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598B1 -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598B1
KR102492598B1 KR1020210006986A KR20210006986A KR102492598B1 KR 102492598 B1 KR102492598 B1 KR 102492598B1 KR 1020210006986 A KR1020210006986 A KR 1020210006986A KR 20210006986 A KR20210006986 A KR 20210006986A KR 102492598 B1 KR102492598 B1 KR 102492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oil
waste
pellets
c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215A (ko
Inventor
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Priority to KR1020210006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598B1/ko
Priority to PCT/KR2021/011675 priority patent/WO2022154210A1/ko
Publication of KR2022010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10L10/02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for reducing smoke develo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C10L5/10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with the aid of binders, e.g. pretreated binders
    • C10L5/14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with the aid of binders, e.g. pretreated binders with organic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1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for adding an odor to the fuel or combus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18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for rendering the fuel or flame visible or for adding or altering its col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4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 C10L2290/145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of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8Spraying or sprink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0Coating of a fuel as a whole or of a fuel 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2Impregnation or immersion of a fuel component or a fuel as a whol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0Pressing, compressing or compa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스팅된 커피콩을 분쇄하여 형성된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음료를 추출한 뒤 생성된 커피박을 이용한 캠핌용 펠릿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피박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커피박에 점성을 부여하기 위한 천연바인더를 첨가하는 첨가단계와, 상기 첨가단계에서 천연바인더가 첨가된 커피박을 펠릿성형기에 투입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단계를 포함하며, 제조된 펠릿에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천연바인더가 첨가되어 제조된 펠릿 연소시 오염물질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바인더에 피톤치드오일과 헤이즐넛오일이 포함되고, 외면에 커피오일이 코팅되어 제조된 펠릿의 연소시 특유의 은은한 커피향을 제공하여 분위기 있는 캠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Camping pellet manufacturing method using coffee foil}
본 발명은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스팅된 커피콩을 분쇄하여 형성된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음료를 추출한 뒤 생성된 커피박을 이용한 캠핌용 펠릿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캠핑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캠핑은 자연에서 휴식을 즐기기 위한 것으로서, 휴식공간을 위해 텐트를 설치하고, 텐트의 내부나 인근에서 사람들이 요리를 취식하거나 일련의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대다수가 음식을 취식하거나 텐트인근의 휴식공간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목재나 펠릿을 연소시키는 활동이 동반된다.
그러나, 이때, 목재나 펠릿은 지나치게 빨리 연소될 뿐만 아니라, 연소시 발생하는 독성물질로 인해 사용자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거나, 독한 냄새로 인해 좋은 향이나 냄새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환경친화성이 커피박을 이용한 펠릿이 개발되었다.
커피박은 로스팅된 커피콩을 분쇄하여 형성된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음료를 추출한 뒤 생성된 것으로서 커피찌꺼기, 커피폐기물 및 커피부산물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커피박은 펠릿연료로 사용할 시, 우수한 발열량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커피박을 굳게하기 위한 점성문제로 인해 제조에 어려움이 따르며, 커피박 연소시 오염물질이 발생하며, 이로인한 독성의 냄새를 방출하는 문제점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선행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선행기술은 커피박 펠릿 연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피박 펠릿(한국등록특허 제10-1033212호)으로 커피박 분말을 제공하는 단계, 커피박 분말을 산 용액에 투입하는 단계, 산 처리된 응고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단백질이 제거된 커피박 분말을 수세하는 단계, 수세 커피박 분말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커피박 분말을 톱밥 및 생석회와 혼합하여 펠릿 혼합분말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혼합분말의 펠릿제조 단계로 구성되며, 커피박에 잔존하는 유해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잔존하는 유해성분만 제거할 뿐, 연소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제거할 수 없으며,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인해 사용자의 인체가 오염물질로 인해 해를 입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인한 독성으로 사용자에게 좋은 향을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3212호: 커피박 펠릿 연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피박 펠릿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피향을 제공할 수 있는 천연바인더가 포함되며, 커피오일의 펠릿의 외면에 코팅되는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은 로스팅된 커피콩을 분쇄하여 형성된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음료를 추출한 뒤 생성된 커피박을 이용한 캠핌용 펠릿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피박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커피박에 점성을 부여하기 위한 천연바인더를 첨가하는 첨가단계와, 상기 첨가단계에서 천연바인더가 첨가된 커피박을 펠릿성형기에 투입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단계의 실시전에 상기 커피박에서 커피오일을 수득하는 커피오일수득단계와, 상기 펠릿제조단계후, 상기 커피오일수득단계에서 수득된 커피오일을 상기 펠릿의 외주면에 코팅하는 코팅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피오일수득단계 실시후, 커피오일의 추출후 남은 커피박에 색소를 제거하는 탈색단계와, 상기 탈색단계에서 탈색된 커피박과 천연색소물을 염색유닛에 투입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시키는 염색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첨가단계는 커피박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오염저감물질을 첨가하는 오염물질첨가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염저감물질은 전분분말이다.
