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632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632B1
KR102492632B1 KR1020207036308A KR20207036308A KR102492632B1 KR 102492632 B1 KR102492632 B1 KR 102492632B1 KR 1020207036308 A KR1020207036308 A KR 1020207036308A KR 20207036308 A KR20207036308 A KR 20207036308A KR 102492632 B1 KR102492632 B1 KR 102492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ttern
display panel
are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539A (ko
Inventor
빈펑 펑
융후이 뤄
페이 리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청두 비오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청두 비오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01L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Abstract

표시 패널(10)및 차광 패턴(30)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표시 패널(10)은 표시 영역(01) 및 표시 영역(01)을 둘러싼 비표시 영역(02)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10)은 표시 영역(01)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 및 비표시 영역(02)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을 더 포함하고, 신호선의 리드선(11)과 신호선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차광 패턴(30)은 표시 패널(10)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고,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은 비표시 영역(02)내에 위치하며, 차광 패턴(30)은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11)에 의해 반사된 광이 광 출력측으로부터 발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출원은 2018년 8월 2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특허 출원번호 201810872952.0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또한, 해당 선 출원을 인용함으로써, 해당 선 출원의 내용을 본 출원에 포함시킨다.
본 개시는 표시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장치에 관한것이다.
표시 기술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라고도 함), 유기 전기장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OLED라고도 함) 등과 같은 각종 유형의 표시 장치가 점차 제안되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 및 차광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선의 리드선은 상기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차광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고,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은 상기 비표시 영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광 출력측으로부터 발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은 복수의 데이터선의 리드선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은 상기 비표시 영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과 상기 프레임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은 상기 비표시 영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과 상기 프레임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 영역사이의 중간 영역내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프레임 패턴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는 터치 컨트롤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터치 컨트롤 전극층상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는 층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층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층구조는 패키징층, 편광편, 터치 컨트롤 전극층 및 광학 접착제층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윗쪽에 위치하는 덮개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패턴은 상기 덮개 판상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의 각 부분은 비균일적인 광 투과율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영역은 제1 리드선 영역 및 제2 리드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선 영역의 광 반사능력은 상기 제2 리드선 영역의 광 반사능력보다 높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제1 리드선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단하기 위한 제1 패턴 및 상기 제2 리드선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단하기 위한 제2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패턴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2 패턴의 광 투과율보다 낮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선 영역내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배선 밀도는 상기 제2 리드선 영역내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배선 밀도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투각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의 투각 부분의 비율은 상기 제2 패턴의 투각 부분의 비율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복수의 그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의 밀도는 상기 제2 패턴중의 그리드의 밀도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재료는 잉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에 가장 근접한 표시 영역의 에지부분에 수직되는 방향에서의 상기 차광 패턴의 폭은 0.5mm 내지 1mm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필요한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한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만 도시한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창조성적인 노력없이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관련 기술의 표시 장치의 실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방향을 따른 단면도 및 신호선의 리드선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광학적 경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예중 차광 패턴을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의 신호선의 리드선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광항적 경로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중의 팬 아웃 영역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명확하고 전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로부터, 당업자가 창조성적인 노력없이 얻을수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전부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별도로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기술적 용어 또는 과학적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통상의 의미로 해석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및 이와 유사한 단어는 단지 서로 다른 구성부분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지, 그 어떤 순서, 수량 또는 중요성을 의미하지 않는다. "포함" 또는 "구비" 등과 유사한 단어는, 해당 단어앞에 기재된 소자 또는 구성요소가 해당 단어뒤에 기재된 소자 또는 구성요소 및 그 등가물을 포함하거나 구비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다른 소자 또는 구성요소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도 1은 관련기술의 표시 장치의 투시도의 실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01) 및 비표시 영역(02)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01)내의 금속 배선은 비표시 영역(02)에 설치된 리드선을 통해 비표시 영역(02)에 설치된 IC(집적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들 리드선은 IC에 집중되기 전에 비표시 영역(02)의 한 영역내에 집중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배선은 데이터선일 수 있는데, 이때, 리드선은 데이터선의 리드선이고, 데이터선의 리드선이 비표시 영역(02)내에 집중되는 영역을 일반적으로 팬 아웃(fanout) 영역이라고 한다. 