textil especialmente sensible a la traccion.
JP2970535B2 (ja) * 1996-05-15 1999-11-02 村田機械株式会社 繊維長尺体処理装置
JP2000212870A (ja) * 1999-01-14 2000-08-02 Duskin Co Ltd マット洗浄機
DE10132214A1 (de) * 2001-06-30 2002-06-06 Zimm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r Fasermasse
JP2007169859A (ja) * 2005-12-26 2007-07-05 Toyota Industries Corp 糊付け機
CN202116845U (zh) * 2011-06-27 2012-01-18 鲁丰织染有限公司 染织用水洗槽
CN204080438U (zh) * 2014-09-22 2015-01-07 江苏爱利多印机科技有限公司 针织布湿整理机清洗槽
CN208857504U (zh) * 2018-10-10 2019-05-14 绍兴市柯桥区贝润纺织品有限公司 一种tr平纹面料染色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3200A (ja) 2006-01-13 2009-06-18 マスター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インディゴ染料のための染色装置及び方法
GB0922302D0 (en) 2009-12-22 2010-02-03 Imp Innovations Ltd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42390A1 (en) 2018-05-24
EP3307935B1 (en) 2020-12-02
BR112017026326B1 (pt) 2022-05-10
US10472756B2 (en) 2019-11-12
JP2018518604A (ja) 2018-07-12
BR112017026326A2 (pt) 2018-09-04
CN107735523A (zh) 2018-02-23
ES2858579T3 (es) 2021-09-30
CN107735523B (zh) 2020-01-31
EP3307935A1 (en) 2018-04-18
KR20180017137A (ko) 2018-02-20
JP6759250B2 (ja) 2020-09-23
WO2016199089A1 (en)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969B1 (ko) 날실을 세척하기 위한 탱크
JP6814795B2 (ja) 生地を処理す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現する装置
ITTV20070137A1 (it) Apparecchiatura per la tintura e/o il lavaggio di capi delicati con cesto doppio.
CN104420088A (zh) 用于清洗织物的装置和方法
CN113638160B (zh) 筒子纱短流程快速漂染工艺
US3886769A (en) Width washing plant, particularly for delicate fabrics
WO2014079191A1 (zh) 平幅连续式纺织品湿整理机
CN210151369U (zh) 织物线性升温淋煮箱
CN202717965U (zh) 棉针织物松式前处理设备
KR101677878B1 (ko) 다색상으로 반복 염색된 실의 염색장치
KR101046217B1 (ko) 신축성 직물 텐터 공정용 변부 말림 방지 장치 및 방법
US99701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an elongate textile article
US3413080A (en) Method of treating webs or yarns
CN105442130B (zh) 令纱线形成竹节图案的方法及装置
CN213507558U (zh) 一种服装生产用染色机
CN210151368U (zh) 松式针织物防褶缩布箱
CN205258731U (zh) 令纱线形成竹节图案的装置
US3729958A (en) Liquid trea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s and method therefor
KR101254443B1 (ko) 원단 폭 넓이를 갖는 다각형 원단 이송관이 형성되는 염색기
CN204676295U (zh) 一种内喷式成品织物染色机
CN210314868U (zh) 一种纺织用具有快速烘干的印染装置
CN107475954A (zh) 一种防雾霾纺织布清洗烘干装置
EP4230782A2 (en) Machine for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yeing, with indigo and other dyes, of hank yarns and/or ready-made garments
GB2404925A (en) Nozzles for textile machines
US2286107A (en) Skein d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