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975A -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975A
KR20240029975A KR1020220108412A KR20220108412A KR20240029975A KR 20240029975 A KR20240029975 A KR 20240029975A KR 1020220108412 A KR1020220108412 A KR 1020220108412A KR 20220108412 A KR20220108412 A KR 20220108412A KR 20240029975 A KR20240029975 A KR 20240029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grounds
pellets
powder
moisture control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동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베스트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베스트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베스트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975A/ko
Publication of KR2024002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9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8Cutting, disintegrating, shredding or gr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0Pressing, compressing or compac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은 커피박을 수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커피박으로부터 1차로 수분을 조절하는 단계; 1차 수분 조절이 된 커피박을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시키면서 자연 건조를 시키는 단계; 자연 건조가 된 커피박을 파쇄하여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만드는 단계;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건조 커피박에 대하여 2차 수분 조절을 하면서 균질하게 만드는 단계; 및 2차 수분 조절이 된 분말 형태의 커피박를 가열 및 압축하여 펠렛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Fuel Pellet with a Coffee Meal}
본 발명은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를 만들고 남은 부산물에 해당하는 커피박은 다양한 유기 또는 무기 원소를 포함하고 있고, 유기물의 함량이 32 내지 40 %가 되면서 다양한 무기 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커피박은 K2O, CaO, MgO, Na2O, 망간 또는 아연을 포함하면서 탄소와 질소의 비율이 20 내지 25가 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커피박은 단백질 5 내지 10%, 조섬유 20 내지 25% 및 조지방 3 내지 8%의 영양분을 포함하면서 셀룰로오스 또는 리그닌과 같은 목질 성분을 포함하여 발열양이 약 5650 kcal/kg이 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커피박은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매립 또는 소각이 되는 경우 메탄을 배출시키고, 메탄은 이산화탄소에 비하여 34배가 되는 지구온난화 지수 값을 가진다. 그러므로 커피박이 적절한 방법으로 재활용이 될 필요가 있다. 커피박의 재활용과 관련하여 특허등록번호 10-1831607은 커피박을 함유하는 고형 연료용 펠릿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10-2174396은 커피를 제조하고 나오는 찌꺼기인 커피박을 주원료로 이용한 고형 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22-0105215는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 또는 공지기술에서 고체 연료 또는 펠릿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의 첨가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첨가물은 부수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환경 문제를 유발하거나, 커피박 자체가 가진 발열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커피박은 자체적으로 높은 발열량을 가지면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도로 첨가물이 추가되지 않고 고체 연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등록번호 10-1831607(주식회사 포이엔, 2018.02.23. 공고) 커피박을 함유하는 고형 연료용 펠릿의 제조 방법 선행기술2: 특허등록번호 10-2174396(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11.04. 공고) 커피박을 포함하는 고형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선행기술3: 특허공개번호 10-2022-0105215(주식회사 가배하우스, 2022.07.27. 공개)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발열량을 가지면서 보일러 연료를 비롯하여 다양한 가정용 또는 산업용 연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펠릿 형태로 만들어진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은 커피박을 수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커피박으로부터 1차로 수분을 조절하는 단계; 1차 수분 조절이 된 커피박을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시키면서 자연 건조를 시키는 단계; 자연 건조가 된 커피박을 파쇄하여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만드는 단계;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건조 커피박에 대하여 2차 수분 조절을 하면서 균질하게 만드는 단계; 및 2차 수분 조절이 된 분말 형태의 커피박를 가열 및 압축하여 펠렛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2차 수분 조절은 수분 함량이 10 내지 25 wt%가 되도록 조절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펠렛의 성형 과정에서 내부 온도는 50 내지 150 ℃의 온도로 유지되면서 펠렛 성형 홀로 투입되는 투입 압력은 5 내지 100 bar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은 가축 사육에 따른 커피박을 RDF(Refused Derived Fuel) 형태로 만들어지도록 하고, 예를 들어 산업용으로 사용 가능한 연소용 펠렛으로 만들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여 폐기물로 매립 또는 소각이 되는 커피박이 연료용 펠렛으로 재활용이 되어 커피박의 폐기물 처리가 해결되도록 하면서 환경 오염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높은 수준의 발열량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펠렛은 5,000 Kcal/kg 이상의 발열량을 가지고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산업용 연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커피박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렛의 제조 방법에 적용되는 파쇄기 및 건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렛의 제조 방법에 적용되는 압축 성형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은 커피박을 수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P11); 이물질이 제거된 커피박으로부터 1차로 수분을 조절하는 단계(P12); 1차 수분 조절이 된 커피박을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시키면서 자연 건조를 시키는 단계(P13); 자연 건조가 된 커피박를 파쇄하여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만드는 단계(P14);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건조 커피박에 대하여 2차 수분 조절을 하면서 균질하게 만드는 단계(P15); 및 2차 수분 조절이 된 분말 형태의 커피박를 가열 및 압축하여 펠렛으로 성형하는 단계(P16)를 포함한다.