상기 천연바인더는 상기 커피박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가 혼합되고, 피마자유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피톤치드오일 20 내지 40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20 내지 40중량부가 혼합된다.
상기 염색유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커피박이 투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커피박을 비산시키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멱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공급부에 의해 비산되는 커피박을 향해 천연색소물을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서 천연색소물을 분사하여 염색된 커피박을 촬영하여 상기 커피부산물의 채도를 측정하는 채도측정부와, 상기 채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커피오일수득단계는 상기 커피박에 다수개의 롤러를 통과시켜 압착하여 커피액을 수득하는 커피박압착단계와, 상기 커피박압착단계에서 압착하여 수득된 커피박액을 유수분리기를 통해 수분과 커피오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단계와, 상기 유수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커피오일을 여과지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펠릿에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천연바인더가 첨가되어 제조된 펠릿 연소시 오염물질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천연바인더에 피톤치드오일과 헤이즐넛오일이 포함되고, 외면에 커피오일이 코팅되어 제조된 펠릿의 연소시 특유의 은은한 커피향을 제공하여 분위기 있는 캠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오일수득단계와 코팅단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색단계와 염색단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유닛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은 건조단계(S100), 첨가단계(S200) 및 펠릿제조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단계(S100)에서는 로스팅된 커피콩을 분쇄하여 형성된 커피분말로부터 추출한 뒤 형성된 커피박을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단계(S100)에서는 커피박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함수율이 5%내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단계(S100)에서는 커피박의 건조량이나 작업조건등을 고려하여 자연건조를 하거나, 건조기를 통해 커피박에 열풍을 분사하거나 기류시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단계(S200)에서는 상기 건조단계(S100)에서 건조된 커피박에 점성을 부여하기 위한 천연바인더를 첨가한다. 상기 천연바인더는 상기 커피박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바인더는 피마자유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피톤치드오일 20 내지 40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20 내지 40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톤치드오일이 20 중량부 이내면 피톤치드의 향이 연하여 사용자가 맡아 느끼기에 부족하고, 상기 40 중량부 이상일 경우 피톤치드향이 진하여 상대적으로 헤이즐넛 오일향이 연하게 느껴질 수 있다.
상기 헤이즐넛오일이 20 중량부 이내면 헤이즐넛오일의 향이 연하여 사용자가 맡아 느끼기에 부족하고, 상기 40 중량부 이상일 경우 헤이즐넛오일향이 진하여 상대적으로 피톤치드향이 연하게 느껴질 수 있다.
상기 첨가단계(S200)는 커피박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오염저감물질을 첨가하는 오염물질첨가단계(S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오염물질은 커피박의 연소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질소, 유황등을 말한다.
