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179B1 -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179B1
KR102048179B1 KR1020190070148A KR20190070148A KR102048179B1 KR 102048179 B1 KR102048179 B1 KR 102048179B1 KR 1020190070148 A KR1020190070148 A KR 1020190070148A KR 20190070148 A KR20190070148 A KR 20190070148A KR 102048179 B1 KR102048179 B1 KR 10204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sound insulation
transparent
insulatio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김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일 filed Critical 김광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4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or ceramic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ceramic, tiles, concrete, stones,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치된 투명 방음판을 인쇄함으로써, 조류충돌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감광막이 형성된 제1영역 및 상기 감광막이 형성되지 않은 제2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투명 방음판 상에 배치하는 제1단계, 상기 제2영역을 통해 잉크를 상기 투명 방음판으로 투입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잉크의 건조 후, 상기 스크린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제2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Description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METHOD OF PRINTING TRANSPARENT SOUNDPROOF PANEL}
본 발명은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치된 투명 방음판을 인쇄함으로써, 조류충돌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 등을 따라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차량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도로 등의 주변 지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최근에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 환경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문제와 함께 관심이 집중되는 분야이며, 특히, 주변 지역에 학교나 관공서가 위치한 도로 등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로 등의 방음벽은 도로 등의 주변으로 퍼지는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벽의 두께를 최대한 넓게 형성하거나, 흡음 성질을 가지는 특수소재로 형성시켜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반면, 도로 등의 방음벽에 인접하는 주택의 조망권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도로 등의 방음벽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 등의 방음벽의 재질을 시야가 확보되는 투명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소음과 조망권을 모두 확보하게 되었고, 이러한 종래의 도로 등의 방음벽에 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0895894호(이하 종래기술)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설치된 방음벽에 인접한 주민들의 조망권은 해결한 반면, 방음벽 주변으로 날아가는 새들이 투명한 방음벽을 인지하지 못하고 통과하려 하기 때문에 방음벽과 충돌하여 방음벽의 방음판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망권을 해지지 않는 동시에 새들의 충돌을 방지하여 방음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스크린만으로 다양한 면적을 갖는 투명 방음판을 인쇄할 수 있는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포된 잉크가 하측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감광막이 형성된 제1영역 및 상기 감광막이 형성되지 않은 제2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투명 방음판 상에 배치하는 제1단계, 상기 제2영역을 통해 잉크를 상기 투명 방음판으로 투입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잉크의 건조 후, 상기 스크린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제2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또한 상기 투명 방음판은 세워진 상태이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프레임은 상기 잉크가 하측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하측프레임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방음판은 세워진 상태이고,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측프레임, 하측프레임 및,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하측프레임 단부를 상기 단부에서 수직되게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은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프레임에서 상기 투명 방음판과 인접한 측에 반대 방향의 측에서 수직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다리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기 설치된 투명 방음판에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에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인쇄후의 방음판이 투명한 부분과 불투명한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조망권을 해치지 않는 동시에 새들의 충돌을 방지하여 방음판의 손상을 억제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를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스크린만으로 다양한 면적을 갖는 투명 방음판을 인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도포된 잉크가 하측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이 손잡이 각각 포함함으로써, 한 스크린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투명 방음판 상에 스크린이 배치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3단계 이후에 투명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연결프레임의 도면이다.
도 5는 제2영역이 단풍 문양인 스크린에 의해 인쇄된 투명 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영역이 도트 문양인 스크린에 의해 인쇄된 투명 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영역이 줄무늬 문양인 스크린에 의해 인쇄된 투명 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보호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2는 투명 방음판 상에 스크린이 배치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제3단계 이후에 투명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을 '본 인쇄방법'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인쇄방법(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은 제1단계(S1), 제2단계(S2) 및 제3단계(S3)를 포함한다.
