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189B1 - 방수 퀵 커플러 - Google Patents

방수 퀵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189B1
KR102492189B1 KR1020150154974A KR20150154974A KR102492189B1 KR 102492189 B1 KR102492189 B1 KR 102492189B1 KR 1020150154974 A KR1020150154974 A KR 1020150154974A KR 20150154974 A KR20150154974 A KR 20150154974A KR 102492189 B1 KR102492189 B1 KR 102492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dy
port
outer body
quick coupl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896A (ko
Inventor
이용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4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189B1/ko
Priority to ES16862294T priority patent/ES2770413T3/es
Priority to PCT/KR2016/010890 priority patent/WO2017078276A1/ko
Priority to CN201680064876.XA priority patent/CN108291685B/zh
Priority to EP16862294.2A priority patent/EP3343084B1/en
Priority to US15/766,358 priority patent/US10871251B2/en
Publication of KR2017005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ivoting so as to lie against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5Caps fixed by rotating a limited amplitu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7Cap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retaining members associated with the pack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16L37/11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to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퀵 커플러가 개시된다. 개시된 퀵 커를러는 선단부에 개구를 가지는 외부 몸체; 상기 외부 몸체 내에서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배치되는 내부 몸체; 상기 외부 몸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내부 몸체와 상기 캡 사이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 몸체의 전진 및 후진 시 압축 용기의 포트를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몸체는 후진 시 상기 외부 몸체에 록킹되고, 상기 외부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부 몸체로부터 록킹 해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 퀵 커플러{WATERPROOF QUICK COUPLER}
본 발명은 퀵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 용기의 용접 부위의 누수검사 시 압력 용기의 포트를 기밀 상태로 폐쇄하는 방수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퀵 커플러는 압축기의 용접부(예를 들면, 산소 용접이나 CO2 용접 등)의 누수 검사 시 압축기의 포트(구리로 이루어진 금속재 튜브)에 기밀 상태로 결합되어 수조검사(압축기를 물이 장입된 수조에 투입한 상태에서 압축기의 내부를 소정 압력으로 유지하여 압축기의 용접부의 누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를 행한다.
종래의 퀵 커플러는 황동 재질로 녹 발생을 억제하고 압력에만 버틸수 있게 설계되어 있어, 통전에 의한 전착도장(페인트 도장)공정 통과 시 금속재질은 모두 도장이 됨에 따라 종래의 퀵 커플러는 구조 상 내부 및 외부가 모두 전착도장이 되어버려 전착도장 공정에 투입되기에 앞서 포트로부터 탈거하고 별도의 캡을 포트에 씌우는 추가 공정이 수행되었다.
또한, 압축기 내부가 고압(예를 들면, 15kg/㎠ 이상) 상태인 경우 종래의 퀵 커플러를 포트로부터 탈거 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축 용기 부내가 고압을 유지한 상태에서도 포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방수 퀵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 용기의 포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 수조검사 후 포트로부터 탈거하지 않고 그대로 전착도장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는 방수 퀵 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단부에 개구를 가지는 외부 몸체; 상기 외부 몸체 내에서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배치되는 내부 몸체; 상기 외부 몸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내부 몸체와 상기 캡 사이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 몸체의 전진 및 후진 시 압축 용기의 포트를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몸체는 후진 시 상기 외부 몸체에 록킹되고, 상기 외부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부 몸체로부터 록킹 해제되는 퀵 커플러를 제공한다.
상기 내부 몸체는 상기 포트에 의해 후진하면서 토션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외부 몸체가 상기 내부 몸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시 가압력에 의해 전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몸체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몸체는 상기 록킹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홈은 상기 내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으로부터 상기 내부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몸체는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의 제2 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외부 몸체에 록킹되며,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의 제1 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외부 몸체로부터 록킹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내부 몸체와 함께 후진 및 회전하면서 상기 포트를 클램핑하고, 상기 외부 몸체와 함께 전진 시 상기 포트를 클램핑 해제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는 일단부가 상기 내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캡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고정레버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 몸체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고정레버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레버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포트가 삽입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포트는 상기 고정레버 일 방향 및 그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구멍에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캡의 선단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내부 몸체가 후진할 때 상기 포트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제1 씰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씰링유닛은, 상기 캡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제1 패킹; 및 상기 제1 패킹이 결합되고, 상기 내부 몸체에 고정되는 제1 패킹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킹은 상기 내부 몸체가 후진 시 상기 캡의 관통구멍에 압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의 관통구멍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경이 점차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킹은 상기 캡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패킹은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의 관통구멍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부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포트의 개구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제2 씰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씰링유닛과 상기 외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 씰링유닛 또는 상기 내부 몸체의 후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씰링부재와 상기 외부 몸체 사이에 씰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몸체는 후단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몸체에 연결부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챔버를 가지는 챔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부 몸체; 상기 외부 몸체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외부 몸체와 함께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되는 캡; 상기 외부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고정레버; 상기 캡에 결합되어 상기 캡 내부로 삽입되는 압축 용기의 포트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1 씰링부재; 및
