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421B1 -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421B1
KR101997421B1 KR1020190018575A KR20190018575A KR101997421B1 KR 101997421 B1 KR101997421 B1 KR 101997421B1 KR 1020190018575 A KR1020190018575 A KR 1020190018575A KR 20190018575 A KR20190018575 A KR 20190018575A KR 101997421 B1 KR101997421 B1 KR 10199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yer
raw material
heat insulating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식래
이상규
조영욱
Original Assignee
조식래
이상규
조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식래, 이상규, 조영욱 filed Critical 조식래
Priority to KR102019001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2Disc-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C05F17/02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4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from human faecal masses
    • C05G3/0058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효된 원료를 건조하는 건조기의 구성을 개선하여 건조효율을 높여 양질의 비료를 생산할 수 있고, 건조기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효율적인 이물질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부자재 저장조의 부자재와 분뇨 저장조의 분뇨를 혼합하여 일정기간동안 발효가 이루어지는 발효조와, 상기 발효조의 원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조절하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를 거친 원료의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는 선별기와, 선별기를 거친 비료를 고형의 비료형태로 성형하는 성형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조기는; 일측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투입구의 반대편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싸는 형태로 가열구간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히팅수단과, 상기 히팅수단이 설치되는 가열구간 전체에 본체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본체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보온공간를 형성하는 보온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Manufacturing system of the organic fertilizer}
본 발명은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효된 원료를 건조하는 건조기의 구성을 개선하여 건조효율을 높여 양질의 비료를 생산할 수 있고, 건조기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효율적인 이물질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분 또는 인분과 같은 배설물(분뇨물)은 악취 발생 문제, 하천 방류 시 하천오염, 해양 투기 시 연안 해안의 황폐화, 배설물 처리 문제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도 유기물을 함유한 폐기물 및 배설물 처리방법과 장치가 개발되어 다량의 축분 또는 인분 등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유기질비료를 생산하여 환경오염 발생원인 축분 또는 인분 등의 유기질 폐기물을 다량으로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고품질의 유기질비료를 사용하여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축,인분을 이용한 비료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볏짚, 톱밥, 왕겨, 패각, 연탄재, 나뭇가지와 같은 부자재와 축인분을 혼합한 다음 발효조에서 발효과정을 거친다음 건조기를 통해 수분조절이 이루어진 다음 비료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비료제조용 건조기의 건조방식을 살펴보면 건조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방식과, 버너를 통해 열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열풍을 공급하는 방식은 열풍을 생산하는 부분에서 건조기 내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하여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버너를 통한 건조방식은 버너와 가까운 부분에는 고온의 열이 전달되는 반면 버너에서 먼 쪽은 열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점과 버너의 열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비료의 수분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325075호(유기성 폐기물의 건조장치)에는 축분이 채워지며 교반용 모터에 의해 축분을 교반하는 교반체가 설치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축분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구비되고, 하부 일측에는 건조된 축분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축분을 건조시켜 제조되는 펠릿을 태워 상기 본체를 가열하는 버너와; 상기 본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본체에 투입된 축분의 무게를 이용해 축분의 수분함량을 계산하여 그 수분함량이 설정된 수분함량 이하인지를 비교하여 상기 교반용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로 구성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하부에 설치된 버너에서 펠릿(고형연료)를 연소시켜 건조하는 기술로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상당한 고온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지나친 고온에 의해 원료의 성분이 변질될 수 있고, 건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너의 가열온도가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료성형에 효율적인 수분으로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버너가 노출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열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원료를 파쇄하는 과정이 수분이 존재한 과정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파쇄장치의 부하가 크게 발생하고 그로인해 파쇄가 원활하게 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엇고, 이물질 선별기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원료가 다시 뭉쳐지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이물질 선별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가열 방식의 히팅수단을 적용하여 원료의 수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히팅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건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높이고자 하고, 기존의 파쇄공정 및 이물질 선별이 원활하지 못했던 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부자재 저장조의 부자재와 분뇨 저장조의 분뇨를 혼합하여 일정기간동안 발효가 이루어지는 발효조와, 상기 발효조의 원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조절하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를 거친 원료의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는 선별기와, 선별기를 거친 비료를 고형의 