상기 오염저감물질은 전분분말로서 상기 커피박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분분말은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타피오카전분,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카사바전분 및 녹두전분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분분말은 20 중량부 미달하여 첨가될 경우 오염물질 저감효과가 크지 않고, 30 중량부 이상일 경우 커피박의 물성에 영향을 끼쳐 성형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펠릿제조단계(S300)에서는 상기 첨가단계(S200)에서 첨가물이 첨가된 커피박을 펠릿성형기에 투입하여 최종적으로 특정한 형태로 성형된 펠릿을 제조한다. 상기 펠릿성형기는 일반적인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펠릿제조단계(S300)에서는 캠핑할 때 사용되는 화목난로에 투입되기에 용이하도록 제조된 펠릿이 10cm X 60cm의 원통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펠릿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은 펠릿에 천연바인더인 피마자유가 포함되어 내구성 및 내습성이 향상되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이나 외력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피톤치드 오일과 헤이즐넛 오일이 함유되어 펠릿 연소시 특유의 은은한 커피향을 제공하여 분위기 있는 캠핑을 즐기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오일소득단계(S400)와 코팅단계(S5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상기 커피오일수득단계(S400)에서는 커피박에서 커피오일을 추출하여 입자가 균일해진 커피박을 획득하고, 상기 첨가물 첨가단계(S200)에서 첨가물을 첨가한 후 커피박의 분산과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건조단계(S100)의 실시전에 상기 커피박에서 커피오일을 수득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커피오일수득단계(S400)는 커피박압착단계, 유수분리단계 및 여과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커피박압착단계에서는 상기 커피박을 다수개의 롤러를 통과시켜 압착하여 커피박액을 수득한다. 이때, 롤러의 압력은 1000 ~ 2,000㎏f/㎠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수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커피박압착단계에서 압착하여 수득된 커피박액을 유수분리기를 통해 수분과 커피오일을 분리한다.
상기 여과단계에서는 상기 유리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커피오일을 여과지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여과한다.
또한, 상기 커피오일수득단계(S400)에서는 커피박에 노르말 헥산(N-Hexane), 2-메틸펜탄(2-Methylpentane)과 3-메틸펜탄(3-Methylpentane)을 첨가하여 오일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오일성분의 추출은 오일추출기에 커피박과 노르말 헥산(N-Hexane), 2-메틸펜탄(2-Methylpentane)과 3-메틸펜탄(3-Methylpentane)을 첨가하여 추출하며, 상기 오일추출기는 종래기술의 커피박을 통해 추출하는 커피오일추출기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상기 코팅단계(S500)에서는 펠릿의 흡습을 방지하고,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펠릿제조단계(S300)후, 상기 커피오일소득단계(S400)에서 수득된 커피오일을 상기 펠릿의 외주면에 코팅한다.
또한, 상기 코팅단계(S500)에서는 펠릿 연소시 특유의 은은한 커피향을 제공하기 위해, 커피오일에 헤이즐넛오일 또는 피마자유오일을 혼합하고, 상기 헤이즐넛오일 또는 피마자유오일이 혼합된 커피오일을 펠릿의 외주면에 코팅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피오일소득단계(S400)와 상기 코팅단계(S500)에서는 커피박에서 커피오일을 추출하여 입자가 보다 균일해진 커피박을 획득하고, 상기 첨가물 첨가단계(S200)에서 첨가물을 첨가할 때 커피박의 분산과 교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피오일소득단계(S400)와 상기 코팅단계(S500)에서는 펠릿의 흡습을 방지하여 연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헤이즐넛오일 또는 피마자유오일이 혼합된 커피오일을 펠릿의 외주면에 코팅하여 펠릿 연소시 특유의 은은한 커피향을 제공하여 분위기 있는 캠핑을 즐기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색단계(S600)와 염색단계(S7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탈색단계(S600)에서는 상기 커피오일소득단계(S400) 실시전, 커피오일의 추출후 남은 커피박에 색소를 제거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탈색단계(S600)는 유기용매 혼합단계, 교반단계 및 커피박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용매 혼합단계에서는 커피박과 친수성 유기용매를 혼합한다. 상기 상기 친수성 유기용매는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말한다. 상기 유기용매 혼합단계에서는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단계에서는 상기 친수성 유기용매가 혼합된 커피박을 교반시킨다. 상기 교반단계에서는 상온에서 20 내지 30분간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박 추출단계에서는 상기 교반단계에서 교반되어 색소가 제거된 커피박을 유기용매과 분리한다.