제1단계(S1)는 투명 방음판(SP) 상에 스크린(1)을 배치한다. 여기에서 투명 방음판(SP)은 도로 등에 기 설치된 것으로서, 방음벽이 설치된 인접 지역의 조망권을 위해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린(1)은 감광막이 형성된 제1영역(11) 및 감광막이 형성되지 않은 제2영역(12)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스크린(1)은 망(예시적으로 실크) 재질로서, 일면에 감광액을 도포하고, 타면에 투명 부분 및 불투명 부분으로 문양이 형성된 도안을 부착하여, 노광 이후 투명 부분 대응되는 일면의 감광액이 감광막으로 변형되고, 불투명 부분에 대응되는 일면의 감광액이 씻겨 내려져감으로써,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을 통해 문양(패턴)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스크린(1)은 후술하는 제2단계(S2)에서 잉크가 도포됨에 따라 상기 망을 통해서만 잉크가 투과되고, 감광막이 형성된 제1영역(11)에는 도포된 잉크가 투과되지 않아 상기 도안과 같이 투명 방음판(SP) 상에 문양이 형성된다.
상술하였듯이, 제2단계(S2)는 상기 제2영역(12)을 통해 잉크를 투명 방음판(SP)으로 투입한다. 즉, 스크린(1)의 일면이 투명 방음판(SP)상에 인접(접촉)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스크린(1)의 타면에 잉크를 도포하면, 제2영역(12)(감광막이 형성되지 않은 망 부분)을 통해서만 잉크가 투과되어 투명 방음판(SP) 상에 도포된다.
이와 같이, 본 인쇄방법은 스크린(1)이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을 포함함하고, 제2단계(S2)를 포함함으로써, 인쇄후의 방음판이 투명한 부분과 불투명한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조망권을 해치지 않는 동시에 새들의 충돌을 방지하여 방음판의 손상을 억제한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잉크는 내습성 및 내용제성 특징을 가진 2액 반응형 수지(2 comp cold plastic)를 이용하는데, 상기 2액 반응형 수지는 신나 또는 휘발유 등을 사용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 수지이고, 별도의 용해장비가 필요치 않으며 시공 및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잉크는 에폭시계 합성수지의 안료를 혼합, 분산시켜 제조된 것으로 적응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다. 상기 잉크는 안료에 조색제 및 경화제가 배합된다.
상기 잉크의 물성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9060597326-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부착성은 '100/100 Cross Cut (1mm 간격)'의 시험 방법을 통해 100/100 판정을 받았으며, 연필경도는 'HB ↑ (Mitsubishi-Uni Pencil 기준), 45°x500g'의 시험 방법을 통해 H 판정을 받았다. 또한 내알콜성은 'MeOH Rubbing 300gx100회에서 소지 노출 없을 것'의 시험 방법을 통해 양호(Range:4)판정을 받았고, 내산성은 '5% H2SO4/60℃,10 Hrs, 이상이 없을 것'의 시험 방법을 통해 양호 판정을 받았다. 또한 내알칼리성은 ' 5% NaOH/10Hrs, 이상이 없을 것'의 시험 방법을 통해 양호 판정을 받았고, 항온항습은 '60 ± 2℃, 98 ± 2% RH / 100Hrs'의 시험 방법을 통해 양호(100/100) 판정을 받았으며, 내냉열성은 'Cycle(-40℃ x 2Hrs↔80℃ x 90% RH x 2Hrs) 10회'의 시험 방법을 통해 양호(100/100) 판정을 받았고, 내습성은 '50 ± 2℃, 98 ± 2% RH / 10 days'의 시험 방법을 통해 양호(100/100) 판정을 받았다. 또한 내염수분무성은 '50 ± 2℃, 98 ± 2% RH / 10 days'의 시험 방법을 통해 양호 판정을 받았고, 내자외선성은 '24Hrs 조사후 △E=3.0 이하 일 것. (25W x 20cm)'의 시험 방법을 통해 양호 판정을 받았다.