비료형태로 성형하는 성형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조기는; 일측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투입구의 반대편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싸는 형태로 가열구간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히팅수단과, 상기 히팅수단이 설치되는 가열구간 전체에 본체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본체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보온공간를 형성하는 보온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온커버는 본체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브라켓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온커버의 중심부는 본체의 중심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편심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보온커버와 본체의 이격 거리가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온커버 외주면에 단열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기;는 진동에 의해 입자크기로 이물질을 분류하는 진동선별장치가 지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선별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에 분쇄장치가 올려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건조된 원료가 분쇄장치를 거친 다음 진동선별장치의 투입구로 낙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장치는; 상부에 건조된 원료가 공급되는 호퍼 및 분쇄된 원료를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이 연장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원판과, 상기 복수개의 회전원판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같은 간격으로 원형배치되는 칼날축과, 상기 칼날축에 결합되어 회전원판 사이에 배치되는 분쇄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중에서 발효된 원료를 건조하는 건조기의 가열방식이 전기히터 방식의 히팅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온도제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로인해 본체 내부의 온도를 50 내지 60도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비료성형에 효율적인 수분함량으로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팅수단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보온커버를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외부온도에 의해 히팅수단의 온도가 변동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히팅수단과 보온커버의 결합구조로 인해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별기는 진동선별장치와 분쇄장치가 일체로 구성되어 건조된 상태의 원료를 분쇄장치를 거쳐 작은 크기의 입자로 분쇄한 다음,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이 이루어지는 진동선별장치를 통해 작은 입자로 이루어진 비료만은 선별하여 양질의 비료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의 전체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기 내부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조기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건조기에 설치되는 보온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선별기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선별기에서 분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분쇄장치에서 분쇄날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선별기에서 진동선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자재 저장조(100)의 부자재와 분뇨 저장조(200)의 분뇨를 혼합하여 일정기간 동안 발효가 이루어지는 발효조(300)와, 상기 발효조(300)의 원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조절하는 건조기(400)와, 상기 건조기(400)를 거친 원료의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는 선별기(500)와, 선별기(500)를 거친 비료를 고형의 비료형태로 성형하는 성형기(60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건조기(400)는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상부에 투입구(411)가 형성되고 투입구(411)의 반대편 하부에 배출구(412)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본체(410)와, 상기 본체(4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420)와, 상기 본체(4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싸는 형태로 가열구간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히팅수단(430)과, 상기 히팅수단(430)이 설치되는 가열구간 전체에 본체(4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본체(410)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보온공간(A)를 형성하는 보온커버(440)와, 상기 본체(4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4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조기(400)는 발효과정을 거친 원료(부자재와 분뇨혼합물)를 투입하여 원료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료가 이송스크류(420)를 통해 본체(410) 내부를 지나면서 히팅수단(430)의 열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지며 수분은 상부의 배기구(45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건조기(400)의 구성중에 본체(410)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구성은 본체(4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히팅수단(430)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히팅수단(430)은 본체(410)에 직접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수단(430)은 전원공급에 의해 열선이 가열되는 방식으로 적용되는데, 이와 같이 전기히터 방식의 히팅수단(430)은 온도제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체(410)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해 검출된 온도가 50 내지 60도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비료성형에 효율적인 수분함량으로 맞출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팅수단(430)은 본체(4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히팅수단(430)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경우,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온커버(440)를 통해 본체(4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설치되어 본체(410)와 보온커버(440) 사이에 보온공간(A)을 형성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온커버(440)는 원통형의 본체(410)에 직접 고정되는 것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10)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브라켓부(46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 보온공간(A)을 형성함에 있어서 더 효율적이다.