상기 염색단계(S700)에서는 상기 탈색단계(S600)에서 탈색된 커피박과 천연색소물을 염색유닛(100)에 투입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시킨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염색단계(S700)는 천연색소물 제조단계, 천연색소물 혼합단계 및 천연색소물 염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색소물 제조단계에서는 천연분말을 물에 혼합하여 천연색소물을 제조한다. 상기 천연분말을 색상종류에 따라 빨강색은 산수유 분말, 오미자 분말, 노란색은 치자분말, 자주색은 블루베리 분말, 파란색은 시금치 분말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색소물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천연색소물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천연색소물과 커피박을 염색유닛(100)을 투입하여 상기 커피박과 천연색소물을 교반하여 혼합한다.
상기 천연색소 염색단계에서는 상기 천연색소물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커피박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것으로 최소 10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켜 커피박을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탈색단계(S600)와 상기 염색단계(S700)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으로 커피박을 염색함으로서, 펠릿 제조시 종래의 어두운 계열의 갈색이외에도 여러 색상의 펠릿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유닛(1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염색유닛(100)은 하우징(110), 공기공급부(120), 분사부(130), 채도측정부(140) 및 제어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커피박이 수용된다.
상기 공기공급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커피박을 비산시키는 것으로서, 컴프레셔(121), 에어관(122) 및 유입조절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컴프레셔(121)는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에어관(122)은 상기 컴프레셔(121)에서 공급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컴프레셔(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10)에 연결된다.
상기 유입조절부(123)는 상기 에어관(122)의 타단에 공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에어관(122)의 타단을 기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공기공급부(120)에 의해 비산되는 커피박 향해 천연색소물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천연색소물 저장탱크(131), 천연색소물 공급관(132), 천연색소물 공급부(133) 및 분사노즐(134)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색소물 저장탱크(131)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천연색소물이 충진된다.
상기 천연색소물 공급관(132)은 상기 천연색소물이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천연색소물 저장탱크(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사노즐(134)에 연결된다.
상기 천연색소물 공급부(133)는 상기 천연색소물 저장탱크(131)에 충진된 천연색소물를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으로 펌핑하는 것으로서, 펌프(133a)와 차단밸브(133b)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133a)와 차단밸브(133b)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분사노즐(134)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산되는 커피박 향해 천연색소물을 분사한다.
상기 채도측정부(140)는 상기 분사부(130)에서 천연색소물을 분사하여 염색된 커피박을 촬영하여 상기 커피부산물의 채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연장부재(141), 촬영부재(142) 및 채도측정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재(141)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닥면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촬영부재(142)는 상기 하우징(110)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비산되는 커피박을 촬영한다.
상기 채도측정부재는 상기 촬영부재(142)에서 촬영된 정보를 토대로 채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채도측정부(140)에서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사노즐(134)을 제어한다.
상기 염색유닛(100)은 컴프레셔(121)이 상기 하우징(110)으로 공기를 공급하면, 공기가 상기 에어관(12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된 커피박이 공기에 의해 비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사부(130)의 천연색소물 공급부(133)가 상기 천연색소물 저장탱크에 충진된 천연색소물을 펌핑하며, 상기 천연색소물은 분사노즐(134)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으로 분사된다.