즉, 본 인쇄방법에서 투명 방음판(SP) 상에 도포되어 인쇄되는 잉크는 양호한 물성(부착성, 연필경도, 내알콜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등)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3단계(S3)는 상기 잉크(제2영역(12)을 통해 투명 방음판(SP)에 투입되어 투명 방음판(SP)에 도포된 잉크)의 건조 후, 스크린(1)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3단계(S3) 이후 상기 제2단계(S2)가 다시 수행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제1단계(S1)에서 투명 방음판(SP)의 8시 방향 상에 배치된 스크린(1)은 제2단계(S2)에서 도포된 잉크가 건조된 이후, 스크린(1)은 기 설정된 길이만큼 2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제2단계(S2)가 반복되어 수행된다. 즉, 스크린(1)은 투명 방음판(SP)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투명 방음판(SP)이 도 2를 기준으로 11시-5시 방향으로 긴 경우에는 상측(도 2에서 11시 방향)에서 하측(도 2에서 5시 방향)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길이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린(1)은 투명 방음판(SP)의 수평 또는 수직 내측변의 길이에 상응하는 한 쌍의 고정변과 고정변에 수직한 가동변을 갖는 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레임(13)이란 제판 과정을 통해서 스크린(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형틀을 의미한다. 또한 제3단계(S3)에서 스크린(1)은 상기 가동변의 길이만큼 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술하였듯이 제3단계(S3)에서 스크린(1)이 상기 기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한다고 하였는데, 상기 기 설정된 길이가 상기 가동변의 길이인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프레임(13)은 투명 방음판(SP)이 세워진 상태(기 설치된 상태로 예시적으로 지면에 연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직 내측변의 길이에 상응하도록 한 쌍의 고정변을 포함하고, 고정변에 수직한 가동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달리 투명 방음판(SP)의 길이 방향이 도 2를 기준으로 11시-5시 방향인 경우, 프레임(13)의 고정변은 투명 방음판(SP)의 수평 내측변의 길이에 상응하고, 가동변은 한 쌍의 고정변에 수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3단계(S3) 이후 제2단계(S2)가 다시 수행되는 과정을 통해 비교적 작은 면적(투명 방음판(SP)보다 작은 면적)의 스크린(1)으로 다양한 면적(스크린(1)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투명 방음판(SP)을 인쇄할 수 있다. 즉 기 설치된 투명 방음판(SP)을 하나의 스크린(1)을 이용하여 인쇄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투명 방음판(SP)이 세워진 상태로 길이 방향이 도 2를 기준으로 8시-2시 방향이고, 스크린(1)의 고정변이 투명 방음판(SP)의 수직 내측변에 상응하는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투명 방음판(SP)이 테두리를 따라 돌출 부분(상기 제1단계(S1)에서 스크린(1)이 투명 방음판(SP)에 배치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의 내측변(스크린(1)에 의해 인쇄되는 면을 형성하는 내측변)이 투명 방음판(SP)의 수직 및 수평 내측변을 각각 형성하는 경우. 상술하였듯이 프레임(13)의 고정변이 투명 방음판(SP)의 수직 내측변에 상응하므로, 가동의 외측변이 수평 내측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2단계(S2)가 수행될 수 있어, 제2단계(S2) 이후 투명 방음판(SP)에 인쇄된 문양이 스크린(1)의 문양에 상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3단계(S3)에서 가동변의 외측변이 돌출 부분의 수평 내측변에 지지되어 프레임(13)(스크린(1))이 이동되므로, 스크린(1)이 일 방향을 따라 가동변의 길이만큼 이동하여도 투명 방음판(SP)에 인쇄된 문양이 연속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연결프레임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투명 방음판(SP)이 세워진 상태(기 설치된 상태로 예시적으로 지면에 연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단계(S2)의 프레임(13)의 하측프레임(131)은 잉크(스크린(1) 상에 도포된 잉크)가 하측 방향(도 2를 기준으로 5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측프레임(131)에서 상향(도 4를 기준으로 12시 방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플레이트(13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인쇄방법은 기 설치된 투명 방음판(SP)에 문양을 인쇄하는 것으로서, 스크린(1)은 투명 방음판(SP)과 마찬가지로 제1단계(S1) 이후에 제2단계(S2)에서 투명 방음판(SP)과 같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2단계(S2)에서 스크린(1) 상에 도포되는 잉크는 중력 방향을 따라 하측(도 4를 기준으로 6시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투명 방음판(SP)이 설치된 장소를 잉크로 더럽힐 수 있다.
