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483B1 -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 Google Patents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483B1
KR102492483B1 KR1020210151517A KR20210151517A KR102492483B1 KR 102492483 B1 KR102492483 B1 KR 102492483B1 KR 1020210151517 A KR1020210151517 A KR 1020210151517A KR 20210151517 A KR20210151517 A KR 20210151517A KR 102492483 B1 KR102492483 B1 KR 10249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ird collision
parts
transparent
bi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동길
김진석
Original Assignee
구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동길 filed Critical 구동길
Priority to KR102021015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충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가 투명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Transparent soundproofing board with bird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and soundproof wall using it}
본 발명은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충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가 투명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많이 지나다니는 고속도로변이나 기차가 지나다니는 철로구간 그리고 공사현장 주변에는 주위에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방음시설을 설치하며, 이러한 방음시설은 방음벽이나 방음터널 등이 있으며, 방음벽은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인접된 주택 학교 등의 건물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필요장소에 따라 흡음재를 갖는 방음판과 일조량을 위한 투명방음판으로 구분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방음벽은 도로의 양쪽에서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지주와, 이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으로 구성되며, 설치 작업시에는 먼저 도로의 양쪽에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지주 들을 소정간격을 두고 세워서 고정시키고, 이 지주들 사이에 방음판의 좌우 양단을 끼움시킨 후 설치 고정하는 것이다. 통상, 방음벽은 통상적으로 H빔과 같은 지지대 사이에 단위 길이로 절단된 방음판을 복수개 끼워 적층하여 설치한다.
이때 사용되는 방음판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흡음효과를 갖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음판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7574호의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패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방음벽을 기준으로 반대편을 볼 수 없도록 구성하거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3106호의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투명방음벽"에 개시된 바와 같이 투명하게 제작하여 반대쪽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조류는 투명한 물체를 인지하지 못하고 그대로 충돌하므로 유리창이나 투명한 시설물 등에 부딪쳐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조류충돌(버드스트라이크)이라고 한다.
그리고, 전술한 특허에 공개된 투명방음판은 투명하게 구비되어 채광 효과가 우수하고 전망을 확보하는데 유리할 수 있으나, 조류충돌에 의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맹금류 형상의 스티커인 버드세이버를 투명방음판에 부착하더라도, 조류가 버드세이버를 진짜 맹금류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조류충돌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스티커의 경우, 비, 바람 등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해 투명방음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조류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항지역에서는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폭음탄과 같은 조류를 쫓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나, 공항지역을 벗어난 지역 내에서 사용할 경우, 소음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 2011461호(공개일 : 2019.08.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류충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점착력이 우수하여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가 투명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은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 및 상기 투명판에 부착되어 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는 PET 기재, PET 기재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층은 점착수지, 불소계 수지 및 점착부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2793086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콕시기이며, B1, B2, B3 및 B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CH2CH2CH2CH2CH2-, -CH2CH2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CH2CH2-이고, n은 5 ~ 5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에폭시 수지를 1 : 2 ~ 6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층은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계 수지 30 ~ 50 중량부 및 점착부여제 20 ~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불소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50,000인 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fluoroalkyl acrylate co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부여제는 테르펜 페놀수지(terpene phenol risin) 및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Hydrogenated Rosin Ester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부여제는 테르펜 페놀수지 및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를 1 : 0.8 ~ 1.2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음벽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지면에 직립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 및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청구항1에 의한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통해 조류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점착력이 우수하여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투명판의 파손시, 투명판에 점착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통해 투명판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2차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을 이용한 방음벽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투명방음판(10)은 투명판(100), 프레임(200),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300)를 포함한다.
투명판(100)은 투명한 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투명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싼다.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300)는 투명판(100)에 부착되어 조류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300)는 격자 패턴, 체크 패턴, 세로줄 패턴 등으로 투명판(10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300)는 PET 기재, PET 기재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PET 기재는 조류가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재일 뿐만 아니라, 자외선을 일정부분 반사할 수 있는 기재로서, 은색(silver color) 또는 은펄색(silver pearl color)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은펄색(silver pearl color)일 수 있다.