이어서, 상기 분사노즐(134)을 통해 분사되는 천연색소물에 의해 비산되는 커피박이 염색되며, 동시에 채도측정부(140)의 촬영부재(142)가 염색된 커피박을 촬영하고, 상기 채도측정부재가 상기 촬영부재(142)에서 촬영된 정보를 토대로 토대로 상기 분사노즐(134)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염색유닛(100)은 상기 공기공급부(12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통해 비산하는 커피박에 염색안료를 분사하고, 상기 염색안료가 분사된 커피박의 채도를 측정함으로서, 사용자가 커피박의 채도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모듈(150)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34)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도로 커피박을 염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염색유닛 110: 하우징
120: 공기공급부 130: 분사부
131: 천연색소물 저장탱크 132: 천연색소물 공급관
133: 천연새소물 공급부 134: 분사노즐
140: 채도측정부 141: 연장부재
142: 촬영부재 150: 제어모듈
S100: 건조단계 S200: 첨가단계
S300: 펠릿제조단계 S400: 커피오일수득단계
S500: 코팅단계 S600: 탈색단계
S700: 염색단계

Claims (6)

  1. 로스팅된 커피콩을 분쇄하여 형성된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음료를 추출한 뒤 생성된 커피박을 이용한 캠핌용 펠릿 제조방법에 있어서,
    커피박에서 커피오일을 수득하는 커피오일수득단계와;
    상기 커피오일수득단계에서, 커피오일의 추출후 남은 커피박에 색소를 제거하는 탈색단계와;
    상기 탈색단계에서 탈색된 커피박과 천연색소물을 염색유닛에 투입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시키는 염색단계와;
    상기 염색단계에서 염색된 커피박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커피박에 점성을 부여하기 위한 천연바인더를 첨가하는 첨가단계와;
    상기 첨가단계에서 천연바인더가 첨가된 커피박을 펠릿성형기에 투입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단계와;
    상기 펠릿제조단계후, 상기 커피오일수득단계에서 수득된 커피오일을 상기 펠릿의 외주면에 코팅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오일수득단계는
    상기 커피박에 다수개의 롤러를 통과시켜 압착하여 커피액을 수득하는 커피박압착단계와;
    상기 커피박압착단계에서 압착하여 수득된 커피박액을 유수분리기를 통해 수분과 커피오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단계와;
    상기 유수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커피오일을 여과지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염색유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커피박이 투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커피박을 비산시키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멱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공급부에 의해 비산되는 커피박을 향해 천연색소물을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서 천연색소물을 분사하여 염색된 커피박을 촬영하여 커피부산물의 채도를 측정하는 채도측정부와;
    상기 채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단계는 커피박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오염저감물질을 첨가하는 오염물질첨가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염저감물질은 전분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바인더는 상기 커피박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가 혼합되고, 피마자유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피톤치드오일 20 내지 40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20 내지 40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6. 삭제
KR1020210006986A 2021-01-18 2021-01-18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KR102492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86A KR102492598B1 (ko) 2021-01-18 2021-01-18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PCT/KR2021/011675 WO2022154210A1 (ko) 2021-01-18 2021-08-31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86A KR102492598B1 (ko) 2021-01-18 2021-01-18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215A KR20220105215A (ko) 2022-07-27
KR102492598B1 true KR102492598B1 (ko) 2023-02-07

Family

ID=8244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986A KR102492598B1 (ko) 2021-01-18 2021-01-18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2598B1 (ko)
WO (1) WO2022154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975A (ko) 2022-08-29 2024-03-07 농업회사법인 베스트빌 주식회사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KR20240050608A (ko) 2022-10-12 2024-04-19 농업회사법인 베스트빌 주식회사 커피박의 건조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212B1 (ko) 2011-03-10 2011-05-06 주식회사 이라산업 커피박 펠릿 연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피박 펠릿