팬 아웃 영역내의 리드선의 일단은 IC에 연결되고, 타단은 표시 영역(01)내의 신호선(데이터선)에 연결된다. 도 1에는, 팬 아웃 영역(03)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팬 아웃 영역(03)에서의 리드선의 배선 밀도는 비표시 영역(02)의 다른 영역에서의 리드선의 배선 밀도보다 크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들 리드선은 일반적으로 반사 특성을 가지고 있어, 표시 장치에 입사된 주위 환경의 광 또는 표시 장치내부의 광을 반사할 수 있다. 팬 아웃 영역(03)내의 리드선의 배선 밀도가 더 크므로, 비표시 영역(02)의 팬 아웃 영역(03)에 위치한 리드선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강도도 비표시 영역(02)의 다른 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강도보다 크게 된다. 또한, 팬 아웃 영역(03)에 위치하는 리드선에 사용되는 재료는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데, 서로 다른 재료의 광 반사능력이 다르고, 팬 아웃 영역(03)내의 리드선의 배선 밀도도 균일하지 않으므로, 팬 아웃 영역(03)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강도도 일정한 비균일성을 갖게 된다. 팬 아웃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팬 아웃 영역이외의 다른 영역의 광 반사특성에 차이가 있고, 또한, 팬 아웃 영역내부의 반사특성이 일치하지 않음으로 인해, 사용자는 다른 시각적 밝기를 느끼게 될 수 있으며, 뚜렷한 "광 누설" 현상을 야기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패널 및 차광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선의 리드선은 상기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차광 패턴은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고,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은 상기 비표시 영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광 출력측으로부터 발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표시 패널"은 표시 장치의 구성부품이고,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 및 베이스 기판상에 제작되어 적당한 조건에서 발광할 수 있는 화소 디바이스(예를 들어, OLED 또는 액정층)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일 경우,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 컬러 필름 기판 및 이들사이의 액정층을 포함 할 수 있고, 유기 전기장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표시 패널은 위에 발광 화소 및 그 구동회로가 제작된 베이스 기판일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실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01)은 도 2에 도시된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고, 표시 영역(01)이외의 영역은 비표시 영역(02)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표시 영역"이란, 표시 패널이 구동될 때 발광할 수 있는 화소 영역을 의미한다. 도 1의 실예와 유사하게,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 및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선의 리드선은 상기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도 2는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신호선 및 신호선의 리드선을 도시하지 않음).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얻은 국부적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을 포함한다. 도 3에는 신호선의 리드선(11)도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표시 장치는 차광 패턴(30)을 더 포함하고, 차광 패턴(30)은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고, 차광 패턴(30)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은 비표시 영역(02)내에 위치하며, 차광 패턴(30)은 신호선의 리드선(11)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광 출력측으로부터 발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알수 있다 싶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내의 차광 패턴은 표시 패널의 신호선의 리드선에 대해 설치한 것으로서,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내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의 정상적인 표시에 영향주지 않는다. 반대로, 차광 패턴은 단지 신호선의 리드선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으로부터 발사되는 것을 차단할 뿐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앞에서 설명한 "팬 아웃 영역"도 포함)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강도는 적어도 현저하게 저하되어, 상기의 "광 누설"현상을 완화하거나 경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신호선은 데이터선일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신호선의 리드선은 데이터선의 리드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표시 장치의 실예에는 표시 장치의 프레임 패턴(21)도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 패턴은 표시 패널(10)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고, 프레임 패턴(21)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은 비표시 영역(02)내에 위치하며,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은 프레임 패턴(2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여기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란,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이 프레임 패턴(2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내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고, 프레임 패턴(2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이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내에 있음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과 프레임 패턴(2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이 중첩되는 부분을 구비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3의 실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30)으로부터 표시 패널(10)까지의 수직 거리는 프레임 패턴(21)으로부터 표시 패널(10)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작다. 프레임 패턴(21)은 표시 패널(10) 윗쪽에 위치하는 덮개 판(20)상에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하면,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02)은 에지 비표시 영역(04) 및 중간 비표시 영역(05)을 포함한다. 에지 비표시 영역(04)이란, 비표시 영역중 상기 프레임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중간 비표시 영역(05)이란, 비표시 영역중 에지 비표시 영역(04)이외의 영역을 의미한다. 