상기 내부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용기의 포트의 개구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2 씰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내부 몸체가 상기 포트에 의해 후진하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포트를 클램핑하고, 상기 외부 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 몸체가 전진하면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포트를 클램핑 해제하는 퀵 커플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외부 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를 압축기의 포트에 결합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를 압축기의 포트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방수 퀵 커플러를 압축기의 포트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록킹홈 내의 록킹돌기 위치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는 압축기의 용접부(예를 들면, 산소 용접이나 CO2 용접 등)의 누수 검사 시 압축기의 포트에 기밀 상태로 결합되어 수조검사 및 전착도장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포트는 압축기의 냉매 충전 포트, 냉매 유/출입 포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압력 용기에 구비된 파이프 형상의 포트를 가지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압축기의 포트(P)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가 결합 및 탈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100)는 크게 내부 구성과 외부 구성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구성은 주로 방수 퀵 커플러(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정의할 수 있고, 외부 구성은 내부 구성을 감싸면서 방수 퀵 커플러(10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내부 구성은 압축기의 포트(예를 들면, 냉매 충전 포트(refrigerant charging port))(P, 도 6a 참조)를 록킹 해제하는 내부 몸체(110)와, 방수 퀵 커플러(100) 내측으로 삽입된 포트(P)를 록킹하는 고정레버(120)와, 방수 퀵 커플러(100) 내측으로 삽입된 포트(P)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제1 씰링유닛(130)과, 포트(P)의 개구에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제2 씰링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구성은 내부 몸체(110)가 삽입되는 외부 몸체(160)와, 외부 몸체(160)의 선단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70)과, 외부 몸체(160)의 후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180)와, 연결부재(18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챔버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100)를 포트(P)에 결합하는 경우, 내부 구성과 외부 구성은 상호 협력하여 포트(P)의 개구로 압축기 내부에 충전된 물질(실험 시 공기)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100)를 포트(P)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별도의 도구(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구성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포트(P)의 록킹을 해제함으로써 방수 퀵 커플러(100)를 포트(P)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100)는 포트(P)에 결합하는 경우 포트(P)의 개구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압축기 내부의 압력이 15kg/㎠ 이상의 고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도 포트(P)로부터의 탈거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내부 구성과 외부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내부 몸체(110)는, 도 6a와 같이, 후술하는 제2 탄성부재(150)를 통해 외부 몸체(160)의 일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 경우 제2 탄성부재(150)는 압축 스프링과 토션 스프링의 기능을 겸하고 있어, 압축기의 포트(P)에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를 결합할 때 포트(P)가 방수 퀵 커플러(100)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제2 탄성부재(150)의 탄성력(토션 스프링 기능)에 의해 회전하면서 후진한다. 본 문서에서 내부 몸체(110)의 '후진' 방향은 캡(17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내부 몸체(110)의 '전진' 방향은 캡(17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내부 몸체(110)는, 도 4와 같이, 내측에 내부 몸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중간벽(111)이 형성되며, 이 중간벽(111)에 의해 내부 몸체(110)의 내부 공간이 제1 공간(112) 및 제2 공간(116)으로 구획된다. 중간벽(111)은 제1 공간(112) 및 제2 공간(116)을 상호 연통하는 관통구멍(111a)이 형성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공간(112)에는 고정레버(120) 및 제1 씰링유닛(130)의 제1 패킹지지부재(131)가 배치된다. 제2 공간(116)에는 제2 씰링유닛(140)의 일부가 배치된다.
내부 몸체(110)는 선단부에 서로 대칭으로 제1 요홈(113a) 및 제2 요홈(113b)이 형성된다. 제1 요홈(113a)에는 고정레버(120)의 걸림돌기(122)가 배치된다. 제2 요홈(113b)에는 고정레버(120)의 힌지부(123)가 배치된다. 제1 요홈(113a) 및 제2 요홈(113b)은 내부 몸체(110)의 선단으로부터 대략 중간벽(111)에 인접한 위치까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홈(113a)의 길이는 고정레버(120)가 힌지축(124)의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데 간섭되지 않는 정도면 족하다.
내부 몸체(110)는, 도 4와 같이, 제2 요홈(113b)의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제2 요홈(113b)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14)이 형성된다. 관통구멍(114)에는 고정레버(1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124)이 삽입된다.
내부 몸체(110)는 제1 공간(112)에 배치되는 제1 패킹지지부재(131)를 내부 몸체(110)에 고정하기 위해, 내부 몸체(110)의 선단부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체결구멍(115)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체결구멍(115)은 내주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각각 제1 체결부재(B1)가 나사 결합된다. 한 쌍의 제1 체결부재(B1)는 내부 몸체(110)에 체결 시 내부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켓 세트 스크류(socket set screw)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 체결부재(B1)가 소켓 세트 스크류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부 몸체(110)가 외부 몸체(160) 내에서 회전, 전진 및 후진 시 외부 몸체(160)의 내부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체결부재(B1)는 각각 내부 몸체(110)의 한 쌍의 제1 체결구멍(115)에 체결 시 각 제1 체결부재(B1)의 선단이 제1 패킹지지부재(13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134)에 삽입됨으로써 제1 패킹지지부재(131)를 내부 몸체(1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패킹지지부재(131)는 내부 몸체(110)와 함께 외부 몸체(160) 내에서 회전과 동시에 전진 및 후진한다.
