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648B1 -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648B1
KR102492648B1 KR1020200187964A KR20200187964A KR102492648B1 KR 102492648 B1 KR102492648 B1 KR 102492648B1 KR 1020200187964 A KR1020200187964 A KR 1020200187964A KR 20200187964 A KR20200187964 A KR 20200187964A KR 102492648 B1 KR102492648 B1 KR 102492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terminal
coupling
spring
side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937A (ko
Inventor
이민하
고건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to KR1020200187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6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937A/ko
Priority to KR1020220151943A priority patent/KR102564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터미널 단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을 이루는 바디부; 전장부품과의 접속을 위해 상기 바디부 상부에 마련되는 접촉부;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도록 상기 바디부 하단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결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디부의 측벽 양쪽에는 슬릿이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terminal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터미널 단자가 필요하다.
터미널 단자는 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에 도전성의 소재로 솔더링 등을 통해 고정 결합되며, 전장부품의 핀 또는 전원선이 삽입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전기적 신호는 인쇄회로기판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전장부품의 핀 또는 전원선을 터미널 단자에 접속하도록 조립하는 과정에서는 전장부품의 조립하중에 의해 터미널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터미널 단자가 정위치에서 틀어지도록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거나, 터미널 단자는 정위치에 결합되더라도 정장부품의 핀 또는 전원선이 정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터미널 단자에 조립될 경우, 전장부품으로부터 터미널 단자 쪽으로 지속적으로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의 사용과정에서 터미널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37965호(2016년 04월 06일, 공개)
충격흡수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전장부품의 조립에 따른 하중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을 이루는 바디부; 전장부품과의 접속을 위해 상기 바디부 상부에 마련되는 접촉부;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도록 상기 바디부 하단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결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디부의 측벽 양쪽에는 슬릿이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터미널 단자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릿 사이의 상기 바디부의 측벽에는 상기 결합부와 바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와 바디부 사이를 탄성변형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도록 상단과 하단 사이가 상기 바디부의 내측방향과 외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적어도 1회 벤딩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표면에 적층된 상태로 지지되어 결합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 하단에 각각 벤딩되는 한 쌍의 적층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한 쌍의 상기 적층형 결합부를 한 쌍의 상기 측벽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적층형 결합부와, 한 쌍의 상기 스프링부는 각각 측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내측 방향으로 최대 돌출 길이의 합이 한 상의 상기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표면에 적층된 상태로 지지되어 결합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 하단에 각각 벤딩되는 한 쌍의 적층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한 쌍의 상기 적층형 결합부를 한 쌍의 상기 측벽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스프링부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표면에 적층된 상태로 지지되어 결합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 하단에 각각 벤딩되는 한 쌍의 적층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한 쌍의 상기 적층형 결합부를 한 쌍의 상기 측벽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스프링부는 벤딩횟수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측벽 및 한 쌍의 제1측벽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표면에 지지되도록 적층된 상태에서 결합하도록 각각 한 쌍의 상기 제1측벽 하단에서 벤딩되는 한 쌍의 적층형 결합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하도록 각각 한 쌍의 상기 제2측벽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삽입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각 결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해당 측벽 양쪽으로 각각 한 쌍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 단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금속판재를 재단하고 절곡하고 접합하여 상기 터미널 단자를 제조하되, 상기 접촉부에 접속하도록 조립되는 상기 전장부품의 조립 하중을 고려하여 상기 스프링부의 사이즈와 벤딩횟수와 벤딩 깊이를 결정하여 반영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터미널 단자는 충격흡수 구조를 구비하여 전장부품의 조립에 따른 하중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하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7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의한 터미널 단자(10)는 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11)에 전기적 접속을 위해 채용되는 것으로, 바디부(20), 접촉부(30), 결합부(40)를 포함한다.
바디부(20)는 단일의 금속판재를 재단하고, 재단된 금속판재를 절곡하고 접합시켜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2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단일의 금속판재가 복수회 벤딩된 상태에서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면(21)이 서로 맞물려 접합될 수 있다.