중간 비표시 영역(05)내에는 프레임 패턴이 포함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도 2의 실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프레임 패턴에 둘러싸인 윈도우 영역(짙은 색으로 충전된 영역의 내측 윤곽에 둘라싸인 영역)은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01)보다 크다. 이렇게 하여, 접합시의 위치 편차나 공정상의 능력부족으로 인해 프레임 패턴이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을 가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과 프레임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 영역사이의 중간영역내에 위치한다. 즉, 도 3의 실예에 있어서, 일부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은 중간 비표시 영역(05)내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이 중간 비표시 영역(05)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내에 있거나, 또는 중간 비표시 영역(05)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이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내에 있을 수 있고, 나아가서,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과 중간 비표시 영역(05)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이 중첩부분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 에지 비표시 영역(04)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 및 중간 비표시 영역(05)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은 중첩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과 비표시 영역(02)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이 중첩되거나, 또는 차광 패턴(30)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의 일부가 에지 비표시 영역(04)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내에 있고, 다른 일부가 중간 비표시 영역(05)의 표시 패널(10)로의 정투영내에 있다.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자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실예로서, 예를 들어, OLED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3에는 덮개 판(20), 패키징층(40), 편광편(50), 터치 컨트롤 전극층(60), 광학 접착제층(70)도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패키징층(40)은 패키징 덮개 판 또는 패키징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차광 패턴(30)이 터치 컨트롤 전극층(60) 및 광학 접착제층(70)상에 배치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 패턴의 설치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광 패턴은 단일의 층구조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층구조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상기의 "광 누설"현상을 경감시킬수 있는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그 어떤 본 발명에서 언급한 "차광 패턴"도 설치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때, 도 2의 A-A선을 따라 얻은 국부적인 단면도는 도 4에 도시된바와 같다. 도 4에는, 신호선의 리드선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광로도 함께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02)의 중간 표시 영역(05)내에는 프레임 패턴이 존재하지 않고, 도 3중 좌측의 신호선의 리드선(11)에 의해 반사된 광의 경로를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02)내에 위치하는 신호선의 리드선(11)이 외부환경의 광 또는 표시 장치가 발광하는 광을 반사시킨 후, 대부분의 광선은 표시 장치의 표시면으로부터 직접 발사되어, 사용자에 감지될수 있다. 비록 에지 비표시 영역(04)내에 프레임 패턴(21)이 존재하지만, 도 3중 우측의 신호선의 리드선(11)에 의한 반사광의 경로를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시각에 있어서, 사용자는 여전히 에지 비표시 영역(04)내의 신호 리드선(11)으로부터의 일부 반사광을 감지할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실예에 있어서, 비표시 영역(02)내에 위치하는 신호선의 리드선(11)에 의해 반사된 광은 사용자에 의해 감지될수 있어, 상기의 "광 누설"현상이 쉽게 발생하며,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체험을 저하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내의 신호선의 리드선(11)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광학적 경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3의 실예에 있어서, 표시 패널(10)은 표시 영역(01) 및 비표시 영역(02)을 포함하고, 비표시 영역(02)은 에지 비표시 영역(04) 및 중간 비표시 영역(05)을 포함하고, 중간 비표시 영역(05)은 표시 영역(01)과 에지 비표시 영역(04)사이에 위치하고, 표시 패널의 팬 아웃 영역(03)은 비표시 영역(02)에 위치한다. 도 3으로부터 쉽게 알수 있다 싶이, 신호선의 리드선(11)에 의해 반사된 광은 차광 패턴(30)을 거친 후, 그 강도가 현저하게 약해진다. 다시 말하면, 차광 패턴(30)은 적어도 신호선의 리드선(11)에 의해 반사된 광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신호선의 리드선(11)에 의해 반사된 광에 대한 사용자의 민감도를 낮출 수 있고, 상기 "광 누설"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차광 패턴이 어느 층구조에 배치되는 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의 실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30)은 패키징층(40), 편광편(50), 터치 컨트롤 전극층(60), 광학적 고체 접착제층(70) 등 층구조중 임의의 하나의 층구조 또는 복수의 층구조상에 설치될 수 있고, 도 3의 표시 장치에 신규 필름층을 추가하여 전문 차광 패턴(3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은 표시 장치의 단일 층구조상에 부착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차광 패턴은 터치 컨트롤 전극층(60)상에만 배치될 수 있다. 차광 패턴(30)을 형성하는 재료는 잉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30)의 재료, 형성된 차광 패턴의 두께 등 요소를 통해 차광 패턴(30)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신호선의 리드선에 의해 반사된 광에 대한 차광 패턴의 서로 다른 정도의 차단을 실현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비록 도 3에는 서로 다른 신호선의 리드선(11)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광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3이 신호선의 리드선(11)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전부의 광학적 경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에 있어서, 중간 비표시 영역(05)으로부터 발사되는 반사광은 에지 비표시 영역(04)에 위치하는 신호선의 리드선에 의해 반사된 것일 수도 있고, 중간 비표시 영역(05)에 위치하는 신호선의 리드선에 의해 반사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의 반사는 거울면 반사일 수도 있고, 난반사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차광 패턴의 각 부분은 비균일적인 광 투과율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영역은 제1 리드선 영역 및 제2 리드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선 영역의 광 반사능력은 상기 제2 리드선 영역의 광 반사능력보다 높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제1 리드선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단하기 위한 제1 패턴 및 상기 제2 리드선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단하기 위한 제2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패턴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2 패턴의 광 투과율보다 낮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각 곳의 광 투과율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는 차광 패턴(30)을 이용하여 신호선의 리드선으로부터의 반사광에 대해 서로 다른 정도로 차단하거나 흡수한다.