JP4819264B2 (ja) 2001-09-28 2011-11-2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の染色システム
KR101307418B1 (ko) * 2011-08-17 2013-09-11 주식회사 황토하우징 기능성 숯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숯 조성물
KR101691857B1 (ko) * 2015-05-22 2017-01-02 신희용 커피박 및 폐식용유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방법
KR101767162B1 (ko) 2010-11-11 2017-08-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분말 투입 장치 및 방법
KR101802552B1 (ko) 2010-09-17 2017-11-28 크리에이티브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연료
KR101831607B1 (ko) * 2016-11-21 2018-02-23 주식회사 포이엔 커피박을 함유하는 고형 연료용 펠릿의 제조 방법
KR101932834B1 (ko) 2017-01-20 2018-12-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율피차 부산물과 피마자유를 바인더로 첨가한 고등급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목재펠릿
KR101955874B1 (ko) 2017-10-16 2019-03-08 주식회사 씨원 커피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용 펠렛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펠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0454A (en) * 1998-05-29 1999-06-08 Sprules; Rodney K. Coffee-based solid fuel composition
KR101579115B1 (ko) * 2015-01-13 2015-12-21 공정애 커피부산물을 이용한 연료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9264B2 (ja) 2001-09-28 2011-11-2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の染色システム
KR101802552B1 (ko) 2010-09-17 2017-11-28 크리에이티브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연료
KR101767162B1 (ko) 2010-11-11 2017-08-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분말 투입 장치 및 방법
KR101033212B1 (ko) 2011-03-10 2011-05-06 주식회사 이라산업 커피박 펠릿 연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피박 펠릿
KR101307418B1 (ko) * 2011-08-17 2013-09-11 주식회사 황토하우징 기능성 숯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숯 조성물
KR101691857B1 (ko) * 2015-05-22 2017-01-02 신희용 커피박 및 폐식용유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방법
KR101831607B1 (ko) * 2016-11-21 2018-02-23 주식회사 포이엔 커피박을 함유하는 고형 연료용 펠릿의 제조 방법
KR101932834B1 (ko) 2017-01-20 2018-12-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율피차 부산물과 피마자유를 바인더로 첨가한 고등급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목재펠릿
KR101955874B1 (ko) 2017-10-16 2019-03-08 주식회사 씨원 커피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용 펠렛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펠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215A (ko) 2022-07-27
WO2022154210A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598B1 (ko)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CN103005483A (zh) 土家香腊肉的制作方法
CN106087476A (zh) 一种基于植物染料的拼色上染工艺
CN105709256B (zh) 一种熏香及其使用方法
CN1640330A (zh) 烟草烟雾过滤器
KR101214074B1 (ko) 무공해 갈대 합성 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125433A (zh) 采用增压与减压工艺的木材染色法
CN106667221B (zh) 天然环保佛香的制作方法
KR101811867B1 (ko) 천연염료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09007954A (zh) 一种超临界流体制备烟草提取物微胶囊的方法
CN1750764A (zh) 含有金属酞菁和聚阳离子聚合物的过滤装置
CN106189347A (zh) 一种从植物中提取纳米级染色剂的工艺
CN101222854A (zh) 焙烤谷物提取液的制备方法及焙烤谷物加工品的制备方法
CN104082846A (zh) 一种蜀葵种子提取物在卷烟中的应用
US20050271777A1 (en) Coffee impregnation system and method
CN105200171B (zh) 一种抗水保有光泽的再生皮革的制作方法
KR102601045B1 (ko) 양초제조용 혼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578743A (zh) 一种不易变形的耐压熏香及其制备方法
CN109135919B (zh) 一种小型植物油脂精炼装置及方法
JP2639630B2 (ja) 着色料製造方法
CN207167631U (zh) 一种石斛红茶加工系统
CN105153744A (zh) 一种从植物花瓣中提取色素制备植物染料的工艺
KR20160106841A (ko) 천연염료에 의한 목섬유의 염색방법
KR20190060907A (ko)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KR20190022053A (ko) 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