그리고 상기 보온커버(440)의 중심부는 본체(410)의 중심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편심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보온커버(440)와 본체(410)의 이격 거리가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본체(410)의 하단부에 보온공간(A)을 더 많이 형성함으로써 가열공기를 더 많이 포집하고, 포집된 가열공기는 위로 상승하면서 본체(410)의 외주면을 다시 가열해주기 때문에 열효율을 좀 더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기(400)는 히팅수단(430)과 보온커버(440)가 본체(410)의 바깥쪽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온커버(440)만 분리하면 히팅수단(430)을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복잡한 분해과정을 거치거나 전문인력을 동원하지 않고도 유지보수가 간편한 이점을 갖는다.
도 4는 건조기(400)의 이송스크류(420)를 나타낸 것으로서, 나선형의 스크류를 통해 이송이 이루어지는 한편, 본 발명의 이송스크류(420)는 스크류의 바깥부분에 스크류와 스크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421)이 일정 구간마다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421)에 의해 본체(410)의 바닥부분에 있는 원료를 위로 퍼올리는 형태로 원료가 이송되기 때문에 원료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다.
도 5는 보온커버(44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보온커버(440) 외주면에 단열재(441)가 더 부착되어 보온커버(440)의 외부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좀 더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441)는 보온커버(440)의 외부를 최대한 감싸는 형태로 전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선별기(5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에 의해 입자크기로 이물질을 분류하는 진동선별장치(510)가 지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선별장치(510)가 설치된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530)에 분쇄장치(520)가 올려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건조된 원료가 분쇄장치(520)를 거친 다음 진동선별장치(510)의 투입구(512)로 낙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비료제조장치는 미리 파쇄한 원료를 발효, 건조를 거친 다음 금속이물질 만을 선별하기 때문에, 비료의 입자가 커져 성형이 원활하지 못하고 금속 이물질 이외의 다른 이물질이 비료에 포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별기(500)는 건조된 상태의 원료를 분쇄장치(520)를 거쳐 작은 크기의 입자로 분쇄한 다음,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이 이루어지는 진동선별장치(510)를 통해 작은 입자로 이루어진 비료만은 선별하여 양질의 비료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상기 선별기(500)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분쇄장치(520)는 도 7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건조된 원료가 공급되는 호퍼(521a) 및 분쇄된 원료를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관(521b)이 연장형성되는 케이스(521)와, 상기 케이스(521) 내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중심축(522)과, 상기 중심축(52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원판(523)과, 상기 복수개의 회전원판(523)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되, 중심축(52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같은 간격으로 원형배치되는 칼날축(524)과, 상기 칼날축(524)에 결합되어 회전원판(523) 사이에 배치되는 분쇄날(5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장치(520)의 케이스(521)는 지지대(530)의 상부에 올려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케이스(521)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521b)은 진동선별장치(510)의 투입구(512)와 근접하도록 연장형성되어 분쇄된 원료가 진동선별장치(510)로 즉시 낙하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분쇄장치(520)의 특징은 칼날축(524)의 결합구조에 있는데, 먼저 복수개의 회전원판(523)이 중심축(522)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회전원판(523) 사이에는 간극링(523a)이 결합되어 회전원판(523)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판(523)을 관통하는 칼날축(524)에 분쇄날(525)이 결합된 형태가 된다. 이때 분쇄날(525)은 칼날축(524)에 끼워진 형태로만 결합되어서 분쇄날(525)이 칼날축(52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분쇄날(525)의 칼날축(52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태가 되어 분쇄과정에서 칼날축(524)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선별장치(510)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이물질과 비료를 선별하는 구성으로서, 내부 구조를 설명하자면 몸체(511)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512)로 분쇄된 원료가 공급되면 내측에 형성된 분체망의 상부에 원료가 올려지게 된다. 이때 바이브레터(514)를 통해 몸체(511)에 진동을 발생하게 되면 작은 입자는 분체망의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큰 입자는 일측에 형성된 이물질배출부(515)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분체망의 하부로 떨어진 비료는 경사면을 따라 비료배출부(516)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기(500)는 분쇄장치(520)와 진동선별장치(510)가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이물질 선별이 용이하고 양질의 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부자재 저장조 200 : 분뇨 저장조