이하, 실예를 통해 본 개시의 해당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팬 아웃 영역(03)" 및 팬 아웃 영역내의 신호선의 리드선(예를 들어, 데이터선의 리드선)의 실예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아웃 영역(03)은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 및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을 포함하고,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내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의 광 반사능력은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내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의 광 반사능력보다 높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은 상기 실시예의 제1 리드선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은 상기 실시예의 제2 리드선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차광 패턴은 서로 다른 신호선의 리드선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단하기 위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하고, 또한, 제1 패턴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2 패턴의 광 투과율보다 낮으므로, 보다 높은 광 반사능력을 가진 제1 리드선 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광은 제1 패턴에 의해 보다 높은 정도로 차단되고, 제2 리드선 영역에 의해 반사된 광에 대한 제2 패턴의 차단정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이로써, 제1 리드선 영역(예를 들어,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으로부터의 제1 반사광 및 제2 리드선 영역(예를 들어,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으로부터의 제2 반사광의 광의 강도사이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신호선의 리드선에 의해 반사된 광에 대한 사용자의 민감도를 낮출수 있고, 상기 "광 누설"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과 제2 팬 아웃 영역(032)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과 제2 팬 아웃 영역(032)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는 단지 하나의 실예일 뿐이다. 또한,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은 복수의 개별적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도 복수의 개별적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내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은 자기 발광 표시 패널의 유기 전기장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1차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1차의 패터닝 공정(동일한 마스크 사용)을 통해 제1 팬 아웃 영역(031)에 위치하는 신호선의 리드선(11) 및 유기 전기장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을 형성한다. 양극을 형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인듐 주석 산화물), Ag(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선의 리드선의 광 반사능력은 주로 재료의 특성에 관계되는데,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이 함께 배열된 후, 팬 아웃 영역내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의 광 반사능력은 신호선의 리드선(11)의 배열 밀도에도 관계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선 영역내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배선 밀도는 상기 제2 리드선 영역내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배선 밀도보다 크다. 예를 들어, 도 5의 실예에 있어서,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의 배열 밀도는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의 배열 밀도보다 크다. 따라서,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의 반사광의 강도는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의 반사광의 강도보다 클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의 재료의 반사율은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1)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의 재료의 반사율과 다른데, 이로써도 서로 다른 리드선 영역이 서로 다른 광 반사능력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의 리드선이 서로 다른 광 반사능력을 갖춘 복수의 리드선 영역을 포함 할 경우, 차광 패턴의 각 부분은 비균일적인 광 투과율을 가지게 된다.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얻은 도 5의 국부적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패턴(30)은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에 대응되는 제1 패턴(31) 및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에 대응되는 제2 패턴(32)을 포함하고, 제1 패턴(31)의 광 투과율은 제2 패턴(32)의 광 투과율보다 낮다. 도 6의 실예에 있어서,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내의 신호선의 리드선(11)의 광 반사능력은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광 반사능력보다 크고,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광 반사능력은 비표시 영역(02)중 팬 아웃 영역(03)이외의 영역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광 반사능력보다 크다. 광 투과율이 낮은 제1 패턴은 제1 서브 팬 아웃 영역(031)으로부터의 제1 반사광을 차단함으로써, 제1 반사광의 강도를 대폭 약화시킨다. 광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2 패턴을 통해 제2 서브 팬 아웃 영역(032)으로부터의 제2 반사광을 차단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제2 반사광의 강도를 약화시킨다. 이렇게 하여, 신호선의 리드선의 각 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강도사이의 차이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의 쾌적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은 투각 패턴을 포함하고, 제1 패턴(31)의 투각 부분의 비율은 제2 패턴(32)의 투각 부분의 비율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은 복수의 그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의 밀도는 상기 제2 패턴중의 그리드의 밀도보다 크다. 