따라서 본 인쇄방법에서 스크린(1)의 프레임(13)은 그 하측프레임(131)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플레이트(1311)를 포함함으로써, 스크린(1) 상에 도포된 잉크가 건조되기 전에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프레임(13)(형틀)은 제1단계(S1)에서 스크린(1)의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스크린(1)의 테두리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레임(13)이 제1단계(S1)에서 스크린(1)의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1311)를 포함함으로써, 스크린(1) 상에 도포되는 잉크가 프레임(13)에서 넘치게 되어 하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3)은 플레이트(1311) 양 측단(하측프레임(131)가 인접한 하단과, 상기 하단의 반대 방향에 구비되는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측 단으로 도 2를 기준으로 2시 방향과 8시 방향에 존재하는 측 단부를 의미한다)에서 상향 연장되어 연결프레임(133)의 하측과 연결되는 측부 플레이트(131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즉, 측부 플레이트(1312)는 양 측 연결프레임(133)의 각각의 하측에서 도 2를 기준으로 스크린(1)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도 4를 기준으로 3시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1311)의 양 측단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1311)의 양 측단에서 상향(도 4를 기준으로 12시 방향) 연장되되, 양 측의 연결프레임(133) 각각의 하측과 연결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한 잉크(스크린(1)에 도포되어 중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잉크)가 플레이트(1311)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유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플레이트(1311)에 의해 양 측 방향(도 2를 기준으로 2시-8시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단계(S1) 내지 제3단계(S3)에서 스크린(1)은 기 설치되어 세워진 상태의 투명 방음판(SP) 상에 배치되고, 프레임(13)은 상측프레임(132), 하측프레임(1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측이란 스크린(1)이 세워진 상태의 투명 방음판(SP)의 배치된 상태이므로 도 2를 기준으로 11시 방향이므로, 상측프레임(132)은 11시 방향에 구비된 것이고, 하측은 도 2를 기준으로 5시 방향이므로, 하측프레임(131)은 5시 방향에 구비된 것이다. 이때 프레임(13)은 상측프레임(132) 및 하측프레임(131) 각각의 단부를 상기 단부에서 수직되게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상측프레임(132) 및 하측프레임(131)의 내측변(스크린(1)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변)은 상기 가동변에 해당되고, 연결프레임(133)의 내측변(스크린(1)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변)은 고정변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때 한 쌍의 연결프레임(133) 각각은 손잡이(1331)를 구비하되, 상기 손잡이(1331)는 연결프레임(133)에서 투명 방음판(SP)과 인접한 측에 반대 방향의 측에서 수직(제1단계(S1)에서 스크린(1)의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다리(1331a) 및 상기 한 쌍의 다리(1331a)를 상호 연결하는 브릿지(13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133)이 손잡이(1331)를 포함함으로써, 상측프레임(132) 및 하측프레임(131) 각각이 투명 방음판(SP)의 돌출 부분의 내측벽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 방향(도 2를 기준으로 투명 방음판(SP)의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하였지만 본 인쇄방법의 설명에서, 투명 방음판(SP)의 길이 방향이 8시-2시 방향인 경우(도 2 및 도 3 참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투명 방음판(SP)의 길이 방향이 도 2를 기준으로 11시-5시 방향인 경우, 손잡이(1331)는 연결프레임(133) 각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3단계(S3)에서 투명 방음판(SP)에 배치된 프레임(13) 중, 스크린(1)을 기준으로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도 2를 기준으로 연결프레임(133)에 손잡이(1331)가 각각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프레임(13)(스크린(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레임(13)은 투명 방음판(SP)과 인접한 측에 투명 방음판(SP)과 접촉하는 바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퀴(미도시)는 프레임(13)에서 투명 방음판(SP)과 인접한 측에 투명 방음판(SP)과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린(1)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바퀴로서, 스크린(1)이 투명 방음판(SP) 상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투명 방음판(SP)과 스크린(1)의 마찰을 감소시켜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바퀴(미도시)는 프레임(13)의 투명 방음판(SP)과 인접한 측에서 제1단계(S1)의 