내부 몸체(110)는 제2 공간(116)에 배치되는 제2 씰링유닛(140)을 내부 몸체(110)에 고정하기 위해, 내부 몸체(110)의 후단부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2 체결구멍(117)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체결구멍(117)은 내주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각각 제2 체결부재(B2)가 나사 결합된다. 한 쌍의 제2 체결부재(B2)는 전술한 제2 체결부재(B2)와 마찬가지로 소켓 세트 스크류(socket set screw)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2 체결부재(B2)는 각각 내부 몸체(110)의 한 쌍의 제2 체결구멍(117)에 체결 시 각 제2 체결부재(B2)의 선단이 제2 씰링유닛(140)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143)에 삽입됨으로써 제2 씰링유닛(140)을 내부 몸체(1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씰링유닛(140)은 제1 패킹지지부재(131)와 마찬가지로 내부 몸체(110)와 함께 외부 몸체(160) 내에서 회전과 동시에 전진 및 후진한다.
내부 몸체(110)는, 도 3과 같이, 내부 몸체(110)의 후단부에 한 쌍의 록킹홈(118)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 한 쌍의 록킹홈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지 않으며 형성 위치만 서로 대응되게 배치된다. 각 록킹홈(118)은, 도 6b와 같이, 내부 몸체(110)의 후단부터 내부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구간(D1) 과 제2 구간(D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록킹홈(118)은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록킹홈(118)의 제2 구간(D2)이 서로 동일한 시계 방향 또는 동일한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된다. 각 록킹홈(118)에는 외부 몸체(160)의 한 쌍의 록킹돌기(161, 도 5 참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외부 몸체(160)의 한 쌍의 록킹돌기(161)는 포트(P)가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 내부로 인입될 때 내부 몸체(110)가 회전 및 후진하는 경우 제1 구간(D1)을 거쳐 제2 구간(D2)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내부 몸체(110)가 후진한 위치에서 내부 몸체(110)의 한 쌍의 록킹홈(118) 및 외부 몸체(160)의 한 쌍의 록킹홈(161)에 의해 록킹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를 포트(P)로부터 탈거 시, 외부 몸체(160)의 한 쌍의 록킹돌기(161)는 외부 몸체(160)를 소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내부 몸체(110)의 한 쌍의 록킹홈(118)의 제2 구간(D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구간(D1)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내부 몸체(11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고정레버(120)는 포트(P)의 인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며,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 내측으로 포트(P)가 인입되면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포트(P)를 클램핑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가 포트(P)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레버(120)는 중앙에 포트(P)가 관통하는 고정구멍(121)이 형성된다. 고정구멍(121)은 포트(P)의 외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고정레버(120)가 소정 각도로 회전 시 고정구멍(121)의 모서리에 의해 고정레버(120)의 양측이 동시에 클램핑된다. 이에 따라, 포트(P)는 고정레버(120)에 의해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레버(120)는 일측에 걸림돌기(122)가 돌출 형성되며, 걸림돌기(122)의 반대측에 힌지부(123)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돌기(12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돌기(122)의 상단부는, 도 6a와 같이, 제1 탄성부재(126)에 의해 캡(170)의 걸림턱(175)에 가압된 상태로 밀착된다. 이 경우, 제1 탄성부재(126)는, 도 6a와 같이, 내부 몸체(110)와 외부 몸체(16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탄성부재(126)는 일단(126a)이 고정레버(120)의 걸림돌기(122)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타단(126b)이 외부 몸체(160)의 걸림턱(168)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122)의 상단부는 캡(170)의 걸림턱(175)에 캡(170)의 걸림턱(175)에 항상 가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레버(120)의 힌지부(123)는 고정레버(1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124)이 결합된다. 힌지축(124)은, 도 4와 같이, 내부 몸체(110)의 관통구멍(114)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에 따라 내부 몸체(110)가 후진 시 힌지부(123)가 내부 몸체(110)와 함께 후진하고, 걸림돌기(122)가 캡(170)의 걸림턱(175)에 지속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고정레버(120)는 힌지축(124)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제1 씰링유닛(130) 측으로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고정레버(120)가 기울어짐에 따라, 내측으로 인입된 포트(P)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레버(120)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다.
제1 씰링유닛(130)은, 도 3 및 도 6a와 같이, 내부 몸체(110)의 제1 공간(112)에 위치하는 제1 패킹지지부재(131)와, 제1 패킹지지부재(131)에 결합되는 제1 패킹(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킹지지부재(131)는 제1 패킹(135)이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관통구멍(132)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제1 패킹(135)의 후단부(139)가 삽입되는 결합공간(133)이 형성된다. 제1 패킹지지부재(131)는 양측에 한 쌍의 제1 체결부재(B1)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체결홈(134)이 형성된다. 한 쌍의 체결홈(134)은 한 쌍의 제1 체결부재(B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홈(134)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킹지지부재(131)는 한 쌍의 체결부재(B1)에 의해 내부 몸체(110)에 연결됨에 따라, 내부 몸체(110)가 회전 및 전후진 시 내부 몸체(110)와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패킹지지부(131)에 결합된 제1 패킹(135) 역시 내부 몸체(110)와 함께 이동한다.