300 : 발효조 400 : 건조기
410 : 본체 411 : 투입구
412 : 배출구 420 : 이송스크류
421 : 연결판 430 : 히팅수단
440 : 보온커버 441 : 단열재
450 : 배기구 460 : 브라켓부
500 : 선별기 510 : 진동선별장치
511 : 몸체 512 : 투입구
513 : 분체망 514 : 바이브레터
515 : 이물질배출부 516 : 비료배출부
520 : 분쇄장치 521 : 케이스
521a : 호퍼 521b : 배출관
522 : 중심축 523 : 회전원판
523a : 간극링 524 : 칼날축
525 : 분쇄날 530 : 지지대
600 : 성형기 A : 보온공간

Claims (6)

  1. 부자재 저장조(100)의 부자재와 분뇨 저장조(200)의 분뇨를 혼합하여 일정기간동안 발효가 이루어지는 발효조(300)와, 상기 발효조(300)의 원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조절하는 건조기(400)와, 상기 건조기(400)를 거친 원료의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는 선별기(500)와, 선별기(500)를 거친 비료를 고형의 비료형태로 성형하는 성형기(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조기(400)는;
    일측 상부에 투입구(411)가 형성되고 투입구(411)의 반대편 하부에 배출구(412)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본체(410)와,
    상기 본체(4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420)와,
    상기 본체(4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싸는 형태로 가열구간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히팅수단(430)과,
    상기 히팅수단(430)이 설치되는 가열구간 전체에 본체(4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본체(410)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보온공간(A)를 형성하는 보온커버(440)와,
    상기 본체(4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450);로 구성되고,
    상기 보온커버(440)의 중심부는 본체(410)의 중심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편심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보온커버(440)와 본체(410)의 이격 거리가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440)는 본체(410)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브라켓부(46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440) 외주면에 단열재(441)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5. 부자재 저장조(100)의 부자재와 분뇨 저장조(200)의 분뇨를 혼합하여 일정기간동안 발효가 이루어지는 발효조(300)와, 상기 발효조(300)의 원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조절하는 건조기(400)와, 상기 건조기(400)를 거친 원료의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는 선별기(500)와, 선별기(500)를 거친 비료를 고형의 비료형태로 성형하는 성형기(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조기(400)는;
    일측 상부에 투입구(411)가 형성되고 투입구(411)의 반대편 하부에 배출구(412)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본체(410)와,
    상기 본체(4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420)와,
    상기 본체(4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싸는 형태로 가열구간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히팅수단(430)과,
    상기 히팅수단(430)이 설치되는 가열구간 전체에 본체(4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본체(410)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보온공간(A)를 형성하는 보온커버(440)와,
    상기 본체(4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450);로 구성되고,
    상기 선별기(500);는 진동에 의해 입자크기로 이물질을 분류하는 진동선별장치(510)가 지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선별장치(510)가 설치된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530)에 분쇄장치(520)가 올려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건조된 원료가 분쇄장치(520)를 거친 다음 진동선별장치(510)의 투입구(512)로 낙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장치(520)는;
    상부에 건조된 원료가 공급되는 호퍼(521a) 및 분쇄된 원료를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관(521b)이 연장형성되는 케이스(521)와,
    상기 케이스(521) 내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중심축(522)과,
    상기 중심축(52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원판(523)과,
    상기 복수개의 회전원판(523)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되, 중심축(52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같은 간격으로 원형배치되는 칼날축(524)과,
    상기 칼날축(524)에 결합되어 회전원판(523) 사이에 배치되는 분쇄날(5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KR1020190018575A 2019-02-18 2019-02-18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KR10199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75A KR101997421B1 (ko) 2019-02-18 2019-02-18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75A KR101997421B1 (ko) 2019-02-18 2019-02-18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421B1 true KR101997421B1 (ko) 2019-07-08