스크린(1)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 것인데, 그 돌출되는 정도가 미미하여 제1단계(S1) 내지 제3단계(S3)에서 스크린(1)과 투명 방음판(SP)의 이격 정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2영역이 단풍 문양인 스크린에 의해 인쇄된 투명 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제2영역이 도트 문양인 스크린에 의해 인쇄된 투명 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제2영역이 줄무늬 문양인 스크린에 의해 인쇄된 투명 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하였듯이 스크린(1)은 노광후 감광막이 형성되지 않은 제2영역(12)을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제2영역(12)의 문양을 달리하여 인쇄되는 투명 방음판(SP)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2영역(12)의 문양은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단풍 문양의 제2영역(12)을 스크린(1)이 포함하는 경우, 단순한 도트 및 줄무늬 문양이 아닌 단풍 문양이 형성되어 투명 방음판(SP)에서 조류의 충돌을 단순히 방지하기 위한 것이 아닌 화려한 문양이 형성된 투명 방음판(SP)의 미관을 화려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도트 문양의 제2영역(12)을 스크린(1)이 포함되는 경우, 투명한 부분을 최대로 하여 투명 방음판(SP)이 설치된 지역의 조망권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제2영역(12)이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도록 도안을 작성하는 것이다.
도 8은 보호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13)은 투명 방음판(SP)의 인쇄되는 부분 및 돌출 부분에 반복적으로 접촉 및 접촉 해제를 반복하고, 이동하는 것을 반복 하므로, 프레임(13)에 반복하여 하중이 가해진다. 따라서 프레임(13)은 적당한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금속 재질(예시적으로 강(steel))로 형성되고, 프레임(13)에서 스크린(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내측벽은 스크린(1)에 도포된 잉크(액체로 된 주재료, 안료, 연료 등을 포함)에 의해 반복하여 액체 상태와 접촉하며, 투명 방음판(SP)이 실외에 설치됨으로써, 항상 습기에 노출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인쇄방법에서 프레임(13) 반복되는 하중에 의한 변형 및 파손으로부터 적절히 보호될 필요가 있으며, 습기로부터 부식 등에 의해 적절히 보호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인쇄방법은 프레임(13)의 외면에 구비되는 보호막(G)을 더 포함하되, 이 보호막(G)은 프레임(13)의 외면에 접하는 침투층(G1), 침투층(G1)의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G2) 및 발열층(G2)의 상부에 구비된 보호층(G3)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호막(G)은 자체적으로 완충 및 방수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특히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면 약 300℃로 발열되어 침투층(G1)이 용융되면서 외면의 미세공이나 미세굴곡 등을 채운 후에 소결됨으로써, 향상된 결합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들뜸 현상까지 방지하고,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한 보호 및 방수를 제공한다.(첨부된 도면에는 미세공 및 미세굴곡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음)
구체적인 실시예로, 침투층(G1)은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 대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 20 중량부 및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와 폴리브텐을 포함하는 점착제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폴리에틸렌은 석유의 나프타로부터 분취되는 구성으로, 열가소성 수지로서 첨가되며, 방수성이 우수하다는 점과 약 130℃ 내외의 녹는점을 가진다는 점에서 채택되었다. 상기 침투층(G1)의 각 조성물은 이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는 침투층(G1)의 소결 시에 과도하게 수축되어 들뜸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제로서 첨가된다. 이러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는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수축 방지 효과가 부족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결이 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점착제는 침투층(G1)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미세공, 미세굴곡 등에의 결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는데, 특히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Hydrogenated ester of Resin)와 폴리브텐(Polybutene)을 포함한다.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는 초기점착성을 부여하면서 소결 후의 내열성이 기여하고, 폴리브텐은 점착성질을 부여한다. 