바디부(20)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측벽(22,23)과, 한 쌍의 제2측벽(24,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측벽(24,25)은 한 쌍의 제1측벽(22,23)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20)는 제1측벽(22,23)이 제2측벽(24,25)보다 측면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30)는 전장부품과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접촉부(30)는 바디부(20)의 상단에서 벤딩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30)는 바디부(20)의 마주하는 제1측벽(22,23) 상단에서 각각 벤딩된 후 바디부(2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30)는 각각 바디부(20) 상단에서 연장된 사각패널이 바디부(20)의 내측 하방으로 복수회 벤딩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30)에는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절개된 복수의 슬롯(3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30)는 연장방향으로 각 단부가 강성 보강 및 치수 안정성을 위해 개방되지 않고 닫힌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3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bending)된 제1 벤딩부(33)와 제2 벤딩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부(33)와 제2 벤딩부(34)는 제1벤딩부(33)가 각각 제1측벽(22,23) 상단에서 바디부(20) 내측을 향해 안쪽으로 굴곡되고, 제2 벤딩부(34)가 대응하는 접촉부(30)의 하단에서 그 반대방향이 되는 외측을 향해 바깥쪽으로 굴곡될 수 있다.
제1 벤딩부(33)와 제2 벤딩부(34) 사이는 한 쌍의 접촉부(3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굴곡된 볼록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볼록부(35)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외부 전장부품의 핀이나 전원선(이하, 연결부품(P))이 삽입되는 접촉공간(C)을 형성할 수 있다.
접촉공간(C)에 연결부품(P)이 삽입되게 되면, 제1 벤딩부(33), 볼록부(35) 및 제2 벤딩부(34)에 의해 제공되는 텐션 구조로 인하여 접촉공간(C)의 과도한 벌어짐을 방지함에 따라 연결부품(P)의 장착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40)는 인쇄회로기판(11)에 결합하도록 바디부(20) 하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적층형 결합부(50)와 삽입형 결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형 결합부(50)는 인쇄회로기판(11) 표면에 지지되도록 바디부(20)의 하단에서 벤딩될 수 있다.
적층형 결합부(5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어 인쇄회로기판(11)과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단자(10)와 인쇄회로기판(11)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며 솔더링(S) 결합 시 솔더 필렛(solder fillet)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솔더링 결합의 강도가 증대하며, 솔더링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적층형 결합부(50)는 바디부(20)의 하단에서 바디부(20) 내측을 향해 벤딩된 후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적층형 결합부(50)는 한 쌍의 제1측벽(22,23) 하단에 마련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층형 결합부(50)는 바디부(20) 바깥쪽으로 위치된 상태에서도 인쇄회로기판(11)에 적층된 형태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적층형 결합부(50)는 바디부(20)의 하단에서 바디부(20) 외측을 향해 벤딩된 후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적층형 결합부(50)에는 솔더링 결합 시 바디부(20)의 유격 또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솔더링 접합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솔더링 접합홀(51)은 적층형 결합부(50)의 중앙 영역을 상하로 관통하는 정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달리 솔더링 접합홀(51)은 적층형 결합부(50)의 가장자리에 절개된 형태로 마련되는 반홀 형성으로도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단자(10)는 적층형 결합부(5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1)과 면접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11)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단자(10)는 인쇄회로기판(11)에 솔더링 결합시 솔더링 접합홀(51)에 의해 유격 또는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터미널 단자(10)와 인쇄회로기판(11) 상호간에 충분한 고정력이 확보될 수 있다.
또 결합부(40)는 인쇄회로기판(11)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하도록 바디부(20)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삽입형 결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형 결합부(60)는 인쇄회로기판(11)에 형성된 관통홀(12)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형 결합부(60)는 터미널 단자(10)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11)에 결합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삽입형 결합부(60)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삽입형 결합부(60)는 바디부(20)의 마주하는 한 쌍의 제2측벽(24,25) 하단에 각각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형 결합부(60)의 일측에는 소정 깊이 절개된 솔더링 접합홈(61)이 형성될 수 있다.