또한, PET 기재는 5 ~ 15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8 ~ 1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점착층은 PET 기재 일면에 형성되어, 일정 점착력을 가지고 투명판에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점착수지, 불소계 수지 및 점착부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27930863-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기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콕시기(alkoxy group)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OCH3) 또는 에톡시기(-OCH2CH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B1, B2, B3 및 B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CH2CH2CH2CH2CH2-, -CH2CH2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CH2CH2-이고, 바람직하게는 -CH2CH2-, -CH2CH2CH2- 또는 -CH2CH2CH2CH2-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n은 5 ~ 50, 바람직하게는 15 ~ 25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 수지, 및 디시클로펜타디엔(DCPD)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고,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당량이 160 ~ 210 g/eq, 바람직하게는 170 ~ 200 g/eq, 더욱 바람직하게는 184 ~ 190 g/eq, 점성(viscosity)이 9.5 ~ 15.5 Pa·s(25℃) 바람직하게는 11.5 ~ 13.5 Pa·s(25℃), 중량평균분자량(Mw)이 348 ~ 524, 바람직하게는 392 ~ 480, 더욱 바람직하게는 414 ~ 458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에폭시 수지를 1 : 2 ~ 6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3 ~ 5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5 ~ 4.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비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투명판에 부착되는 점착력이 우수한 기술적 특징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불소계 수지는 불소모노머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공중합된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fluoroalkyl acrylate copolym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50,000, 바람직하게는 20,000 ~ 30,000인 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fluoroalkyl acrylate co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점착층은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계 수지 30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5 ~ 4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부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투명판에 부착되는 점착력이 우수한 기술적 특징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점착부여제는 점착수지의 점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로서, 테르펜 페놀수지(terpene phenol risin) 및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Hydrogenated Rosin Esters)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테르펜 페놀수지(terpene phenol risin) 및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Hydrogenated Rosin Ester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테르펜 페놀수지 및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를 1 : 0.8 ~ 1.2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9 ~ 1.1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기재된 중량비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투명판에 부착되는 점착력이 우수한 기술적 특징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점착층은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제 20 ~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 ~ 3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부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투명판에 부착되는 점착력이 우수한 기술적 특징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점착층은 가교제 및 용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교제로서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N,N,N',N'-tetraglycidyl-m-xylenediamine)을 포함할 수 있고,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은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 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은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 ~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0 ~ 1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은 1 ~ 10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3 ~ 7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는 PET 기재 및 점착층이 1 : 0.3 ~ 0.7 두께비, 바람직하게는 1 : 0.4 ~ 0.6 두께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45 ~ 0.55 두께비를 가질 수 있고, 만일 이와 같은 두께비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투명판에 부착되는 점착력이 우수한 기술적 특징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1)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계 수지 40 중량부, 점착부여제 30 중량부, 가교제 5 중량부 및 용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점착수지로서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를 1 : 4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고, 불소계 수지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22,300인 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사용하였으며, 점착부여제로서 테르펜 페놀수지(TPR-803L) 및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FORAL 3085)가 1 :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고, 가교제로서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을 사용하였으며,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1]
Figure 112021127930863-pat00003
상기 화학식 1-1에 있어서, R1, R2 및 R5는 메틸기이고, R3 및 R4는 메톡시기이며, B1 및 B2는 -CH2CH2CH2-이고, B3 및 B4는 -CH2CH2-이며, n은 2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2) 제조한 점착조성물을 은펄색의 PET 기재(두께 : 10mm) 일면에 도포하고, 150℃의 온도에서 20분간 건조하여 PET 기재 일면에 두께 5mm의 점착층을 형성하여,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점착수지로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를 1 :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점착수지로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를 1 : 7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점착수지로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만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계 수지 25 중량부, 점착부여제 30 중량부, 가교제 5 중량부 및 용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계 수지 55 중량부, 점착부여제 30 중량부, 가교제 5 중량부 및 용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1)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제 30 중량부, 가교제 5 중량부 및 용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점착수지로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를 1 : 4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고, 점착부여제로서 테르펜 페놀수지(TPR-803L) 및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FORAL 3085)가 1 :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가교제로서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을 사용하였으며,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였다.
(2) 제조한 점착조성물을 은펄색의 PET 기재(두께 : 10mm) 일면에 도포하고, 150℃의 온도에서 20분간 건조하여 PET 기재 일면에 두께 5mm의 점착층을 형성하여,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점착부여제로서 테르펜 페놀수지(TPR-803L)만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점착부여제로서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FORAL 3085)만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계 수지 40 중량부, 점착부여제 15 중량부, 가교제 5 중량부 및 용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계 수지 40 중량부, 점착부여제 45 중량부, 가교제 5 중량부 및 용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점착력 측정
실시예 1 ~ 9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점착층면을 투명판에 각각 부착시키고,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UTM(Universal Test Machine)를 이용하여 벗김속도 50mm/min, 박리각 90°조건으로 벗김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점착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의 점착력 측정
실시예 1 ~ 9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점착층면을 투명판에 각각 부착시키고,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물이 포함된 분무기를 이용하여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에 1시간동안 물을 분사하고, 30분동안 유지하였다. 이와 같은 물 분사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UTM(Universal Test Machine)를 이용하여 벗김속도 50mm/min, 박리각 90°조건으로 벗김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의 점착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점착력(kg/cm) 1.7 1.3 1.5 1.6 1.4 1.1
수분 노출에서의 점착력(kg/cm) 1.6 1.2 1.1 1.1 1.4 1.0
구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1 비교예 2
점착력(kg/cm) 1.2 1.1 1.5 1.4 1.0
수분 노출에서의 점착력(kg/cm) 1.0 1.1 1.4 0.7 0.7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가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가장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방음벽(1)은 지주(20) 및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10)을 포함한다.