이러한 점착제는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결 후의 점착성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침투층(G1)은 폴리에틸렌이 용융될 수 있는 130℃ 이상의 온도 하에서 각 조성물들을 폴리에틸렌 용액에 투입하여 교반한 다음 소결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발열층(G2)은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 대비, 은 200 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과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기능성 결착제 20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열층(G2)을 페이스트의 형태로 침투층(G1) 상부에 도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조성물 별로, 이산화루테늄은 백금족의 전이금속으로, 페이스트 형태의 발열층(G2)을 구성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이산화루테늄은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 발열온도가 너무 과하여 후술하는 보호층(G3)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열층(G2) 전체 조성물 대비 20 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층(G2)의 각 조성물은 이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은(Ag)은 이산화루테늄과 마찬가지로 전이금속으로, 역시 페이스트 형태의 발열층(G2)을 구성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은은 2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발열층(G2)이 전류 생성을 위한 충분히 낮은 저항값을 가지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발열 온도가 과도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능성 결착제는 이산화루테늄 및 은의 결합을 위해 첨가되며, 부가적으로 구성 간의 분산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발열 포화 시간 단축 및 발열 효과 지속을 제공한다. 기능성 결착제는 이산화티타늄과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데, 이산화티타늄은 발열 효과 지속에 기여하고, 특히 이규화몰리브덴은 몰리브덴과 실리콘의 몰비가 1:2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높은 융점을 가져 발열층(G2)의 발열 시에 발열층(G2)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온 하에서 실리카를 형성하여 발열 효과 지속은 물론 발열 포화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킨다. 이러한 기능성 결착제는 2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효과 발현이 부족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고온 발열 시의 전기 흐름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발열층(G2)은 에틸렌글리콜(테르펜), 부틸칼비톨, 에틸셀로솔브, 에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메틸에틸케톤, 디옥산,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상기 조성물들을 혼합한 후 혼련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다음으로, 보호층(G3)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 대비,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충진제 300 중량부, 나프텐 오일 100중량부 및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내열제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부틸 합성고무는 적정 내한성과 내열성을 갖고, 비교적 고탄성을 구비하며, 단열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채용되었다. 상기 보호층(G3)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충진제는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데, 탄산칼슘은 방수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벤토나이트는 양이온 교환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보호층(G3)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흡습을 통해 팽창하면서 누수를 막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충진제는 모두 결합력이 우수한 조성물로 구성되어 보호층(G3)과 침투층(G1) 간의 융화가 훌륭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는 특별히 그 사용량이 한정되지는 않으나, 결합력 증대 및 경제성 측면에서 3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프텐 오일은 가소제로서 첨가되며, 고온에서의 증발 손실이 적고, 내한성이 우수하며, 탄성유지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채용되었다. 이러한 나프텐 오일은 1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연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점도가 과도하게 저하되어 발열층(G2)의 동작 시에 흘러내림이 발생하고 또한 보호층(G3)의 울음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내열제는 발열층(G2)의 발열에 보호층(G3)이 용융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내열 특성을 부가하기 위해 첨가되며, 특히 보호층(G3)이 300℃ 이상의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열제는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데, 바룸알루미네이트는 지르코니아를 기타 조성물과 결합시키는 결합재로서 부가되고, 지르코니아는 녹는점이 약 2700℃로,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며, 최소 1000 ℃ 이상의 고온 하에서도 낮은 열전도도와 내열성 및 내화성을 통해 보호층(G3)이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가된다. 