다양한 형태의 커피 전문점 또는 커피 판매점에서 배출되는 커피박이 수거되어 예를 들어 종이, 비닐 또는 이와 유사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P11). 이물질이 제거된 커피박이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고, 이물질은 예를 들어 외부에서 유입된 돌, 자갈, 금속 조각, 합성수지 조각 또는 이와 유사한 외부 유입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또는 수거 단계의 커피박은 예를 들어 60 wt% 이상의 다량의 수분을 포함할 수 있고, 체 또는 거름망을 통과할 수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물질은 체 또는 거름망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커피박으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되면(P11), 1차로 수분 조절이 될 수 있고(P12), 1차 수분 조절은 밀폐 공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박이 수집되어 저장되는 저장소에서 진행될 수 있다. 저장소는 온도 조절 및 공기 순환이 가능한 창고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저장소는 온도 조절이 가능하면서 배출 도관을 통하여 온도 조절이 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 도관에 냉각 시설이 설치될 수 있고, 수분이 냉각 시설에 수집될 수 있다. 배출 도관은 유입 도관과 연결될 수 있고, 배출 도관에 냉각되어 수집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소의 내부 온도가 예를 들어 50 내지 120 ℃의 온도로 유지되면서 순환 팬을 통하여 기체를 순환시키면서 수분이 조절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수분이 30 내지 50 wt%가 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 함량이 조절된 커피박이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고, 이송 과정에서 자연 건조가 될 수 있다(P13). 컨베이어는 선형으로 연장되는 구조가 될 수 있고, 양쪽 측면 벽에 선형 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선형 분리 커터가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걸림 날이 배치될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자성체에 의하여 금속 성분 또는 이와 유사한 제거될 수 있고, 선형 분리 커터에 의하여 덩어리 형태의 커피박이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걸림 날에 의하여 예를 들어 비닐 또는 이와 유사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면서 자연 건조가 될 수 있고(P13), 자연 건조에 의하여 분뇨의 수분 함량은 예를 들어 25 내지 40 wt%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에 따라 이송되면서 자연 건조가 된 분뇨가 파쇄기로 투입되어 파쇄가 될 수 있다(P14).