솔더링 접합홈(61)은 삽입형 결합부(60)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삽입형 결합부(60)가 관통홀(12) 내부에서 솔더링(S) 결합될 때 터미널 단자(10)의 상하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솔더링 접합홈(61)은 각 삽입형 결합부(60) 양측에 한 쌍씩 배치됨에 따라 터미널 단자(10)의 상하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삽입형 결합부(60)는 각각 대응하는 제2측벽(24,25)의 단부 일측에서 모서리 부분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1)에 형성된 관통홀(12)에 삽입형 결합부(60)를 결합 시 터미널 단자(10)의 조립 방향성에 무관하게 장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한 쌍의 삽입형 결합부(60)는 서로 어긋나지 않게 서로 같은 위치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 적층형 결합부(50)와 삽입형 결합부(60)는 전술한 경우와 반대의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한 다른 형태로도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즉 결합부(40)는 적층형 결합부(50)가 제2측벽(24,25) 쪽에 위치되고 삽입형 결합부(60)가 제1측벽(22,23) 쪽으로 위치되는 경우는 물론, 적층형 결합부(50)와 삽입형 결합부(60)가 바디부(20) 둘레를 따라 제1측벽(22,23)과 제2측벽(24,25) 하단에 교대로 배치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형 결합부(60)는 제2측벽(24) 모서리(24a)영역으로부터 접합면(21)까지에 이르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40)의 위치에 대응하는 바디부(20)의 측벽(22,23) 양쪽에는 슬릿(70)이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슬릿(70)은 연결부품(P)로부터 접촉부(30)에 가해지는 하중이 결합부(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억제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11)에 대한 결합부(40)의 결합력이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슬릿(70) 사이의 바디부(20)의 측벽(22,23)에는 결합부(40)와 바디부(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80)가 마련되고, 슬릿(70)은 연결부품(P)이 접촉부(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이 연결부(8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억제함으로써, 연결부품(P)의 조립 하중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11)에 대한 결합부(4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80)는 결합부(40)와 바디부(20) 사이를 탄성변형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도록 상단과 하단 사이가 바디부(2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벤딩되는 스프링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90)는 연결부품(P)을 통해 접촉부(30)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이러한 하중을 결합부(40)로 전달되기 전 상태에서 좌굴작용을 통해 흡수하여 저감시킴으로써, 이 하중이 결합부(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스프링부(90)는 바디부(20)의 내측방향으로 벤딩되는 내측벤딩부(91)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부(90)는 바디부(20)의 내측방향과 외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적어도 1회 벤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스프링부(90)는 바디부(20) 저부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스프링부(90)는 상호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 쌍의 적층형 결합부(50)는 제1측벽(22,23)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스프링부(90)는 한 쌍의 적층형 결합부(50)를 한 쌍의 제1측벽(22.23)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스프링부(90)는 한 쌍의 적층형 결합부(50)와 마찬가지로 상호 측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스프링부(90)는 연결부품(P)으로부터 다양한 방향을 통해 접촉부(30)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흡수가 가능할 수 있다.
또 상호 어긋난 위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부(90)는 그 숫자를 최소화 시키면서도 접촉부(30)에 터미널 단자(10)의 비틀림방향이나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의 흡수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프링부(90)의 완충능력은 스프링부(90)의 사이즈는 물론, 스프링부(90)의 벤딩횟수나 벤딩깊이에 따라 다양화 될 수 있다.
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스프링부(90)는 터미널 단자(10)에 요구되는 완충능력에 따라 서로 대칭은 물론 비대칭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비대칭 구조를 이룰 경우, 한 쌍의 스프링부(90)는 서로 다른 벤딩횟수나, 벤딩깊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부(90)의 사이즈는 터미널 단자(10)를 구성하는 금속판재에 있어서 스프링부(90)를 구성하는 부분의 폭과 길이가 될 수 있다.
스프링부(90)는 바디부(20)의 내측방향으로 벤딩되는 내측벤딩부(91) 외에 바디부(20)의 외측방향으로 벤딩되는 외측벤딩부(92)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스프링부(90)의 베닝횟수는 내측벤딩부(91)의 숫자와 외측벤딩부(92)의 숫자를 합한 전체 숫자가 될 수 있다.