제1 패킹(135)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포트(P)가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내부 몸체(110)와 함께 제1 패킹(135)도 함께 후진하여 포트(P)와 캡(170) 사이에서 압박됨에 따라 포트(P)와 캡(17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패킹(135)이 내부 몸체(110)와 함께 후진할 수 있도록 제1 패킹(135)의 후단부(139)가 제1 패킹지지부재(131)의 결합공간(133)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1 패킹지지부재(131)이 걸림턱(131a)은 제1 패킹(135)의 선단부(137)와 후단부(139)의 경계 부분에 형성된 걸림홈(131a)으로 삽입됨에 따라, 제1 패킹지지부재(131)와 제1 패킹(135)은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패킹(135)은, 도 6a와 같이, 선단부(137)가 후단으로 갈 수록 점차 좁아지는 콘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선단부(137)의 외주가 경사면(137a)을 이룬다. 이 경우, 캡(170)의 선단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주 역시 선단부(137)의 경사면(137a)에 대응하는 경사면(172, 도 6a 참조)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경사면들(137a,172)에 의해 제1 패킹(135)의 후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제1 패킹(135)이 후진하여 소정 거리 이동한 위치부터 제1 패킹(135)의 선단부(137)의 경사면(137a)은 캡(170)의 관통구멍의 경사면(172)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경사면들(137a,172) 사이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킹(135)의 전후로 관통된 관통구멍(136)의 내주면은 포트(P)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제1 패킹(135)과 냉패 충전 포트(P) 사이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패킹(135)은 내부 몸체(110)가 전진하는 경우, 내부 몸체(110)와 함께 전진하여 포트(P)와 캡(170) 사이에서 압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제2 씰링유닛(140)은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 내측으로 인입된 포트(P)의 개구(Pa, 도 6a 참조)와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것으로, 원통부재(142)와, 원통부재(142) 내측에 삽입되는 제2 패킹지지부재(141)와, 제2 패킹지지부재(141)에 결합되는 제2 패킹(145)을 포함한다.
원통부재(142)는 내부 몸체(160)의 제2 공간(116)에 배치되며, 한 쌍의 제2 체결부재(B2)에 의해 원통부재(142)에 고정된다. 원통부재(142)는 양측에 한 쌍의 제2 체결부재(B2)가 삽입되는 체결홈(143)이 형성된다. 이 경우, 각 체결홈(143)은 한 쌍의 제2 체결부재(B2)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통부재(142)는 내부 몸체(160)에 고정됨에 따라 내부 몸체(160)가 회전, 전진 및 후진 시 내부 몸체(16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홈(147)은 내부 몸체(110)에 토션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2 탄성부재(150)의 일단(151)을 고정하는 부분이므로, 고정홈(147)은 원통부재(142)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몸체(110)의 후단부 중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원통부재(142)는 후단에 제2 탄성부재(150)의 일단(151)이 삽입되는 고정홈(147)이 형성된다. 고정홈(147)은 적어도 1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탄성부재(150)의 토션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47)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고정홈을 기준으로 원통부재(142)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킹지지부재(141)는 원통부재(142)의 후단부를 관통한 상태로 제2 패킹지지부(141)에 결합되고, 제2 패킹지지부재(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에 관통구멍(141a)이 형성된다. 제2 패킹지지부재(141)는 선단부에 제2 패킹(145)이 결합되며, 이 경우, 제2 패킹지지부재(141)의 걸림턱(141b)에 의해 제2 패킹(145)이 제2 패킹지지부재(14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제2 패킹지지부재(141)는 후단부가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외부 몸체(160)의 후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6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경우, 제2 패킹지지부재(141)와 관통구멍(163)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O-링(S2)이 제2 패킹지지부재(14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141c)에 결합된다. O-링(S2)은 다른 O-링들(S1,S3,S4)과 함께 챔버부재(190)의 내부 기밀을 유지한다.
제2 패킹(145)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면에 포트(P)가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제2 패킹(145)은 관통구멍(145a)이 형성되며, 제2 패킹(145)의 후단부에는 제2 패킹지지부재(141)의 걸림턱(141b)에 대응하는 걸림부(145b)가 형성된다.
제2 탄성부재(150)는 내부 몸체(110)가 회전과 함께 전진 및 후진하도록 내부 몸체(110)에 전진 방향의 가압력 및 원주 방향의 토션력을 함께 제공한다. 제2 탄성부재(150)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151) 및 타단(152)이 각각 절곡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2 탄성부재(150)의 일단(151)은 원통부재(142)의 고정홈(147)에 삽입되고, 타단(152)은 외부 몸체(160)의 고정홈(165)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2 탄성부재(150)가 소정 각도로 비틀린 상태로 원통부재(142)와 외부 몸체(16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몸체(160)가 후진 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부재(142)의 고정홈(147)과 외부 몸체(160)의 고정홈(165)은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몸체(160)는, 도 2와 같이, 내측에 내부 몸체(110)가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외부 몸체(160)는 선단부 외주에 캡(170)이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160a)가 형성되고 후단부 외주에 연결부재(180)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160b)가 형성된다.