파쇄기는 두 개의 롤러가 맞물려 회전되는 구조가 될 수 있고, 파쇄기에 의하여 조각 형태로 만들어진 커비박은 예를 들어 10 내지 5,000 ㎛의 직경 또는 길이를 가지는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파쇄기는 신축성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소재로 피복이 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분말 또는 과립은 적절한 크기를 가지면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크기를 가진 입자 또는 분말로 커피박을 만드는 것에 의하여 견고한 상태의 펠렛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크기를 가진 분말로 커피박이 파쇄가 되면, 커피박 분말에 대한 2차 수분 조절 공정 및 균질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P15). 2차 수분 조절 공정은 분말을 이송시키면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분말이 이송 스크루를 따라 이송되면서 건조가 될 수 있다. 이송 공정 과정에서 수분이 조절될 수 있고, 수분 함량은 예를 들어 10 내지 25 wt%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분 조절 과정에서 수분 함량의 조절을 위하여 수분 조절을 위한 이송 스크루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분말의 수분 함량 상태에 따라 이송 스크루의 온도는 50 내지 100 ℃의 온도로 조절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분 조절 과정에서 이송 스크루를 따라 분말이 회전이 되면서 균질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 조절이 되면서 균질하게 혼합된 커피박 분말은 성형 조건에 따라 펠렛으로 성형될 수 있다(P16). 성형 조건은 분말의 공급 속도, 성형 온도 및 성형 압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성형 조건은 분말의 상태 또는 분말의 함수 양과 같은 조건에 의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펠렛 성형을 위한 펠렛 기기에 탐지 수단이 배치될 수 있고, 탐지 수단에 의하여 펠렛 기기의 온도 또는 압력이 탐지될 수 있고, 성형된 펠렛의 온도 또는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탐지 수단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가 펠렛 기기로 전송되어 성형 조건이 적절하게 수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성형 조건이 설정되거나, 수정되면 커피박 분말이 가열 및 압축에 의하여 펠렛으로 성형될 수 있다(P16). 펠렛은 가열 및 압축 조건에서 성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압축 롤러에 의하여 분말이 압축되면서 다수 개의 펠렛 성형 홀이 형성된 성형기로 투입될 수 있다. 성형기의 내부 온도가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성형기의 내부 온도는 50 내지 150 ℃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펠렛 성형 홀로 투입되는 투입 압력은 5 내지 100 bar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펠렛 기기에서 성형된 펠렛은 예를 들어 지름이 0.1 내지 5.0 ㎝ 및 길이가 1.0 내지 10.0 ㎝가 되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펠렛 기기로부터 배출되는 펠렛의 온도는 30 내지 80 ℃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펠렛이 성형되면(P16), 자연 냉각이 되어 포장이 될 수 있다. 펠렛은 다양한 조건에서 성형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렛의 제조방법이 적용되는 파쇄기 및 건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 및 (나)는 각각 파쇄기 및 건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가)를 참조하면, 파쇄기는 한 쌍의 롤러 모듈(20a, 20b)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롤러 모듈(20a, 20b)은 회전 축(21); 회전 축(21)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되는 몸체(22); 몸체(22)의 둘레 면을 감싸는 피복 구조를 가지는 가압 재킷(23); 가압 재킷(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분리 띠(24_1 내지 24_L); 및 가압 재킷(23)의 둘레 면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다수 개의 띠 돌기(25_1 내지 25_N)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재킷(23)은 예를 들어 고무,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또는 이와 유사한 탄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압 재킷(23)은 예를 들어 0.5 내지 5.0 ㎝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 재킷(23)의 표면에 다수 개의 분리 띠(24_1 내지 24_L)가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분리 띠(24_1 내지 24_L)는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분리 띠(24_1 내지 24_L)는 측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될 수 있고, 각각의 분리 띠(24_1 내지 24_L)는 폭은 예를 들어 0.1 내지 2 ㎝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압 재킷(23)의 둘레 면을 따라 다수 개의 띠 돌기(25_1 내지 25_N)가 형성될 수 있고, 다수 개의 띠 돌기(25_1 내지 25_N)는 서로 분리되어 가압 재킷(23)의 둘레 면을 따라 연장되면서 가압 재킷(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띠 돌기(25_1 내지 25_N)의 폭 및 분리 간격은 0.1 내지 2 ㎝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띠 돌기(25_1 내지 25_N)에 가압 재킷(23)의 표면에 홈과 돌기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홈과 돌기에 의하여 자연 건조가 된 분뇨가 적절한 길이를 가지는 분말로 파쇄가 될 수 있다. 