특히 상기 내열제에 의하여 보호층(G3)은 복수의 내부 기공을 갖게 되고, 이러한 기공들은 열전도도를 낮추고 내열성을 부가하게 된다. 이러한 내열제는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내열 특성이 오히려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상기 보호층(G3)은 각 조성물을 분말형태로 구비하여 나프텐 오일에 혼화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 소정의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막(G)의 시공에 관한 실시예로, 미세공과 미세굴곡을 형성한 시험용 블록에 침투층(G1)을 적층하고, 그 상부에 발열층(G2)을 도포한 후, 그 상부에 보호층(G3)을 적층한 다음,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여 보호막(G)을 형성하였다. 보호막(G)이 형성된 시험용 블록을 잘라 단면을 확대 관찰한 결과, 미세공과 미세굴곡 내에 침투층(G1)이 침투되어 경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형성된 보호막(G)에 크로스-컷(cross-cut) 시험, 스크래칭 시험, 물 분사를 통한 내부 침습도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박리율은 0.5% 미만이었으며, 파손율은 3% 미만이었고, 내부 침습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투명 방음판: SP
스크린: 1
제1영역: 11
제2영역: 12
프레임: 13
하측프레임: 131
플레이트: 1311
측부 플레이트: 1312
상측프레임: 132
연결프레임: 133
손잡이: 1331
다리: 1331a
브릿지: 1331b

Claims (4)

  1. 감광막이 형성된 제1영역 및 상기 감광막이 형성되지 않은 제2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투명 방음판 상에 배치하는 제1단계;
    상기 제2영역을 통해 잉크를 상기 투명 방음판으로 투입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잉크의 건조 후, 상기 스크린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제2단계가 다시 수행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투명 방음판의 수평 또는 수직 내측변의 길이에 상응하는 한 쌍의 고정변과 상기 고정변에 수직한 가동변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스크린은 가동변의 길이만큼 일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측프레임, 하측프레임 및,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하측프레임 단부를 상기 단부에서 수직되게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은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프레임에서 상기 투명 방음판과 인접한 측에 반대 방향의 측에서 수직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다리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프레임은 상기 잉크가 하측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하측프레임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의 상기 스크린의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의 하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양 측단과 연결되는 측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방음판의 인쇄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70148A 2019-04-23 2019-06-13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 KR102048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48 2019-04-23
KR20190047548 2019-04-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179B1 true KR102048179B1 (ko) 2019-12-04

Family

ID=6900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148A KR102048179B1 (ko) 2019-04-23 2019-06-13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17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414B1 (ko) * 2021-02-15 2021-07-05 주식회사 태건 방음판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음판
KR102273814B1 (ko) 2020-09-18 2021-07-06 주식회사 우영산업 방음판 고정장치가 필요없이 방음판 전체 교체가 가능한 투명방음판
KR102294408B1 (ko) * 2020-12-28 2021-08-26 주식회사 거포테크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투명방음벽
KR102296690B1 (ko) * 2021-02-02 2021-09-02 주식회사 가온씨앤디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
KR20220132201A (ko) 2021-03-23 2022-09-30 주식회사 메리츠컴퍼니 조류 충돌방지용 필름이 부착된 투명 패널