외부 몸체(16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내주면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한 쌍의 록킹돌기(161)가 배치된다. 한 쌍의 록킹돌기(161)는 내부 몸체(110)의 한 쌍의 록킹홈(118)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외부 몸체(160)는 후단에 제2 패킹지지부재(141)의 후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구멍(163)이 형성된다. 외부 몸체(160)는 관통구멍(163) 주변으로 제2 탄성부재(150)의 타단(152)이 삽입되는 고정홈(165)이 형성된다. 고정홈(165)은 원통부재(140)의 고정홈(147)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1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탄성부재(150)의 토션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65)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고정홈을 기준으로 관통구멍(163)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몸체(160)는 선단부 내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요홈(166)이 형성된다. 요홈(166)은, 도 6a와 같이, 고정레버(120)의 걸림돌기(122)가 위치하며, 걸림돌기(122)가 회전축(124)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그리고 내부 몸체(110)와 함께 회전, 전진 및 후진하는 동안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캡(17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후단부 내주에 외부 몸체(160)의 나사부(160a)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170a)가 형성된다. 캡(170)은 외부 몸체(16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내부 몸체(110)의 선단부, 제1 패킹지지부재(131) 및 고정레버(120)를 커버할 수 있다.
캡(170)은 선단에 제1 패킹(135)이 관통 결합되는 관통구멍(171)이 형성된다. 관통구멍(171)은 내주에 경사면(172)이 형성된다. 경사면(172)은 제1 패킹(135)의 선단부(137)의 경사면(137a)과 밀착될 수 있다. 경사면(172)은 제1 패킹(135)이 내부 몸체(110)와 함께 원활가게 후진할 수 있도록 외부 몸체(16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콘 형상을 이룬다. 캡(170)은, 도 6a와 같이, 고정레버(120)의 걸림돌기(122)를 지지하는 걸림턱(175)이 형성된다. 캡(170)과 외부 몸체(16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O-링(S1)이 배치되어 캡(170)과 외부 몸체(16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18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선단부 내주에 외부 몸체(160)의 나사부(160b)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80a)가 형성되고, 후단부 내주에 챔버부재(190)의 나사부(190a)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80b)가 형성된다. 연결부재(180)는 챔버부재(190)를 외부 몸체(160)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80)와 외부 몸체(160)가 결합되는 부분에 O-링(S3)이 배치되고, 연결부재(180)와 챔버부재(190)가 결합되는 부분에 O-링(S4)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80)와 외부 몸체(160) 사이 및 연결부재(180)와 챔버부재(190) 사이에 각각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챔버부재(190)는 연결부재(180)를 통해 외부 몸체(160)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챔버부재(190)는, 도 6b와 같이, 내측에 포트(P)와 연통된 압축기 내부의 고압(예를 들면, 15kg/㎠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191)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를 압축기의 포트(P)에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을 도 6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 및 도 8a는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를 압축기의 포트(P)에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내부 몸체(110)는, 도 6과 같이, 제2 탄성부재(160)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고정레버(120)의 고정돌기(122)는 제1 탄성부재(126)에 의해 캡(17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75)에 가압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고정레버(120)는 힌지축(124)과 걸림돌기(122)가 대략 동일 수직선 상에 배치됨에 따라 수직을 배치된다. 고정레버(120)가 수직으로 배치됨에 따라,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 내로 인입될 포트(P)는 고정레버(120)의 고정구멍(121) 내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록킹돌기(161)는, 도 8a와 같이, 록킹홈(118)의 제1 구간(D1)에 존재하는 초기 위치(118a)에 설정된다. 이 경우, 내부 몸체(110)는 제2 탄성부재(150)에 의한 토션력으로 인해 제1 구간(D1)으로부터 제2 구간(D2)을 향해 회전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를 압축기의 포트(P) 측으로 이동시켜 포트(P)에 결합된 상태를 도 7,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c는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를 압축기의 포트(P)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결합 직전의 록킹돌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를 압축기의 포트(P) 측(도 7에 도시된 X 방향)으로 이동시켜 포트(P)를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 내측으로 인입시킨다. 포트(P)는 제1 씰링유닛(130), 고정레버(120), 내부 몸체(110)의 중간벽(1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2 씰링유닛(140)의 제2 패킹(145) 전면(145c)에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를 계속 X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 씰링유닛(140)이 포트(P)에 의해 X 방향의 역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몸체(110)는 후진하게 되고 록킹돌기(161)는 도 8b와 같이 초기 위치(118a)에서 록킹홈(118)의 제1 및 제2 구간(D1,D2)의 경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내부 몸체(110)가 제2 탄성부재(150)의 토션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록킹돌기(161)는, 도 8c와 같이, 록킹홈(118)의 제2 구간을 따라 록킹 위치(118b)로 이동한다.