가압 재킷(23)은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지고, 가압 재킷(23)의 표면에 균일하게 홈(G1, G2) 및 돌기(P)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홈(G1, G2)과 돌기(P)는 사각 형상이 되면서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홈(G1, G2)과 돌기(P)는 길이 방향을 따라 홈(G1, G2)과 돌기(P)가 각각 서로 인접한 형태가 되거나, 홈(G1, G2)과 돌기(P)가 둘레 방향과 같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이 되는 하나의 돌기(P)에 한 쌍의 홈(G1, G2)이 각각 직사각형이 되면서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홈(G1, G2) 사이에 갭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가압 재킷(23)에 의하여 건조 분뇨가 펠렛 형성에 유리하도록 압축이 되면서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압 재킷(23)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의 (나)를 참조하면, 파쇄가 된 분뇨의 건조 및 균질 공정을 위한 건조기는 다수 개의 나선형 이송 날개(27_1 내지 27_K)가 형성된 회전축(26); 회전축(26)을 밀폐시키는 실린더 형상의 건조 몸체(28); 및 이송 스크루(26)의 작동을 위한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M)을 포함한다. 회전축(26)은 이송 방향을 따라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고, 회전축(26)의 둘레 면에 나선 형상으로 결합된 이송 날개(27_1 내지 27_K)는 이송 방향을 따라 점차로 피치가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건조 몸체(28)의 앞쪽 부분에 배출 공(H_1 내지 H_M)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함께 건조 몸체(28)의 앞쪽 부분에 가열 패드(29)가 부착될 수 있다. 배출 공(H_1 내지 H_M)의 건조 몸체(28)의 위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가열 패드(29)는 건조 몸체(28)의 아래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가열 패드(29)의 온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비롯한 기체 성분이 배출 공(H_1 내지 H_M)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회전축(26)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면서 가열 패드(29)의 온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말의 함수량이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0 내지 25 wt%의 수분 함량을 가지도록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이송 날개(27_1 내지 27_K)의 피치가 점차로 작아지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회전축(26)의 직경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분말이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건조된 분말은 배출 통로(E)를 통하여 배출되어 압축 성형기로 투입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이 건조된 분말로부터 펠렛이 성형되도록 하는 압축 성형기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렛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압축 성형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축 성형기는 분말이 투입되는 호퍼(31); 공급되는 분말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루(32); 이송 스크루(32)가 수용되는 공급 몸체(33); 공급 몸체(33)의 한쪽 끝 부분에 형성된 주입 통로(35); 주입 통로(35)를 통하여 주입되는 분말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는 조절 호퍼(36); 조절 호퍼(36)로부터 유입된 분말로부터 가열 및 압축에 의하여 펠렛을 생성하는 펠렛 생성 모듈(37)을 포함한다. 분말이 호퍼(31)로 투입되어 공급 몸체(33)로 이동되면 이송 스크루(32)에 의하여 펠렛 생성 모듈(37)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공급 몸체(33)의 앞쪽에 예비 가열 모듈(34)에 의하여 공급 몸체(33)가 가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60 ℃의 온도로 공급 몸체(33)가 가열될 수 있다. 공급 몸체(33)의 가열에 따라 분말이 가열될 수 있고, 예비 가열이 된 분말이 이송 스크루(32)에 의하여 공급 몸체(33)의 끝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모터(DM)에 의하여 구동되는 이송 스크루(32)에 의하여 분말이 공급 몸체(33)의 끝 부분에 도달하면 분말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주입 통로(35)로 이동될 수 있고, 조절 호퍼(35)로 주입될 수 있다. 조절 호퍼(36)에 투입 양 조절 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조절 호퍼(36)에 의하여 정해진 양으로 분말이 펠렛 생성 모듈(37)로 유입될 수 있다. 펠렛 생성 모듈(37)은 다수 개의 생성 홀이 형성된 성형기, 성형기로 투입되는 분말을 압축시키는 압축 롤러 및 성형이 된 펠렛을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펠렛 생성 모듈(37)에 탐지 모듈(39)이 배치되어 투입되는 분말 상태, 분말 온도, 압축 롤러의 압축 수준 또는 이와 유사한 펠렛 생성 조건이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펠렛 생성 모듈(37)의 온도가 50 내지 150 ℃로 유지되면서 압력은 5 내지 100 bar가 될 수 있다. 탐지 모듈(39)에 의하여 탐지된 탐지 조건에 따라 작동 상태가 조절될 수 있고, 생성된 펠렛이 펠렛 출구(38)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펠렛 생성 모듈(37)은 펠렛의 생성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0a, 20b: 롤러 모듈 21: 회전 축