KR102475599B1 (ko) 2022-03-10 2022-12-12 (주)꾸민새네트워크 방음벽 조류 충돌 방지용 필름 시공방법
KR102638024B1 (ko) 2023-09-07 2024-02-19 이진희 조류 충돌방지용 첨가제, 이를 이용한 조류 충돌방지용 조성물 및 조류 충돌방지용 자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550A (ko) * 2007-07-26 2009-02-02 (주)대원시스템 무늬층이 형성된 투명 방음벽
KR101702962B1 (ko) * 2016-07-21 2017-02-07 주식회사 이엠에스인터내셔널 인쇄필름 제조장치
KR200484927Y1 (ko) * 2016-08-18 2017-11-09 이동원 실크 스크린 인쇄기 및 인쇄 방법
KR20180026077A (ko) * 2016-09-02 2018-03-12 김도성 조류 충돌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550A (ko) * 2007-07-26 2009-02-02 (주)대원시스템 무늬층이 형성된 투명 방음벽
KR101702962B1 (ko) * 2016-07-21 2017-02-07 주식회사 이엠에스인터내셔널 인쇄필름 제조장치
KR200484927Y1 (ko) * 2016-08-18 2017-11-09 이동원 실크 스크린 인쇄기 및 인쇄 방법
KR20180026077A (ko) * 2016-09-02 2018-03-12 김도성 조류 충돌 방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14B1 (ko) 2020-09-18 2021-07-06 주식회사 우영산업 방음판 고정장치가 필요없이 방음판 전체 교체가 가능한 투명방음판
KR102294408B1 (ko) * 2020-12-28 2021-08-26 주식회사 거포테크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투명방음벽
KR102296690B1 (ko) * 2021-02-02 2021-09-02 주식회사 가온씨앤디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
KR102272414B1 (ko) * 2021-02-15 2021-07-05 주식회사 태건 방음판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음판
KR20220132201A (ko) 2021-03-23 2022-09-30 주식회사 메리츠컴퍼니 조류 충돌방지용 필름이 부착된 투명 패널
KR102475599B1 (ko) 2022-03-10 2022-12-12 (주)꾸민새네트워크 방음벽 조류 충돌 방지용 필름 시공방법
KR102638024B1 (ko) 2023-09-07 2024-02-19 이진희 조류 충돌방지용 첨가제, 이를 이용한 조류 충돌방지용 조성물 및 조류 충돌방지용 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179B1 (ko)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
EP1218950B1 (de) Verfahren zur verkapselung von bauelementen
DE60036038T2 (de) Klebstoff, Klebstoffgegenstand, Schaltungssubstrat für Halbleitermontage mit einem Klebstoff und eine Halbleiteranordnung die diesen Enthält
EP1126528B1 (de) Photovoltaik-Element
DE3624629C2 (ko)
DE3587279T2 (de) Ultradünne chemisch widerstandsfähige Mark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CN1325532C (zh) 活性能量线固化型树脂组合物和其固化物
WO2005104259A2 (de) Verkapselung für ein organisches elekronisches bauteil, herstellungsverfahren dazu, sowie verwendung
CN103998239A (zh) 封装薄膜
CN105873974A (zh) 可固化组合物及其用于电子设备的用途
JPH02187486A (ja) ワイヤ敷設回路板
JP2016017298A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防水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の防水構造
DE60103634T2 (de) Anisotropisch leitfähige klebstoffzusammensetzung und daraus hergestellte anisotropisch leitfähige klebstofffilm
CN105415790A (zh) 快速反应粘强力交叉膜自粘防水卷材及其制备工艺
ES2396118T3 (es) Capa barrera hecha de una resina curable que contiene un poliol polimérico
RU2008121175A (ru) Свободная от сурьмы фотоотверждаемая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трехмерное изделие
SK8842000A3 (en) Method for producing insulating tapes containing mica, and the utilization thereof
KR102236371B1 (ko) 글리터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E2920797A1 (de) Fertigungsgegenstand mit einem dielektrischen schutzueberzug
DE69932539T2 (de) Optische verbindungskomponente
KR102296690B1 (ko) 조류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인쇄방법
KR102492483B1 (ko) 조류충돌 방지 기능이 적용된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DE102018130005A1 (de) UV-härtendes Material, Flachbaugruppe und Verfahren zum selektiven Beschichten einer Flachbaugruppe
CN204143789U (zh) 一种简易led屏
DE102017125226A1 (de) Verfahren zum Reparieren eines Solarmoduls und Solarmodu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