이 경우, 고정레버(120)는, 도 7과 같이, 힌지축(124)이 내부 몸체(110)와 함께 후진하고 걸림돌기(122)는 제1 탄성부재(126)에 의해 캡(170)의 걸림턱(175)에 지속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힌지축(124)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고정레버(120)가 기울어지면서 포트(P)는 고정구멍(121)의 모서리에 의해 클램핑된다. 이에 따라, 포트(P)는 고정레버(12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내부 몸체(110)가 후진함에 따라 제1 패킹(135)도 후진하여 제1 패킹(135)의 선단부(137)의 경사면(137a)이 캡(170)의 관통구멍의 경사면(172)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경사면들(137a,172) 사이에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제1 패킹(135)은 포트(P)의 외주면에 압박 상태로 밀착하게 된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제1 패킹지지부재(131)의 관통구멍(132)의 중심선(C1)과 중간벽(111)의 관통구멍(111a)의 중심선(C2)은 서로 편심 배치된다. 즉, 중간벽(111)의 관통구멍(111a)이 제1 패킹지지부재(131)의 관통구멍(132) 보다 하측 방향(고정핀(124) 측)으로 소정 거리 편심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고정레버(120)가 회전하여 포트(P)를 고정할 때, 포트(P)의 선단부가 중간벽(111)의 관통구멍(111a)의 상부에 밀착됨으로써 포트(P)와 방수 퀵 커플러(100)가 서로 수평이 틀어지는 것을 잡아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트(P)와 제1 패킹(135)의 관통구멍(136) 사이(P1)와, 제1 패킹(135)의 경사면(137a)과 캡(170)의 경사면(171) 사이가 들뜨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2 부분(P1,P2)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가 포트(P)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패킹(135), 제2 패킹(145) 및 다수의 O-링(S1,S2,S3,S4)이 방수 퀵 커플러(10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는 포트(P)에 결합된 상태로 압축기 내부의 고압(예를 들면, 15kg/㎠ 이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태로 수압검사 및 전착도장 고정을 포트(P)로부터 탈거하지 않고 그대로 진행할 수 있다.
전착공정까지 모두 완료되면,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의 외부 몸체(160)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외부 몸체(160)를 회전시키면서 X 방향(도 7 참조)의 역방향을 잡아당겨 포트(P)로부터 간편하게 탈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퀵 커플러의 구조 상 사용자가 외부 몸체(160)를 파지할 때 캡(170)과 연결부재(180)까지 함께 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 몸체(160)를 회전시키면 록킹돌기(161)는 도 8c와 같이 록킹홈(118)의 록킹위치(118b)에서 도 8b와 같이 제1 및 제2 구간(D1,D2)의 경계로 이동하여 내부 몸체(110)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내부 몸체(110)는 제2 탄성부재(150)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가압되어 록킹돌기(161)는 도 8a와 같이 록킹홈(118)의 초기 위치(118a)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내부 몸체(110)가 전진함에 따라, 힌지축(124)도 내부 몸체(110)와 함께 전진하게 되므로 고정레버(120)가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포트(P)는 고정레버(120)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면서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의 외측으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아울러, 포트(P) 외주에 가해진 제1 패킹(135)에 의한 밀착 역시 해제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기 내부에 고압(15kg/㎠)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포트(P)로부터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실시예의 방수 퀵 커플러(100)가 압축기 내부에 소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챔버부재(190)를 포함하고 있으나, 대기압 하에서 포트(P)를 밀봉하는 경우, 챔버부재(190)와 챔버부재(190)를 외부 몸체(160)에 연결하는 연결부재(180)를 생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100)는 압축기의 용접부의 누수 검사 시 압축기의 포트에 기밀 상태로 결합되어 수조검사 후 포트(P)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계속해서 전착도장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9는 챔버부재(190) 및 연결부재(180)를 생략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200)는 전술한 방수 퀵 커플러(200)와 대부분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챔버부재(190) 및 연결부재(180)의 생략에 따라 외부 몸체(260)가 전술한 방수 퀵 커플러(100)의 외부 몸체(160)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200) 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방수 퀵 커플러(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인 외부 몸체(2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외부 몸체(260)는, 도 9와 같이, 후단부에 형성된 후벽(269)에 의해 폐쇄된다. 후벽에는 제2 탄성부재(250)의 타단(252)이 고정되는 고정홈(265)이 형성된다. 고정홈(265)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200)는 전술한 방수 퀵 커플러(100)와 달리 챔버부재(190) 및 연결부재(180)가 생략됨에 따라 O-링 역시 외부 몸체(260)와 캡(270) 사이에 배치된 O-링(S1)와, 제2 패킹지지부재(241)와 원통부재(242) 사이에 배치된 O-링(S2)만 구비하면 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퀵 커플러(200)는 포트(P)에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이 전술한 방수 퀵 커플러(100)와 동일하다.