이를 통해,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은 서로 다른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투각 패턴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차광 패턴이 복수의 투각 패턴을 포함 할 경우, 복수의 투각 패턴의 형상은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차광 패턴(30)상에 복수의 구멍을 설치하여, 구멍의 설치밀도, 크기 등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차광 패턴(30)의 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차광 패턴(30)이 복수의 그리드를 포함할 경우, 그리드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차광 패턴(30)의 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은 표시 패널 윗쪽의 일부층구조상에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에 가장 근접한 표시 영역의 에지 부분에 수직되는 방향에서의 차광 패턴의 폭은 0.5mm 내지 1mm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차광 패턴(30)의 폭은 0.5mm 내지 1mm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은 표시 패널 윗쪽의 복수의 서로 다른 층구조상에 분포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층구조상의 차광 패턴의 크기는 서로 다를수 있다. 차광 패턴과 신호선의 리드선사이의 거리에 의해 차광 패턴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차광 패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광 출력측으로부터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차광 패턴에 의해 서로 다른 리드선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에 대한 서로 다른 정도의 차단을 실현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실시할 때, 차광 패턴(30)은 층구조의 표시 패널로부터 떨어진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층구조의 표시 패널에 근접한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안한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표시 장치는 구체적으로 OLED 디스플레이, TV, 디지털 앨범, 핸드폰, 테블릿, 네이비게이션 등 임의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제품 또는 부품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범위내에서 변화나 교체방안을 쉽게 생각해낼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Claims (15)

  1. 표시 패널 및 차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선의 리드선은 상기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고,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은 상기 비표시 영역내에 위치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광 출력측으로부터 발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차광 패턴의 각 부분은 비균일적인 광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영역은 제1 리드선 영역 및 제2 리드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선 영역의 광 반사능력은 상기 제2 리드선 영역의 광 반사능력보다 높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제1 리드선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단하기 위한 제1 패턴 및 상기 제2 리드선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단하기 위한 제2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패턴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2 패턴의 광 투과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리드선은 복수의 데이터선의 리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은 상기 비표시 영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과 상기 프레임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은 상기 비표시 영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과 상기 프레임 패턴의 상기 표시 패널로의 정투영 영역사이의 중간 영역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프레임 패턴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는 터치 컨트롤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터치 컨트롤 전극층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광 출력측에 위치하는 층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층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층구조는 패키징층, 편광편, 터치 컨트롤 전극층 및 광학 접착제층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윗쪽에 위치하는 덮개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패턴은 상기 덮개 판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선 영역내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배선 밀도는 상기 제2 리드선 영역내의 신호선의 리드선의 배선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투각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의 투각 부분의 비율은 상기 제2 패턴의 투각 부분의 비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복수의 그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의 밀도는 상기 제2 패턴중의 그리드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재료는 잉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에 가장 근접한 표시 영역의 에지부분에 수직되는 방향에서의 상기 차광 패턴의 폭은 0.5mm 내지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07036308A 2018-08-02 2019-08-01 표시 장치 KR102492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72952.0A CN110794610A (zh) 2018-08-02 2018-08-02 一种显示组件、显示装置
CN201810872952.0 2018-08-02
PCT/CN2019/098791 WO2020025011A1 (zh) 2018-08-02 2019-08-01 显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539A KR20210008539A (ko) 2021-01-22
KR102492632B1 true KR102492632B1 (ko) 2023-01-30

Family

ID=6923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308A KR102492632B1 (ko) 2018-08-02 2019-08-0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527598B2 (ko)
EP (1) EP3832383A4 (ko)
JP (1) JP7420736B2 (ko)
KR (1) KR102492632B1 (ko)
CN (1) CN110794610A (ko)
AU (1) AU2019314744B2 (ko)
BR (1) BR112020022577A2 (ko)
MX (1) MX2020012296A (ko)
RU (1) RU2756787C1 (ko)
WO (1) WO20200250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3919B (zh) * 2020-07-29 2022-07-2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916488A (zh) * 2020-09-11 2020-1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装置
CN114823825A (zh) * 2022-04-12 2022-07-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3749A1 (en) 2008-04-30 200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30128193A1 (en) 2011-11-17 2013-05-23 Young Cheol Yang Displays with Multilayer Masks and Color Filters