22: 몸체 23: 가압 재킷
24_1 내지 24_L: 분리 띠 25_1 내지 25_N: 띠 돌기

Claims (4)

  1. 커피박을 수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커피박으로부터 1차로 수분을 조절하는 단계;
    1차 수분 조절이 된 커피박을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시키면서 자연 건조를 시키는 단계;
    자연 건조가 된 커피박을 파쇄하여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만드는 단계;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건조 커피박에 대하여 2차 수분 조절을 하면서 균질하게 만드는 단계; 및
    2차 수분 조절이 된 분말 형태의 커피박를 가열 및 압축하여 펠렛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2차 수분 조절은 수분 함량이 10 내지 25 wt%가 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펠렛의 성형 과정에서 내부 온도는 50 내지 150 ℃의 온도로 유지되면서 펠렛 성형 홀로 투입되는 투입 압력은 5 내지 100 bar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펠렛은 지름이 0.1 내지 5.0 ㎝ 및 길이가 1.0 내지 10.0 ㎝가 되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KR1020220108412A 2022-08-29 2022-08-29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KR20240029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412A KR20240029975A (ko) 2022-08-29 2022-08-29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412A KR20240029975A (ko) 2022-08-29 2022-08-29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975A true KR20240029975A (ko) 2024-03-07

Family

ID=9027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412A KR20240029975A (ko) 2022-08-29 2022-08-29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97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607B1 (ko) 2016-11-21 2018-02-23 주식회사 포이엔 커피박을 함유하는 고형 연료용 펠릿의 제조 방법
KR102174396B1 (ko) 2020-06-01 2020-11-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박을 포함하는 고형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05215A (ko) 2021-01-18 2022-07-27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607B1 (ko) 2016-11-21 2018-02-23 주식회사 포이엔 커피박을 함유하는 고형 연료용 펠릿의 제조 방법
KR102174396B1 (ko) 2020-06-01 2020-11-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박을 포함하는 고형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05215A (ko) 2021-01-18 2022-07-27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커피박을 이용한 캠핑용 펠릿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538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78958B1 (ko) 버섯배지를 이용한 펠릿의 제조방법
KR101997421B1 (ko)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US20090041639A1 (en) Waste processing system
CN107614662B (zh) 利用了混合生物质的半碳化物的制造装置
CN101375122A (zh) 用于防止危险空气污染排放物和用于有效干燥/脱水处理的系统
CN102206526A (zh) 生物质颗粒燃料的生产工艺及成套设备
KR20140029635A (ko) 팜 부산물을 이용한 펠릿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81672B1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 연료의 제조 방법
KR20240029975A (ko) 커피박을 이용한 연료용 펠렛의 제조 방법
KR20120023276A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 연료의 제조 방법
KR101334667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화 보조연료의 제조방법
KR101298941B1 (ko) 유기성폐기물의 실시간 함수율 측정을 활용한 바이오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CN112210412A (zh) 一种利用园林垃圾制造生物颗粒燃料的系统及运行工艺
KR101042619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압축성형 숯연료 제조방법
CN104927964B (zh) 一种生物质成型燃料、及其生产方法和生产系统
KR20030032488A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JP2005220194A (ja) バイオマス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112679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ynthetic building materials using plastic waste combined with industrial and agricultural scrap
KR102203422B1 (ko)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38476B1 (ko) 탈수식 분뇨 연료화 장치
KR100296791B1 (ko) 음식물쓰레기를 사료화 하는 방법
KR20230120821A (ko) 축돈분을 이용한 펠릿의 제조 방법
KR101243471B1 (ko) 펠릿 제조 시스템
WO2009120842A2 (en) Fuel formed of cellulosic and biosolid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