도 9에서 미설명 부호 226은 제1 탄성부재이고, 230은 제1 씰링유닛이고, 231은 제1 패킹지지부재이고, 235는 제1 패킹이고, 240은 제2 씰링유닛이고, 245는 제2 패킹이고, 247은 고정홈이고, 251은 탄성부재(250)의 일단이고, B2는 체결부재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내부 몸체 118: 록킹홈
120: 고정레버 122: 걸림돌기
124: 힌지축 126: 제1 탄성부재
130: 제1 씰링유닛 135: 제1 패킹
140: 제2 씰링유닛 145: 제2 패킹
150: 제2 탄성부재 160: 외부 몸체
170: 캡 180: 연결부재
190: 챔버부재

Claims (17)

  1. 선단부에 개구를 가지는 외부 몸체;
    상기 외부 몸체 내에서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배치되는 내부 몸체;
    상기 외부 몸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내부 몸체와 상기 캡 사이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 몸체의 전진 및 후진 시 압축 용기의 포트를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몸체는 후진 시 상기 외부 몸체에 록킹되고, 상기 외부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부 몸체로부터 록킹 해제되는 퀵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는 상기 포트에 의해 후진하면서 토션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외부 몸체가 상기 내부 몸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시 가압력에 의해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몸체는 상기 록킹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홈은 상기 내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으로부터 상기 내부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는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의 제2 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외부 몸체에 록킹되며,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의 제1 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외부 몸체로부터 록킹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내부 몸체와 함께 후진 및 회전하면서 상기 포트를 클램핑하고, 상기 외부 몸체와 함께 전진 시 상기 포트를 클램핑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일단부가 상기 내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캡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고정레버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 몸체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고정레버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레버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포트가 삽입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포트는 상기 고정레버 일 방향 및 그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구멍에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선단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내부 몸체가 후진할 때 상기 포트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제1 씰링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링유닛은,
    상기 캡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제1 패킹; 및
    상기 제1 패킹이 결합되고, 상기 내부 몸체에 고정되는 제1 패킹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킹은 상기 내부 몸체가 후진 시 상기 캡의 관통구멍에 압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관통구멍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경이 점차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킹은 상기 캡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킹은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의 관통구멍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포트의 개구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제2 씰링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씰링유닛과 상기 외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 씰링유닛 또는 상기 내부 몸체의 후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씰링유닛과 상기 외부 몸체 사이에 씰링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는 후단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몸체에 연결부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챔버를 가지는 챔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16. 외부 몸체;
    상기 외부 몸체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외부 몸체와 함께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되는 캡;
    상기 외부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고정레버;
    상기 캡에 결합되어 상기 캡 내부로 삽입되는 압축 용기의 포트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1 씰링부재; 및
    상기 내부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 용기의 포트의 개구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2 씰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내부 몸체가 상기 포트에 의해 후진하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포트를 클램핑하고, 상기 외부 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 몸체가 전진하면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포트를 클램핑 해제하는 퀵 커플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 상기 제1 씰링부재 및 상기 제2 씰링부재는 상기 내부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몸체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KR1020150154974A 2015-11-05 2015-11-05 방수 퀵 커플러 KR102492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974A KR102492189B1 (ko) 2015-11-05 2015-11-05 방수 퀵 커플러
ES16862294T ES2770413T3 (es) 2015-11-05 2016-09-29 Acoplador rápido impermeable
PCT/KR2016/010890 WO2017078276A1 (ko) 2015-11-05 2016-09-29 방수 퀵 커플러
CN201680064876.XA CN108291685B (zh) 2015-11-05 2016-09-29 防水快速结合器
EP16862294.2A EP3343084B1 (en) 2015-11-05 2016-09-29 Waterproof quick coupler
US15/766,358 US10871251B2 (en) 2015-11-05 2016-09-29 Waterproof quick coup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974A KR102492189B1 (ko) 2015-11-05 2015-11-05 방수 퀵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896A KR20170052896A (ko) 2017-05-15