또 스프링부(90)의 벤딩깊이는 바디부(20) 내측으로 돌출하는 내측벤딩부(91)의 돌출 정도나, 바디부(20) 외측으로 돌출하는 외측벤딩부(92)의 돌출 정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단자(10)는 연결부품(P)의 조립시 발생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스프링부(90)의 사이즈와 벤딩횟수와 벤딩깊이를 결정하고, 이와 같이 결정된 스프링부(90)의 조건이 금속판재를 재단, 절곡, 접합하는 터미널 단자(10)의 제조과정에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품(P)의 조립 특성을 감안하여 연결부품(P)의 조립시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완충능력의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부(90)의 구조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스프링부(90a)는 제1측벽(22,23)의 내면으로부터 바디부(20)의 내측 방향으로 최대 돌출 길이(a,b)의 합이 한 쌍의 제1측벽(22,23) 사이의 거리(c)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벽(22,23)의 내면으로부터 바디부(20)의 내측 방향으로 스프링부(90a)의 최대 돌출 길이(a,b)는 스프링부(90a)를 구성하는 내측벤딩부(91a)가 바디부(20) 내측방향으로의 돌출하는 최대 길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부(90a)의 구조는 한 쌍의 제1측벽(22,23)에 각각 상호 어긋난 위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부(90a)의 배치구조를 감안한 것으로, 스프링부(90a)의 벤딩깊이가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일례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 예에서, 스프링부(90b)는 벤딩횟수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의 일례로써, 내측벤딩부(91a)와 외측벤딩부(92a)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스프링부(90)는 기본적으로 상호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고, 연결부품(P)으로부터 접촉부(30)에 가해지는 하중이 터미널 단자(10)의 일측 방향으로 보다 집중하는 경우 등을 감안했을 때, 한 쌍의 스프링부가 상호 비대칭을 이루어 서로 다른 완충능력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스프링부(90c,90d)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됨에 따라 각각 다른 완충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 스프링부(90c,90d)는 상하방향으로 벌어지는 내측벤딩부(91c,91d)의 폭이 다르게 마련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스프링부(90e,90f)는 벤딩횟수가 서로 다르게 마련됨에 따라 각각 다른 완충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일측의 스프링부(90e)는 내측벤딩부(91e)만을 구비하고, 타측의 스프링부(90f)는 다수의 내측벤딩부(91f)와 외측벤딩부(92f)를 구비하는 방식 등을 통해 서로 다른 벤딩횟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 예에서 슬릿(70)은 적층형 결합부(50)와 삽입형 결합부(60)를 포함하는 각 결합부(40)의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측벽(22,23,24,25)의 양쪽으로 각각 한 쌍씩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미널 단자(10)의 구조에서는 연결부품(P)의 조립시 접촉부(30)를 통해 복수의 결합부(40)로 가해지는 하중이 각 결합부(40)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슬릿(70)을 통해 고르게 차단 또는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단자(10)는 스프링부(90)가 삭제되고, 일부 결합부(40)의 위치에 대응하는 측벽(22,23)의 양측으로 한 쌍의 슬릿(70)만을 구비한 상태에서도 접촉부(30)로 가해지는 하중이 결합부(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억제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11)에 대한 결합부(40)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터미널 단자 11: 인쇄회로기판,
20: 바디부 30: 접촉부,
40: 결합부 50: 적층형 결합부
60: 삽입형 결합부 70: 슬릿
80: 연결부 90: 스프링부
91: 내측벤딩부

Claims (9)

  1.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을 이루는 바디부;
    전장부품과의 접속을 위해 상기 바디부 상부에 마련되는 접촉부;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도록 상기 바디부 하단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측벽은,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측벽 및 한 쌍의 제1측벽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표면에 지지되도록 적층된 상태에서 결합하도록 각각 한 쌍의 상기 제1측벽 하단에서 벤딩되는 한 쌍의 적층형 결합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하도록 각각 한 쌍의 상기 제2측벽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삽입형 결합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결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디부의 측벽 양쪽에는 슬릿이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릿 사이의 상기 바디부의 측벽에는 상기 결합부와 바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는 터미널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와 바디부 사이를 탄성변형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도록 상단과 하단 사이가 상기 바디부의 내측방향과 외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적어도 1회 벤딩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한 쌍의 상기 적층형 결합부를 한 쌍의 상기 측벽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적층형 결합부와, 한 쌍의 상기 스프링부는 각각 측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터미널 단자.