Family

ID=6725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575A KR101997421B1 (ko) 2019-02-18 2019-02-18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42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54B1 (ko) * 2019-12-02 2020-02-25 박용흠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CN110849105A (zh) * 2019-12-02 2020-02-28 怀化市天瑞茶业有限公司 一种茶叶筛选烘干机
CN112979362A (zh) * 2021-02-04 2021-06-18 盛茂龙生物科技(仁化)有限公司 一种利用烟梗碎物制备有机肥的装置及其制备方法
CN113324386A (zh) * 2020-02-29 2021-08-31 永州恩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病死畜禽加工的干燥机
CN113880624A (zh) * 2021-09-29 2022-01-04 平顶山学院 一种西瓜沼液肥施用装置及方法
CN114669466A (zh) * 2022-03-31 2022-06-28 陈正彩 一种有机肥初筛装置及初筛方法
KR102462970B1 (ko) * 2022-03-29 2022-11-04 한국에스피산업 주식회사 축분을 이용한 친환경 비료제조 장치
CN117623814A (zh) * 2024-01-25 2024-03-01 山东中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有机肥发酵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083Y1 (ko) * 2005-07-21 2005-10-20 조성동 유기질 비료와 이의 제조 장치
KR20090053020A (ko) * 2007-11-22 2009-05-27 오션 스타 주식회사 축분의 유기질 비료화 제조방법
KR101796725B1 (ko) * 2017-04-20 2017-11-10 김석이 축인분을 이용한 비료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083Y1 (ko) * 2005-07-21 2005-10-20 조성동 유기질 비료와 이의 제조 장치
KR20090053020A (ko) * 2007-11-22 2009-05-27 오션 스타 주식회사 축분의 유기질 비료화 제조방법
KR101796725B1 (ko) * 2017-04-20 2017-11-10 김석이 축인분을 이용한 비료제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54B1 (ko) * 2019-12-02 2020-02-25 박용흠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CN110849105A (zh) * 2019-12-02 2020-02-28 怀化市天瑞茶业有限公司 一种茶叶筛选烘干机
CN113324386A (zh) * 2020-02-29 2021-08-31 永州恩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病死畜禽加工的干燥机
CN112979362A (zh) * 2021-02-04 2021-06-18 盛茂龙生物科技(仁化)有限公司 一种利用烟梗碎物制备有机肥的装置及其制备方法
CN113880624A (zh) * 2021-09-29 2022-01-04 平顶山学院 一种西瓜沼液肥施用装置及方法
KR102462970B1 (ko) * 2022-03-29 2022-11-04 한국에스피산업 주식회사 축분을 이용한 친환경 비료제조 장치
CN114669466A (zh) * 2022-03-31 2022-06-28 陈正彩 一种有机肥初筛装置及初筛方法
CN114669466B (zh) * 2022-03-31 2024-05-10 山东坤元惠众农牧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肥初筛装置及初筛方法
CN117623814A (zh) * 2024-01-25 2024-03-01 山东中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有机肥发酵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421B1 (ko)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CA11513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rganic materials into more useful states
KR101980538B1 (ko) 슬러지 건조장치
US89927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hydrolysis of preferably solid organic substrates
KR101762898B1 (ko) 혼합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반탄화물 제조장치
KR101977012B1 (ko)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CN208944224U (zh) 一种烘干加热的生物质粉碎机
JP2007023239A (ja) バイオマス燃料の供給システム
CN107830722A (zh) 一种颗粒物料烘干机
CN110616099A (zh) 一种利用农作物秸秆制备生物质燃料的设备及方法
KR102199155B1 (ko) 유기성폐기물을 저온 진공 건조하는 히트스틱 또는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
JP5754883B2 (ja) 複合バイオマス燃料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2011140610A (ja) 複合燃料製造方法
JP2007169534A (ja) バイオマス炭化装置
TWI726293B (zh) 碳化處理方法及碳化處理設備
JP2010111712A (ja) 連続減容炭化装置
KR101229005B1 (ko)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6486396B2 (ja) 堆肥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RU114755U1 (ru) Установка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горю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5349786B2 (ja) 脱水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
CN102481537A (zh) 烧结的轻质集料
CN211782623U (zh) 一种受热均匀的生物质燃料颗粒烘干装置
KR101997898B1 (ko)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
CN114440226B (zh) 一种基于麦秸秆的生物碳生产装置及其方法
KR102227934B1 (ko) 생활쓰레기의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