지주(20)는 다수개로 마련되고,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지면에 직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10)은 지주(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10)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300)를 통해 조류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의 점착력이 우수하여 건조한 환경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300)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투명판(100)의 파손시, 투명판에 점착된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300)를 통해 투명판(100)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2차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 투명방음판
100 : 투명판 200 : 프레임
300 :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
20 : 지주 1 : 방음벽

Claims (6)

  1.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 및
    상기 투명판에 부착되어 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를 포함하고,
    상기 조류충돌 방지 필름지는,
    PET 기재;
    상기 PET 기재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점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계 수지 30 ~ 50 중량부, 점착부여제 20 ~ 40 중량부, 가교제 1 ~ 10 중량부 및 용매 50 ~ 1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1 : 2 ~ 6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불소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50,000인 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fluoroalkyl acrylate copolymer)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여제는 테르펜 페놀수지 및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를 1 : 0.8 ~ 1.2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가교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N,N,N',N'-tetraglycidyl-m-xylenediamine)을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화학식 1]
    Figure 112022094977217-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콕시기이며, B1, B2, B3 및 B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CH2CH2CH2CH2CH2-, -CH2CH2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CH2CH2-이고, n은 5 ~ 50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지면에 직립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 및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청구항1에 의한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1020210151517A 2021-11-05 2021-11-05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249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517A KR102492483B1 (ko) 2021-11-05 2021-11-05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517A KR102492483B1 (ko) 2021-11-05 2021-11-05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483B1 true KR102492483B1 (ko) 2023-01-27

Family

ID=8510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517A KR102492483B1 (ko) 2021-11-05 2021-11-05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024B1 (ko) 2023-09-07 2024-02-19 이진희 조류 충돌방지용 첨가제, 이를 이용한 조류 충돌방지용 조성물 및 조류 충돌방지용 자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4792B2 (ja) * 1987-12-25 1997-08-25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KR101222502B1 (ko) * 2011-01-12 2013-01-29 정우화인 주식회사 충전제 분산과 결합에 유리한 실리콘-에폭시-비닐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1461B1 (ko) 2019-03-27 2019-08-19 구동길 자외선반사테이프를 이용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투명방음시설 및 투명방음시설의 시공방법
KR102058963B1 (ko) * 2019-05-17 2019-12-24 주식회사 태양 방음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4792B2 (ja) * 1987-12-25 1997-08-25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KR101222502B1 (ko) * 2011-01-12 2013-01-29 정우화인 주식회사 충전제 분산과 결합에 유리한 실리콘-에폭시-비닐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1461B1 (ko) 2019-03-27 2019-08-19 구동길 자외선반사테이프를 이용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투명방음시설 및 투명방음시설의 시공방법
KR102058963B1 (ko) * 2019-05-17 2019-12-24 주식회사 태양 방음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024B1 (ko) 2023-09-07 2024-02-19 이진희 조류 충돌방지용 첨가제, 이를 이용한 조류 충돌방지용 조성물 및 조류 충돌방지용 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483B1 (ko)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US6632860B1 (en) Coating with primer and topcoat both containing polysulfide, epoxy resin and rubber toughener
US8048218B2 (en) Coating, aqueous coat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coating using the same, and coated article with coating
CN110885593B (zh) 一种光伏背板用透明涂料和光伏背板
US9512340B2 (en) Reactive film adhesive
KR102048179B1 (ko)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
CA2951518C (en) Coating sheet for preventing adhesion of advertising material
KR102094917B1 (ko)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CN107743514A (zh) 压敏胶粘剂
JP2019085460A (ja) 下地調整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の形成方法
US8058342B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sealing and protecting asphalt shingles or other porous roofing and construction materials
CN111363442A (zh) 涂层树脂溶液、反光膜、其制备方法及其应用
WO2003002680A1 (en) Adhesive sheet and marking film
KR20090024450A (ko) 부착 방지용 투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11480B1 (ko) 부착방지용 수용성 아크릴수지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107364A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for surface protective layer
TW201430000A (zh) 光硬化性組成物
KR20170037069A (ko) 점착제 조성물
WO2019181216A1 (ja) 滑雪用フィルム又はシート
KR101055461B1 (ko) 친환경 방음벽
KR20190116307A (ko) 네거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CN110577808B (zh) 一种具有图案化胶区的高粘接强度耐化学性聚丙烯酸酯胶带及其制备方法
KR101251355B1 (ko) 부착방지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1930B1 (ko) 자외선 차단기능을 구비한 방음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200093367A (ko) 에폭시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