CN106646995A (zh) * 2016-12-21 2017-05-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避免漏光的液晶盒及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9351B2 (ja) 2001-10-04 2005-07-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062619A (ja) 2003-08-18 2005-03-10 Sony Corp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4285158B2 (ja) 2003-08-29 2009-06-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I265348B (en) * 2003-09-24 2006-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fabricating method thereof
TWI257516B (en) 2004-07-01 2006-07-01 Hannstar Display Corp ODF cell structure
JP5147462B2 (ja) * 2007-03-06 2013-02-20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遮光性構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120066B2 (ja) 2007-08-02 2013-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002663B1 (ko) * 2008-12-11 2010-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65101B1 (ko) * 2010-12-14 2017-08-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TW201319661A (zh) * 2011-11-02 2013-05-16 Wintek Corp 液晶顯示裝置
CN103123548B (zh) * 2011-11-18 2016-12-07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2022697B1 (ko) * 2012-10-08 2019-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4228673A (ja) * 2013-05-22 2014-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102264472B1 (ko) * 2013-07-01 2021-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8994B1 (ko) * 2014-07-17 2021-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94544A (ko) 2015-01-30 2016-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338188A1 (en) 2015-05-15 2016-11-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bonding assemblies
KR102341639B1 (ko) 2015-08-21 2021-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5204692B (zh) * 2015-10-28 2018-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显示驱动方法
CN105739166B (zh) * 2016-04-20 2020-02-21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106057830A (zh) 2016-08-19 2016-10-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阵列基板制备方法
WO2018100466A1 (en) 2016-11-30 2018-06-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06483706A (zh) * 2016-12-29 2017-03-08 惠科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CN106681042B (zh) 2017-01-05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屏及其制造方法、触控显示装置
CN107179642A (zh) * 2017-07-04 2017-09-1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模组
KR101995817B1 (ko) * 2017-07-18 2019-07-03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및 터치 입력 장치
CN107247360B (zh) * 2017-08-09 2020-06-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无边框液晶面板及其制作方法与显示装置
CN108153071B (zh) * 2017-12-29 2020-12-11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8807476B (zh) * 2018-06-07 2020-1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器面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3749A1 (en) 2008-04-30 200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30128193A1 (en) 2011-11-17 2013-05-23 Young Cheol Yang Displays with Multilayer Masks and Color Filters
CN106646995A (zh) * 2016-12-21 2017-05-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避免漏光的液晶盒及液晶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0012296A (es) 2021-01-29
CN110794610A (zh) 2020-02-14
WO2020025011A1 (zh) 2020-02-06
KR20210008539A (ko) 2021-01-22
AU2019314744B2 (en) 2021-11-18
JP2021532433A (ja) 2021-11-25
US11527598B2 (en) 2022-12-13
BR112020022577A2 (pt) 2021-02-17
US20210335983A1 (en) 2021-10-28
JP7420736B2 (ja) 2024-01-23
EP3832383A4 (en) 2022-03-09
AU2019314744A1 (en) 2020-11-26
RU2756787C1 (ru) 2021-10-05
EP3832383A1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09775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492632B1 (ko) 표시 장치
CN112447931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6856472B2 (ja) 表示装置
JP6588299B2 (ja) 表示装置
CN110955084B (zh)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12635536B (zh) 一种显示模组和显示装置
CN111048688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01537B1 (ko)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11384064B (zh) 一种显示面板及其终端器件
JP4690349B2 (ja) ピクセル構造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
CN115084409A (zh) 显示面板、显示装置和车载显示系统
KR100763061B1 (ko) 표시 장치
JP5593620B2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2383915B1 (ko) 표시 장치
JP7109924B2 (ja) 表示装置
CN113327968B (zh) 一种阵列基板及显示面板
KR20190077887A (ko)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CN110866506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230140596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40077775A1 (en) Display device
CN117479617A (zh) 显示面板
CN115172435A (zh) 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17199219A (zh) 发光装置
JP2002258257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