  5.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내측 방향으로 최대 돌출 길이의 합이 상기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마련되는 터미널 단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한 쌍의 상기 적층형 결합부를 한 쌍의 상기 측벽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스프링부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되는 터미널 단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한 쌍의 상기 적층형 결합부를 한 쌍의 상기 측벽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스프링부는 벤딩횟수가 서로 다르게 마련되는 터미널 단자.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결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디부의 측벽 양쪽에는 슬릿이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각 결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해당 측벽 양쪽으로 각각 한 쌍씩 마련되는 터미널 단자.
  9.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터미널 단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금속판재를 재단하고 절곡하고 접합하여 상기 터미널 단자를 제조하되,
    상기 접촉부에 접속하도록 조립되는 상기 전장부품의 조립 하중을 고려하여 상기 스프링부의 사이즈와 벤딩횟수와 벤딩 깊이를 결정하여 반영하는 터미널 단자의 제조방법.
KR1020200187964A 2020-12-30 2020-12-30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492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964A KR102492648B1 (ko) 2020-12-30 2020-12-30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0151943A KR102564372B1 (ko) 2020-12-30 2022-11-14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964A KR102492648B1 (ko) 2020-12-30 2020-12-30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943A Division KR102564372B1 (ko) 2020-12-30 2022-11-14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937A KR20220095937A (ko) 2022-07-07
KR102492648B1 true KR102492648B1 (ko) 2023-01-27

Family

ID=823973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964A KR102492648B1 (ko) 2020-12-30 2020-12-30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0151943A KR102564372B1 (ko) 2020-12-30 2022-11-14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943A KR102564372B1 (ko) 2020-12-30 2022-11-14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26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0427A (ja) 2000-09-25 2002-04-05 Calsonic Kansei Corp 配線基板接続用端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420U (ko) * 1996-11-02 1998-08-05 김광호 잭 터미널 단자
JPH10255934A (ja) * 1997-03-12 1998-09-25 Yazaki Corp 直付機器用中継端子
DE102009058825B4 (de) * 2009-12-18 2021-08-05 Webasto Ag Kontaktvorrichtung zum Befestigen an einer Leiterplatte,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Kontaktvorrichtung an einer Leiterplatte und Leiterplatte
KR101301625B1 (ko) 2012-08-28 2013-08-2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전자기기용 커넥터의 터미널
DE102013012251A1 (de) 2013-07-24 2015-01-29 Erni Production Gmbh & Co. Kg Terminal zur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Leiters
KR102096069B1 (ko) * 2013-11-20 2020-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접속 단자
KR101921739B1 (ko) * 2017-09-15 2018-1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0427A (ja) 2000-09-25 2002-04-05 Calsonic Kansei Corp 配線基板接続用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937A (ko) 2022-07-07
KR20220159312A (ko) 2022-12-02
KR102564372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399B1 (ko)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CN1767279B (zh) 表面安装型连接器
WO2015186493A1 (ja) コネクタ
JP6598912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359410B2 (ja) コネクタ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CN105896129A (zh) 连接器
KR102611424B1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KR102492648B1 (ko)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EP1538707B1 (en) Connector
KR20040108545A (ko) 유동형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7040904B2 (en) Connector
CN209658537U (zh) 插槽连接器
KR10261124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US2020003612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577370B2 (en) High-speed connector with electrical ground bridge
JP7283971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KR102497452B1 (ko) 터미널 단자
JP6723567B2 (ja) コネクタ
JP5349522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727560B1 (ko) 탭 터미널
JP7393132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CN212659698U (zh) 电连接器和电路板组件
CN216563609U (zh) 功率模块的插接端子
EP113484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inductance termina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