KR102492189B1 true KR102492189B1 (ko) 2023-01-26

Family

ID=5866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974A KR102492189B1 (ko) 2015-11-05 2015-11-05 방수 퀵 커플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71251B2 (ko)
EP (1) EP3343084B1 (ko)
KR (1) KR102492189B1 (ko)
CN (1) CN108291685B (ko)
ES (1) ES2770413T3 (ko)
WO (1) WO20170782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2221B2 (ja) * 2018-09-06 2023-03-20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出水口ノズル及び飲料水供給装置
KR102165002B1 (ko) * 2019-01-11 2020-10-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와 전동보조장치의 연결구조
CN111150493B (zh) * 2020-02-09 2024-05-14 深圳市精锋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手术装置及手术机器人
FR3134161B1 (fr) * 2022-04-01 2024-04-19 Iprexys Tech Tête de connexion rapportable sur une ouverture d’un élément de tuyauterie à bride pour son contrôle souspress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86Y1 (ko) 2012-03-15 2013-08-21 (주)광산 배관 검사용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4891C (de) * 1924-01-13 1924-10-24 M E Fimmen & Co G M B H Leicht loesbare Schlauchkupplung
US2245847A (en) * 1939-06-22 1941-06-17 James F Bagby Pipe or hose coupling
US2819733A (en) * 1956-05-15 1958-01-14 Maisch Oliver Tube sealer and connector
US3100655A (en) * 1961-03-17 1963-08-13 Ralph O Work Bayonet type coupling with pivoted segment release means
US3167335A (en) * 1961-09-18 1965-01-26 Tuthill Pump Co Internal tube seal and connector
JPS527535Y2 (ko) * 1971-11-11 1977-02-17
JPS5534388Y2 (ko) * 1973-06-28 1980-08-14
US3884508A (en) * 1973-12-10 1975-05-20 Eugene G Jones Pipe couplings
US4163573A (en) * 1977-02-28 1979-08-07 Chiyoda Tsusho K.K. Hose fitting
US4254801A (en) * 1979-05-31 1981-03-10 Gerthoffer Bernard P Quick-acting closure unit
US4261601A (en) * 1979-09-06 1981-04-14 Sloan Albert H Jetting adapter for well point pumping apparatus
US4759572A (en) 1987-04-20 1988-07-26 Tuthill Corporation Tube connector
US5224681A (en) * 1990-04-13 1993-07-06 Lundstrom Donald A Hand releasable locking collar
US5439258A (en) * 1993-08-17 1995-08-08 Production Control Units, Inc. Tube coupling unit
KR980010383A (ko) 1996-07-01 1998-04-30 정용채 기밀시험용 퀵 커플러(quick coupler)
US5799985A (en) * 1996-08-13 1998-09-01 Tuthill Corporation Tube testing connector
CN2260942Y (zh) * 1996-09-06 1997-08-27 四川省成都聚星塑胶有限公司 快速管道接头
JP4000619B2 (ja) 1997-04-23 2007-10-31 ヤマハ株式会社 カプラ
JPH1182847A (ja) 1997-09-08 1999-03-26 Nichirin:Kk チューブ用継手
US7040670B2 (en) * 2003-12-11 2006-05-09 Parker & Harper Companies, Inc. Coupling apparatus
FR2901595A1 (fr) * 2006-05-29 2007-11-30 Staubli Faverges Sca Element de raccord a rainure de verrouillage et raccord incorporant un tel element
US8172276B1 (en) * 2006-10-06 2012-05-08 Blazing Products, Inc. Fittings connectable to end portions of pipes and related methods
FR2919040B1 (fr) * 2007-07-18 2013-05-10 Legris Sa Coupleur a billes perfectionne
TWI387697B (zh) * 2008-10-23 2013-03-01 Yugen Kaisha Hama Int 管接頭
KR20100049875A (ko) * 2008-11-04 2010-05-13 한국가스안전공사 배관 막음장치
JP2012021591A (ja) 2010-07-14 2012-02-02 Nagahori Industry Co Ltd 流体継手
KR101505652B1 (ko) * 2013-09-13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커플링 장치
US10060564B2 (en) * 2014-04-01 2018-08-28 Kadant Johnson Llc Quick connect torque coupling with safety lock
FR3069612B1 (fr) * 2017-07-25 2019-09-06 Staubli Faverges Element de raccord pour connecter une conduite de flui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86Y1 (ko) 2012-03-15 2013-08-21 (주)광산 배관 검사용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91685B (zh) 2020-03-27
US20180306364A1 (en) 2018-10-25
EP3343084B1 (en) 2019-11-06
US10871251B2 (en) 2020-12-22
WO2017078276A1 (ko) 2017-05-11
ES2770413T3 (es) 2020-07-01
CN108291685A (zh) 2018-07-17
EP3343084A4 (en) 2018-10-24
EP3343084A1 (en) 2018-07-04
KR20170052896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189B1 (ko) 방수 퀵 커플러
ES2929620T3 (es) Abrazadera sanitaria de tipo leva
CA2631477A1 (en) Friction tube anchor and inflation adapter for the latter
TW201727060A (zh) 自行車泵
KR101266144B1 (ko)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CN102486245B (zh) 六氟化硫气体绝缘设备的连接装置
KR100362235B1 (ko) 관 이음매
FR2983275A1 (fr) Valve pour structure gonflable
KR101519382B1 (ko)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JP4459780B2 (ja) 水道用等のメータユニット
JP2010506152A (ja) 流体分析用のセンサーを当該流体を収容する本体部に対して分離可能に連結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装置
US20120001418A1 (en) Connector
KR200464009Y1 (ko) 과조임방지구를 가지는 체크밸브
US10683956B2 (en) Connection device for pipes in general
TWI588369B (zh) 腳踏車輪胎泵夾頭
KR102362653B1 (ko) 튜브 피팅 조립 방법
KR200482815Y1 (ko) 배관용 와셔플러그
KR102059171B1 (ko) 원터치 주입구
JP4421554B2 (ja) 配管密閉治具
KR102288442B1 (ko) 플렉시블 호스 커넥션 피팅
JP2012026482A (ja) 真空弁
CN216843333U (zh) 一种球阀
KR102376365B1 (ko) 배관 연결장치
CN217271201U (zh) 一种锁环式快开盲板的伸缩锁环
CN210243431U (zh) 一种迁移测试池盖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